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평생교육으로서 한국노인교육의 발전방향 - 노인교육담론을 중심으로

        신미식(Shin Mee-Shik) 한국평생교육학회 2007 평생교육학연구 Vol.13 No.1

          이미 오래 전에 평생학습사회, 고령화사회로 접어든 한국은 그 어느 때보다 평생교육으로서 노인교육이 필요하다. 그러나 현재의 노인교육은 복지위주의 노인교육, 인적자원개발 위주의 노인교육이 대부분으로, 노인을 배움의 주체, 삶의 주체, 즉 평생학습자로 키워내지 못하고 있다. 또한 평생교육의 이론적인 영역을 담당하는 학계 역시 평생교육의 중요한 영역으로서 노인교육, 평생교육의 중요한 대상으로 노인에 대한 인식이 아직 확산되어 있지 못하다. 본 연구자는 더 늦기 전에 평생교육과의 연결 선상에서 노인교육을 다루는 논의나 연구가 활발하게 제기되어야한다고 보고, 이런 시도의 일환으로 이 연구에서는 한국노인교육의 현황을 살펴보고 앞으로 평생교육으로서 노인교육은 어떠한 방향으로 나아가는 것이 바람직한지 알아보려고 하였다. 특히 이를 위해 한국보다 노인교육에 대해 활발한 논의와 연구를 해온 나라들에서 발전된 노인교육담론을 살펴보고 그것으로부터 시사점을 얻으려고 하였다. 구체적으로 이 연구에서는 첫째, 평생교육으로서 노인교육의 의미를 살펴보고, 둘째, 지금까지 한국 노인교육의 현황과 문제점을 알아보고, 셋째, 다른 나라에서 전개된 노인교육의 담론을 살펴보고, 마지막으로, 이들 담론이 한국 노인교육에 주는 시사점과 그것을 토대로 한국 노인교육이 나아가야할 방향을 탐색해보았다.   Korea already enters into the lifelong learning society and the aging society. Given that, elderly education should be regarded as an important form of lifelong education. But in reality, that does not happen yet. In the field, elderly education is not conducted in the context of lifelong education. Also, it does not contribute to educating the elderly as lifelong leaners. Most elderly education given in Korea at this moment is welfare or human resource development oriented. Also, in the academics, not many studies are done to find out where elderly education should be positioned in the big picture of lifelong education, what should be done to make the elderly lifelong learners, and where it should go in the future.<BR>  The author thinks that more serious research should be done to answer the questions and this study is a just start for that. In this study, the author tries to examine the present forms of elderly education in Korea and to analyze its problems from a lifelong learning perspective. Further, the author looks into main discourses on elderly education, which have been developed in western countries. The reason for it is that since western countries have more experiences on elderly education practically and theoretically, they could provide Korean elderly education with some lessons. Lastly, the author attempts to figure out what lessons Korean elderly education learns from western experiences and in which direction Korean elderly education should go to position elderly education in the context of lifelong education and to make the elderly lifelong learners.

      • KCI등재

        학술지를 통해 본 한국 평생교육학의 연구동향

        곽삼근(Kwak Sam-geun),최윤정(Choi Yun-jeong) 한국평생교육학회 2005 평생교육학연구 Vol.11 No.1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 평생교육학 연구의 역사와 연구동향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 연구의 주요 내용은 첫째, 지난 50 년간 한국 평생교육학의 발전 과정을 연구물을 중심으로 고찰하고, 둘째, 연구동향 파악을 위해 주요 학술지의 논문들을 분석하며, 셋째, 이를 바탕으로 한국 평생교육학 연구동향의 주요 특성들을 고찰하고 학문 발전을 위한 과제를 제시하는 것이다. 연구동향을 분석하기 위해 문헌조사와 연구물 분석방법을 사용하였으며, 한국 평생교육 분야의 대표적인 학술지 세 개에서 총 395 편의 논문을 선정 분석하였다. 연구영역을 총 10개 영역으로 유형화하였으며, 분석 결과 평생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연구가 가장 많았고 평생교육학 학문연구와 방법연구가 가장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 한국의 평생교육은 급속한 성장기에 있으며, 평생교육법의 출현으로 평생교육 활동의 공급과 수요는 그 어느 때보다 양적으로 급증하였다. 그러나 현장에 초점을 두도록 급속하게 교육실천의 요구가 팽창해왔는데 비하여 연구 활동은 충분하지 못하였다 는 평가가 본 연구에서도 입증되었다. 평생교육학 영역에서 많은 연구물이 쏟아져 나왔지만, 아직 평생교육학의 제반영역을 체계화하는 작업은 미진한 상태에서, 본 연구는 한국 평생교육학 연구를 체계적으로 분석하여 그 특성을 제시하고 학문적 발전을 위한 제언을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research trends of lifelong education by investigating research papers published in Korean academic journals and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lifelong education studies and its future direction. To investigate the research trends of the journals, we categorized the research papers into the ten research areas. From the three representative journals in lifelong education, 395 articles were selected and analyzed. From this analysis, we could find that 'lifelong education programs and educational processes' was the most popular area, while 'lifelong education study and methodology' was the least concerned one. Based on the research trends, the main characteristics of Korean lifelong education research could be suggested as follows. First, the academy of the Korean lifelong education is still practice-oriented. But recently, the quality of papers is making progress from a level. of general surveys on the realities to an indepth research study. Second, the research topics and problems of the papers have become more specific and various. Third, the concerns on 'learning' and 'learners' I have been rapidly increased since 2000. Fourth, even though it was not deeply examined in this study, it is apparent that the papers on research methodology were scarce in numbers. Fifth, academic journals are functioning as a place for debate and discourse. It provides learning opportunities for the scholars by sharing different perspectives on the same lifelong education phenomena Sixth, research papers on "lifelong education studies" are few in numbers compared to any other areas. We could conclude that while the lifelong education needs have been greatly expanded and more practical applications were demanded in Korean society, the academic supports to lead the practices were not sufficient. Therefore, further research efforts should be given to the field of "lifelong education studies."

      • KCI등재

        한국 평생교육 프로그램 분류체제 개발 연구

        김진화(Kim, Jin-Hwa),고영화(Ko, Young-Hwa),권재현(Kwon, Jae-Hyun),정민주(Jeong, Min-Ju) 한국평생교육학회 2010 평생교육학연구 Vol.16 No.3

        본 연구는 급속히 증가하고 있는 수없이 많은 평생교육 프로그램들을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이것을 학습자들에게 상담하고 컨설팅하기 위해 한국적 상황과 맥락에 적합한 평생교육의 프로그램 분류체제를 개발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은 귀납적인 연구논리에 의해 전국적으로 3,002개의 평생교육 프로그램을 평생교육진흥원과 평생학습도시를 통해 조사하였으며, 프로그램 분류는 2008년과 2009년 평생교육진흥원이 지원한 평생교육 프로그램에 대해 11명의 평생교육실무자가 직접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한국 평생교육 프로그램 6진 분류체제가 개발되었으며, 이것은 한국적 평생교육 6대 영역과 연계시켜 18개의 분류체제로 구성되었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의의를 가진다. 첫째, 국가적 차원에서 평생교육 프로그램을 객관적으로 분류하고 정리하는 유용한 준거로 활용이 가능하며, 평생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계량적 통계화를 가능하게 할 것이다. 둘째, 일반시민이 평생교육 프로그램을 선택하고 의사결정을 내리는 과정에서 체계성과 연계성을 갖춘 평생학습상담서비스를 제공하는데 유용할 것이다. The academic taxonomy of lifelong education has been concerned with program classification because lifelong education program rapidly extend into other social sectors.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develop korean lifelong education program classification scheme which is appropriate for korean contextual and to draw some implications for counselling lifelong learners by managing systematically the disordered lifelong education program. The research methodology was applied inductive research logic approach which it draw researching findings from practical realities. The collected lifelong education programs was 3,002 and they were investigated from lifelong education institute and lifelong learning city in Korea. The collected programs were directly classified by 11 lifelong education practitioners. The main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it was korean six mode classification scheme of lifelong education program that it compose of 18 sub-classification system of korean lifelong education six sector(literacy education, schooling certificate and complementary education, vocation and workforce education, art and culture education, humanities general education, citizen participatory education). Second, the five selected implications is suggested in terms of investigating statistics of lifelong education program, providing lifelong education counseling information for potential learners, constructing lifelong education program contents, identifying characteristics of lifelong education institutions, and utilizing program certificate of lifelong learning account.

      • KCI등재

        한국의 대학 평생교육 발전 모델 탐구

        최운실(Choi Un Shil) 한국평생교육학회 2004 평생교육학연구 Vol.10 No.4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사회의 독특한 상황적 애정과 대학 평생교육의 의미 탐색에서 출발하여 한국사회에서의 대학평생교육 발전 모델과 발전 전략 탐구를 시도하기 위함이었다. 이를 위해 대학평생교육 수요 촉발요인을 고등교육의 대중화ㆍ보편화 추세, 대학입학자원 감소에 따른 성인학습자 대학 평생교육 수요 증대, 학점은행제 등 대안형 고등교육제도 확대, 성인학습자들의 대학 선호성향과 전문특화교육 수요 증대, 지역사회와 교육 연계 강화네트워크 구심체로서의 대학 평생교육 수요 증대 등의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또한 대학 평생교육의 운영 현황과 특성을 설치 운 영 현황 및 프로그램 특성과 운영의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 대학 평생교육의 강점과 약점, 기회와 위협요인 등을 분석하는 SWOT 분석을 통해 대학 평생교육의 발전 비전과 방향에 대한 구체적 시사를 도출하였다. 대학 평생교육의 발전 모델 구안을 위해 대학 평생교육의 비전으로 “평생학습사회를 선도하는 열린 대학 평생교육”으로 설정하고 그 목표로는 인재개발, 지식개발, 사회개발을 설정하였으며, 교육 프로그램의 고급화, 맞춤화, 특성화, 전문화, 다양화, 첨단화, 인증화, 연계화라는 8 대 발전 전략과 이를 실현하기 위한 8 대 발전 과제로 대학평생교육 발전 청사진으로서의 마스터 플랜 수립, 범주와 특화 장료 확대, 독립 전담부서화와 지원 인프라 구축 전담 인력 확보, 경영혁신 및 특화 전략 개발, 평가인증체제 강화, 지역학습네트웍 구축, 글로벌 네트웍 공고화 등을 제시하였다. Korean adult learners' demands for lifelong learning are increasing as much as their worldly renowned high attention to education and learning. Among various avenue of lifelong learning providers, university-based lifelong learning is receivjng increased attention as well as demands from adult learners. This high demands for lifelong learning can be explained by the fact that there are routine demands for professional self-development and also there are certain high needs to have higher education degree even in an alternative mode which is caused by the 'diploma disease' in Korean society, In this context, the university-based lifelong learning is considered as a venue for fulfilling the learners diverse educational needs through its established facilities, traditions and social reputations. Based on the forementioned Korean contexts, this study attempted to construct a development strategy and models for university-based lifelong education in Korean society. To achieve this study objective, the author analysed the demands for University-based lifelong learning from five perspectives; first, analysis on increasing demands caused by the trends of universal and mass higher education: second, analysis of changing demographic trends and its effect on increasing demands and interests on adult-learner oriented higher education, third, adult learners' preferences on selecting universities; fourth, analysis of demands for specialized and/or professionalized education on campus; finally, examining the increasing demands for the universities to become a core of learning networks that connects universities and local communities. From the research analysing the various aspects of university-based lifelong education, the author predicted that while the demands for specialized and professional program "will increase, there will be a crisis of growing competitions for students as well from such factors like opening of educational markets and the rise of non-traditional lifelong education providers. This study conducted SWOT analysis and its results indicated that. in order to survive, current university-based lifelong education institutions should be more diverse, specialized, strategic, networked, connected to .local community, and need to develop a differentiation strategy that responds to adult learners demands for better quality. As a conclusion of this study, the author proposed a developmental model of university-based lifelong education. This model contain visions as follows; specialization, connections, differentiation. networkings, partnership, learner-oriented. This model is further analysed as ten strategies and tasks as follows; development of masterplan, expansion of program, establishment of independent self-governing organization and manpower including "Department of Adult comtinuing Education", establishment of innovative management system, development of evaluative recognition system, reinforcement of community based and global total learning network system.

      • KCI등재

        한국 평생학습사회의 이념적 지향성 탐색

        안상헌(An Sang-Hun) 한국평생교육학회 2005 평생교육학연구 Vol.11 No.1

        이 연구의 목적은 근대 학교중심 교육체제의 한계를 극복할 대안으로 논의되고 있는 평생학습 사회의 이념적 지향성을 탐색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이 연구에서는 평생학습사회의 이념적 지향성과 관련된 논의를 그 기원과 쟁점별로 검토하고, 이를 바탕으로 21세기 한국 사회에서 새로운 교육체제의 이념적 지표가 된 평생학습사회가 추구해야할 지향성은 무엇이어야 하는지를 탐색했다. 이상의 논의를 통해 이 연구에서는 한국 평생학습사회가 근대 학교중심 교육체제의 한계를 극복할 대안으로 자리잡기 위해 다음과 같은 이념적 원칙을 언제나 견지해야한다고 제안했다. 첫째, 한국 평생학습사회는 '교육의 본철 회복'을 통한 '좀더 완전한 인간'의 형성을 그 이념적 지향점으로 삼아야 한다. 둘째, 한국 평생학습사회는 근대 학교중심 교육체제의 부분적인 보완이 아닌 그 한계를 발전적으로 극복한 '새로운 교육제도'의 구축을 목적으로 삼아야 한다. 셋째, 한국 평생학습사회는 근대사회가 미완의 과제로 남기고 있는 진정한 '능력주의 사회'의 완성을 위한 '교육적 지원 체제'로 자리잡아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ideological directiveness of the Korean lifelong learning society. To achieve this purpose, this study is focused on two aspects. At first, this study reviewed the origins and issues on dispute of the theory of lifelong learning society. Next, this study explored the directiveness which can be an ideological guiding post of the new system of education in 21st century Korean society and should be pursued by lifelong learning society. In the discussion on the ideological origins of lifelong learning society were mainly discussed the theory of liberal learning society, of market-centered learning society, of deschooling learning society, and to discuss omitted part in these three categories additional discussion on the theory of lifelong education was added. As the main disputed issues of lifelong learning society were discussed on the three disputed issues; constructing learning society vs. constructing learning economy, forming the complete man vs. forming the man with lifelong employability, and expanding the publicness of education vs. stressing marketableness of education.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ideological directiveness of Korean lifelong learning society should aim at forming more complete man through the recovering the nature of education. Second, Korean lifelong learning society be settled down as the new system of education that has progressively overcome the limit of modern school-centered system of education. Third, Korean lifelong learning society should be the educational support system for the completion of meritocracy.

      • KCI등재

        평생교육 교수요목에 기반한 평생교육개론 내용 분석

        유예인(Yu, Yein),유기웅(Ryu, Kiung) 한국평생교육학회 2021 평생교육학연구 Vol.27 No.4

        개론서는 학문에 대한 전반적인 개념, 지식 및 최근 동향을 다루기 때문에 학문 후속 세대 양성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본 연구는 평생교육학 개론서 내용을 비교·분석하여 평생교육 개론서들이 평생교육에 관한 전반적인 지식을 포괄적으로 다루고 있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평생교육학 개론서 15권을 선정하고 평생교육사 양성 교육과정 교수요목 기준에 따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연구대상인 평생교육학 개론서들은 입문서로서의 요건을 충실히 담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둘째, 저자의 관심과 성향에 따라 강조점을 두고 있는 내용이 약간씩 달랐다. 셋째, 연구대상인 평생교육학 개론서들은 평생교육자의 직업윤리에 관한 내용을 다루고 있지 않았다. 넷째, 평생교육 제도와 정책의 경계가 명확하지 않고 모호하여, 개론서마다 평생교육 제도 및 정책 내용이 혼합되어 있었다. 다섯째, 연구대상인 평생교육학 개론서들을 출판 연도별로 비교했을 때 개론서 내용에 차이는 없었다. 끝으로 본 연구에서 도출된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평생교육학 개론서 개편 방향에 대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ontent of introductory books of lifelong education in Korea. A total of 15 introductory books were chosen for the purpose of analysis. Results from the introductory books are indicated as follows: a) the introductory books contain comprehensive information about the lifelong education; b) there are differences in contents based on the author’s major interests and viewpoints; c) the professional ethics of lifelong educator is not included in the introductory books of lifelong education; d) the boundary between education system and policy is ambiguous; e) no content difference on introductory books by years were found. The implications of the research were also discussed.

      • KCI등재

        주5일 근무제에 대비한 대학평생교육원 발전과제

        권인탁(In Tak Kwon) 한국평생교육학회 2003 평생교육학연구 Vol.9 No.1

        주5일 근무제에 시행에 대비하여 대학평생교육원을 활용하는 방안은 여타 어느 사회기관보다 기대되는 효과가 매우 크다고 하겠다. 본 연구는 주 5일제 시행에 대비하여 대학평생교육원의 수요와 대학의 변화관점, 대학평생교육원의 현황과 문제점을 진단하여 대학평생교육원의 발전과제를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지금까지의 대학평생교육원은 정형화된 대학 틀 안에서 부분적으로 대학을 개방하는 역할을 담당하고 있기 때문에 현재의 운영체제로서는 주5일제에 대비할 수 있는 기관으로서의 한계가 있어 보인다. 주5일제에 시행에 부응하기 위한 대학평생교육원의 발전과제는 성인학습을 위한 대학행정조직을 확대·개편, 지역평생학습센터로서의 역할제고, 지역평생교육 종합정보시스템 구축 및 운영, 주말프로그램의 다양화 및 특성화, 학습동아리 운영의 활성화, 대학시설 및 정비를 통한 전문직업교육 강화, 학점은행제 운영의 개선 및 질 관리, 외국대학과의 연계협력 체제 구축, 원격평생교육의 활성화, 주말에 대학후생복지시설 활용 극대화, 대학평생교육활성화를 위한 법·제도의 정비 및 보완, 대학평생교육 예산 및 재정지원화대, 대학평생교육원의 책무성 제고 등이다. This paper analyzes the current status of university/college lifelong education centers in Korea, explores the needs of adult learners in the population, and contemplates on how to develop such centers in preparation of five-workday week expected. The aspects discussed are: the (1) current practices and development of lifelong education centers, (2) academic credit-bank system for adult learners, (3) audit programs, (4) part-time student programs, (5) foreign language school programs, and (6) tenure-track professors at lifelong education centers. These are only a few problems, selected from current practices. The "five-workday week" may bring additional problems. It also examines some prospects for improving such centers under the five-day week condition by (1) restructuring university curricula to the needs of lifelong education, (2) setting up and managing a comprehensive information system to promote lifelong education in the region, (3) opening diverse programs, including some at professional level, (4) forming lifelong learning circles, (5) retraining and replenishing professional personnel with updated information, utilizing university facilities, (6) improving the academic credit-bank system, (7) expanding cyber education programs, (8) maximizing the health and welfare benefits for the Adult learners, (9) improving rules and regulations to facilitate the lifelong education programs, (10) expanding the budgets and financial aids for lifelong education, (11) promoting international collaboration, and (12) contemplating the role of lifelong education centers in the "five-workday society".

      • KCI등재

        평생교육법 영문 번역의 적절성에 관한 연구

        조순옥 한국평생교육학회 2022 평생교육학연구 Vol.28 No.3

        이 연구는 국내외에 거주하는 외국인 연구자와 실무자에게 우리나라 「평생교육법」을 정확하고 이해하기 쉽게 전달하며, 통일성을 확보한 영문 번역을 제공할 수 있도록 평생교육법의 영문 번역의 적절성을 분석하고 개선사항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하여 법령정보센터에서 제공하고 있는 「평생교육법」의 영문 번역을 대상으로 번역어의 적절성, 번역의 통일성, 번역의 불완전성 여부를 기준으로 번역의 적절성을 검토하였다. 그 결과, 첫째, 번역어의 올바른 선택 측면에서 ‘학습’, ‘평생학습도시’, ‘평생학습센터’, ‘학습휴가’, ‘학습계좌’, ‘평생교육사’의 번역 등에 대한 수정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통일적 용어 사용과 관련해서는 ‘평가인정’, ‘평생교육 과정’, ‘평생교육 상담’을 조항에 따라 다르게 번역되고 있기 때문에 이에 대한 번역어의 통일이 필요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와 함께「평생교육법」원문에 포함되지 않는 표현의 표현 등의 불완전한 번역 문제 역시 나타나 이의 수정이 필요함을 밝혔다. 「평생교육법」의 영문 번역의 적절성을 검토한 초기 연구인 이 연구에서 복수의 개선안이 제안된 조항에 대해서는 최선의 번역어 선택을 위한 후속 연구가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이와 함께 후속 연구에서는 장애인 평생교육 관련 조항을 포함한 평생교육법 전 조항을 대상으로 언어적 측면에서의 번역 오류까지 검토한다면 더 완전한 평생교육법의 영문 번역이 제안될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 KCI등재

        대학평생교육 프로그램 개설정향성 분석

        고영화(Ko, Young-Hwa) 한국평생교육학회 2011 평생교육학연구 Vol.17 No.3

        대학평생교육이 평생교육의 중요한 학문적 영역으로 심도있게 다루어지기 위해서는 대학평생교육 프로그램 유형의 명확한 분석과 대학평생교육 프로그램 개설정향성에 대한 논의가 중요하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평생교육 프로그램 분류체제를 적용하여 대학평생교육 프로그램 조사를 실시한 후, 한국 평생교육 프로그램 분류체제에 따른 분류를 실시함으로써 대학특성과 대학평생교육 프로그램과의 관련성을 분석하고 대학평생교육의 특성을 구명하는 것이다. 연구방법은 조사, 분류, 분석이라는 세 가지 단계를 거쳤다. 조사는 임의표집으로 선정된 총 138개 대학에서 프로그램 요소와 대학특성변인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였다. 분류는 한국 평생교육 프로그램 분류표를 적용하여 수행하였다. 분석은 대학특성변인과 프로그램 개설정향성과의 관계를 살펴보기 위해 빈도분석, 교차분석, 범주형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첫째, 대학평생교육은 직업능력교육 프로그램과 학력보완교육 프로그램 개설정 향성이 가장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대학의 특성과 대학평생교육 프로그램 개설정향성과의 관계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셋째, 대학평생교육 프로그램 개설정향성이 대학 특성변인에 의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받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넷째, 대학은 프로그램 개설정향성에 따라 4개의 군집으로 군집화되었고, 그 특성이 도출되었다. 다섯째, 이상의 결과를 통해 평생교육 프로그램 분류가 평생교육기관의 특성을 구명하는 데 중요한 기능을 수행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It is an important to suggesting the academic discussion about the analysis of the kinds of University lifelong education programs and about opening orientation degree of them in order to dealing deeply with university lifelong education as a academic domain of lifelong education scienc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opening orientation degree of University lifelong education program and characteristics of university, and to explore characteristics of the opening program in Korean universities and colleges by investigating and classifying the University lifelong education programs through Korean lifelong education program. Research methods include investigation, classification, and analysis for lifelong education programs. Investigation was random sampling, and data were collected from selected 138 universities by variables of university characteristics and program factors. Classification was implemented by applying Korean lifelong learning program classification scheme. Analysis applied the selected statistical techniques such as Frequency Analysis, Crosstabulation, and Categorical Regression Analys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university characteristics variables and open setting orientation degree of program about classification results of University lifelong education program. The findings of this study and some conclusions are as follows. First, University lifelong education had most high open setting orientation degree toward Vocational Competency Education program and Schooling Complementary Education program. Second, it was identified tha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university characteristic variables and open setting orientation degree of university lifelong education program. Third, it was tested that open setting orientation degree of university lifelong education program was influenced by variable of university characteristics in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egree. Fourth, universities were divided into 4 clusters according to open setting orientation of lifelong education program, and some characteristics were explored. Fifth, based on above findings, it was identified that lifelong learning program classification can play an important function of exploring characteristics of lifelong education organizations.

      • KCI등재후보

        학교평생교육 운영모형 개발을 위한 시론

        양흥권(Yang Heung-Kweun) 한국평생교육학회 2006 평생교육학연구 Vol.12 No.2

          평생학습사회의 도래는 전통적으로 학령기의 학생 교육을 위주로 운영되어온 학교 기능의 변화를 요청하고 있다. 급격한 사회의 변천으로 인하여 이제 학교는 학생뿐만 아니라 지역사회주민 전체를 대상으로 하는 평생학습의 장(場)으로 지역주민의 사회 참여와 활동 센터로 거듭나야 하는 시점이다. 이 연구는 이 같은 시각에서 현재까지의 학교기능을 확대하여 학교를 학생을 포함한 지역사회 주민 전체의 평생학습장으로 변화시키기 위한 시도로 이루어졌다. 이를 위하여 우리 나라와 외국의 학교평생교육 사례를 중심으로 학교평생교육 운영형태와 모형을 분석하고, 학교평생교육에 대한 선행연구물을 중심으로 학교평생교육의 문제점을 분석하였다. 이를 토대로 우리나라 학교평생교육 모형안을 제시하였다. 이 같은 연구는 향후 학교평생교육 운영모형을 개발하기 위한 시론적 차원의 시도이다.   The arrival of lifetime learning community requires changes in school functions which is traditionally being operated centered on educating the school age students. The schools must be reborn as a local community participation center as a place to provide lifetime learning opportunity for entire local community residents and not only for the students with the arrival of the knowledge-based information society, five day workweek society and leisure time society. In such viewpoint, this research has been performed as an attempt to change schools into lifetime learning center for students and entire local community residents. For this, the form of school lifetime learning operation and model has been analyzed and the problems of lifetime learning in schools has been analyzed through in-depth interview with participants of school lifetime learning. Based on these results, a model program for students, parents and local residents who are the subjects of lifetime learning in the schoo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