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교원성 질환에서의 혈장 Endothelin-1 증가와 손톱 모세혈관 이상과의 연관성

        도주호 ( Do Ju Ho ),김호연 ( Kim Ho Yeon ) 대한내과학회 2004 대한내과학회지 Vol.66 No.3

        목적 : Endothelin-1은 강력한 혈관수축제로서 교원성 질환에서 증가되어 있다고 알려져 있다. 저자들은 손톱 모세혈관 현미경상에서 이상소견의 유무와 혈관의 확장 정도를 정량적으로 측정하여 모세혈관 현미경 검사가 혈장 endothelin-1 농도를 대변할 수 있는지 알아보았다. 방법 : 전신성 경화증 환자 18명, 전신성 홍반성 루푸스 환자 54명, 복합 교원성 질환 4명, 다발성근염/피부근염 3명 총 79명을 대상으로 레이노 현상의 유무와 기간 그리고 혈장 endothelin-1 농도를 측정하였다. 동시에 손톱 모세혈관 현미경 검사를 실시하여 거대 모세혈관, 모세혈관의 확장, 모세혈관의 꼬임, 모세혈관의 출혈 혹은 모세혈관 수의 감소와 같은 이상소견의 유무와 모세혈관상의 첨단 사지 너비, 모세혈관 너비 그리고 모세혈관 길이를 측정하여 정량적 검사를 하였다. 결과 : 검사 당시의 레이노 현상 유무에 따라서는 레이노 현상이 있는 군의 endothelin-1 농도가 레이노 현상이 없는 군의 농도보다 높았으나 통계적인 의미는 없었다(2.433±2.259 n=33, vs. 1.905±1.371 pg/mL n=46, p=non specific). 18명의 전신성 경화증 환자는 모두 레이노 현상을 가지고 있었으며, 이상 손톱 모세혈관 소견의 유무에 따른 endothelin-1 농도는 이상 모세혈관 소견이 있는 군에서 증가되어 있었다(3.940±3.335 pg/mL (n=12), vs 1.573±1.006 pg/mL (n=6), p<0.05). 54명의 전신성 홍반성 루푸스 환자 중 레이노 현상과 이상 손톱 모세혈관 소견을 같이 가지고 있는 경우 endothelin-1 농도가 4.191±1.696 pg/mL (n=5)로서, 레이노 현상은 있으나 이상 모세혈관 소견은 가지고 있지 않은 경우 1.364±0.636 pg/mL (n=16), 레이노 현상은 없으나 이상 모세혈관 소견을 가지고 있는 경우 2.575±1.690 pg/mL (n=8) 그리고 레이노 현상을 가지고 있지 않고 이상 모세혈관 소견도 없는 경우 1.691±1.215 pg/mL (n=25)보다 높았다(p<0.05). 전신성 경화증 환자 중 레이노 현상의 기간과 endothelin-1 농도를 비교해 보았을 때 통계적인 연관성이 없었으나, 레이노 현상과 이상 손톱 모세혈관 소견을 동시에 가지고 있는 환자에서는 레이노 현상의 기간이 짧을수록 endothelin-1 농도가 증가되어 있었다. Endothelin-1 농도와 손톱 모세혈관의 크기를 정량적으로 측정 하였을 때, 전신성 결화증 환자에서는 첨단 사지 너비의 증가와 endothelin-1 농도의 증가와 통계적 유의성이 있었고(r_(s)=0.577 p<0.05), 전신성 홍반성 루푸스 환자에서는 첨단 사지너비와 모세혈관 너비 증가가 endothelin-1 농도의 증가와 통계적 유의성이 있었다(r_(s)=0.425 p<0.01, r_(s)=0.278 p<0.05, respectively). 결론 : 레이노 현상을 동반한 교원성 질환을 가진 환자에서 손톱 모세혈관 현미경 검사 특히 정량적 손톱 모세혈관 현미경 검사상 이상 소견은 혈장 endothelin-1 농도의 증가와 연관이 깊다. 그러므로 손톱 모세혈관 검사로서 혈장 endothelin-1 농도의 증가와 질병 활성도의 증가를 간접적으로 추측할 수 있으며, 이는 교원성 질환 특히 레이노 현상을 동반한 환자에서의 추적관찰 및 섬유화 합병증의 조기 발견과 치료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Background : Since the endothelin-1 may be implicated in the pathogenesis of peripheral vascular diseases associated with connective tissue diseases (CTDs), we examined the plasma endothelin-1 level in association with quantitative nailfold capillaroscopy in patients with CTDs. Methods : We investigated 79 patients with connective tissue diseases (54 systemic lupus erythematosus (SLE), 18 systemic sclerosis (SSc), 4 mixed connective tissue disease, 3 polymyositis/dermatomyositis). Plasma samples were obtained and endothelin-1 levels were measured by sandwich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The presence and duration of Raynaud phenomenon as well as nailfold capillaroscopy were evaluated in each patient. To examine the quantitative nailfold capillaroscopy, we measured the length of apical limb width, capillary width and capillary length. Results : According to the presence or absence of Raynaud phenomenon, there was no statistically increased plasma endothelin-1 level between two groups (2.433±2.259 pg/mL n=33, vs. 1.905±1.371 pg/mL n=46, p=non specific). All the SSc patients had Raynaud phenomenon and according to the presence of abnormal capillaroscopic findings, there were increased level of endothelin-1 in abnormal capillaroscopy group compared to normal capillaroscopy group (3.940±3.335 pg/mL (n=12), vs 1.573±1.006 pg/mL (n=6), p<0.05). As compared quantitative examination of nailfold capillaroscopy with plasma endothelin-1 level, in SSc patients the endothelin-1 level correlated well with the length of apical limb width (r_(s)=0.577 p<0.05). In SLE patients the endothelin-1 level correlated well with the length of apical limb width and capillary width (r_(s)=0.425 p<0.01, r_(s)=0.278 p<0.05, respectively). Conclusion : Our data demonstrate that the presence of abnormal capillaroscopic findings reflect increased plasma endothelin-1 level in patients with connective tissue diseases, and quantitative analysis of nailfold capillaroscopy can be useful to predict the disease activity with the evidence of increased plasma endothelin-1.

      • KCI등재후보

        사구체신염 환자의 생검조직에서 endothelin - 1 의 발현양상

        배성진(Sung Jin Bae),안원석(Won Suk An),나서희(Suh Hee Rha),김성은(Seong Eun Kim),김기현(Ki Hyun Kim) 대한내과학회 2002 대한내과학회지 Vol.62 No.5

        목적 : Endothelin-1은 강력한 신혈관 수축작용이 있으며, 체내 Na+ 대사에 관여하고, 세포 실험에서는 메산지움 세포의 분화와 수축을 일으키며 세포외 기질 생산을 자극한다고 보고되고 있다. 이에 저자는 사구체신염 환자의 신생검 조직에 endothelin-1에 대한 면역조직화학염색을 시행하여 endothelin-1과 사구체신염의 세포증식성 변화와의 관계를 구명하고자 하였다. 방법 : 대상은 정상 신기능의 성인 사구체 신질환자 64예였다. 초점성 사구체신염과 미만성 메산지움증식성 사구체신염의 병리소견을 보이는 IgA 신병증, 막성증식성 사구체신염, 연구균감염 후 사구체신염과 국소성 및 미만성 증식성 낭창성신염 등은 증식성 사구체신염군으로 하고, 미세변화 신증후군, 막성신병증 및 미소변화 IgA 신병증은 비증식성 사구체신염군으로 분류하였다. 환자들의 신생검 조직을 anti-endothelin-1 serum으로 avidin-biotin-complex 법에 의한 immunoperoxidase 염색을 하여 endothelin-1의 발현 양상을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 증식성 사구체신염군의 생검조직에서 비증식성 사구체신염군에 비하여 사구체 모세혈관 내피세포, 간질내 혈관 내피세포 그리고 세뇨관 상피세포에서 각각 endothelin-1 면역반응이 강하였다. 결론 : 이상의 결과로 endothelin-1은 사구체신염의 세포증식과정이나 세포증식 후의 이차적 손상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보인다. Background: Endothelin-1 has been found to be a potent mitogen in cultured mesangial cells. In addition, the urinary hyperexcretion of endothelin-1 was observed in patients with glomerulonephritis. Methods: The author studied endothelin-1 immunoreactivity in 64 kidney biopsies of patients with various glomerular diseases by immunoperoxidase staining utilizing anti-endothelin-1 serum from the rabbit. Results: A group of Ig A nephropathy with glomerular proliferative change (8 focal glomerulonephritis and 7 diffuse mesangial proliferative glemerulonephritis) and a group of other proliferative glomerulonephritis (11 membranoproliferative glomerulonephritis type I, 5 poststreptococcal glomerulonephritis, 8 focal or diffuse proliferative lupus nephritis) have more prominent endothelin-1 protein expression in the glomerular endothelium, the vascular endothelium and the tubular epithelium than non-proliferative glomerular disease group (12 minimal change nephrotic syndrome, 7 membranous nephropathies, 6 IgA nephropathies with minor glomerular abnormality). Conclusion : These results suggest that endothelin-1 has a potential role in the pathophysiology of proliferative glomerualr diseases.(Korean J Med 62:530-536, 2002)

      • SCOPUSKCI등재

        흰쥐의 사구체간질세포에서 Monocyte Chemoattractant Protein-1의 발현에 대한 Endothelin-1, Endothelin-2 및 Endothelin-3의 효과

        신미정 ( Sin Mi Jeong ),김형욱 ( Kim Hyeong Ug ),양철우 ( Yang Cheol U ),김용수 ( Kim Yong Su ),김석영 ( Kim Seog Yeong ),최의진 ( Choe Ui Jin ),장윤식 ( Jang Yun Sig ),방병기 ( Bang Byeong Gi ) 대한신장학회 2003 Kidney Research and Clinical Practice Vol.22 No.4

        목 적 : Monocyte chemoattractant protein-1 (MCP-1)은 단핵구, T 임파구 및 호염구를 선택적으로 유도하며 다양한 신장질환에서 발현된다. Endothelin-1은 염증성 사구체신염을 비롯한 신장질환의 신장조직 내 발현이 증가되나 그 작용기전은 자세히 알려지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횐쥐의 사구체간질세포를 배양하여 endothelin-1 (ET-1), endothelin-2 (ET-2) 및 endothelin-3 (ET-3)의 MCP-1 발현에 대한 효과를 조사하였다. 방 법 : 흰쥐의 사구체간질세포를 배양하여 ET-1, ET-2, 및 ET-3로 자극한 후 사구체간질세포 배양액 내 단핵구 화학주성 활성도는 modified Boyden chamber를 이용한 화학주성검사법으로 측정하고 ET-1, ET-2, 및 ET-3 자극 시간 및 농도에 따른 MCP-1 mRNA의 발현은 Northern blot 검사법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결 과 : ET-1, ET-2, 및 ET-3로 자극한 후 사구체간질세포에서 분비하는 단핵구 화학주성활성도는 자극 전에 비해 농도에 비례하여 증가하였으며 10^(-9)과 10^(-8) M의 농도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ET-1, ET-2, 및 ET-3는 높은 농도에서 MCP-1 mRNA 발현을 증가시켰으며 이러한 증가는 4시간부터 시작되어 24시간에 가장 증가되었다. 결 론 : ET-1, ET-2 및 ET-3는 사구체간질세포에서 분비하는 단핵구 화학 주성 활성도와 MCP-1 mRNA 발현을 증가시키며 이를 통해 염증성 신장질환에서 단핵구의 신장 조직 내 침윤에 따른 신 손상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할 것으로 생각된다. Background : Monocyte chemoattractant protein-1 (MCP-1) is an important mediator for monocyte/macrophage infiltration in various inflammatory renal diseases and is produced by renal cells. In the process of renal diseases, endothelin-1 (ET-1) is known to play an active role in cell growth, inflammation and fibrosi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whether three isoforms of endothelin regulate MCP-1 expression in cultured mesangial cells. Methods : Mesangial cells were incubated with or without various doses of ET-1, ET-2, or ET-3. To determine the monocyte chemotactic activity, chemotaxis assay was performed in modified Boyden chambers using freshly isolated human monocytes. MCP-1 mRAN expression in mesangial cells was measured by Northern blot analysis. Results : ET-1, ET-2, or ET-3 stimulated monocyte chemotactic activity released from mesangial cells in a dose-dependent manner. ET-1, ET-2 and ET-3 also stimulated MCP-1 mRNA expression in a time-dependent manner, which was seen as early as 4 hours and was maintained up to 24 hours. Conclusion : These data suggest that ET-1, ET-2 and ET-3 stimulate MCP-1 expression in mesangial cells and may contribute to the monocyte/macrophage infiltration in inflammatory renal diseases. (Korean J Nephrol 2003;22(4):358-365)

      • SCOPUSKCI등재

        사람 신장의 근위세뇨관상피세포에서 Monocyte Chemoattractant Protein-1의 발현에 대한 Endothelin-1의 효과

        김형욱 ( Kim Hyeong Ug ),이명자 ( Lee Myeong Ja ),김소양 ( Kim So Yang ),신영신 ( Sin Yeong Sin ),양철우 ( Yang Cheol U ),진동찬 ( Jin Dong Chan ),김용수 ( Kim Yong Su ),장윤식 ( Jang Yun Sig ),방병기 ( Bang Byeong Gi ) 대한신장학회 2003 Kidney Research and Clinical Practice Vol.22 No.6

        배 경 : Endothelin-1은 신장 혈관과 사구체간질세포를 수축시키는 혈역학적 작용 뿐 아니라 사구체간질세포 증식의 촉진, 세포외 기질의 축적 등과 같은 면역학적 기전으로도 신 손상에 관여한다. 그러나 endothelin-1이 화학주성물질의 분비 조절 또는 면역세포의 침윤에 관여하는 지는 밝혀지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endothelin-1이 근위세뇨관상피세포에서 염증세포의 침윤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화학주성물질 중 하나인 monocyte chemoattractant protein-1 (MCP-1)의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방 법 : 사람의 신장 근위세뇨관상피세포를 배양하여 endothelin-1 (10^(8)-10^(6) M)을 처리하고 8, 16, 24, 48 및 72시간 후에 배양액 내 MCP-1 농도를 ELISA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Endothelin-1 자극후 MCP-1 mRNAdm 발현정도는 Northern blot 방법으로 평가하였으며 MCP-1 유전자 발현에 관여하는 전사인자로서 NF-κB와 AP-1의 활성도는 electrophoretic mobility shift assay (EMSA)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결 과 : 근위세뇨관상피세포 배양액 내 MCP-1 농도는 자극 전에 비해 endothelin-1 (10^(-7) M)으로 자극 후 48시간에 유의하게 증가되었으며 여러 농도의 endothelin-1 (10^(-8)-10^(-6) M)으로 자극하였을 경우 MCP-1 단백질 생성은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하였다. MCP-1 mRNA 발현도 endothelin-1에 의해 증가되었다. Endothelin-1 NF-κB와 AP-1 활성도를 증가시켰으며 NF-κB 복합체는 p65와 p50이, AP-1 복합체에는 c-Fos와 c-Jun이 증가된 활성도의 주요 아형임을 알 수 있었다. 결 론 : Endothelin-1은 신장 근위세뇨관상피세포에서 MCP-1 단백질과 유전자 발현을 증가시켰으며 NF-κB와 AP-1 활성도를 증가시켰다. 이러한 결과는 endothelin-1이 근위세뇨관상피세포에서 MCP-1 발현의 증가를 통한 염증성 변화 유발로 신 손상에 관여할 것임을 시사하며, MCP-1 발현의 증가의 기전으로 endothelin-1에 의한 NF-κB 및 AP-1 활성도 증가의 가능성을 시사한다. Background : Monocyte chemoattractant protein 1 (MCP-1) is produced by renal cells and an important mediator for monocyte/macrophage infiltration in various inflammatory renal diseases. In the process of renal disease, endothelin-1 is known to play an active role in cell growth, inflammation and fibrosi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whether endothelin-1 regulates MCP-1 expression in cultured human proximal tubular epithelial cells. Methods : Primary cultured human proximal tubular epithelial cells (PTEC) were incubated with or without various dose of endothelin-1. MCP-1 concentration in PTEC conditioned medium was measured by sandwich ELISA. MCP-1 mRNA expression was analyzed by Northern blotting. The NF-κB or AP-1 activity in response to endothelin-1 was measured by electrophoretic mobility shift assay. Results : Endothelin-1 (10?? M) stimulated MCP-1 production in PTEC, which was significant at 48 hours and various doses of endothelin-1 (10?? 10? M) increased MCP-1 production from PTEC in a dose-dependent manner. Northern blot analysis revealed that endothelin-1 stimulated MCP-1 mRNA expression. Endothelin-1 (10?? M) stimulated both AP-1 binding activity and NF-κB subunit bound to the DNA probe and that c-Fos and C-Jun are major AP-1 subunit bound to the DNA probe. Conclusion : Our results suggest that endothelin-1 may stimulate MCP-1 expression in proximal tubular epithelial cells through the activation of NF-κB and AP-1 binding activity. (Korean J Nephrol 2003;22(6):655-663)

      • KCI등재후보

        미세변화형 신증에서 cyclosporine A 투여 후 혈액 및 요중 endothelin-1치의 변화

        김제우,김지홍,이진성,김병길,김현숙,Kim Je-Woo,Kim Ji-Hong,Lee Jin-Sung,Kim Pyung-Kil,Kim Hyeon-Suk 대한소아신장학회 1998 Childhood kidney diseases Vol.2 No.1

        Purpose : It has been reported that endothelin-1 can be associated with the development of cyclosporine A nephrotoxicity. Levels of endothelin-1 was assayed to determine the effect of cyclosporine A on the plasma and urine levels of this peptide. Method : Nine patients who were less than 15 years of age and were also diagnosed as steroid dependent minimal change nephrotic syndrome were included in this study. Assay of endothelin-1 was done before and 3 months after cyclosporine A treatment. The mean age of the patients was $8.3{\pm}4.6$ years. Result :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plasma levels of endothelin-1 before and after 3 months of cyclosporine A treatment ($3.22{\pm}0.39$ pg/mL vs. $3.84{\pm}1.52$ pg/mL, P=0.64). Also there was no changes in the urine levels of endothelin-1 ($21.8{\pm}5.8$ pg/mL vs. $20.3{\pm}3.1$ pg/mL, P=0.30). Conclusion : No significant changes of endothelin-1 levels were found with 3 months of cyclosporine A treatment. Further studies with longer durations will help clarifying the effect. 목적 : Endothelin-1은 cyclosporine A와 관련된 신독성의 발생에 관련될 것으로 생각되고 있다. 이에 저자 등은 cyclosporine A가 혈액 및 요중 endothelin-1치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 1996년 2월부터 1997년 3월까지 스테로이드 의존성 미세변화형 신증으로 진단받고 cyclosporine A를 투여받은 15세 미만의 환아 9례를 대상으로 cyclosporine A 투여 전과 투여 3개월 후의 혈장과 소변에서 endothelin-1치를 측정하였다. 평균 연령은 $8.3{\pm}4.6$세였다. 결과 : (1) 혈중 endothelin-1치는 cyclosporine A 투여 전에 $3.22{\pm}0.39$ pg/mL였고, cyclosporine A 투여 3개월 후에 $3.84{\pm}1.52$ pg/mL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64). (2) 요중 endothelin-1치는 cyclosporine A 투여 전에 $21.8{\pm}5.8$ pg/mL였고 cyclosporine A 투여 3개월 후에 $20.3{\pm}3.1$ pg/mL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30). 결론 : 혈액 및 요중 endothelin-1치는 비교적 단기간의 cyclosporine A 투여에 의해서는 유의한 변화를 보이지 않았으며, 향후 장기간의 cyclosporine A 투여가 endothelin-1치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도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 KCI등재

        배양된 제대정맥내피세포에서 중증자간전증환자 혈청이 내피세포 생육 및 Endothelin-1합성에 미치는 영향

        김용욱(Yong Yook Kim),나욱렬(Wook Yull Na),이종건(Jong Kun Lee),이영(Young Lee),백은정(Eun Jeong Baik),나종구(Jong Gu Rha),김사진(Sa Jin Kim),이형근(Hyung Gun Lee),신종철(Jong Chul Shin),김수평(Soo Pyung Kim) 대한산부인과학회 2000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3 No.7

        목적 : 중증자간전증 환자의 혈청이 배양된 제대정맥 내피세포의 생육과 endothelin-1의 합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합병증이 없이 분만한 정상 임산부로 부터 제대정맥 혈관 내피세포를 얻어 정상임신부의 혈청 또는 중증 자간전증 환자의 혈청과 함께 생체외 배양을 하여, 비색 MTT법으로 제대정맥 혈관내피 세포의 생육에 대한검사, endothelin-1의 합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고, 동시에 정상임신부 및 자간전증 환자 혈장내의 endothelin-1의 농도를 측정하였다. 결과 : 1. 비색 MTT 측정에서 환자 또는 정상 산모의 혈청과 24시간 동안 배양시킨 배양액의 흡광도는 각각 0.0837±0.0129와 0.0718±0.0078로 두군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48시간 동안 배양시킨 실험에서 흡광도는 0.1268±0.0186과 0.1133±0.0103으로 두군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2. 정상임신부의 혈청내 endothelin-1의 농도는 22.66±8.6 fmol/ml, 중증자간전증 환자의 혈청내 endothelin-1의 농도는 49.98±25.27 fmol/ml로 중증자간전증 환자에서 유의하게 높았다.(P<0.05) 3. 정상임신부의 형청을 가한 경우 endothelin-1의 함성량은 37.52±18.41 fmol/ml이며 중증자간전증 환자 혈청을 가한 경우는 97.58±53.64 fmol/ml 로 중증자간전증 환자의 혈청은 endothelin-1의 함성을 유의하게 증가시켰다.(P<0.05) 결론 : 자간전증 환자의 혈청은 혈관내피세포의 생육에는 별로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 선택적으로, 특이하게 내피세포기능중 Endothelin-1의 합성을 현저히 증가시켰다. Objectives: In order to assess the effects of sera from severe preeclamptic patients on endothelial cell viability in vitro and endothelin-1 synthesis in cultured human umbilical vein endothelial cells.Methods: The cultured human umbilical vein endothelial cells were incubated with media containing 10% sera from women with either preeclamptic patients or normal pregnancies for 24 hours or 48 hours. After then, their viability was measured by colorimetric MTT{3-(4,5-dimethylthiazol-2yl)2,5-diphenyl tetrazolium bromide} assay and their production of endothelin-1 was measured. We also measured the serum levels of endothelin-1 level in sera obtained from the normal and severe preeclamptic pregnancies. Results: The calorimetric MTT assay revealed that after 24 hours, the absorbances in the media treated with normal pregnancies and severe preeclampsia sera were 0.0718±0.0078 and 0.0837±0.0129, respectively and after 48 hours, they were 0.1133±0.0103 and 0.1268±0.0186, respectively. Serum obtained from severe preeclampsia did not affect endothelial cell viability. 2. The serum mean levels of endothelin-1 in normal and severe preeclamptic pregnancies were 22.66±8.6 fmol/ml and 48.98±25.27 fmol/ml. The mean level in preeclamptic sera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normal pregnant women. (P<0.05) 3. After 24 hours, the mean amount of endothelin-1 stimulated by normal pregnant and severe preeclamptic sera were 37.52±18.41 fmol/ml and 97.58±53.64 fmol/ml, respectively. The mean amount of endothelin-1 in preeclamptic sera-treated cell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normal pregnant sera-treated cells. (P<0.05). Conclusion: The sera from severe preeclamptic women do not affect cell viability but act selectively on specific activation of their function such as endothelin-1 production. And it is necessary that the identification and isolation of the putative serum factor(s) will be performed to resolve the pathogenesis in future.

      • KCI등재후보

        간경변증 환자의 수분 전해질 평형 및 신기능에 있어서 혈청 Endothelin - 1 의 역할

        이진(Jin Lee),박철수(Cheol Soo Park),박철희(Cheol Hee Park),계세협(Sea Hyub Kae),곽상택(Sang Taek Kwak),주상언(Sang Aun Joo),김호중(Ho Jung Kim),기춘석(Choon Suhk Kee) 대한내과학회 1997 대한내과학회지 Vol.52 No.4

        N/A Objectives: It has been recently known that endotheUn-1 is a potent vasoconstrictor.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clarify the possible correlation of endothelin-1 with other vasoactive neurohormonal activities and its effects on fluid- electrolyte balance and renal function in patients with liver cirrhosis. Mcthods: In 35 patients of liver cirrhosis with (n=19) and without (n=16) ascites and in 12 normal controls, plasma and urine levels of endothelin-1 were measured by specific radioimmunoassay, and serum sodium, serum albumin and other blood chemistries, renal functions with creatinine clearance, urinary sodium excretion, plasma renin activity, plasma aldosterone and plasma norepinephrine were measured at the same time. Results: The plasma endothelin-1 level was significantly higher in ascitic group than nonascitic group (mean±SD; 16.4±10.6 VS. 7.5±4.1pg/mL, p=0.0000),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plasma endothelin-1 level between nonascitic group and normal controls(4.8±1.9pg/mL). The urine endothelin-1 level also was significantly higher in ascitic group than non-ascitic group (140.3±74.3 VS. 58.5±37.4 pg/mL, p=0.0000),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urine endothelin-1 level between nonascitic group and normal controls (19.5±112pg/mL). In patients with cirrhosis, the plasma endothelin-1 concentration showed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creatinine clearance (r=-0.55), serum albumin (r=-0.56%) and serum sodium concentrtion (r=-0.62), an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plasma renin activity (r=0.63), plasma aldosterone (r=0.68) and norepinephrine (r=0.70). The factors that influence on plasma concentration of endothelin-1 were plasma norepinephrine (p=0.0000), serum sodium (p=0.0169), plasma aldosterone (p=0.0176), serum albumin (p=0.0213) and plasma renin activity (p=0.0329) in statistically significant order. Conclusion: The elevated plasma endothelin-1 level along with the increased activity of other neurohormonal substances including plasma renin, aldosterone and norepinephrine induces sodium and water retention in decompensated liver cirrhosis. Thus, the plasma endothelin-1 level seems to have an important role in the development of functional renal impairment in decompensated liver cirrhosis by inducing renal vasoconstriction.

      • KCI등재

        체외순환을 이용한 선천성 심장수술 후에 시행한 복막투석이 내피의존성 혈관 활성 물질인 Endothelin-1을 제거할 수 있는가?

        장윤희,성시찬,반지은,이형두,이선희,임병용 대한흉부외과학회 2007 Journal of Chest Surgery (J Chest Surg) Vol.40 No.4

        배경: 일반적으로 선천성 심장질환의 수술교정에는 체외 심폐 순환(체외순환)이 이용된다. 체외순환과 관련된 폐손상이 잘 알려져 있는데, 임상적으로 산소화의 저하, 폐유순도의 감소, 폐혈관의 저항과 반응성의 증가의 소견을 보이며 수술 후 합병증 및 사망의 중요한 원인이 된다. 이러한 폐손상의 원인은 보체의 할성화, 호중구의 축적, 산소라디칼손상을 포함하여 아주 다양하지만, 폐혈관 내피의 손상과 그에 의한 endothelin-1 발현의 변화가 주된 원인이라고 보고되고 있다. 저자들은 복막 투석이 혈장 endothelin-1의 제거에 기여할 수 있는지 여부에 대한 연구를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5년 3월부터 2006년 3월 사이에 18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혈장 검체는 수술 전후로 채취하였고, 수술 후 복막 투석 카테터를 삽입하여 체외순환 이탈 후의 복막 유출액 검체를 채취하였다. Endothelin-1의 농도측정은 ELISA (enzyme Linked Immunosorbent assay)로 시행하였다. 결과: 술 전에 측정된 endothelin-1 값이 술 전 폐혈류 혹은 폐동맥압의 증가의 진단을 가진 환아에서 유의하게 높았다 (4.2 vs 1.8 pg/mL, p<0.001). 수술 전 혈장 endothelin-1의 평균 농도는 3.61 2.17 pg/mL이었고, 체외순환 이탈 직후는 5.33 3.72 pg/mL로 가장 높게 측정되었다. 복막 투석 시작 후, 농도는 감소하기 시작하여 체외순환 이탈 직후에 비해 18시간째에는 유의하게 낮은 농도를 나타내었다(p=0.036). 결론: 혈장 endothelin-1 농도가 체외순환 이탈 직후에 가장 높게 측정되었고, 복막 투석 후 감소하기 시작하는 소견은 복막 투석으로 혈장 endothelin-1이 제거될 수 있는 가능성을 강하게 시사한다.

      • 동맥관개존증의 폐쇄술 전후 Endothelin-1의 변화

        원용순 梨花女子大學校 醫科大學 醫科學硏究所 1998 EMJ (Ewha medical journal) Vol.21 No.4

        동맥관 개존증 7명에서 수술전, 수술후30분, 수술후 90분에 요골동맥, 하대정맥에서 endothelin-1을 검사한 결과 수술전 및 수술후 30분에 요골동맥에서 하대정맥보다 유의하게 ET-1이 높았다. 또한 수술후 90분에 요골동맥 ET-1이 수술전 보다 유의하게 낮았다. 이상으로 동맥관 개존증 환자에서 폐혈관계에서 ET-1이 과다하게 생성하여 ET-1이 높게 나타나는 것으로 추정되며, 수술후에는 폐혈관계의 자극이 소실되어 ET-1생성이 감소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Objectives : Pulmonary hypertension is characterized by an increase in vascular tone of an abnormal proliferation of muscle cells in the wall of small pulmonary arteries. Endothelin-1(ET-1) is a potent endothelium-derived vasoconstrictor peptide with important mitogenic properties. It has been recognized that endothelin-1 may contribute to increase in pulmonary arterial tone or smooth muscle proliferation in congenital heart disease patients with pulmonary hypertension. To explore the role of endothelin-1 in patent ductus arterious, we measured endothelin-1 before and after closure of ductus in artery and vein plasma. Methods : Seven patients of patent ductus arteriosus underwent thoracoscopic clipping of dustus in 1997 June-August. Their age was 1-24 months and male 4, female 3. Blood samples were drawn from radial artery and inferior vena cava before, 30 minutes and 90 minutes after closure of ductus. Endiothelin-1 was measured by radioimmunoassay method. Results : Arterial endothelin-1 was 17.96±8.09pg/ml at before closure of ductus, 13.47±3.14pg/ml at 30 minutes after closure of ductus and 11.43±2.9pg/ml at 90 minutes after closure of ductus. Venous endothelin-1 was 9.34±3.55pg/ml at before closure, 8.9±3.74pg/ml at 30 minutes after closure and 8.4±3.71pg/ml at 90minutes after closure of ductus. Arterial endo-thelin-1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venous one at before and 30 minutes after ductus closure(p<0.05). Arterial endothelin-1 at 90 minutes after ductus closure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at before the closure(p<0.05) Conclusions : Patients pf patent ductus arteriosus have substantial alterations in plasma endo-thelin-1 which is decreased after closure of ductus. Comparing with venous plasma, the higher levels of ET-1 in arterial plasma suggest pulmonary production of endothelin-1, which may contribute to induce pulmonary hypertens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