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스스로 저성취로 인식하는 학습자의 중․고등학교 시기 정서․행동문제 유형과 전이양상 및 관련 변인의 영향

        허유성,김민성 한국학습장애학회 2023 학습장애연구 Vol.20 No.3

        본 연구는 스스로 저성취로 인식하는 학습자의 중․고등학교 시기 정서․행동문제 수준, 유형과 전이양상 및 영향 변인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2018’의 중1패널 자료, 3, 5차년도(2020, 2022년) 자료를 활용하였다. 연구대상은 3, 5차년도(중3, 고2) 조사에 모두 참여한 1,990명의 학생이다. 이 중 저성취 학생은 중학교가 351명(17.64%), 고등학교는 318명(15.98%)이다. 주요 연구결과를 보면, 첫째, 중․고등 학생의 정서․행동문제 중 위축과 주의집중 문제가 상대적으로 심한 것으로 나타났다. 보통성취이상 학생보다 저성취 학생의 정서․행동문제 수준이 높았다. 둘째, 정서․행동문제 유형은 정서․행동 안정형, 외현화문제 우세형, 주의집중․위축문제 우세형, 정서․행동문제 관심형, 정서․행동문제 주의형 등 5가지로 분류되었다. 중, 고등학교 모두 정서․행동문제 관심형과 주의집중․위축문제 우세형의 비율이 높았다. 저성취 학생이 보통성취이상 학생보다 중․고등학교 모두 정서․행동문제 관심형과 정서․행동문제 주의형의 비율이 높았다. 셋째, 정서․행동문제의 영향 요인은 스마트폰 의존이 모든 유형에서 일관되게 부정적 요인으로 나타났다. 넷째, 정서․행동문제의 종단적 전이확률을 분석한 결과, 외현화문제 우세형과 주의집중․위축문제 우세형 간 이동 비율과 정서․행동 관심형과 정서․행동문제 주의형 간 이동이 많았다. 외현화문제 우세형이 정서․행동 안정형으로 이동하는 비율이 높았다. 전이 과정에 스마트폰 의존, 친구관계, 스스로 공부, 저성취 여부가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level, type, transition pattern, and influencing variables of emotional and behavioral problems during middle and high school in learners who perceived themselves as low achievers. For this purpose, we used the 3rd and 5th years (2020, 2022) of the 3rd and 5th year of middle school panel data of the ‘Korea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2018’.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1,990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3rd and 5th years of the survey (3rd year of middle school and 2nd year of high school). 351 (17.64%) low-achieving students were in middle school and 318 (15.98%) were in high school. According to the results, first, among the emotional and behavioral problems of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withdrawal and attention problems were found to be relatively severe. Second, the types of emotional and behavioral problems were classified into five types: emotional and behavioral stability type, externalizing problem dominant type, attention․withdrawal problem dominant type, emotional and behavioral problem attention type, and emotional and behavioral problem concern type. Third, smartphone dependence was consistently shown to be a negative factor in all types of emotional and behavioral problems. Fourth, there was a high rate of movement between the externalizing problem dominant type and the attention․withdrawal dominant type, and between the emotional and behavioral concern type and the emotional and behavioral problem attention type.

      • KCI등재

        아동기의 정서적 외상 경험이 대학생의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 정서표현억제와 수동적 갈등대처방식의 순차적 매개효과 검증

        김혜원,이지연 충남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20 사회과학연구 Vol.31 No.3

        This study aimed to provide a more detailed understanding of the effects of childhood emotional trauma experience by examining whether childhood emotional trauma experience influences the interpersonal problems of university students and whether the suppression of emotional expression and passive conflict coping mediate their relationship. For this purpose, a survey was conducted on 316 university students using a questionnaire of childhood emotional trauma experience, suppression of emotional expression, passive conflict coping, and interpersonal problems. The research data were analyzed through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s a result, the greater the childhood emotional trauma experience, the more the suppression of emotional expression and aggressive interpersonal problems were noted. Second, the childhood emotional trauma experience and compliant interpersonal problem, aggressive interpersonal problem, detached interpersonal problems were mediated by the suppression of emotional expression. Third, childhood emotional trauma experience perceived by university students affected the compliant interpersonal problems, detached interpersonal problems through the sequential double mediation of suppression of emotional expression, and passive conflict coping. Finally,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e present study and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also discussed.

      • KCI등재

        유아의 정서지능,인지능력,기질과 문제행동의 관계성 및 영향력에 관한 연구

        김연,한태숙,황혜정 한국유아교육학회 2004 유아교육연구 Vol.24 No.6

        본 연구는 유아의 정서지능, 인지능력, 기질과 유아의 문제행동 유형과의 관계 및 그의 상대적인 영향력을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 결과 정서지능은 6개 하위요인 모두가 높을수록 유아의 문제행동 전체 및 외현적, 내면적 문제행동이 적게 나타났으며, 인지능력은 유추에 의한 추론능력을 제외한 하위요인들이 높을수록 문제행동 전체 및 외현적, 내면적 문제행동이 적게 나타났다. 그리고 기질은 활동성 요인이 높을수록 문제행동의 전체와 외현적 문제행동이 높게 나타났으며, 다른 요인들은 상관은 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못하였다. 상대적 영향력에 대한 결과는 문제행동의 전체 및 외현적, 내면적 문제행동에 대해 정서지능(43~61%)이 가장 높은 설명력을 가지고 있으며, 그 다음으로 인지능력(2%)과 기질(1~2%)이 영향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유아와 문제행동을 예방하고 치료하기 위해서는 유아의 정서지능을 높이기 위한 방법모색이 필요함을 제안한다. This study examines the relationships among preschool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cognitive ability, temperament and their emotional and behavioral problems, in terms of relative effects.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indicate that, with the exception of reasoning by analogy, the higher the cognitive ability and emotional intelligence were, the fewer were the emotional and behavioral problems. And when activity factor of temperament was high, children's emotional and behavioral problems appeared to be high. In the results of relative effects, it was found that emotional intelligence (61%), cognitive ability (2%) and temperament (1%) explained preschool children's emotional and behavioral problems. Externalizing problems were especially explained by emotional intelligence (48%), cognitive ability(2%) and temperament (2%), while internalizing problems were explained by emotional intelligence (43%) and temperament (1%). These results imply that it is important to promote sound emotional intelligence in young children with emotional and behavioral problems since low emotional intelligence is a predictor of such problems.

      • KCI등재

        청소년의 정서·행동문제의 잠재집단유형과 문제적 인터넷 사용과의 관계

        이유정(Youjoung Lee),최문선(Moonsun Choi)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12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의 정서·행동문제에 따른 잠재집단을 유형화하고, 개인 요인 (성별), 가정 요인 (부모 방임, 학대), 학교 요인 (교우관계, 교사관계, 학습활동, 학교규칙)의 각 잠재집단에 미치는 영향력을 검증하고, 각 잠재집단과 문제적 인터넷 사용 (휴대폰 의존도와 사이버비행 경험)과의 관계를 밝히는데 있다. 이를 위해 한국 청소년정책연구원에서 2011년에 수집한 한국 아동청소년 패널 조사 (KCYPS) 중 2패널인 2차 년도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자료의 분석은 2018년 3월에 수행되었다. 잠재프로파일분석 결과 고수준 외현화 문제 집단, 전반적 고수준 정서문제 집단, 저수준 내재화 문제 집단, 전반적 중간수준 정서문제 집단, 전반적 저수준 정서문제 집단의 5개의 집단으로 구분되었다. 다항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성별, 부모의 학대와 방임, 교사관계, 교우관계ㆍ학습활동, 학교규칙이 각 잠재 집단에 미치는 영향이 상이한 것을 검증하였다. 위계적 회귀분석 결과 전반적 저수준 정서·행동문제 집단과 저수준 내재화 문제행동 집단은 휴대전화 의존도 및 사이버 비행 경험이 낮은 반면 전반적 고수준 정서·행동문제 집단은 휴대전화 의존도 및 사이버 비행 경험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청소년의 정서·행동문제 잠재 집단과 문제적 인터넷 사용간의 관계를 검증하고 각 잠재집단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변인을 탐색하여 적절한 개입과 예방에 도움을 줄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main aim of the present study is to examine how membership in different subgroups based on emotional and behavioral problems in adolescents is related to their problematic internet use. Results of a latent profile analysis indicated that a five-group model provided the best fitting model: ‘low-level emotional and behavioral problems’, ‘mid-level emotional and behavioral problems’, ‘high-level emotional and behavioral problems’, ‘low-level internalizing problem behaviors’, and ‘high-level externalizing problem behaviors’. The results of a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to explore the characteristics of each group showed that personal, family, and school-related factors differently predicted the subgroups of emotional and behavioral problems. Hierarchical linear regression analyses indicated that students in the low-level emotional and behavioral problems group and in the low-level internalizing problems group showed lower mobile phone dependency and cyber delinquency. On the other hand, students in the high-level emotional and behavioral problems showed higher mobile dependency and cyber delinquency. This study highlights the importance of considering both emotional and behavioral problems when designing programs to help students who have problems with internet use.

      • KCI등재

        중학생의 정서문제 잠재집단 전이와 가정과 학교관련 영향요인 분석

        허인화,조한익 한국교육심리학회 2022 敎育心理硏究 Vol.36 No.3

        This study examined latent group transfer of emotional problems in middle school students and the effect of family and school-related variables on the latent group transfer. The subjects were 2,384 students in the first and third years of middle school in the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2018, including 1,278 male and 1,106 female students. The survey classified the latent groups of emotional problems in the first and third years of middle school into three groups: the emotional problem low group, emotional problem middle group, and emotional problem high group. The low group of emotional problems in the first year of a middle school transferred into the low group in the third year of middle school (62.2%). Similarly, the middle group of emotional problems in the first year transferred into the middle group in the third year of middle school (58.3%). However, the high group of emotional problems transferred to the middle group of emotional problems in the third grade of middle school (40.2%). Family economic level, negative parenting attitude, study hours, academic helplessness, academic achievement satisfaction, and school life satisfaction were essential factors affecting the latent group transfer of emotional problems. This study is important because it categorizes latent groups of emotional problems in middle school's first and third years and examines the family and school-related variables affecting latent group transfer. 본 연구는 잠재전이분석을 적용하여 중학생의 정서문제 잠재집단 전이와 더불어 가정과 학교관련 영향요인을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한국 아동․청소년패널조사 2018의 중학교 1학년(1차)과 중학교 3학년(3차) 시기의 2,384명으로 남학생은 1,278명, 여학생은 1,106명이다. 연구결과 중학교 1학년 시기와 중학교 3학년 시기 정서문제 잠재집단은 모두 3개 집단으로 분류되는 것으로 나타나 정서문제 하집단, 정서문제 중집단, 정서문제 상집단으로 명명하였다. 중학교 1학년의 정서문제 하집단은 중학교 3학년 정서문제 하집단(62.2%)으로, 중학교 1학년의 정서문제 중집단은 중학교 3학년의 정서문제 중집단(58.3%)으로, 중학교 1학년의 정서문제 상집단은 중학교 3학년의 정서문제 중집단(40.2%)으로 전이되는 확률이 높게 나타났다. 중학교 1학년 정서문제 잠재집단이 중학교 3학년 정서문제 잠재집단으로 전이되는 데 있어서 가정경제수준, 부모의 부정적 양육태도, 학업시간, 학업무기력, 학업성취만족도, 학교생활만족도가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중학교 1학년과 중학교 3학년 시기의 정서문제 잠재집단을 분류하고 전이에 영향을 미치는 가정과 학교관련 변인을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는 데 의의가 있다.

      • KCI등재

        지역아동센터 이용 아동들의 위험요인이 정서문제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아탄력성의 중재효과

        이주연,장성예 한국유아교육ㆍ보육복지학회 2019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Vol.23 No.1

        This study confirms the intervention effect of ego-resilience on the affect of children 's perceived risk factors on emotional problems using the data of regional child center panel.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the panel data of the second regional child center, and data analysis was performed on a total of 424 subjects, The statistical program was used to verify the influence and mediating effect, to verify the significance of the mediating effect, and to analyze the control effect.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perceived risk factors and emotional problems, there was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ego-resilience and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emotional problem and ego-resilience. Second, the effects of perceived risk factors on children 's emotional problems were examine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children 's personal developmental risk factors and developmental environmental risk factors were factors affecting attention, aggression, social anxiety, depression, and total emotional problems. In other words, the higher the level of the risk factors perceived by the child, the higher the level of attention, aggression, social depression, and depression. Third, a stepwise regression analysis is conducted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s of ego-resilience on the affect of perceived risk factors on children 's emotional problems. The results showed that ego-resilience is a partial mediator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risk factors and emotional problems. The significance of the mediator effect was also verified in the sobel test results for statistical significance of the mediation effect. Finally, we examine the moderating effect of ego-resilience on the emotional problems affected by the perceived risk factors of children in the local children 's center. The results suggest that ego-resilience controls the relationship between personal developmental risk factors and child 's emotional problems, which means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personal developmental risk factors and emotional problems may vary depending on the degree of ego-resilience. 본 연구는 지역아동센터 패널데이터를 이용하여 아동들이 지각하고 있는 위험요인이 정서문제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아탄력성의 중재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제2기 지역아동센터 패널데이터의 총 424명을 대상으로 자료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영향력과 매개효과를 검증, 매개효과 유의성 검증, 조절효과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아동센터 이용 아동들이 지각하는 위험요인과 정서문제와는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으며, 자아탄력성과는 부적 상관관계가 나타났으며, 정서문제와 자아탄력성과는 부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둘째, 지역아동센터 이용 아동들이 지각하고 있는 위험요인이 정서문제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아동의 개인발달적 위험요인과 발달환경적 위험요인이 주의집중, 공격성, 사회적 위축, 우울, 전체 정서문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즉, 아동이 지각하고 있는 위험요인의 수준이 높을수록 아동의 정서문제인 주의집중, 공격성, 사회적 위축, 우울 수준도 높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지역아동센터 이용 아동들이 지각한 위험요인이 정서문제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를 살펴보기 위하여 단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아동들이 지각하고 있는 위험요인이 정서문제에 영향을 미치는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이 부분 매개변인으로 작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매개효과의 통계적 유의도 검증을 위하여 sobel test 결과에서도 매개효과의 유의성이 검증되었다. 마지막으로, 지역아동센터 이용 아동들이 지각한 위험요인이 정서문제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아탄력성의 조절효과를 살펴본 결과 자아탄력성이 개인발달적 위험요인과 아동의 정서문제간의 관계를 조절한다는 것으로, 개인발달적 위험요인과 정서문제의 관계가 자아탄력성의 정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는 것이 검증되었다.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초등학생의 정서행동문제와 이야기 그림검사(DAS) 반응특성에 관한 연구

        정수미,고정연 한국미술치료학회 2017 美術治療硏究 Vol.24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usefulness of a DAS test as a projection test to diagnose emotional behavior problems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406 students in grades 3, 4, 5, and 6 in five elementary schools (D, G, N, S, Y). During research, parents answered the CPSQ at home, and the researchers conducted the DAS test in the classroom. Data analysis was conducted with t-test, crossover analysis, and one-way ANOVA to examine emotional behavior problems and DAS response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sex and grad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emotional behavior problems were the most frequent psychosomatic problems, externalization problems were the least, and DAS reaction characteristics were more obvious for negative than positive in emotions and self-imaging. Second, the problem of emotional behavior for male students was more problematic than that of female students in externalization and abuse problem. Third, problems with emotional behavior were connected to the problems of sub-domain internalization, externalization, abuse and cognition. The problematic group showed more negative emotions and negative self-imaging than the non-problematic group.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suggests the possibility of using DAS as a tool for primary evaluation of emotional behavior problems. 본 연구의 목적은 이야기 그림검사(DAS)가 초등학생의 정서행동문제를 진단할 수 있는 투사검사로서의 유용성을 알아보는 데 있다. 연구대상은 B시에 소재한 5개 초등학교(D, G, N, S, Y)에 재학 중인 3, 4, 5, 6학년406명(남학생 216명, 여학생 190명)이다. 연구도구에서 정서행동발달 선별검사(CPSQ)는 각 학교에서 사전 가정통신문을 통하여 안내를 하고 가정으로 보내어 보호자가 응답하였고, DAS 검사는 연구자가 수업시간에 집단으로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은 성별과 학년에 따른 정서행동문제와 DAS 반응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t-검증과 교차분석, 일원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초등학생의 정서행동문제는 정신신체화 문제가 가장 많고, 외현화 문제가 가장 적은 것으로 나타났고, DAS 반응특성은 부정적 정서가 긍정적 정서보다 더 많았고, 부정적 자아상이 긍정적 자아상보다 더 많았다. 둘째, 초등학생의 정서행동문제는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외현화 문제와 오남용문제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학년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정서행동문제와 하위영역인 내재화 문제, 외현화 문제, 인지적 문제, 오남용 문제, 정신신체화 문제에 있어서 문제가 있는집단이 문제가 없는 집단보다 부정적인 정서와 부정적인 자아상을 많이 나타냈다. 본 연구는 DAS가 정서행동문제에 대한 1차적 평가를 할 수 있는 도구로서의 활용 가능성을 제시한 점에서 의의가 있다.

      • Social Emotional Well-Being, Psychological Resilience and Behavioural Problems in Preschool Children: The Mediating Role of Emotion Regulation

        Fatih Aydoğdu(Fatih Aydoğdu ),Figen Gürsoy(Figen Gürsoy ),Neriman Aral(Neriman Aral ) The Pacific Early Childhood Education Research Ass 2024 Asia-Pacific journal of research in early childhoo Vol.18 No.1

        Problems related to social, emotional and psychological well-being in children at an early age may cause behavioural problems. Previous studies show that the development of emotion regulation strengthens social-emotional well-being, and psychological resilience and reduces behavioural problems in children. This study aims to test the possible mediating role of emotion regulation and to gain a better perspective on the association between social and emotional well-being, resilience, and behavioural problems. 250 children aged 4-6 years (122 boys, 48.8%; 128 girls, 51.2%; mean age = 4.93) studying in kindergartens in Turkey were included in the study. Data on children's behavioural problems and emotion regulation skills were obtained from mothers, and data on social-emotional well-being, and psychological resilience levels were obtained from teachers. Social and emotional well-being, and psychological resilience indirectly significantly predicted behavioural problems through  emotion regulation. Emotion regulation has a partial mediator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and emotional well-being, psychological resilience and behavioural problems. In line with the results, the importance of supporting the development of emotion regulation skills in the preschool period was emphasized.

      • KCI우수등재

        어머니의 부정적 정서표현이 유아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임지영(Ji Young Lim),이윤정(Yoon Jeong Lee) 한국아동학회 2017 아동학회지 Vol.38 No.2

        Objective: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dual mediating effects of preschoolers’ emotional temperament and emotion regula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aternal emotional expression and preschoolers’ behavior problems. Methods: The participants included 167 preschoolers and their mothers from Daegu city and Gyeonsang province. The mothers completed questionnaires regarding their own emotional expression, children’s temperament, emotion regulation, and behavior problems. Results: The primary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among maternal emotional expression, preschoolers’ emotional temperament, emotion regulation, and problem behaviors. Second, maternal emotional expression had an indirect effect on preschoolers’ behavior problems through preschoolers’ emotional temperament and emotion regulation. Conclusion: This study revealed that maternal negative emotional expression and preschoolers’ temperament and emotion regulation need to be considered simultaneously to explain the level of preschoolers’ behavior problems. More specifically, the results highlight the dual mediating effects of preschoolers’ temperament and emotion regula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aternal negative emotional expression and preschoolers behavior problem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