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A Review of Video-Based Intervention on Motivation and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ies for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허유성 한국학습장애학회 2008 학습장애연구 Vol.5 No.2

        The purpose of this review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video-based interventions on improving motivation and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ies(SRLS) of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LD). An intensive search of the literature between 1980 and April 2007 yielded a total of 14 studies that met the inclusion criteria. Findings included: (a) six types of video-based interventions were identified; (b) five of the six video-based interventions demonstrated effects on motivation and use of SRLS regardless of grade level, curricular area, and classroom setting; (c) the video producing intervention was not effective; (d) the results of studies that compared students with and without LD on motivation and SRLS were not consistent across the dependent variables; (e) authentic tasks, discussion, learner-directed learning, and rich interactions were commonly employed characteristics of effective interventions; (f) compared to single group design studies, treatment/comparison group designs reported mixed results; and (g) settings, intervention implementers, and measures were not associated with the effects of interventions.

      • KCI등재

        국어저성취 학생의 중․고등학교 시기 생애목표 유형의 변화와 자기조절학습의 영향 및 삶 만족도와 진로정체감에 미치는 영향

        허유성,김민성 한국학습장애학회 2022 학습장애연구 Vol.19 No.3

        This study explored the potential types of life goals in middle school 3rd grade and high school 2nd year of low-achieving students, and the effect of self-regulated learning affecting the type classification of life goals in each period and the type shift between time points and high school At the time of the second year, the difference in career identity and life satisfaction by life goal type was verified.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688 students who were in the bottom 33.7% of the Korean language subject scores in the middle school 3rd year among the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3rd and 5th years of the 1st panel of the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The main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both the middle school and sophomore years were classified as ‘low-relationship below average’, ‘relationship-oriented average type’, and ‘high-relationship high goal’. Second, in the life goal area, the recognition of the importance of the relationship goal was the highest. Third, as a result of examining how the type of life goal transitions from the middle 3rd to the 2nd year of high school, the percentage of cases moving to a similar goal type was the highest. Fourth, the influence of self-regulation variables on the classification of potential types of life goals was significant only in ‘achievement value’ both in middle school and sophomore year. However, the self-regulated learning factor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transition of life goal type. Fifth, in the second year of high school, the ‘high-relationship high goal’ type was found to be more positive in career identity and life satisfaction than the ‘low-relationship average’ or ‘relationship-oriented low-success’ group. 본 연구는 국어저성취 학생의 중학교 3학년과 고등학교 2학년 시기의 생애목표의 잠재유형을 탐색하고, 시기별 생애목표의 유형 분류와 시점 간 유형 이동에 영향을 미치는 자기조절학습의 효과와 고등학교 2학년 시점에서 생애목표 유형별로 진로정체감과 삶 만족도에서의 차이를 검증하였다. 연구대상은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 중1패널의 3차년도와 5차년도 조사에 참가한 학생 중, 중3 시기 국어교과 성적의 하위 33.7%에 해당되는 학생 688명이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3 시기와 고2 시기 모두 ‘저관계 평균미달’, ‘관계지향 평균형’, ‘고관계 고목표’의 유형으로 분류되었다. 둘째, 생애목표 영역에서 관계목표에 대한 중요도 인식이 가장 높았다. 셋째, 중3 시기에서 고2 시기 생애목표의 유형의 전이를 살펴본 결과, 유사한 목표유형으로 이동하는 사례의 비율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넷째, 생애목표 잠재유형 구분에 미치는 자기조절변인의 영향력은 중3, 고2시기 모두 ‘성취가치’만 유의미하였다. 자기조절학습이 생애목표 유형의 전이에는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다섯째, 고2 시기에 ‘고관계 고목표’ 유형이 ‘저관계 평균미달’이나 ‘관계지향 저성공’ 집단보다 진로정체감과 삶 만족도에서 더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성실․실패형’ 특수교사 선별을 위한 특수교사의 성실과 성공 인식 수준 측정도구 개발 및 타당화 연구

        허유성,김정연 이화여자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2019 특수교육 Vol.18 No.3

        Purpose: To develop and validate a tool for the measurement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sincerity and success. Method: First, 115 preliminary questions were developed for each sub-factor based on prior comprehensive studies investigating ‘success’ and ‘failure’. Second, the content validity has been analyzed using special education specialists, and 18 items with low or no validity were deleted. Third, we administered an online questionnaire consisting of 97 items with 276 in-service teachers in special schools nationwide. Fourth, using exploratory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the final 40 items have been validated. Results: The sincerity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has been surveyed across five sub-areas such as self-truth, passion, self-discipline, homeostasis, and trust. The internal reliability of the question was .935. The success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has been surveyed across 7 sub-areas including identity, instructional expertise, student perception and problem behavior analysis, physical stability, emotional stability, school and community contribution, and relationship. The reliability was .906. Conclusion: Th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CFA) and Cronbach’s alpha coefficient have shown that the simple self-diagnostic questionnaire is well-constructed. 연구목적: 특수교사 인식하는 성실과 성공을 측정할 수 있는 측정도구 개발 및 타당화 연구이다. 연구방법: 첫째, ‘성실’과 ‘성공’에 대한 선행연구를 종합적으로 검토하여 각 요인의 하위 요인과 요인별 예비 문항 115개를 개발하였다. 둘째, 특수교육 전문가를 활용하여 내용 타당도를 분석하였다. 내용 타당도가 낮거나 중복되는 18문항을 삭제하였다. 셋째, 전국 규모로 현직 특수교사 274명을 대상으로 97문항으로 구성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넷째, 탐색적 및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최종 40문항을 선정하고 구인 타당화 과정을 거쳤다. 연구결과: 특수교사의 성실은 자기진실성, 열정, 자기규율, 항상성, 신뢰 등 5개 하위 요인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문항 내적 신뢰도는 .935로 나타났다. 특수교사의 성공은 전문가로서 정체성, 수업전문성, 학생이해 및 문제행동 지도, 신체적 안정, 정서적 안정, 학교․공동체 기여, 관계 등 7개 하위 요인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신뢰도는 .906으로 나타났다. 결론: 신뢰도 및 확인적 요인 분석 결과를 고려할 때, 이 연구에서 개발한 측정도구가 비교적 잘 구성된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후보

        학습장애 및 학습장애 학생에 관한 국내 블로그 내용의 양적 분석

        허유성,이우진 한국학습장애학회 2009 학습장애연구 Vol.6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blog contents that documented varying information on learning disabilities(LD) or students with LD. As the field of LD in special education is relatively new to Korean people, there is great possibility of people's lack of shared knowledge about LD and students with LD. Furthermore, the lack of shared knowledge and responsibility of non-experts of students with LD would be possible future barriers when improving the field of LD in Korea. Considering that currently many Korean people get knowledge from web, particularly from blogs, blog content analysis would be valuable to catch current Korean people's level of knowledge and common misconception of LD and students with LD. To meet this purpose, this study analyzed the 118 blog contents from 52 blogs. This study focused on the concept, causes, characteristics, and identification of students with LD.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the information on blogs primarily provided richer information of concept and characteristics of students with LD. On the contrary, the information of identification of students with LD was limited. In addition, there were information that were not scientifically validated or not comprehensive. This study suggested that there is need for providing web-service(or blogs) that provides more comprehensive and correct information based on more reliable resources. 본 연구의 목적은 현대인들이 정보를 획득, 전달, 확인하기 위해 주로 활용하는 블로그에 나타난 학습장애 및 학습장애를 가진 아동에 대한 개념, 원인, 특성, 그리고 판별에 대한 내용을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방법으로 학습장애 관련 블로그에 대한 내용분석을 실시하였다. 2000년부터 2009년 1월까지 학습장애와 관련된 블로그 문헌을 탐색한 결과 총 118개의 문헌을 최종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블로그를 통해 제공되는 학습장애 관련 주요 정보는 학습장애의 개념 및 학습장애를 가진 아동의 특성에 대한 논의가 가장 많았다. 반면, 학습장애를 가진 아동의 판별에 대한 정보는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블로그에 제시된 학습장애 관련 정보는 체계성과 포괄성 측면에서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습장애와 관련하여 과학적으로 검증되지 않았거나 추가 검증이 필요한 내용이 포함되어 있었다. 넷째, 2007년 이후 학습장애 관련 문헌이 크게 늘어났다. 논의 및 결론에서는 학습장애 관련 전문가들의 비전문가들을 위한 보다 적극적인 지식확산 노력의 필요성과 학습장애 비전문가들을 위해 정확하고 체계적인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웹기반 서비스의 필요성이 제기 되었다.

      • 특수교사 연구 최근 동향과 미래방향 탐색

        허유성,김정연,이재봉,김형보,김나연 한국특수교육학회 2018 한국특수교육학회 학술대회 Vol.2018 No.-

        본 연구는 특수교사가 특수교육의 질을 결정한다는 사회적 신념에 따라 최근 10년 간 수행된 특수교사 관련 연구를 체계적으로 분석 후 향후 연구방향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2008년부터 2017년 간 한국연구재단 등재지에 실린 초·중등 특수교사 관련 연구 541편을 분석하였다. 선행연구는 연구의 성격 및 목적, 연구 방법, 연구 내용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를 보면, 첫째, 최근 10년 간 특수교사 관련 연구가 꾸준히 늘어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연구 성격 및 목적은 실태 분석 및 개선안 도출 연구가 88.9%로 크게 높았다. 셋째, 연구 방법은 조사 연구가 많았으며, 넷째, 연구 내용에서는 ‘교직전문성 및 교직관’ 관련 연구가 상대적으로 많았다. 논의에서는 향후 특수교사 관련 연구 방향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학교생활만족도와 자아개념에 미치는 학업스트레스의 영향에 대한 학교 내 지원적 환경의 완화효과: 고등학교 일반 학생과 학습장애 위험군 학생의 비교

        허유성,김민성 한국학습장애학회 2012 학습장애연구 Vol.9 No.3

        The social and cultural climate of high schools in Korea have overwhelmingly focused on academic achievement. Without doubt, at-risk students for LD have spent hard time at schools because of their low achievement itself and social and parental pressures on them. They need school-related help with stress as they spend most of their time at school. In this regard, this study tried to find variables that could buffer the negative impacts of stress on students’ school life and their self-concept such as autonomy, relationship with teachers and peers, and collaborative classroom climate. For this, we analyzed 2,104 high school at-risk students with LD and 8,567 general stude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at-risk students with LD experienced less academic stress than their normal peers. According to buffering effects, relationship with teachers buffered effectively only for at-risk students with LD. In addition, relationship with peers showed buffering effects on the satisfaction of school life and self-concept for both types of students. 본 연구는 학업스트레스로 인한 학교생활만족도와 자아개념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에 대한 학교 내 지원적 환경의 완화효과를 고등학교 학업성취 하위 20%에 해당하는 학습장애 위험군 학생과 일반 학생을 비교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2009년 KEDI ‘학교교육 실태와 수준 분석 연구’에 참여한 고등학생 중 학습장애 위험군 학생 2,104명과 일반 학생 8,567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주요 연구결과에 의하면, 학습장애 위험군 학생의 학업스트레스는 일반 학생에 비해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두 학생 집단 모두에서 학업스트레스는 학교생활만족도와 자아개념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고 학교 내 지원적 환경은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학교생활만족도와 자아개념에 미치는 학업스트레스의 부정적인 영향에 대한 교사-학생 관계의 완화효과는 학습장애 위험군 학생 집단에서는 유의미하게 나타났지만 일반 학생 집단에서는 유의미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학업스트레스의 부정적 영향에 대한 교우관계의 완화효과는 학교생활만족도에서는 두 학생 집단 모두에서 유의미하게 나타났지만, 자아개념에 대해서는 학습장애 위험군 집단에서만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반면, 학교생활만족도와 자아개념에 미치는 학업스트레스의 부정적 영향에 대한 자율성 허용과 협력적 분위기의 완화효과는 두 집단 모두에서 유의미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학교 내 지원적 환경 중 교사-학생 관계와 교우관계는 모든 학생 집단에서 긍정적인 역할을 수행하였지만 특히 학습장애 위험군 학생에서 이들 환경의 완화효과가 상대적으로 크게 나타난 것은 위험군 학생을 위한 지원적 관계 구축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 KCI등재

        국가수준학업성취도 평가결과에서 드러난 기초학력부진 학생의 생태학적 삶 특성

        허유성,나경은,박성기 한국학습장애학회 2011 학습장애연구 Vol.8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ecological aspects of students with low basic academic skills comparing with ones with basic or average academic skills based on the results of NAEA. For this, we analyzed 21,940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21,651 middle school students’ data. The results showed that each group had big differences among ecological characteristics such as amount of reading a month, time to study of one’s own accord, and private education, and degree of conversation with parents, difficulty with beginning study, recognition on effective study strategies, needs to be acknowledged from others, well-integrated relationship with teachers, preparations for class, listening to teachers in class, understanding in class, attention in class, responding to teachers’ questions, utilizing learning materials, and awareness on reasons why they study language arts. In addition, student-related factors that discriminate between students with low basic academic skills and students with basic or average academic skills were analyzed through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according to elementary or secondary school level respectively. Results were summarized and the study implications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2007년도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국어과 성취점수와 동반 수행된 학생 설문 자료를 이용하여 기초학력부진 학생의 일상생활 특성을 비교집단으로 선정된 기초학력, 보통학력 학생과 비교하여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초등학생 21,940명과 중학생 21,651명의 자료를 이용하였다. 주요 연구결과에 의하면, 한 달에 읽은 책 권수, 부모와의 대화 정도, 집에서 스스로 공부하는 시간, 사교육 시간, 공부 시작의 어려움, 효과적인 공부 방법 인지, 공부로 다른 사람에 인정받고 싶은 정도, 선생님과의 원만한 관계, 수업에 필요한 준비물을 챙기는 정도, 수업시간에 선생님 말씀을 듣는 정도, 수업시간 내용이해, 수업시간 집중 정도, 선생님 질문에 대답하는 정도, 학습지 또는 문제지 활용 정도, 스스로 읽을거리를 찾아 읽는 정도, 국어과가 다른 교과공부에 도움이 된다고 인식하는 정도, 그리고 국어과 공부가 장래 직업에 도움이 된다는 인식 정도에서 집단 간에 차이 정도가 크게 나타났다. 또한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통해 학교급별로 기초학력부진 학생과 기초학력 학생, 기초학력부진 학생과 보통학력 학생을 구별할 수 있는 학생관련 요인을 탐색하였다. 논의 및 결론에서는 주요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기초학력부진 학생의 교육에 주는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저성취 학생의 중·고등학교 종적전환 과정에서 자기결정적 동기 변화유형과 유형 간 교사-학생관계 및 교우관계의 차이

        허유성,김민성 한국학습장애학회 2014 학습장애연구 Vol.11 No.3

        This study analyzed the student types of identified regulation and intrinsic regulation motivation of students with low achievement in a transition from middle school to high school, and explored the differences of teacher-student and peer relationships among student types. Data from 3th and 5th year Korea Educational Longitudinal Study(KELS) was used in this study. 523 students with LA including 336 male and 187 female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is study classified students into four groups such as Low-Low(LL), Low-High(LH), High-Low(HL), and High-High(HH). The results of this study revealed that the overall mean of self-determined motivation was under 3. In identified regulation, HH was the highest, 48.8% and LH was only 9.9%. About intrinsic regulation, LL was 41.3% and LH was 17.4%. About relational variables, in identified regulation student-teacher relationship and peer relationship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groups. However, in intrinsic regulation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s. Based on such findings, educational implications were made that relationship could be meaningful variables to enhance students' self-determined motivation in a transition from middle school to high school. 본 연구는 한국교육개발원의 한국교육종단조사 3차년도 및 5차년도 데이터를 사용하여 저성취 학생들의 중학교에서 고등학교로의 종적전환 과정에서 자기결정적 동기(확인적 조절, 내재적 조절)의 변화유형과 변화유형 간 교사-학생관계와 교우관계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저성취 학생 523명의 데이터를 사용했으며, 남학생 336명과 여학생 187명을 포함하였다. 저성취 학생을 중학교에서 고등학교로의 종적전환 과정에서 두 시기 자기결정성의 수준에 따라 낮음-낮음(LL), 낮음-높음(LH), 높음-낮음(HL), 높음-높음(HH)의 4집단으로 구분하였다. 연구결과, 중학교와 고등학교로의 전환과정에서 확인된 조절의 경우, HH의 비율이 48.8%로 가장 높았으며, LH의 비율이 9.9%로 가장 낮았다. 내재적 조절의 경우에는 LL이 41.3%로 가장 높았으며, LH가 17.4%로 가장 낮았다. 한편, 확인된 조절의 변화유형에서 교사-학생관계, 교우관계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지만 내재적 조절 변화유형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저성취 학생의 교사-학생관계, 교우관계가 자기결정적 동기의 변화유형 간 차이를 나타내는 변인임을 보여준다.

      • KCI등재

        예비 일반교사의 특수아동에 대한 교수역량을 높이기 위한 멀티미디어 앵커드 프로그램 효과 분석

        허유성,박성기 한국학습장애학회 2012 학습장애연구 Vol.9 No.1

        본 연구는 예비 일반교사의 이론과 실천 간의 괴리를 줄이는 교수-학습 전략으로 멀티미디어 앵커드 교수법을 제안하고, 그 효과를 분석하는 데 주요한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예비 일반교사 56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앵커드 교수법 집단에 26명, 비교집단 교수법에 30명이 참여하였다. 앵커드 교수법 집단은 제비뽑기를 통해 결정하였으며, 프로그램은 6주간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앵커드 교수법의 효과를 지식의 습득 및 적용, 특수아동 교수효능감, 사회적 거리감, 반성적 사고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를 보면, 앵커드 교수법과 비교집단 교수법이 지식의 습득 및 적용 영역의 전체 점수에서 차이를 보였으며, 세부적으로 보면 학습한 지식을 적용하는 영역에서 차이를 보였다. 특수아동에 대한 교수효능감 역시 앵커드 교수법 집단이 비교집단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거리감은 전체 점수에서 두 집단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으며, 실험집단이 보다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거리감 조사지의 네 영역 중 사회적 지지와 지식에서 앵커드 교수법이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반성적 사고에서는 두 집단 간에 차이가 없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mpacts of multimedia anchored instruction on the knowledge acquisition and application, teaching efficacy for students with special needs, social distances, and reflective thinking with pre-service teachers enrolled in special education introductory courses to narrow down the gaps between researches and practices. A total of 56 pre-service teache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26 participants were placed at an anchored instruction condition and 30 were placed at a controlled group. The anchored instruction group was selected randomly.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multimedia anchored instruction was more effective on the total score of knowledge acquisition and application test. At the sub-tests, knowledge application was more effective than a controlled group. In addition, teaching efficacy for students with special needs was more effective when applying anchored instruction. In SDQ, anchored instruction was more effective on the total score. In detail, it was more effective on the social willingness and knowledg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reflective thinking between two group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