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유아교사의 문제행동 인식 및 지도에 대한 심층면담

        김태영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2018 유아특수교육연구 Vol.18 No.4

        This article investigated through interviews with 8 preschool teachers on their perception of and supports on preschoolers’ challenging behaviors and then analyzed their difficulties on supporting preschoolers’ challenging behaviors and needed supports in the future. The participants were selected with intentional sampling and snowball method. Data was analyzed using thematical analysis based on analytical induction. Research findings are in the following: First, the participants reported that they considered aggressive behaviors as challenging behaviors, which happened frequently in their daily lives. Teachers tried to figure out the backgrounds and situations that challenging behaviors occurred. Teachers reported that challenging behaviors often come from family backgrounds including parents’ lack of rearing skills and failure of teacher’s managing challenging behaviors. In addition, they reported that children showed challenging behaviors particularly during free choice activities. The preschoolers who have challenging behaviors do not have positive relationships with other children. Therefore, they frequently play with a child who has similar characteristics with themselves or shows somehow delay of developments. Second, teachers reported that they used preventive methods such as reminding rules and position reassignment. Teachers also reported that they intervened directly and immediately on aggressive behaviors. Otherwise teachers used different ways to deal with challenging behaviors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behaviors. Finally, teachers expressed difficulties of educating appropriate behaviors because of their exhaustion of energy, difficulty of collaboration with parents, and overdue works. Therefore, they need consistent helps and supports from leaders and colleagues, additional professional such as assistant teachers, and strengthening pre-service as well as in-service teachers' competences on managing challenging behaviors in the future. 본 연구는 광주 및 전남지역의 유치원과 어린이집 교사 8명과의 개별 심층면담을 통해 교사들의 문제행동 인식과 현장에서 적용하는 문제행동에 대한 지도방법을 알아보고, 이를 바탕으로 문제행동 지도 시 당면하는 어려움과 필요한 지원방안을 밝히고자 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의도적 샘플링과 스노볼을 이용하여 모집하였으며, 자료수집 및 분석은 분석적 귀납법을 이용하여 주제별 분석(thematic analysis)을 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유아교사들은 일반적으로 공격적인 행동을 문제행동으로 인식했으며, 이러한 행동은 일상적으로 빈도가 잦다고 설명했다. 유아교사들은 문제행동을 이해하기 위해서 그 원인과 배경변인을 파악하였다. 문제행동의 원인으로는 부모와 가정환경, 전 담임의 지도 실패 등이 언급되었으며, 주로 발생하는 상황은 자유선택활동이라고 했다. 또한 문제행동을 일으키는 유아들은 대체로 다른 유아들과 관계형성이 원만하지 못하기 때문에 자신과 비슷한 성향의 유아나 자신보다 발달이 미흡한 유아들과 주로 놀이하면서 문제행동을 일으킨다고 했다. 둘째, 문제행동 지도를 위해 교사들은 환경수정, 규칙 상기시키기, 자리재배치 등의 예방방안을 사용했으며, 타인을 해하는 공격성에 대해서는 즉각적인 개입을 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문제행동 특성에 따라 다른 조치를 취한다고 하였다. 마지막으로 문제행동 지도 시 어려운 점은 교사의 에너지 고갈, 부모와의 협력, 과도한 업무를 언급하였다. 따라서 보다 효율적인 문제행동 지도를 위한 지원방안으로 원장님과 동료교사의 지원, 인력보충을 통한 교사업무 분담, 그리고 예비유아교사와 현장교사의 문제행동 지도 역량 강화가 필요하다고 하였다.

      • KCI등재

        어린이집 재원 만 3, 4, 5세 유아의 문제행동에 대한 부모와 교사의 인식 비교

        유세영,조윤경 한국유아교육ㆍ보육복지학회 2019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Vol.23 No.3

        This study is designed to find out the differences in recognition on the child's challenging behaviors between parents and teachers as first solution to challenging behaviors. The child's behavioral checklist for parents(K-CBCL, 1.5-5), the child's behavior evaluation scale for the teachers(C-TRF) were used to rate the behaviors. The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160 teachers and 160 parents of children of 3, 4, 5 years old at the public child care and education centers located in Incheon and Gyeonggi-do.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parents and teachers groups showed th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otal challenging behaviors. The teachers group rated higher than the parents group at the challenging behaviors of the children except the physical symptom subcategory. Second, the parents and teachers groups showed the significant differences at withdrawal subcategory only in the internalized challenging behaviors. The teachers group rated higher than the parents group, too. Third, the parents and teachers groups showed the significant differences at attention problem and aggressive behavior subcategory in the externalized challenging behaviors. The teachers group also rated higher than the parent group. Based on these results, parents and teachers should acknowledge the differences between two groups on recognizing the challenging behaviors, for intervening appropriately on preschoolers' challenging behaviors. And needs of program development and education for lessening the differences between two groups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교사와 부모의 유아 문제행동에 대한 인식을 비교해보고, 가정과 유아교육기관의 연계를 통해 유아의 문제행동을 올바르게 인식하고 부모와 교사의 협력적 접근의 토대를 마련하고자 진행되었다. 이를 위해 인천시와 경기도에 소재한 32개 국공립어린이집에 재원 중인 만 3, 4, 5세 유아의 부모와 담당교사 각 160명, 총 320명을 대상으로, 유아행동평가척도 부모용(K-CBCL. 1.5-5)과 한국판 유아행동 평가척도 교사용(C-TRF) 도구를 포함하는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동일한 유아에 대한 전체 문제행동 인식에서 부모와 교사 집단은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내재화의 신체증상을 제외하고 전 하위 영역에서 부모집단에 비해 교사집단이 높게 평정하였다. 둘째, 동일한 유아에 대한 내재화된 문제행동 인식에서는 위축에서 부모와 교사 두 집단 간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부모집단에 비해 교사집단이 높게 평정하였다. 셋째, 동일한 유아에 대한 외현화 문제행동 인식 차이에서 주의 집중 문제와 공격행동에서 부모와 교사 집단은 차이를 보였으며, 부모집단에 비해 교사집단이 높게 평정하였다. 이러한 결과에 의거하여 유아의 문제행동에 대한 적합한 조기 중재를 위해 유아 문제행동에 대한 부모와 교사 간 인식의 차이가 있음을 인지하고, 부모와 교사가 인식하는 문제행동의 차이를 줄여나가기 위한 프로그램 개발과 교육이 필요함을 논의되었다.

      • KCI등재

        유아의 문제행동 유형·원인에 대한 모의 인식 특성과 문제행동 지도방법에 미치는 영향요인 연구: 장애·비 장애유아 모의 비교

        송서영 ( Song Seo Young ),허계형 ( Heo Kay Heoung ),손병덕 ( Sohn Byoung Duk )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2016 한국가족복지학 Vol.54 No.-

        본 연구는 장애 및 비 장애유아의 모가 인식하는 문제행동 유형, 원인, 지도방법의 차이를 알아보고, 모의 사회·인구학적 변인, 유아의 문제행동 유형, 원인이 지도방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과 경기지역에 거주하는 만 2세부터 취학 전 자녀를 둔 비 장애유아 모 100명과 장애유아 모 76명, 총 17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첫째, 문제행동 유형에서 내재화 문제행동과 사회적 활동의 기피요인이 대상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문제행동의 원인에서는 유아의 행동과 특성 요인에서 대상 간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문제행동 지도방법에서는 가정에서의 지원환경 구축과 사회정서 전략요인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마지막으로, 비 장애유아는 모의 사회·인구학적 변인 중 모의 최종학력과 유아의 특성 요인이, 장애유아는 모의 사회·인구학적 변인 중 월 가계소득과 유아의 기타 요인이 문제행동을 지도하는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토대로 실천적용 방안을 제시하였다.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 연구 제안을 추가적으로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ypes, causes and instructional methods of challenging behaviors perceived by mothers of young children with and without disabilities. Then it was also to determine influencing factors of mothers` socio-demographic variables and mothers` perceptions of types and causes of young children`s challenging behaviors on using instructional methods perceived by the mothers. The subjects were 176 mothers of young children aged from two to six including 100 mothers of young children without disabilities and 76 mothers of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Results showed that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areas on internalized challenging behaviors and avoidance of social activities for the types of challenging behaviors. Second, on the cause of challenging behaviors, areas on children`s behaviors and nature ha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groups. Third, on instructional method of challenging behavior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on areas of establishing supportive environment and social and emotional strategies. Lastly, for the mothers of young children without disabilities, mothers` educational background and children`s nature area as cause of challenging behaviors significantly affected instructional methods. For the mothers of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family`s income and others area as cause of challenging behaviors affected instructional methods. Developing practical application strategies were suggested based on the results. Research limitations and further research suggestions were also discussed.

      • KCI등재

        발달장애인의 도전적 행동(Challenging Behavior) 완화를 위한 작업치료 중재에 대한 체계적 고찰

        주유미,강수라,고기훈,지석연,유제광 대한작업치료학회 2023 대한작업치료학회지 Vol.31 No.3

        Objective: This study aimed to find the effects of occupational therapy (OT) as a way to alleviate challenging behaviors for person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Methods: Literature published from January 2000 to July 2022 was searched in Pubmed, CINAHL, ERIC, Cochrane Library, EMBASE, and RISS. The search terms were “Behavioral disturbance” OR “Problem behavior” OR “Maladaptive behavior” OR “Aberrant behavior” OR “Behavioral abnormalities” OR “Challenging behavior” AND “Occupational therapy” AND “Developmental disability” OR “Autism” OR “Intellectual disability.” Both Korean and English were used. The searched literature was systematically analyzed according to the PICO format. Results: A total of 14 papers were selected for review. Sensory therapy, play therapy, and therapeutic mediation therapy approaches were shown to be effective in alleviating challenging behaviors, but demonstrated no improvements in other functions. A cognitive learning approach and a positive behavior support approach were effective in alleviating challenging behaviors and improving the school performance. In addition, parental education was effective in alleviating the challenging behaviors in children, although there was a limit in extending the therapeutic effects on improving their daily life functions. Conclusions: It was found that various OT approaches have been used to mediate challenging behaviors. Future research should highlight the generalized effects in daily life and school performance rather than emphasizing only the mitigation of challenging behaviors.

      • 지적장애인의 문제행동에 다감각 자극이 미치는 영향

        최동운,유주상,김초롱,이재신 대한아동·학교작업치료학회 2010 대한아동 ․학교작업치료학회지 Vol.1 No.-

        ◉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다감각 자극이 지적장애 아동의 문제행동 빈도수에 미치는 효과와 지속여부를 알아보는 것이다. ◉ 연구방법: 본 연구는 문제행동이 나타나는 지적장애 아동 4명을 대상으로 다감각 자극을 중재하였다. 아동의 인지기능 평가를 위해 기초선과 유지기에LOTCA-II를 시행하였다. 개별실험 연구방법(single subject experiment research design) 중 대상자간 중다기초선설계(multiple-baseline across subjects)의 ABA'를 사용하였다. 연구는 기초선, 중재기, 유지기에 걸쳐 총 14회 동안 이루어졌으며 각 회기는 30분씩 시행되었다. 문제행동 빈도수는 20분 동안 측정되었다. ◉ 결과: 본 연구 결과 대상자 1의 평균 문제행동 빈도수는 기초선과 비교하여 다감각 자극 중재기 동안 증가하였으나, 대상자 2, 대상자 3, 대상자 4의 중재기 동안 평균 문제행동 빈도수는 감소하였다. 대상자 1, 대상자 3, 대상자 4의 유지기 동안 문제행동은 중재기 보다 증가하였으나, 대상자 2는 감소하였다. 기초선과 비교하여 유지기 동안 대상자 1의 문제행동은 증가하였으나, 대상자 2의 문제행동 빈도수는 감소하였다. 대상자 3과 대상자 4의 평균 문제행동 빈도수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 결론: 본 연구는 다감각 자극이 지적장애인의 문제 행동을 감소시키는 치료적 효과를 보였다. 대상자 2는 기초 선과 중재기보다 유지기에 더 많은 감소를 나타냈으나 대상자 1, 대상자 3, 대상자 4는 지속적인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paper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Multisensory environments on challenging behavior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 Method :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4 of Intellectual Disability children who had challenging behavior. We use LOTCA-II in baseline and follow-up for evaluation of cognitive function. Multiple-baseline across subjects ABA' of single subject experiment research design was used. 14 sessions were include baseline, intervention, follow-up. Each sessions lasted 30 minutes. Challenging behavior frequence measured for 20 minutes. ◉ Results : The measured result shows challenging behavior of subject 1 increased during intervention comparison of the average challenging behavior during baseline but subject 2, subject 3, subject 4 were reduced during intervention. Challenging behavior in follow-up of subject 1, subject 3, subject 4 were increased while subject 2 was reduced. Comparing with baseline challenging behavior of subject 1 was increased during the follow-up, on the other hand subject 2 decreased. Subject 3 and subject 4 did not show the average difference of challenging behavior in follow-up. ◉ Conclusion : Finding from the study suggest that multisensory environments has positive effects to reduce the challenging behavior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Subject 2 showed reduce challenging behavior in follow-up comparing with baseline and follow-up, but subject 1, subject 3, subject 4 had no positive effect in follow-up.

      • KCI등재

        전문가와 부모가 협력한 긍정적 행동지원이 자폐성장애 성인의 도전 행동에 미치는 영향

        이선희 ( Lee Surn Hee ),이원희 ( Lee Weon Hee )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구 한국정서·행동장애아교육학회) 2021 정서ㆍ행동장애연구 Vol.37 No.1

        이 연구는 전문가와 부모가 협력하여 실시한 긍정적 행동지원이 자폐성장애 성인의 도전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D시의 한 장애인부모회에서 운영하는 자립생활 체험 홈에서 생활하는 자폐성장애 성인 3명으로 선정하였고, 대상자간 중다 기초선 설계를 사용하여 대상자의 도전 행동에 대한 긍정적 행동지원을 실시하였다. 연구 대상자의 도전 행동인 자해행동, 부적응행동, 폭식행동, 이탈행동에 대하여 중다 요소 중재인 배경사건 및 선행사건 중재, 대체기술교수 중재, 후속결과 중재를 자립생활 체험 홈에서 실시하였다. 긍정적 행동지원을 적용한 결과, 자립생활 체험 홈과 가정에서 자폐성장애 성인의 도전 행동이 감소하였고, 중재 후 유지기간에서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부모가 적극적으로 참여한 대상자의 경우 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의 의의는 비교적 연구가 활발하지 않은 자폐성장애 성인을 대상으로 긍정적 행동지원을 실시한 것과 전체적인 행동지원 과정에 부모가 참여한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ositive behavior support conducted by experts and parents on challenging behaviors of adult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ASD).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selected as 3 adults with ASD living in an independent living training home run by the parents' association for the ASD in city D. The study design was used a multiple baseline design across subjects in order to positive behavior support for the subjects' challenging behaviors. Background and setting event strategies, alternative behavior strategies, and consequence strategies were conducted at independent living training home in order to support the subjects' challenging behaviors such as self-harm behavior, maladjustment behavior, binge eating behavior, and churn behavior. As a result of applying the parental participation positive behavior support, the challenging behaviors of adults with ASD at home and independent living training home decreased. It was shown that the intervention also had positive effects on the maintenance period. In particular, we found that the effects were better when parents actively participated in the intervention.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o emphasize on the importance of providing PBS to adults with ASD and involving parents in the intervention process.

      • KCI등재

        통합학급에서 학급차원의 보편적 지원과 개별화된 긍정적 행동지원이 유아의 문제행동과 사회적 유능감에 미치는 효과

        배선화,이병인,조현근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2016 유아특수교육연구 Vol.16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Positive Behavior Support(PBS) on challenging behaviors and social competence of children in an inclusive class. This study investigated how the Class-wide Positive Behavior Support(CWPBS) influenced to challenging behaviors of whole children in the class and also how an Individual Positive Behavior Support influenced one child with developmental delay and problem behaviors. For this study, a class of a nursery was selected to investigate effects of the CWPBS on challenging behaviors and sense of social competence of children in an inclusive class and an AB research design was used. The result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Class-wide Positive Behavior Support decreased rapidly children’s challenging behaviors in the class of Story Sharing Activities, Free-Choice Activities and Lunch time & increased children’s social competence. Second, the Individual Positive Behavior Support also decreased challenging behaviors of the target child and increased engagement behaviors, and those effects continued even after the closing of intervention. This study is meaningful to have presented the fact that Class-wide Positive Behavior Support(CWPBS) has a positive effect to the behaviors for regular young children in inclusive classrooms and also Individual Positive Behavior Support is useful for young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s. 이 연구는 통합학급에서의 긍정적 행동지원이 유아의 문제행동과 사회적 유능감에 어떠한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전체 유아를 대상으로 학급 차원 의 긍정적 행동지원과 한 명의 발달지체유아를 대상으로 한 개별 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을실시하였다. 자료는 단일집단 사전사후 검사와 AB설계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전체 유아를 대상으로 한 학급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은 이야기나누기, 자유선택활동, 점심시간의 모든 상황에서 유아들의 문제행동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회적 유능감에서도 중재 전-후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한 명의 발달지체유아를 대상으로 실시한 개별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은 이야기나누기, 자유선택활동, 개별 과제 수행 시간에서 문제행동과 활동참여행동에 긍정적 영향을 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학급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이 통합학급 유아들의 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는 중재방법임을 제안함과 동시에 발달지체 유아에게는 학급차원의 중재와 더불어 개별 차원의 긍 정적 행동지원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 KCI등재

        원격수업 설계모형을 활용한 개별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이 뇌병변장애 학생의 도전 행동에 미치는 영향

        류규태,박경옥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2023 정서ㆍ행동장애연구 Vol.39 No.1

        This study aims to determine how individualized positive behavior support based on a remote learning design in inclusive environments affects challenging behaviors of a student with brain lesions. For this purpose, the study selected a student with brain lesions who demonstrated challenging behaviors during remote learning, and then structured and used multiple baseline across behaviors design. We aimed to observe positive changes in three challenging behaviors: Screaming, kicking and throwing objects. We also demonstrated individual positive behavior support, including intervention of background cases and previous cases, teaching alternative behaviors, and intervening with consequences. The maintenance was measured two weeks after the intervention ended.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average frequency of the challenging behavior, immediacy of effect after the intervention, and the average rate between sessions continued to decrease constantly. Also, both the percentage of Nonoverlaping Data Points between the baseline period and the intervention period and the Improvement Rate Difference were analyzed as 100%. Moreover, the challenging behaviors remained decreased 2 weeks after the intervention. This result proves that the remote learning design in inclusive environments is effective for challenging behaviors and maintenance of a student with brain lesions. Based on the result of this experiment, the study has discussed characteristics and distinctiveness this study has, and suggested further developmental measures. 본 연구는 통합교육환경에서 원격수업 설계모형을 활용한 개별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이 뇌병변장애 학생의 도전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원격수업에서 도전 행동을 보이는 뇌병변장애 학생 1명을 대상으로, 소리 지르기, 발차기, 물건 던지기를 포함한 3가지 도전 행동의 긍정적 변화를 관찰하는 행동 간 중다 기초선 설계법을 계획하여 적용하였다. 중재는 원격수업 공간에서 3가지 도전 행동에 대한 배경/선행사건 중재, 대체 행동 교수와 후속 결과 중재를 포함한 개별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을 실행하였고, 유지 측정은 중재 종료 2주 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도전 행동의 평균 빈도, 중재 실시 후 즉각성, 회기 간 평균의 지속적이며 일관된 감소, 기초선 기간과 중재 기간의 비중복비율, 기초선 대비 개선율이 100%로 분석되었고, 더불어 중재 종료 2주 후 도전 행동이 감소된 상태로 유지된 것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통합환경에서 원격수업 설계모형의 활용은 뇌병변장애 학생의 도전 행동과 유지에 효과가 있는 방법임이 입증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의 특성과 차별성을 논의하고 발전적 방안을 제언하였다.

      • KCI등재

        아동의 문제행동에 대한 온정적, 통제적 양육행동의 조절효과 분석

        허계형 한국청소년학회 2022 청소년학연구 Vol.29 No.1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main socio-demographic variables and warm or controlling parenting style on challenging behaviors of their children. The data from the 6th year of PSKC collected by the KICCE including the parenting behavior scale and the Korean adapted CBCL 1.5-5 were used. The results were as follow. First, there was a difference between male and female groups in young children’s challenging behaviors and controlling parenting behavior. Second, young children’s challenging behaviors show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young children’s gender and warm parenting behavior. The socio-demographic variables selected in this study were analyzed as having no significant effect on children’s challenging behaviors. Finally, both the mother’s warm and controlling parenting behaviors were analyzed as having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 on their children’s challenging behaviors. Based on study results, suggestions for developing strategies of preventing and dealing with young children’s challenging behaviors. Study limitations with follow-up studies were further discussed. 본 연구는 주요 사회 인구학적 변인과 양육자의 온정적, 통제적 양육행동이 아동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한다. 자료는 모의 양육행동 척도와 한국판 CBCL 1.5-5가 포함된 한국아동패널(PSKC)의 6차 년도(2013년) 자료를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아동의 문제행동과 통제적 모 양육행동에서 남녀 아동집단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아동의 문제행동은 아동성별과 온정적 모 양육행동에 부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셋째, 본 연구에서 선택한 사회인구학적 변인들은 아동의 문제행동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모의 온정적, 통제적 양육행동 모두 아동의 문제행동을 조절하는 영향력을 가졌다. 연구결과를 기초로 아동의 문제행동 해소와 예방을 위한 실천방안들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가 가지는 제한점과 이에 따른 후속연구를 제안하였다.

      • KCI등재

        유아교사의 공감능력, 놀이성이 문제행동 지도전략에 미치는 영향

        김정숙,유은영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2023 어린이문학교육연구 Vol.24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among early childhood teachers' empathy ability, playfulness, and the strategy of managing challenging behaviors, and to examine the effect of empathy ability and playfulness on the strategy of managing challenging behavior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223 kindergarten and daycare teachers, and the collected research data were analzyzed using Pearson’s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among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empathy ability, playfulness, and the strategy of managing challenging behaviors. In particular, among the sub-factors of the teacher's empathy ability, as the perspective-taking, imagining, and empathetic interests increased, the positive strategy of managing challenging behaviors increased.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perspective-taking of empathy ability and the uniqueness of playfulness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and among the sub-factors of playfulness and freedom had a significant negative effect on the strategy of managing challenging behavior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empathy ability and playfulness need to improve early childhood teachers' strategy of managing challenging behaviors of young childre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