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청소년의 인터넷 중독과 게임중독에 대한 자존감향상 인지행동치료 효과

        강희양,손정락 한국건강심리학회 2010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Vol.15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composed verification of effects from self-esteem enforcement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influencing on adolescents' game addiction. Three groups with 21students respectively were chosen for game addiction group and internet addiction group. Self-esteem enhancement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was conducted for the first experimental group,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was given to the second comparison group and nothing was done to the third control group. Scales used for game addiction group were those of game addiction, self-esteem and self-proficiency while scales used for internet addiction group were those of internet addiction, self-esteem and self-proficiency. The first conclusion of this study is that self-esteem enhancement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caused a significant decrease in game addiction and a significant increase in self-esteem and self-proficiency for game addiction group, compared to cognitive behavioral one. The second conclusion is that self-esteem enhancement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caused a significant decrease in internet addiction but no significant change in self-esteem and self-proficiency for internet addiction group, compared to cognitive behavioral one. Therefore, this conclusion suggests that self-esteem enhancement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will be an effective means in decreasing adolescent' game addiction and in increasing their self-esteem and self-proficiency for game addiction group. we discussed the limitation of this study and the direction of future research. 본 연구는 인터넷중독과 게임중독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인지행동치료와 자존감향상 인지행동치료를 실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각 프로그램은 총 10회였고, 인지행동 치료프로그램은 인지적 왜곡의 수정, 공감능력의 상승, 대인관계 개선을 주내용으로 구성하였으며,자존감 향상 인지행동치료는 인지행동치료에 자존감 고양을 위한 회기를 첨가하였다. 연구대상은전북 지역의 OO중학교 2학년 학생 중 게임중독 척도와 인터넷 중독 척도에서 상위 15%에 해당하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게임중독에만 또는 인터넷 중독에만 해당되는 학생들이었고, 각 프로그램의 효과를 측정하기 위해서 관련 내용을 측정하는 자기보고식 검사를 사전-사후로 실시하였다. 평가도구는 게임중독 척도, 인터넷 중독 척도, 자아효능감 척도 및 자존감 척도였다. 사전검사 결과 게임중독 집단과 인터넷 중독 집단의 중독점수, 자존감 및 자아효능감이 동일한 수준임을 확인하였고, 치료에 따른 변화를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게임중독 집단의 경우 자존감 향상 인지행동 치료를 받은 집단이 인지행동치료를 받은 집단에 비하여 자존감 및 자아효능감의 상승을 가져왔고, 인터넷 중독 집단의 경우 자존감 향상 인지행동치료를 받은 집단과 인지행동 치료를 받은집단간에 자존감과 자아효능감 상승의 차이가 없었다. 본 연구의 제한점 및 후속연구에 대한 제안 등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고등학생의 행동활성화/행동억제체계와 스마트폰 중독의 관계에서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매개효과

        권은아,조순화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24

        목적 본 연구는 고등학생의 행동활성화체계, 행동억제체계와 스마트폰 중독과의 관계에서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의 매개효과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방법 이를 위하여 J지역 내 남녀 고등학생 464명을 대상으로 한국판 BAS/BIS 척도, 청소년 스마트미디어 중독 자가진단 척도, 인지적 정서조절전략 척도(K-CERQ)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SPSS 22.0 Window용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상관분석, 중다회귀분석, Sobel Test를 실시하였다. 결과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주요 변인들 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행동활성화체계와 행동억제체계,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 스마트폰 중독 간에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둘째, 행동활성화체계와 행동억제체계, 부적응적인지적 정서조절 전략은 스마트폰 중독을 유의하게 설명하였다. 셋째, 행동활성화체계와 스마트폰 중독과의 관계에서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은 완전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행동억제체계와 스마트폰 중독과의 관계에서 부적응적 인지적정서조절 전략은 부분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의 결과는 최근 심각해지는 청소년의 스마트폰 중독 문제와 관련하여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의 매개효과를검증하였으며, 그 중요성을 부각시켰다. 또한, 개인의 기질적 취약성과 관련된 인지적 전략에 대한 청소년 상담 및 치료적 개입에있어서 유용한 정보를 제공한 것에 의의가 있다. Objectives This study suggests Behavioral Activation System(BAS), Behavioral Inhibition System(BIS), Mal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as the cause of Smartphone addiction and attempted to examine the correlation of these. Moreover, this study is to prove BAS and BIS affects Smartphone addiction through Mal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Methods The total of 464 high school students who are vulnerable to behavioral addiction participated in measuring Smartphone addiction using Korean version BAS/BIS,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Questionnaire(K-CERQ) and smartphone addiction self-diagnosis scales. Results First, BAS/BIS and Mal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and smartphone addiction showed significant proportional correlation. Second, BAS/BIS and Mal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explain clearly on the smartphone addiction. Last, Mal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fully mediates between BAS and smartphone addiction which means BAS respectively does not cause direct effect to smartphone addiction but causes indirect effects. Mal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partially mediates between BIS and smartphone addiction which means BIS respectively does not cause direct effect to smartphone addiction but causes indirect effects. The outcome of this study implies that the BIS directly affects smartphone addiction and also it affects indirectly through Mal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Conclus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verified the mediating effect of the mal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y in relation to the recent serious problem of smartphone addiction among adolescents, and highlighted its importance.

      • KCI등재

        행동중독 준거 기반 한국형 일중독 척도(Korean Work Addiction Scale: K-WAS)의 개발과 타당화 연구

        차운아(Oona Cha),이화령(Hwaryung Lee) 한국인사조직학회 2023 인사조직연구 Vol.31 No.1

        본 연구는 일중독을 행동중독의 일종으로 개념화하고 Griffiths(2005)가 제안한 행동중독 준거 6요인으로 구성된 한국형 일중독 척도(Korean Work Addiction Scale: K-WAS)의 개발·타당화를 목표로 하였다. 특히 행동중독 모형에 부합하는 요인별 다문항 측정도구를 개발하여 일중독을 행동중독 연구의 틀에 안착시킴으로써 향후 일중독과 과로, 장시간 노동으로 인한 문제와 부작용 해소의 길을 모색하고자 한다. 문항 개발에는 크게 두 가지의 원천, 즉 (1) 7종의 대표적인 기존 일중독 척도와 (2) 임금근로자 및 자영업자 대상 심층 면접과 개방형 설문조사를 통한 경험 수집을 활용하였으며, 행동중독 준거를 이용한 연역적 접근과 함께 경험 수집을 통한 귀납적 접근을 적용하여 해외에서 개발된 척도들이 포착하지 못한 한국 사회와 한국인의 일중독 특성에 다가가고자 하였다. 예비조사와 본조사를 거쳐 최종적으로 행동중독 6가지 준거, 즉 현저성, 기분조절, 내성, 갈등, 금단, 재발의 6요인에 대응되는 총 18문항의 K-WAS 척도를 제안하였다. 분석을 통해 6요인을 포함하는 위계적 2차 요인 모형이 좋은 적합도를 보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K-WAS 점수는 일에 대한 몰입을 나타내는 직무열의와 더불어 과도한 일로 인한 부정적 영향을 나타내는 번아웃, 직무소진과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였으며, 대체로 직무번영감, 삶의 만족도, 긍정 정서의 경험과는 약하거나 유의하지 않은 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중독의 이러한 특성은 번아웃이나 직무소진, 직무열의와 구분되는 특성을 보여준다. 또한 이들 변수와 K-WAS 하위 요인 점수별 상관은 일중독의 양가적 속성을 부각한다. 본 연구는 일중독 연구 및 척도에 대한 비판적 개관을 통해 기존 일중독 개념화와 측정도구의 문제를 지적하고, 일중독의 행동중독 개념화가 일중독 개념을 명세화하고 관련 연구를 통합하는 데 어떤 도움을 줄 수 있는지 논의한다. Conceptualizing work addiction as a form of behavioral addiction, this study attempts to develop and validate the Korean Work Addiction Scale or K-WAS based on Griffiths’ (2005) behavioral addiction criteria, i.e., salience, mood modification, tolerance, conflict, withdrawal, and relapse. The preliminary items for K-WAS were developed based on two main sources: (1) data from seven existing workaholism or work addiction scales (WorkBat, WorkBat-B&P, WorkBat-Han, WART, DUWAS, BWAS, and WAQ) and (2) data colle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and open-ended surveys from Korean workers (employees and self-employed) on their experiences with and related to work addiction. An 18-item K-WAS was derived as a result and analyses showed that the proposed hierarchical secondary factor model with six sub-factors has a good fit. In addition, K-WAS was found to have low to moderate positive correlations with work engagement and burnout but weak or nonsignificant correlations with thriving at work, job satisfaction, subjective well-being, and positive affect, demonstrating convergent and discriminant validity. Based on a critical review of extensive workaholism and work addiction studies and scales, this study provides suggestions for developing work addiction items and discusses the usefulness of applying the behavioral addiction framework in work addiction studies—i.e., how it can help refine the work addiction concept and its subdimensions and integrate relevant research. Further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are also discussed.

      • KCI등재

        청소년 통합여가행위중독의 다차원 개입전략 연구

        김민규,박수정 여가문화학회 2015 여가학연구 Vol.13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to develop a multidimensional intervention strategy of adolescents' integrated leisure behavioral addiction, which can promote right function of leisure activities to prevent leisure behavioral addiction and can suppress dysfunction of leisure activities to cure leisure behavioral addiction. To this end, literature research and delphi method research studies in total 5 times were conducted as follows; First, groups for multidimensional intervention strategy of adolescents' integrated leisure behavioral addiction were classified into 4 groups such as general participant group, leisure activities group, potential risk group, and leisure addiction group. Second, as for model framework for development of multidimensional intervention strategy of adolescents' integrated leisure behavioral addiction, population distribution type in an inverted triangle shape was decided. Third, multidimensional intervention strategy of adolescents' integrated leisure behavioral addiction is composed of promotive intervention strategy (prevention program education intervention and leisure continuance program education intervention) and suppressive intervention strategy (intensive prevention program education intervention and curing education intervention). Fourth, a service delivery system between private, public, and academic sector was made for development of multidimensional intervention strategy of adolescents' integrated leisure behavioral addiction. It was analyzed that role of public sector was development of policy, role of academic sector was cultivation of professional manpower, and role of cooperation between private, public, and academic sector was improvement of recognition. The outcome drawn from this study is believed to be much useful as basic data for extended study in relevant subsequent researches. 본 연구는 여가활동의 순기능을 촉진하여 여가행위중독을 예방하고, 역기능을 억제하여 여가행위중독을 치료할 수 있는 청소년 통합여가행위중독 다차원 개입전략을 개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문헌연구와 총 5회에 걸친 델파이 조사를 수행하였다. 첫째, 청소년 통합여가행위중독 다차원 개입전략을 위한 집단구분은 일반참여자군, 여가선용군, 잠재적위험군, 여가중독군 총 4개 집단으로 구분되었다. 둘째, 청소년 통합여가행위중독 다차원 개입전략 모형 개발을 위한 모형틀은 역삼각형 모양의 인구분포형으로 결정되었다. 셋째, 청소년 통합행위중독 다차원 개입전략은 촉진적 개입전략(예방프로그램교육 개입, 여가지속프로그램교육 개입)과 억제적 개입전략(집중예방프로그램교육 개입, 치료프로그램교육 개입)으로 구성되었다. 넷째, 청소년 통합여가행위중독 다차원 개입전략 개발을 위해 관·학·민 서비스 전달체계 개발하였다. 관의 역할은 정책개발을, 학의 역할은 연구개발을, 관학협력의 역할은 전문인력 양성을, 관학민협력의 역할은 인식개선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관련 후속연구들 간 연구 확장에 기초자료로 제공되어 그 활용가치가 높을 것으로 생각된다.

      • KCI우수등재

        행동중독의 이해를 위한 생리․심리적 균형 관점: 다미주이론(Polyvagal Theory)과 동기균형이론(Motivational Balancing Theory)을 중심으로

        신성만,박명준 한국심리학회 2018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Vol.37 No.4

        Recently, it has been found that the concept of addiction can be broadly applied from substance abuse to diverse areas of behavior and be relevant with the biological, psychological and social aspects so, models that already explained addiction behavior has a limitation in reflecting and explaining the facts that are mentioned above.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the polyvagal theory and motivational balancing theory in order to explain behavioral addiction in a biopsychological balancing perspective. Specifically, it explained that the continuous increase of the stress and the efforts of the relieving it can affect the deterioration and maintenance of addictive behavior based on the polyvagal theory. Also, it described how the imbalance of human’s basic needs such as autonomy, relatedness, competence and sense of goal can be related with the addiction behavior based on the motivational balancing theory. To sum up, perspective and specific model are suggested that when the addictive behavior is executed in order to achieve a short-term motivational balance, the allostatic load of the individual does not decrease, and thus the need for psychological motivation balance increases, which in turn leads to behavioral addiction. Finally, based on the physio-psychological balancing perspective on behavioral addiction study suggests the needs for the intervention that covers the biological, psychological and social aspects in clinical and counseling circumstances. 최근 중독의 개념이 물질에서부터 다양한 행동영역으로 확대되고 생물․심리․사회적 측면과 통합적으로 관련되어 있는 것으로 밝혀지면서 기존에 중독을 설명해 왔던 모델들만으로는 이를 충분히 반영하고 설명하는 데 제한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행동중독을 생리․심리적 균형 관점으로 설명하기 위해 다미주이론(polyvagal theory)과 동기균형이론(motivational balancing theory)을 중심으로 다양한 문헌을 고찰하고 종합하여 제시하였다. 먼저, 다미주이론(polyvagal theory)으로 스트레스의 지속적인 증가와 이를 해소하기 위한 노력이 중독행동의 심화와 유지에 어떻게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 살펴보았다. 다음으로는, 동기균형이론(motivational balancing theory)으로 인간의 기본동기인 자율감, 소속감, 유능감, 목표감의 불균형이 어떻게 중독행동과 연결될 수 있는지 설명하였다. 이를 종합하여 본 연구에서는 단기적인 동기균형을 성취하기 위해 중독가능성이 높은 행동을 실행하였을 때 개인의 알로스타시스적 부하량(allostatic load)이 감소하지 않아 다시 심리적 동기균형의 필요가 증가하고 이 균형을 되찾고자 하는 역기능적 시도가 행동중독과 같은 악순환으로 이어지게 된다는 관점 및 구체적 모델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행동중독에 대한 생리․심리적 균형 관점을 바탕으로 임상 및 상담현장에서 생물․심리․사회적 측면을 포괄하는 개입이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 KCI우수등재

        행위중독에 대한 사회적 낙인과정

        박근우(Park, Keun Woo),서미경(Seo, Mi Kyung) 한국사회복지학회 2017 한국사회복지학 Vol.69 No.3

        본 연구는 사회적 낙인이 행위중독의 치료를 방해하는 주요 요인이라는 전제하에 행위중독에 대한 사회적 낙인과정을 검증하여 반낙인 전략을 제안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모형은 정신장애에 대한 대중의 정서적, 행동적 반응을 설명하는 데 매우 유용하게 활용되는 귀인정서이론과 수정된 귀인정서이론을 적용하여 구성하였다. 즉, 행위중독의 원인을 성격이나 의지, 생활습관 등 개인적으로 통제 가능한 것으로 귀인할 경우 분노를 매개로 사회적 거리감이 증가될 수 있다. 그러나 행위중독의 원인을 개인이 통제할 수 없는 생물학적 요인으로 귀인할 경우 동정을 매개로 돕는 행동이 나타나거나(귀인정서이론), 오히려 위험하다는 인식으로 인해 두려움이 증가하여 사회적 거리감이 가중되는(수정된 귀인정서이론) 두 가지 경로가 존재할 수 있다. 연구모형 검증을 위해 경상남도의 성인 383명을 대상으로 도박중독과 인터넷 게임중독의 모의 사례를 무작위로 제시하고 사례가 보이는 문제의 원인, 그들에 대한 정서적, 행동적 반응을 질문하였다. 그 결과 모든 경로가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예측력을 가졌다. 따라서 개인적 원인으로 귀인할 경우 분노를 매개로 사회적 거리감이 증가하였다. 생물학적 원인으로 귀인할 경우 두 경로 모두 의미 있는 예측력을 가졌으나 동정을 매개로 돕는 행동을 예측하는 경로의 간접효과가 더 컸다. 이러한 결과에 따라 연구자들은 행위중독이 치료가 필요한 정신건강의 문제임을 강조하는 반낙인 전략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opose anti-stigma strategies by verifying the social stigma on behavioral addiction under the premise that social stigma is a main obstacle to the treatment of addiction. A research model was constructed by applying the attribution affection theory and the modified attribution affection theory, which are very useful for explaining emotional and behavioral responses to the persons with mental illness. In other words, when attributing the causes of behavioral addiction to the personally controllable things such as personality, will and lifestyle, social distance can be increased by the mediate of anger. However, when attributing the causes of behavioral addiction to biological factors that can not be controlled by an individual, there can exist two pathway, one is the arising of helping behaviors by the mediate of sympathy (the attribution affection theory), and the other is the aggravation in the social distance due to rising fear (the modified attribution affection theory). In order to verify the research model, 383 adult subjects mainly in South Gyeongsang Province were randomly presented with the vignettes of gambling addiction and internet game addiction, and asked about the causes of the problems and their emotional, prejudicial, and behavioral responses to them. As a result, all pathway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predictive effect. Therefore, in the case of attributing to personal causes, social distance increased by the mediate of anger. In the case of attributing to biological causes, both pathway had significant predictive effect, but the indirect effect of the pathway predictive of the helping behavior by the mediate of sympathy was greater. Researchers suggested that anti-stigma strategies, which emphasize that behavioral addiction is a mental health problem requiring treatment, are necessary.

      • KCI등재

        초등학교 5․6학년 학생의 인터넷 중독과 스트레스 대처행동과의 관계

        고명희 (Meoung Hee Ko),조복희 (Bok Hee Cho) 韓國學校保健學會 2006 韓國學校保健學會誌 Vol.19 No.1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net addiction and stress copingbehaviors among the 5th․6th graders Methods : there were 609 5th․6th graders from 13 school located in Jeongeup city and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June 1-10, 2004. Research instrument to test internet addiction was 4-points summated scale composed of 20-items and the instrument to examine stress coping behaviors was also 4-points summated scale composed of 30-items. The data was analyzed by frequency, percentage, χ2-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PC 10.0. Results :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The degree of internet addiction were 2.4% of addiction, 36.5% of addiction tendency and 61.1% of non-addiction. 2. In the relation between the degree of internet addiction and subscale stress coping behaviors, Internet addiction ha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to the passive-avoiding coping (r= .202, p= .000) and aggressive coping(r= .233, p= .000).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that the most powerful predictor of internet addiction was passive-avoiding coping. Aggressive coping and active coping had significant effects on internet addiction. These predictive variables of internet addiction explained 10.2% of variance. Conclusion : From the above findings, the authors concluded that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program for prevention of the internet addiction and education of stress coping behaviors can be recommended for prevention of the internet addiction.

      • KCI등재

        행동활성화체계와 행동억제체계(BAS/BIS)가 인터넷 게임중독자의 비합리적 의사결정에 미치는 영향

        김혜미,김소연,장문선 한국건강심리학회 2013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Vol.18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difference in decision-making ability in the internet game addict. In addition, we evaluated the behavioral activation system and behavioral inhibition system on Iowa Gambling Task (IGT) performance was evaluated. We recruited 613 undergraduate students for participation in this study. They were asked to complete the questionnaires concerned with the Internet game addiction, and selected 30 in the ‘internet game addiction group' and 31 in 'control group'. The students performed the IGT and completed the Behavioral Activation System/Behavioral Inhibition System (BAS/BIS) scale. The results showed that the Internet game addiction group performed poorly on the IGT. Internet game addiction group did not improve their chosen behaviors over time, whereas the control group showed a learning effect. The behavioral activation system and behavioral inhibition system had no impact on the IGT performance on those determined to be internet addicts. Finally, the limitations and suggestion for further research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인터넷 중독의 하위 유형 중 인터넷 게임중독에 초점을 맞추어 게임중독자들의 의사결정능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그리고 행동활성화체계 및 행동억제체계(BAS/BIS)가 인터넷 게임중독자의 의사결정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613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인터넷 게임중독 척도를 실시하여 ‘인터넷 게임중독 집단’에 해당하는 30명과 ‘정상 집단’에 해당하는 31명을 선별하였고, 실험실에서 전산화된 아이오와 도박 과제(IGT), 행동활성화 및 행동억제체계 척도(BAS/BIS)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인터넷 게임중독 집단은 정상 집단보다 아이오와 도박과제에서 저조한 수행을 보여 비합리적 의사결정을 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둘째, 인터넷 중독 집단은 행동활성화체계 및 행동억제체계(BAS/BIS)의 민감성과 관계없이 비합리적 의사결정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 및 추후 연구를 위한 제언이 논의되었다.

      • KCI등재

        청소년 인터넷 중독 성향과 관련된 사회 인구학적 특성과 정서 및 행동상의 요인

        김남희,신윤미,조선미,이영문,임기영,정영기,김수권,최지순 大韓神經精神醫學會 2008 신경정신의학 Vol.47 No.4

        Objectives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 of internet addiction to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emotional and behavioral problems of adolescents in Korea. Methods : We assessed 1432 middle school students in the city of Osan, Korea. We administered a self-reported questionnaire including sociodemographic data, Korean versions of lnternet Addiction Scale (K-IAS) and Youth Self Report (K-YSR). All the students were divided into 3 groups (internet addiction group, overuser group and normal control group) according to the scores of K-IAS. Chi-square and one-way ANOVA were used to compare the 3 groups. After the correlations among each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emotional and behavioral problems were performed,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predictable factors of internet addiction tendency. Results :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3 groups in the gender, age, cigarette smoking, alcohol use and the age of initial internet use. The addiction group (K-IAS≥70, N=32) had significantly higher rate of males, older students, cigarette smoking, alcohol use and earlier starting age of internet use than the control group (K-IAS <40, N=881). And the mean scores of all scales except somatic complaints subscale of K-YSR showed in the order of addiction group, overuser group, than control group. In the somatic complaints subscale, addiction group had significantly higher mean scores than other 2 groups but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overuser group and control group.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attention problems, male, delinquent behavior, aggressive behavior, withdrawn and the age of initial internet use could explain 29.6% of internet addiction tendency. Conclusion :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the earlier familial education and environmental intervention of internet use would be helpfu1 to prevent internet addiction. Attention problems, male and delinquent behavior, aggressive behavior and withdrawn were predictable factors of internet addiction, and this is well compatible with more male prevalence in ADHD and disruptive behavior disorders. This suggested that the intervention focused on the gender difference to prevent and treat internet addiction could be effective.

      • 연쇄살인범의 살인중독에 관한 연구

        고병천 한국중독범죄학회 2014 한국중독범죄학회보 Vol.4 No.2

        현대인은 누구나 중독의 경향이 있다. 좋은 의미의 중독도 문제가 되겠지만 사람의 생명을 빼앗는 살인도 중독에 걸리면 도저히 살인을 하고 못 배기는 것이 살인중독 이다. 서설에서는 연구목적과 연구범위 및 연구방법을 제시하였다. 그 다음에 연쇄살인에 대해서 논하였다. 연쇄살인을 논한 이유는 연쇄살인은 다소 습관성이나 중독성이 있을 수 있고 연쇄살인자 상당수가 살인중독에 빠져 있기 때문 이다. 중독에는 물질중독과 행동중독이 있는데 살인중독은 행동중독의 한 유형이다. 살인 중독의 의의, 살인중독의 실태, 살인중독의 원인, 살인중독에 이르는 과정, 살인중독의 결과를 기술하였다. 모든 살인중독자가 반드시 같지는 않겠지만 일정한 유형의 살인 중독에 이르는 과정이 있다고 제시하였다. 어느 중독이나 하루아침에 중독에 빠지는 것은 없다. 습관적 반복적으로 하다 보니 이제는 그것이 없으면 견딜 수 없게 되는 것이며 그 상태가 바로 중독이다. 살인중독 도 장기간에 걸쳐 반복 실행하게 되면 살인을 하지 않을 수 없게 되는 것이며 살인중 독은 대체로 주저단계(갈등단계), 두려움과 후회단계, 중화(합리화)단계, 둔감화(무감 각)단계, 희열단계, 중독단계 및 휴지단계를 거친다고 제시하였다. 살인중독은 사회에 커다란 반향과 손실을 초래하므로 살인중독을 막고 피해를 예방하기 위한 적절한 대 책이 필요할 것이다. Contemporary men tend to be addicted to any substance or behavior. Addiction, in a good sense, have many problems, but it is still worse when any person who is a serial murderer is addicted to killing people without aim and indiscriminately. Murder addiction is a compulsion to kill any person. In introduction, I proposed my goals, coverage and methods of my study. I then explained serial murder in detail. The reason why I stated it is that serial murder is habitual and addictive and some of serial murders have e\been addicted to killing people. There are two types of addiction, that is to say, substance addiction and behavioral addiction. Murder addiction is a form of behavioral addiction. I expounded on the definition, phenomena, causes of murder addiction. Furthermore, I went on to the staged leading to murder addiction and its consequences. Nobody has become addicted to murder addiction in a day or two. By repeating them habitually, they come to be addicted to any behavior or substance. Addiction is a compulsion to do something. The stages of murder addiction are hesitation stage, fear and repentance stage, naturalization or rationalization stage, desensitization or insensitivity stage, jubilation stage, intoxication stage and cessation stage. We all make efforts to prevent murderers from being addicted to killing and reduce damaged from any crim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