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구강본 여가문화학회 2014 여가학연구 Vol.12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functions of sport tourism by investigating the system of symbols seen in the contents of leisure culture. 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the following steps were conducted. First, the study reviewed the systems of leisure culture contents. Second, the common symbolic code between leisure culture and sport tourism were explored. Third, a possible way for leisure culture to be sport tourism was provided. Finally, the direction for generating a link between leisure culture and sport tourism was addressed based on the aspect of leisure culture that might be accepted in sport tourism. The study summarized the six systems of symbols, and the five common code between leisure culture and sport tourism were identified. The functions of sport tourism were identified in the six areas: time consumating, the facility and space of urban context, program, cultural code, and industrial level. When the contents of sport tourism are actively developed, abundant leisure culture can be co-existed. It is understood in a way that these two areas might be demanded to generate scholastic convergence. 이 연구는 여가문화 콘텐츠의 기호체계를 탐색하고, 공통코드를 찾아 여가 문화 콘텐츠로서 스포츠관광의 가능성을 밝히는 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첫째, 여가문화 콘텐츠의 기호체계를 살펴보았다. 둘째, 여가문화 콘텐츠와 스포츠관광의 공통 코드를 탐색하였다. 셋째, 여가문화 콘텐츠로서 스포츠관광의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이와 같은 세 가지의 연구문제에 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여가문화 콘텐츠의 기호체계에서는 시간적 기호체계, 공간적 기호체계, 시각적 기호체계, 체험적 기호체계, 제도적 기호체계, 상업적 기호 체계로 구분하여 제시하였다. 여섯 가지의 기호체계는 여가소비를 지속적으로 할 수 있는 지배적인 구조의 체계인 것이다. 또한 문화적 환경의 변화에 따라 기호체계를 범주화하여 제시하였다. 둘째, 여가문화 콘텐츠와 스포츠관광의 공통코드를 탐색한 결과 수단적 코드, 체험교육 코드, 영속성 코드, 공익적 복지 코드, 상업적 코드를 제시하였다. 해석된 기호체계를 바탕으로 여가문화와 스포츠관광의 소통체계와 공통성을 찾고자한 결과이다. 콘텐츠로서의 가능성을 예측하기 위하여 공통된 기호체계를 제시하는 것은 필수적 과제이기 때문이다. 셋째, 여가문화콘텐츠로서 스포츠관광의 가능성을 탐색한 결과 시간소비 지향적 콘텐츠, 도구적 차원의 시설과 공간의 콘텐츠, 프로그램의 가치지향 콘텐츠, 문화코드 지향 콘텐츠, 경제적 측면의 산업적 콘텐츠로 제시하였다. 수용자의 입장에서 여가문화 콘텐츠는 스포츠관광의 지향점을 공유하고 있다는 측면에서 결과를 제시하였다. 이러한 결과 여가문화 콘텐츠로서의 스포츠관광은 충분한 역할과 형태적인 요소를 지니고 있다는 것이다. 스포츠관광의 콘텐츠가 활성화 될수록 여가문화의 풍요로움도 공존될 수 있다는 결과는 상호간의 융합된 학문적 시도를 요구하고 있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송철재,박근화 여가문화학회 2015 여가학연구 Vol.13 No.4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firstly, to fathom the level of recreational activities in Korea in coherent cross-national comparison of expenditures for such activities, and secondly, to provide basic numerical information necessary for policies and researches related to recreational activities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structure of expenditure. First of all, the System of National Accounts was examined, and then the range and calculation of expenses for recreational and cultural activities were defined. In combination of the scales of governmental and household expenditures, the level and structure of expenses for recreational and cultural activities were comparatively analyzed. As a result of this research, it turned out that the level of expenditure for recreational and cultural activities in Korea was lower than the average among OECD member countries. In particular, the level of expenditure of the Korean government was in the lower ranks among OECD member countries. In fact, the household expenditure for recreational and cultural activities was not quite different from the average among OECD member countries, but the general level of expenditure of Korea remained in the lower ranks among the countries because governmental support for recreational and cultural activities was at a comparatively low level among OECD members. To increase the level of expenditure for recreational and cultural activities, first of all, the direction of related policies needs to be established, and a variety of ways to reduce working hours and enhance the quality of life also need to be sought. 본 연구의 목적은 1차적으로 여가 관련 지출수준의 정합성 있는 국제비교를 통해 우리나라의 여가수준을 상대적으로 가늠해보고, 2차적으로는 여가부분 지출구조를 분석하여 여가 관련 정책수립 및 관련연구에 등에 필요한 기초적인 수치적 정보를 제공하는데 있다. 먼저, 국민계정체계(System of National Accounts)를 검토한 후, 여가문화비 지출범주 및 산출방법을 정의하였고, 정부지출과 가계지출의 지출 규모를 결합하여 여가문화비 지출수준 및 구조를 비교·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우리나라의 여가문화비 지출수준은 OECD 평균과 비교시 낮은 국가에 속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정부의 여가문화비 지출수준이 OECD 국가와 비교시 하위권인 것으로 분석됐다. 가계가 지출하는 여가문화비가 OECD 평균과 크게 차이가 나지 않음에도 우리나라 전체 여가문화비지출 수준이 OECD 국가 중 하위권에 머물고 있는 것은, 정부에 의한 여가문화비 지원이 OECD 국가 중 낮은 수준에 머물러 있기 때문으로 확인됐다. 여가문화비 지출수준을 높이기 위해서는 정부의 여가문화비 지출을 높일 수 있는 정책 방향 설정이 필요하며, 근로자의 노동시간을 줄이고 삶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방안을 다각적으로 모색할 필요가 있다.
한국적 문화자본의 지형으로서의 청소년 여가 연구를 위한 예비적 고찰 : 중학교 2학년 학생들의 평일과 휴일의 여가활동유형 분석을 중심으로
최샛별 한국여가문화학회 2006 여가학연구 Vol.4 No.2
이 연구는 최근 들어 새롭게 관심이 고조되고 있는 한국사회 문화자본 지형에 대한 기초적 연구의 주요 분야로 청소년들의 여가에 초점을 맞추고 한국문화자본의 문법과 지형으로 읽어낼 것을 주장한다. 이를 위한 기초 단계로 한국청소년개발원이 2004년 중학교 2학년생 3449명을 대상으로 수집한 패널자료 중 평일과 휴일에 가장 많이 하는 여가활동의 유형과 계층관련 변수들 간의 관계를 Bourdieu의 분석도구였던 대응분석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대중매체관련 여가활동, 컴퓨터관련 여가활동, 문화관련 여가활동, 스포츠관련 여가활동, 종교관련 여가활동, 일탈적 여가활동, 기타 여가활동이라는 7개의 범주의 여가활동 유형과 학생 아버지의 직업, 부모의 학력, 그리고 소득수준이라는 계층변수들과의 관계는 비교적 일관적이다. 상층에 속한 청소년의 경우는 문화관련 여가활동과, 중층의 경우 대중매체, 컴퓨터관련 여가활동과 관계가 높은 것으로 그리고 하층의 경우에는 특별하게 관련성을 보이는 여가활동의 유형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기존의 서구를 대상으로 한 문화자본연구 결과와 유사한 측면이 많으나 시대적 특성이라고 할 수 있는 대중매체관련 여가활동과 한국사회의 특수성이 반영된 컴퓨터관련 여가활동이 앞으로의 한국적 문화자본의 연구에 중요하게 고려돼야함을 함의한다.
문화자원봉사 참여 대학생의 여가만족과 삶의 질의 관계에서 진지한 여가의 조절효과
이유진(Lee, Yujin),황선환(Hwang, Sunhwan) 한국여가문화학회 2021 여가학연구 Vol.19 No.3
진지한 여가로서 문화자원봉사 참여는 대학생들의 여가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고, 성공적인 사회진입에 기여할 수 있는 새로운 접근방법이다. 진지한 여가는 보다 고차원의 여가활동 참여를 통해 개인적 보상과 사회적 보상을 받게 되며, 이에 따른 만족도가 높아지고, 삶의 질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다수의 연구에서 보고하고 있다. 그러나 여가만족과 삶의 질의 관계에서 실질적으로 진지한 여가가 어떠한 조절효과를 나타내는지에 대한 연구는 미비하다. 따라서 이 연구는 문화자원봉사에 참여하는 대학생의 여가만족이 삶의 질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고, 진지한 여가는 어떠한 조절효과가 있는지 규명함으로써 대학생들의 삶의 의미를 재조명해보고, 건강한 여가문화를 강구하는데 이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 연구는 서울과 경기지역의 대학생과 서울 시민청에서 문화자원봉사활동에 참여하는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목적표집법을 활용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유효한 자료 402부를 실증분석에 활용하였다. SPSS 27.0 version을 활용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분석, 신뢰도분석, 상관관계분석, process macro 3.4 ver. Model 1번을 실행하였다. 연구결과, 문화여가자원봉사 참여 대학생의 여가만족은 삶의 질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나, 진지한 여가는 삶의 질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가만족과 삶의 질의 관계에서 진지한 여가는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진지한 여가의 전 영역에서 여가만족은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며, 진지한 여가가 조절변인으로 큰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문화자원봉사는 대학생들에게 삶을 보다 가치 있고 의미 있게 만들어 주는 고귀한 여가문화이다. 대학생들이 진지한 여가로서 문화자원봉사 참여를 통해 더불어 사는 삶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건강한 여가문화를 확산시켜 안녕한 사회 풍토가 조성되어야 할 것이다. As a serious leisure, participation in cultural volunteer activities is a new approach that can positively affect college students leisure and contribute to successful social advancem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how leisure satisfaction affects quality of life of college students participating in cultural volunteer activities. Thus, it is possible to shed light on the meaning of college students lives by identifying the effects of serious leisure.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college students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and college students participating in cultural volunteer activities sponsored by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and 402 copies of valid data were used for the analyses.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process macro 3.4 version Model 1 were performed using SPSS 27.0 version. The leisure satisfaction of cultural leisure volunteers had a positive impact on quality of life, but serious leisure did not directly affect quality of lif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leisure satisfaction and quality of life, serious leisure had a moderation effect, and leisure satisfaction positively affected quality of life in all areas of serious leisure. Cultural volunteer activity could be a noble leisure culture that makes life more valuable and meaningful to college students. Participating in cultural volunteer activities as a serious leisure activity is expected to spread a healthy leisure culture and move toward a good society.
김영순,신규리 한국여가문화학회 2007 여가학연구 Vol.5 No.1
여가를 중시하는 시대적 요구에 따라 한국은 시민들에게 틀에 박힌 정형화된 여가를 수동적으로 수혈 받는 수혜자가 아닌, 능동적 여가 창조자로서의 역할을 감당할 수 있도록 하는 정책적 검토가 필요한 때이다. 즉 여가인식, 여가교육, 여가활용, 여가소비, 여가권리 등 시민들의 올바른 여가의 향유를 위한 문제들에 대해 정부 차원에서의 총체적 진단과 이러한 진단을 통한 제반여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이제 정부는 국민의 기본권으로서의 ‘여가권(leisure right)’을 가능케 하는 조건을 여가정책을 통해 만들어 주어야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참여정부 ‘문화비전’에 드러난 여가에 관한 정책의 기본 방향과 현재 수행되고 있는 여가문화정책을 살펴봄으로써 도출된 문제점과 이에 대한 대안으로서 향후 여가정책의 방향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 연구를 통해 독립적인 하나의 정책영역으로 다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여가정책, 여가의 개념 난립으로 인한 여가의 정책적 범위설정의 어려움, 정책 평가시스템의 부재 등이 문제점으로 제기되었으며, 향후 여가정책 방향에 대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1) 문화경영학 프로세스 도입을 통한 여가정책의 집행내용 평가, 2) 건전한 여가문화 형성을 위한 법적.제도적 정비 작업, 3) 여가정책의 정책적 범위에 대한 재 포지셔닝 작업, 4) 정부차원의 문화정책의 기조방향과 실제 수행되는 여가정책간의 조응성 도출, 5) 정부부처에 산재해 있는 여가정책을 통합 운영할 수 있는 정책 연구 및 수행 기관 설치 등이다.
여가인프라 조성방안에 관한 연구: 서울시 구로구 권역별 사례를 중심으로
김정운,신규리,오세숙 여가문화학회 2009 여가학연구 Vol.6 No.3
본 연구의 목적은 구로구의 4개 권역별로 구민들의 여가인프라 수요(월 평균 이용횟수, 월 평균 참여횟수) 및 향후 구로구내 여가시설 및 프로그램 도입 필요성 인식정도를 살펴봄으로써, 2015년까지 “모든 구민이 행복한 디지털 여가 구로 건설”을 목표로 하는 구로구의 권역별 여가정책 방향(여가인프라 부문 및 여가프로그램 부문)을 제안하는 것이다. 본 연구를 통해 제안되는 여가인프라 조성 전략들은 향후 구의 지역 여가산업 발전과 구민들의 여가문화생활 증진에 기여할 것이다. 이를 통해 구로구는 디지털 단지, 친환경시설과 주택, 복지, 여가, 문화시설을 갖춘 여가도시로 탈바꿈할 것이며, 한국의 대표적 여가도시의 하나로서 새로운 브랜드 파워를 구축할 수 있을 것이다. In this study, the required leisure infrastructure and actual using in four districts of Guro-Gu and, Seoul was investigated. The results of the studies would be able to suggest the direction of leisure policies in related to leisure infrastructure and programs in four districts of Guro-Gu in order to accomplish the aim of Guro-Gu, making every people in Guro-Gu pleased with digital leisure life. It can be expected that the created strategies of leisure infrastructure through this research will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leisure industries and the improvement of leisure life in Guro-Gu. Moreover, those of the strategies can make it promising that Guro-Gu would be transformed to leisure town equipped with digital industry complex, environmentally friendly facilities, as well as housing, welfare and cultural facilities, making Guro-Gu a representative leisure town in Korea with new brand power.
한국사회의 여가 지형도: 평일과 휴일의 여가활동 분석을 중심으로
김수정,이명진,최샛별 여가문화학회 2012 여가학연구 Vol.10 No.2
본 연구는 성, 연령, 교육수준, 가구소득, 가구계층 등 개인을 특징짓는 다양한 인구사회학적 변수들과 이에 상응하는 상이한 여가활동들의 분포를 그려내어 한국 사회의 여가 지형 구조를 시각화하고, 한국 상황에 맞는 구별짓기의 경계들을 밝혀내어 부르디외 이론의 한국적 적합성을 검증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2011년 <문화 생산과 소비의 지평: 문화자본에 관한 경제사회학적 접근> 연구단이 실시한 ‘문화자본에 대한 인식 및 실태조사’자료 중 평일과 휴일 여가 시간에 주로 하는 활동에 대한 문항들을 교차분석과, 부르디외가 「구별짓기」(1984)에서 계급과 문화취향 간 상응성을 발견하는데 사용했던 대응분석의 발전된 기법인 중다대응분석(Multiple Correspondence Analysis)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평일과 휴일의 주요 여가활동유형은 한편으로 연령이라는 축에 따라 20-30대의 여가, 40-50대의 여가, 60대 이상의 여가로 구분되고, 또 다른 한편으로는 교육수준과 가구계층을 포괄하는 계층이라는 축에 따라 상층의 여가와 중층의 여가, 그리고 하층의 여가로 구분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개인의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여가활동 간 강한 상응성이 존재함을 발견한 본 연구는, 이 같은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한국 사회의 여가 지형 구조가 ‘연령’이라는 경계에 따라 청·장년 세대 여가, 중년 세대 여가, 노년 세대 여가로, 그리고 ‘계급’이라는 경계에 따라 상층여가와 중층여가, 하층여가로 구획화 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This study aims to visualize topography of leisure activities in Korean society through exploring how common leisure activities differ by socio-demographic attributes such as gender, age, educational attainment, family income and class. The study also seeks to identify boundaries of ‘distinction’ in Korean situation and verify appropriateness of applying Bourdieu’s theory to Korean society. For the purposes above, the study analyzes data on leisure activities on weekdays and holidays from ‘A Survey on Perception and Actual Conditions of Cultural Capital’ conducted by a research group named <Social Landscape of Cultural Production and Consumption: A Socioeconomic Approach to Cultural Capital>. The data is statistically analyzed with ‘Cross-tab Analysis’ and ‘Multiple Correspondence Analysis(MCA),’ an advanced version of ‘Correspondence Analysis(CA)’ which Bourdieu used to demonstrate the correlation between class and cultural taste in his book Distinction (1984). The result shows that the leisure activity types are divided into 20-30’s leisure, 40-50’s leisure, and 60’s leisure along with one axis of ‘age’, and into upper class leisure, middle class leisure, and lower class leisure along with another axis of ‘class’ including educational attainment and family class. The study, which reveals that there is a powerful correspondence between individual’s socio-demographic attributes and his/her common leisure activities, suggests that topography of leisure activities in Korea can be sectionalized into younger generation leisure, middle generation leisure, and older generation leisure according to ‘generation’, and into upper class leisure, middle class leisure and lower class leisure according to ‘class.’
윤소영,김현 여가문화학회 2014 여가학연구 Vol.12 No.2
This study is based on the recognition that it is necessary to cultivate specialized manpower who is to manage and operate leisure service in accordance with social, demand and supply request for leisure. It is necessary to cultivate specialized manpower who is to manage and operate in the consolidated area including delivery of information on leisure service, finding demand, finding regional resource and monitoring, program development and inducement of participation, construction and connection of network for beneficiary. It is also necessary to fully consider specialized manpower of leisure service in order to create positive effect, to find/expand constant demand of inhabitants after introducing the demonstrative project cultivating specialized manpower of welfare. In connection with same, it is necessary to cultivate specialized manpower of leisure service who is to constantly encourage regional inhabitants for leisure activity & to activate the development of regional leisure. Thus, it is required to introduce qualification system.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role and necessity of delivery system that is to professionally support leisure service for qualitative improvement and activation of people's leisure activity and to establish the basic direction for introduction of qualification system of specialized manpower that can be operated systematically in order to present the policy direction for introduction of qualification system. This study presented the role and method of leisure-related qualification as nationally licensed qualification. It suggested, first, the method to provide related lecture to students majoring in leisure in the university, second, the method to grant qualification by enforcing career acknowledgment system through supplementary education of experts on the site, third, the method to ensure quality control of qualification system. Since objective of introduction of such qualification system is qualitative growth of people's leisure service, this study should contribute to ultimately heighten the happiness index of people by providing demanders with desired leisure service and heightening satisfaction in life. 본 연구는 여가에 대한 사회적·수요적·공급적 요구에 따라 여가서비스를 관리하고 운영할 전문 인력의 양성이 필요하다는 인식에서 출발한다. 수혜자를 위해 여가서비스의 정보의 전달, 수요 발굴, 지역자원 발굴 및 모니터링, 프로그램 개발과 참여유도, 네트워크 구축과 연계 등 통합적인 영역에서 관리 운영할 전문 인력의 양성이 필요하며, 복지 전문 인력 양성 시범사업의 도입 후, 긍정적인 효과 창출, 지속적인 주민의 수요도를 발견하여 이를 확대하는 차원에서의 여가서비스 전문 인력의 본격적인 검토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이와 연계하여 지속적으로 지역 주민의 여가활동을 장려하고 지역의 여가발전을 활성화시킬 수 있는 여가서비스 전문 인력의 필요성이 제기되며, 이에 자격제도 도입이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민들의 여가활동의 질적 향상과 활성화를 위해 여가서비스를 전문적으로 지원할 전달체계의 역할과 필요성을 제시하고, 체계적인 운영이 가능한 전문인력의 자격제도의 도입을 위한 기본방향을 설정하여 자격제도의 도입을 위한 정책적 방향을 제시하는데 본 연구의 목적이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여가 관련 자격증의 국가공인 자격증으로서의 역할과 방안 등을 제시하였다. 첫째, 대학의 여가관련 전공학생들에게 관련 수업을 이수하는 방법, 둘째, 현장전문가들의 보수교육을 통하여 경력인정제를 시행하여 자격증을 부여하는 방법, 셋째, 검증시험을 실시하여 자격제도의 질 관리를 보장하는 방법 등에 대해서 제안하였다. 이러한 자격증 제도의 도입은 국민의 여가서비스의 질적인 성장이 목표인 만큼 수요자가 원하는 여가서비스를 제공하고 삶의 만족도를 높여 궁극적으로 국민의 행복지수를 높이는데 기여하여야 한다.
손영미,오세숙 여가문화학회 2012 여가학연구 Vol.10 No.1
According as the number of immigrants has dramatically increased since last 10years, immigrants' acculturation has become a matter of great importance to Korean society. This study reviews theories on acculturation in leisure studies, specifically marginality vs ethnicity theory, assimilation theory and it's extended models, Berry's box and it's extended models, and cross-cultural vs cultural perspectives on acculturation research. Moreover, It also examines domestic research trend for some aspects such as the number of publishing articles a year, major issues and theories applied to domestic studies, methodology and employees. Finally, some kinds of suggestion for domestic studies in the near future are discussed. 이주민의 수가 급증하고, 다문화사회로 변화되고 있는 상황에서, 국내 체류 이주민의 문화적응은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한 주제가 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필요성을 바탕으로 여가학 분야에서의 문화적응 이론 및 관련 연구들을 개괄적으로 살펴보았다. 그리고 국내 연구동향을 살펴봄으로써 앞으로의 연구를 위한 몇 가지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구체적으로, 문화적응에 대한 주요 여가연구이론으로 1960~70년대의 주요 이론인 사회경제적 소외이론과 민족하위문화이론을 살펴보았다. 동화이론과 확장모델, Berry의 문화적응이론과 확장모델, 그리고 비교문화심리학적 접근의 문화적응연구에 대한 한계 등에 대해 살펴보았다. 그리고 여가와 문화적응에 관한 국내 연구동향을 1) 연도별 논문발간 현황, 2) 주요 연구주제 및 적용이론, 3) 연구방법론, 4) 연구대상자 등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결론에서는 향후 여가연구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여가연구의 사회과학적 방법론 모색: 이념형적 여가유형을 중심으로
박선권 여가문화학회 2008 여가학연구 Vol.6 No.1
This article is about typology of leisure. Generally speaking, most studies on types of leisure are merely kinds of taxonomy. Many researchers have tried to accumulate facts, test their reliability and sort them into identifiable patterns. Nevertheless, such types are like pre-Darwinian orderings of the biological universe in terms of phenotypic characteristics. As a result, objectivism, subjectivism and careless mixing of both have prevailed in leisure studies. Therefore this article is aim to construct types of leisure to sublate those problems. Here, I suggest four ideal types of leisure that are reconstructed according to Max Weber's principles of ideal type: acquisitive, consumptive, escape and degenerative. 이 논문은 여가의 유형에 대한 연구이다. 여가유형에 대한 기존의 연구들은 일종의 분류학에 기초해 있다. 그것들은 사실들의 축적, 신뢰성의 검증, 동일시될 수 있는 패턴들로 분류하는 방식을 따르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유형화는 형질적 특징들의 측면에서 생물학적 우주를 전다윈주의적으로 배열하는 것과 다르지 않다. 결과적으로 객관주의, 주관주의 그리고 두 가지의 조야한 혼용이 여가연구를 지배해 왔다. 이 논문의 목표는 그와 같은 문제들을 지양하면서 여가유형들을 구성하는 데에 있다. 여기에서 필자는 이념형에 대한 막스 베버의 원칙들을 따라 재구성된 여가의 네 가지 유형들, 즉 획득형, 소비형, 탈출형, 퇴행형을 제시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