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BASA 체결이 항공산업체에 미치는 영향 및 경제성효과분석

        박진우 ( Jin Woo Park ),허희영 ( Hee Young Hur ),서해종 ( Hae Jong Seo ) 한국항공경영학회 2008 한국항공경영학회 춘계학술대회 Vol.2008 No.-

        본 연구는 우리나라와 미국과의 상호항공안전협정(BASA, Bilateral Aviation Safety Agreement) 체결이 우리나라 항공산업 및 국민경제에 미치는 파급효과를 분석하고자 수행되었다. BASA의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을 위하여 BASA 체결여부 그리고 체결되는 BASA의 수준에 따라 장래 10년간 기대되는 우리나라 항공산업의 최종생산액의 변화를 추정하였다. 항공산업의 최종생산액의 변화를 기초로 BASA 체결의 국민경제적 기여추정액을 금액단위로 산출하였고, 이를 BASA체결의 경제적 효과로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BASA 체결의 국민경제적 기여 산출을 위해 델파이 기법을 활용한 전문가 설문을 실시하여 장래 10년간의 우리나라 항공기산업의 최종생산액을 예측하였고, 산업연관분석을 활용하여 BASA가 국민경제에 미치는 파급효과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BASA 체결이 장래 우리나라 항공기산업 및 국민경제에 미치는 경제적 기여는 긍정적으로 나타났으며, BASA 체결의 수준에 따라서는 기술표준품 및 항공기급 BASA가 모두 체결되는 경우 그 효과가 확대되어 나타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 KCI등재

        기초학습기능 수행평가체제(BASA)의 발자취와 미래 비전: 데이터기반교수(DBI) 적용과 확장을 위한 서설

        김동일(Dongil Kim),최서현(Seohyeon Choi),신재현(Jaehyun Shin) 한국학습장애학회 2021 학습장애연구 Vol.18 No.2

        본 연구에서는 교육과정중심측정(Curriculum-Based Measurement, CBM) 모델에 기반한 기초학습기능수행평가체제(BASA)의 개발과 적용 연구의 역사적 개관과 미래 향방을 정리하여 제시하고자 하였다. 학습장애군을 중심으로 다양한 유형의 학습부진 학생들의 선별, 진단, 판별 결과를 바탕으로 학생의 강점과 약점에 기반한 맞춤형 교수 및 중재의 구성과 투입, 중재에 대한 학생의 반응을 주기적으로 모니터링함으로써 중재의 효과성을 판단하고 필요시 교수적 수정을 실시하는 데이터기반교수(Data-Based Instruction, DBI)의 틀에서 BASA 연구를 정리하였다. 아울러 현장 교사와 학생, 지역사회에 BASA가 기초․기본학력보장 안전망 구축을 위하여 어떻게 적용되고 기여해 왔는지 고찰해보고 향후 BASA 연구 과제와 지향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resent study examined the past, present, and future of research and practice on the Basic Academic Skills Assessment (BASA), a Korean curriculum-based measurement (CBM) developed in the 1970s. In this study, research that has been implemented using BASA from the past to the present, especially in the process of data-based instruction (DBI), was systematically summarized. DBI refers to the instructional decision making process including (1) planning and providing individualized intervention for various types of struggling learners, mainly with learning disabilities, based on their strengths and weaknesses identified in screening, diagnosis, and identification results, (2) determining the effectiveness of intervention through frequent monitoring of the students’ responses to intervention, and (3) making instructional changes when necessary. In addition, this study reviewed how BASA has been applied and contributed to the field teachers, students, and local communities by establishing a better educational prevention system. Based on the results, the challenges and future directions of the CBM research and application such as BASA were discussed.

      • KCI등재

        두뇌타이밍 훈련이 읽기 능력에 미치는 효과 : 후향적 비교연구

        정미양,박지영,정효심,유연환,홍승표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 2022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Vol.20 No.1

        목적 : 본 연구는 두뇌타이밍 능력이 낮은 아동을 대상으로 상호작용식 메트로놈(Interactive Metromome; IM)을 이용한 두뇌타이밍 훈련을 적용한 후 읽기 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2019년∼2021년에 아동발달연구소에서 IM 훈련을 시행한 아동 중 타이밍 능력이 자신의 연 령 평균보다 낮은 아동 8명의 자료를 수집하여 검사 전-검사 후의 변화를 비교하였다. 두뇌타이밍 훈련 은 주당 2∼3회기, 총 70회기 이상, 회기 당 40∼50분으로 아동의 발달적 특성에 따라 적용되었다. 훈 련 전후 두뇌타이밍의 변화는 IM의 전체형검사(Long Form Assessment; LFA), 읽기 능력은 기초학습 기능 수행평가체제(Basic Academic Skills Assessment:Reading; BASA:R)로 측정하였다. 결과 : LFA의 두뇌타이밍 능력 평가결과 모든 아동의 전체 운동과제의 반응시간이 감소되어 두뇌타이밍 능력이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고 통계학적으로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5). 또한 BASA:R의 읽기 검사와 빈칸채우기 검사의 원점수에서도 유의한 향상을 나타냈다(p<.05). 결론 : 본 연구는 두뇌타이밍 능력이 낮은 아동의 읽기 능력 향상을 위한 두뇌타이밍 훈련의 임상적 근거 를 제시하였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brain-timing training using an Interactive Metronome (IM) on the reading abilities of children with low brain-timing abilities. Methods : A single-group pretest and posttest (retrospective study) were conducted in 8 children whose timing abilities were lower than that for their age average and who were trained from 2019 to 2021. Brain-timing training was conducted 2 or 3 times per week, with 70 sessions in total and 40–50 minutes per session, depending on the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of the child. Changes in brain-timing ability before and after the training were measured using the IM Long-Form Assessment (LFA), and reading ability was measured using the Basic Academic Skills Assessment:Reading (BASA:R). Results : On the basis of the results of the brain-timing ability evaluation using the LFA, the reaction times of all the children during motor tasks were decreased, resulting in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s in their brain-timing abilities (p < .05). Moreover, the raw scores in the BASA:R reading and fill-in-the-blank tests were significantly improved (p < .05). Conclusion :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presents a clinical basis for brain-timing training to improve the reading abilities of children.

      • KCI등재후보

        전북지역 읽기 곤란 초등학생의 언어 중재 서비스 방향에 관한 연구

        윤은미 전북대학교 문화융복합아카이빙연구소 2022 디지털문화아카이브지 Vol.5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reading ability using BASA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who are suspected of having reading difficulties, and to present a future direction of reading intervention services based on the results after conducting a questionnaire through teachers. As a result of the questionnaire, the most appropriate number of times was once to twice a week, and the most frequent was 30 to 40 minutes, and 85% of the positive answers about the intervention effect. There were differences by grade, but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reading performance results according to gender. When providing reading intervention services in the future, intervention services reflecting research results should be provided. 본 연구의 목적은 읽기 곤란이 의심되는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BASA를 이용해서 읽기 능력을 평가하고 선생님을 통해 설문을 진행한 후 그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읽기 중재 서비스 방향에 대해 제시하는 데 있다. 95명의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읽기 능력 평가 결과와 선생님이 작성한 40개의 설문지 결과를 SPSS 18.0 을 이용해서 빈도 분석과 t-test를 진행하였다. 설문 결과 가장 적절한 횟수로 주 1회에서 2회를, 시간은 30 분에서 40분이 가장 많았고 중재 효과에 대해서는 긍정적인 대답이 85%였다. 학년별로 차이는 있었으나 성별에 따른 읽기 수행결과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의 차이는 없었다. 향후 읽기 중재 서비스 제공 시 연 구 결과를 반영한 중재 서비스가 제공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중재반응모형 활용을 위한 교육과정중심측정의 진전도 신뢰도 산출 방안 탐색 -잠재성장모형을 중심으로-

        홍성두,여승수,김동일 한국특수교육학회 2010 특수교육학연구 Vol.44 No.4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an alternative method for assessing the reliability of Korean CBM within an RTI model. Latent Growth Model(LGM) as a new way was used to assess the reliability of Korean CBM. This study showed that the reliability from LGM had unique advantages; First, the use of LGM allows us to calculate individual reliability for each time point, Second, it allows for assessing the reliability of Korean CBM with growth rate estiamtes such as slope and intercept, Third, by using LGM we are able to evaluate the quality of passages used in CBM. Future research and limitations on this study are discussed. 학습장애 판별에 있어서 중재반응모형의 중요성이 강조됨에 따라 교육과정중심측정(Curriculum-based Measurement: CBM) 절차를 활용한 검사의 측정학적 측면들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이런 다양한 측정학적 측면 중 검사도구의 진전도 신뢰도 문제는 중재반응모형의 안정적인 정착을 위해서 반드시 해결해야할 과제임에 틀림없다. 그런데 전통적인 신뢰도 이론으로는 중재반응모형 관련 자료들이 필연적으로 가질 수밖에 없는 종단자료의 진전도 신뢰도를 산출하는 데에 어려움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잠재성장모형을 중심으로 한국형 CBM인 기초학습기능 수행평가체제(BASA)의 진전도 신뢰도를 산출할 수 있는 방안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전통적인 신뢰도 추정방법들의 문제점과 잠재성장모형을 활용한 진전도 신뢰도 산출방법에 대하여 개관하고, 잠재성장모형을 적용하여 진전도 신뢰도를 산출한 구체적인 사례를 제시하였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학습장애연구 분야에서 잠재성장모형과 BASA의 진전도 신뢰도 산출 결과를 활용할 수 있는 여러 가지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놀이 활동을 이용한 수학학습이 수학 학습부진아의 연산능력과 수학적 태도 변화에 미치는 효과

        권덕용,강옥려 한국학습장애학회 2007 학습장애연구 Vol.4 No.2

        본 연구는 놀이 활동을 이용한 수학학습이 수학 학습부진아의 연산 능력과 수학적 태도 변화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았다. 연구대상은 4학년 초등학교 수학 학습부진아 3명이며 초등학교 수학 1-가 단계부터 3-나 단계까지의 수학 개념과 기능을 분석하여 이에 적합한 놀이 활동을 단계별로 실시하였다. 교육과정중심측정(Curriculum-Based Measurement: CBM)절차를 적용하여 매 회기별 BASA: MATH 검사를 이용한 연산능력의 진전도를 알아보고 수학에 대한 태도 검사를 실험 전&#8228;후에 실시하여 수학적 태도 변화를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놀이 활동을 이용한 수학학습이 수학 학습부진아의 연산능력, 특히 연산의 기초가 되는 가감산 능력 신장과 수학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 형성에 효과적이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학교 현장에서 학습부진아들의 발달단계와 수준에 맞는 다양한 놀이학습이 제공된다면 수학 학습부진아들의 인지적 정의적 영역 발달에 있어 많은 도움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 KCI등재후보

        Biodiesel Production From Fat of Tra Catfish and Basa Catfish (Viet Nam) Using Alkaline Catalysts

        Huong, Le Thi Thanh,Tan, Phan Minh,Hoa, Tran Thi Viet,Lee, Soo The Korean Society of Applied Science and Technolo 2008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Vol.25 No.3

        The fat of Tra and Basa catfish (Mekong Delta, Viet Nam) was evaluated for the first time as the potential feedstock for biodiesel production, due to its abundance, availability and cheap cost. The unsaturated fatty acid contents of Tra and Basa fat were 57.97% and 64.17%, respectively. Biodiesel was prepared from Tra and Basa fat by methanolysis reaction using alkali catalysts like sodium hydroxide and potassium hydroxide. Effects of various process parameters on biodiesel production, such as molar ratio of methanol to fat, catalyst concentration, temperature and time were investigated. As those results, the transesterification can be performed under moderate conditions, and the biodiesel yields were shown more than 90%. KOH catalyst was the best catalyst for biodiesel production from both Basa and Tra fat. As the feedstock aspect, Basa fat was indicated more efficiency than that of Tra fat. The maximum yield could be achieved by the transesterification from Basa fat with 5:1 molar ratio of methanol to fat, 0.8% KOH catalyst, $50^{\circ}C$, and 50 min. For Tra fat, the optimal condition were at 6:1 molar ratio of methanol to fat, 0.8% KOH catalyst, $50^{\circ}C$, and 45 min. Nowadays, due to cheaper cost and abundance, Tra fat is a promised resource for cheap biodiesel production in Viet Nam.

      • KCI등재

        한국판 BASA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박희정(Hee-Jung Park),신혜정(Hye-Jung Shin),박성종(Seong-Jong Park),정년기(Yeon-Gi Jeong),박은정(Eun-Jeong Park),허수민(Su-Min Heo),정옥란(Ok-Ran Jeong),석동일(Dong-Il Seok) 한국언어치료학회 2006 言語治療硏究 Vol.15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designed for the specific purpose of identifying and quantifying preserved abilities that might form the beginning steps of rehabilitation programs for severely aphasic patients. The Korean version of BASA was developed. The stimulus materials and tasks were to develop and to modify on the basis of Boston Assessment of Severe Aphasia(BASA). The K-BASA provided information that these patients may retain the ability to process certain of linguistic and paralinguistic information seldom probed in order aphasic measures. This instrument was 61 items, these were grouped according to task requirements and item content in terms of auditory comprehension, praxia, oral-gestural expression, reading comprehension, gesture recognition, writing, and visuo-spatial skills. Accordingly, the K-BASA may be used to design an individual treatment program the encourages further development of the patients strongest response modality, using stimuli that elicit the most communicative response.

      • KCI등재

        기초학습 수행평가체제 어휘검사 타당화 연구

        김동일 ( Kim,Dong-il ),안예지 ( An Ye-ji ),이미지 ( Lee Mi-ji ),조영희 ( Cho Young-hee ),박소영 ( Park So-young ),고혜정 ( Koh Hye-jung ) 한국특수아동학회 2016 특수아동교육연구 Vol.18 No.3

        연구목적: 어휘력은 읽기 이해를 예측하는 주요한 변인이며, 신뢰성 있는 어휘 검사도구를 통하여 아동의 어휘력을 정확히 평가하는 것은 효과적인 중재시행에 있어 필수적인 선행과제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경기도 소재 초등학생 119명을 대상으로 수집된 데이터를 활용하여 기초학습 수행평가체제 어휘검사의 타당도를 확보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초등 교육과정에 기반을 둔 16개의 준거(‘반의어’, ‘동음이의어·다의어’, ‘유의어’, ‘단어의 뜻 찾기’, ‘의미장’, ‘순우리말·한자어·외래어’, ‘문맥 또는 문장에 적절한 단어 선정’, ‘꾸며주는 말’, ‘시간·장소를 나타내는 말’, ‘순서를 나타내는 말’, ‘접속사’, ‘비유이해’, ‘높임말·예사말’, ‘단어의 발음’, ‘단어의 짜임’,‘의성어·의태어’)를 바탕으로 교과서 어휘를 분석 및 수록하여, 교육과정에 기반한 어휘검사 42문항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어휘검사는 초등학교 3학년 119명의 학생들에게 실시하여 검사의 신뢰도, 타당도, 그리고 문항모수를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전체 신뢰도는 Cronbach’s alpha 값이0.819로 높게 나타났으며, 구인타당도 분석 결과, 모형 적합도를 설명하는 각 지표 CFI, TLI,RMSEA가 0.840, 0.806, 0.067으로 나타나 적합한 모형으로 확인되었다. 결론: 끝으로,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시사점과 향후 연구제언을 기술하였다. Purpose: Vocabulary is a powerful predictor of reading comprehension; The student’s vocabulary acquisition should be evaluated with a reliable measurement in order to provide effective interventions. Thus,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validity of Basic Academic Skills Assessment (BASA) : Vocabulary using data collected from 119 elementary school students who are enrolled in Gyeonggi area. Method: This study developed vocabulary measurement which consists of 16 sub-constructs (‘Antonym’, Homonym/Polysemy’, ‘Synonym’, ‘Definition’, ‘Semantic field’, ‘Pure Korean/Sino-Korean/Ioanword’, ‘Cloze’, ‘Descriptive’, ‘Time/Location’, ‘Ordinal’, ‘Conjunction’, ‘Metaphor’, ‘Honorific/Colloquial’, ‘Pronunciation’, ‘Organization’, ‘Onomatopoeia/Mimetic word’) based on elementary national curriculum in Korea. A total of 42 test items were developed by using vocabulary that were selected from Korean textbooks. The Basic Academic Skills Assessment (BASA) : Vocabulary was given to 119 third-graders to verify its reliability, validity, and item parameter. Results: The Cronbach``s alpha for the overall test revealed to be high enough ( = 0.819).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lso demonstrated satisfactory model fit (CFI = 0.840; TLI = 0.806; RMSEA = 0.067). Conclusion: Based on the results,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for future studies were discussed.

      • FAR 23급 항공기 좌석 비상착륙조건 입증을 위한 동적 인증 시험

        박일경,이해선,김성준,김영우 한국항공우주학회 2013 한국항공우주학회 학술발표회 논문집 Vol.2013 No.4

        미국과의 BASA 이행협정(IPA)의 항공기급으로의 개정과 국내개발 항공기의 세계시장 진출을 위해 개발 중인 KC-100 나라온 항공기는 국제적인 형식증명 기준(14 CFR Part 23) 만족을 목표로 개발 중인 국내 최초의 4인증 복합재 인증 항공기이다. 따라서 KC-100 항공기에 장착되는 항공기 좌석 또한 안전성 입증을 위한 TSO 인증과정을 수행하였으며, TSO 인증 과정 중의 하나로 FAR 23.562의 비상착륙 동적 하중 조건에 대한 동적 시험을 수행하였다. 조종석과 승객석으로 구성된 KC-100 항공기 좌석은 해외 항공기 좌석 전문 개발 업체를 통해 개발되었으며, 좌석 동적 인증 시험은 항공기용 좌석 동적 인증 시험 전문 기관을 통해 위탁 수행되었다. 본 기술문서는 KC-100 좌석 동적 시험 관련 인증 요건 및 인증 시험 수행 내역을 기술한 것으로 향후 국내 항공기 좌석 개발 시 참고자료로서 활용이 가능할 것이다. KC-100 Airplane is 4 seat full composite aircraft under the development aimed for the first certified aircraft in Korea, which is in conformity with the international aircraft type certification regulation (14 CFR Part 23). This aircraft development program had objects of access of the international aircraft product market and renewal of the IPA (Implementation Procedure Agreement) of BASA (Bilateral Aviation Safety Agreement) with USA. Aircraft Seats for KC-100, were done in process of TSO (Technical Standard Order) type certification in accordance with FAR 23.562 "Emergency Landing Dynamic Condition" to approve those crashworthiness performance. Seats for KC-100 is composed of two pilot seats and two passenger seats, and these were developed by the abroad specialized company with the aircraft seat system. The seat dynamic test for certification was carried out in the facility which was authorized by concerned institute. In this paper, the procedure and result of the KC-100 Seat Dynamic certification Test for in dynamic sled facility are described in detail, and it could be utilized as very useful reference to develop the aircraft seat in Kore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