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읽기 학습장애 CBM 기울기 추정에서 베이지안 통계의 유용성 탐색

        여승수 국립특수교육원 2023 특수교육연구 Vol.30 No.2

        Frequentist statistics on Korean CBM research has been used as a main statistical method to calculate the CBM slope. However, frequentist statistics is also a statistical theory that has been criticized for many years in the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In this paper, we propose Bayesian statistics as an alternative to frequentist statistics to analyze CBM slopes. To examine the usefulness of Bayesian statistics, we compare the results of Bayesian and frequentist statistics using real reading CBM data. According to the results from this study, the advantages of using Bayesian statistics in CBM slope studies include the ability to directly verify the researcher's research hypothesis, the ability to prevent the problem of overfitting the collected data, and the ability to express the uncertainty of the slope parameter value as a posterior distribution. 그동안 국내 CBM 연구에서는 기울기를 산출하기 위한 통계방법으로 빈도주의 통계를 주로 사용하였다. 하지만 빈도주의 통계는 인문 및 사회과학분야에서 오랜 세월 동안 비판을 받아 온 통계 이론이기도 하다. 본 논문에서는 빈도주의 통계의 대안으로 베이지안 통계를 CBM 기울기를 분석하기 위한 통계방법으로 제안하였다. 베이지안 통계의 유용성을 설명하기 위해서 본 연구에서는 실제 CBM 자료를 사용하여 베이지안 통계와 빈도주의 통계의 결과를 비교하였다. 본 연구결과에 따르면, CBM 기울기 연구에서 베이지안 통계를 사용하여 연구자의 연구가설을 직접 검증할 수 있는 장점, 수집된 자료에 과적합화되는 문제점을 예방할 수 있는 장점, 기울기 모수값의 불확실성을 사후 분포로 표현할 수 있는 장점 등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읽기 위험군 학생을 조기 선별하기 위한 보편적 선별(Universal Screening)검사의 측정학적 적합성: 교육과정중심측정(CBM)의 활용

        여승수 한국학습장애학회 2017 학습장애연구 Vol.14 No.3

        본 연구의 주 목적은 읽기 위험군 학생들을 조기 선별 가능한 보편적 선별 검사(어절선택 CBM)의 측정학적 적합성을 검증하는 것이었다. 본 연구에서는 총 4개교의 초등학교에 재학중인 391명의 1학년 학생들이 연구의 대상자로 참여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상관계수, 로지스틱 회귀분석, ROC 곡선 분석, 잠재성장모형을 사용하여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보편적 선별 검사의 목적으로 사용된 어절선택 CBM은 단일 점수 뿐만 아니라 기울기에서도 우수한 측정학적 적합성을 갖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끝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과 연구결과의 시사점을 제공하고 있다. The main purpose of this article was to examine the technical adequacy of universal screening measure (maze reading CBM), which is used for early identifying first grade students at risk for reading. The participants were 391 students from four elementary schools. Correlation coefficients, logistic regression, ROC curve analysis, and latent growth modeling were used to address the research quest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d the appropriate technical adequacy of maze reading CBM scores and slopes to identify students at risk for reading. Implication and future research are discussed.

      • KCI등재

        읽기 학습장애 학생을 위한 한글 어절선택(maze) 읽기 CBM의 활용 가능성 탐색: 신뢰도와 타당도의 검증을 바탕으로

        여승수 한국학습장애학회 2015 학습장애연구 Vol.12 No.1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maze CBM, which is considered one of reading CBM measures. Especially, considering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maze CBM, this study focused on the three stage research introduced by Fuchs(2004). In this study, 44 third graders and 57 fourth graders from B elementary school in the A city were participated. Pearson product-moment correlation coefficients were calculated to evaluate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maze CBM focusing on the first stage research. In addition, latent growth modeling was used for the second stage research. This study showed that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maze CBM at the frist stage research were good. In terms of the second stage research, slope of maze CBM at the third grader was not significant. For this reason, slope of maze CBM at the fourth grader was only included for the second stage research, showing that both reliability and validity of maze CBM slope were good. Implications on research and practice are discussed. 본 연구의 중요 목적은 읽기 CBM 검사의 한 유형인 어절선택 CBM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분석하는 것이었다. 특별히 본 연구는 Fuchs(2004)가 제안한 1, 2단계의 연구수준을 고려하여 신뢰도와 타당도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A광역시에 소재하고 있는 B 초등학교 3학년 44명과 4학년 57명의 학생이었다. 1단계 수준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분석하기 위해서 피어슨 상관계수가 사용되었으며, 2단계 수준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분석하기 잠재성장모형 분석방법이 사용되었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결과에 따르면, 1단계 수준의 신뢰도와 타당도는 3, 4학년 모두 양호한 것으로 나탔다. 2단계 신뢰도와 타당도는 유의한 기울기를 산출한 4학년 학생들의 자료만으로 분석되었는데, 신뢰도와 타당도의 결과가 모두 양호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끝으로 본 연구의 함의와 제한점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특수교육 연구에서 영가설 유의성 검증의 문제점과 대안 고찰

        여승수 이화여자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2021 특수교육 Vol.20 No.3

        연구목적: 본 논문에서는 특수교육에서 주된 양적 연구방법으로 사용되어 온 영가설 유의성 검증(NHST)방법의 문제점을 살펴보고 그 대안을 탐색하는 연구목적을 설정하였다. 연구방법: 본 논문에서 NHST의 개념 이해 및 관련 문제점을 설명하고 NHST의 대안이 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기 위하여 NHST의 이슈를 다루고 있는 최신 논문과 함께 전통적으로 인용이 많이 되었던 논문을 참조하였다. 연구결과: 본 논문에서 먼저 NHST의 개념을 제공하였고, NHST의 문제점을 개념 자체의 문제점과 해석 및 활용의 문제점으로 구분하여 제공하였다. 결론: NHST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방안으로 효과크기, 신뢰구간, 임상적 유의성 평가, 베이지안 통계 방법을 제안하였다. 향후 특수교육 연구자들이 본 논문에서 제안한 방법으로 NHST의 문제점을 극복하길 기대해 본다. Purpose: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main problems on Null Hypothesis Significance Testing (NHST) used as main research method in special education research and to explore alternative methods on NHST. Method: Important and highly cited studies concerning misuses and limitations of NHST and alternative methods on NHST were reviewed in this study. Results: This study summarized not only some concepts of NHST, but also some limitations of NHST including misconceptions and misinterpretations. Conclusion: This study presents four alternative methods – effect size, confidence interval, metrics for assessing practical importance, and Bayesian statistics. It is recommend for researchers in special education to use these methods for overcoming these limitations of NHST.

      • KCI등재

        조기선별을 위한 쓰기 보편적 선별검사의 측정학적 적합성과 집단 분류의 정확성 분석

        여승수,정평강 한국학습장애학회 2019 학습장애연구 Vol.16 No.2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echnical adequacy and classification accuracy of writing measures for universal screening. Despite increasing awareness about the importance of early identification and universal screening in writing, little research has been conducted. Based on previous research, we selected picture-word and sentence copying as alternative universal screening measures. Results showed adequat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both measures. In addition, classification accuracy of the measures was promising as well; picture-word prompt showed more desirable classification accuracy than sentence copying. We discuss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and writing practice. 본 연구에서는 보편적 선별을 위한 목적으로 활용 가능한 쓰기 검사의 측정학적 적합성과 집단 분류의 정확성을 검증하는 주된 목적을 갖고 있었다. 그동안 쓰기교과에서 조기선별의 중요성과 함께 보편적 선별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국내에서는 이와 관련된 연구가 진행되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이전의 연구결과를 고려하여 쓰기교과의 보편적 선별검사도구의 대안으로 그림단어제시 검사와 문장따라쓰기 검사를 선정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두 검사에서 모두 안정적인 신뢰도와 타당도를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집단 분류의 정확성에서도 안정적인 결과를 두 검사에서 확인할 수 있었다. 하지만 두 검사간의 결과를 상대적으로 비교한다면 전반적으로 그림단어제시 검사가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본 연구의 한계점과 쓰기 위험군 선별 및 관련 연구에 관한 시사점을 제공하고 있다.

      • KCI등재

        수학 학습장애 위험군 학생과 일반학생 간의 수학적 자기효능감 비교 연구

        여승수,손지영 이화여자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2013 특수교육 Vol.12 No.1

        본 연구의 주된 목적은 학습장애 위험군 학생과 일반학생 간에 유의한 자기효능감의 차이가 나타나는지를 분석하는 것이다. 특별히 본 연구에서는 최근에 높은 관심을 받고 있는 학습장애 선별모형인 중재반응모형을 활용하여 수학 학습장애 위험군 학생을 선별한 후 자기효능감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연구에 참여한 학생은 A시에 위치한 초등학교 3학년 학생 44명이었으며, 이들 중 수학 학습장애 위험군 학생으로 선별된 학생은 6명이었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연구결과에 따르면 중재반응모형으로 선별된 수학 학습장애 위험군 학생과 일반학생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자기효능감의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두 집단은 동일한 수학적 자기효능감을 지니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본 연구는 향후 연구 및 학교 현장에 대한 교육적 시사점을 제공하고 있다. This study examined a difference between students without math disabilities and students at risk for math in terms of academic self-efficacy. Especially, in this study response to intervention was used to identify students who are at risk for math. Participants were 44 third graders in the A city, 6 students at risk for math identify within an RTI model and 38 students without math disabilities. CBM as a progress monitoring measure was administered to assess students’ math achievements over 5 months. The results from this study showed tha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students at risk for math and students without math disabilities in terms of math self-efficacy.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and practice are provided.

      • KCI등재

        읽기 학습장애 학생을 위한 어절 선택 검사의 측정학적 적합성 연구: 공인 타당도와 구인 타당도에 초점을 맞추어

        여승수 한국학습장애학회 2021 학습장애연구 Vol.18 No.1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oncurrent validity and construct validity of Maze in Korean. Although CBM-Maze is one of most useful measures in reading, in addition to CBM-reading aloud, little research has focused on evaluating its validity. This study used a standardized reading comprehensive test for testing the validity of Maze in Korean. The results from this study showed that Maze scores in Korean were moderately correlated with subtest scores of KOLRA. In particular, there were high correlation coefficients with reading fluency and reading comprehension. The results from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upported that the hypothesized model, in which reading fluency and reading comprehension was only included, were the best-fitting model for Maze in Korean. Implications for research and education were discussed.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어로 개발한 어절 선택 검사의 타당도를 검증하는 것이었다. 어절 선택 검사는 소리내어 읽기 유형과 함께 읽기 교과에서 활용 가능한 대표적인 CBM 검사이지만 국내에서는 현재까지 공인 타당도와 구인 타당도에 관한 충분한 연구가 진행되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특별히 표준화 읽기 검사 도구인 KOLRA 검사를 사용하여 어절 선택 검사의 공인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어절 선택 검사 점수는 KOLRA 하위 검사 점수와 유의한 상관계수를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읽기 이해와 문단글 유창성 하위검사와 높은 상관계수를 나타냈다. 구조방정식 모형을 사용하여 구인 타당도를 검증한 결과에 따르면, 읽기 이해와 문단글 유창성 검사만 포함한 가설 모형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본 연구결과에서 도출한 교육적 함의를 제공하였다.

      • KCI등재

        한국 교육과정중심측정(CBM)의 연구 동향: 측정학적 적합성을 중심으로

        여승수,홍성두,손지영 한국학습장애학회 2014 학습장애연구 Vol.11 No.3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view Curriculum-Based Measurement(CBM) research in Korea, focusing on the technical adequacy of CBM. With a thorough search, twenty-seven studies, published between 1999 and 2014, were identified and coded. We focused on the technical adequacy of CBM related to subjects and three stage research identified by Fuchs(2004).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majority of CBM research was focused on math CBM, meaning that the number of CBM in reading and writing was not sufficient for evaluating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CBM in terms of the three stage research suggested by Fuchs(2004). Educational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are presented. 본 연구의 주된 목적은 측정학적 적합성에 초점을 맞추어 선행연구를 분석하면서 국내 CBM 연구의 동향을 살펴보는 것이었다. 이를 근거로 하여 국내에서 개발된 CBM의 측정학적 적합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체계적인 문헌 선별과정을 통해서 총 27편의 CBM 연구를 최종적으로 확인하여 본 연구의 분석대상으로 포함했다. 이러한 CBM 연구들을 교과목별, Fuchs(2004)가 제시한 연구단계별로 구분하여 연구결과를 개관하였다. 본 연구결과에 따르면 수학교과에서 가장 많은 CBM 연구가 수행되었으며, 수학교과 CBM의 신뢰도와 타당도는 전반적으로 적합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읽기 및 쓰기 영역에서는 CBM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신뢰도와 타당도를 종합적으로 평가하기에는 연구의 수가 제한되어 있었다. 끝으로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한국의 CBM 발전에 반드시 필요한 연구 영역 및 주제들을 제안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