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초등학교 일반교사가 경험한 학습지원대상학생의 어휘 특성

        강옥려,김지영 대구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소 2022 초등교육연구논총 Vol.38 No.4

        본 연구는 초등학교 일반교사를 대상으로 학습지원대상학생이 보이는 어휘 특성을 알아보았다. 연구 참여자는 서울과 경기 지역의 초등학교 일반교사 10명으로 최근 3년 이내에 기초학력이 부족한 학습지원대상학생을 가르쳐 본 경험이 있었다. 연구방법으로 심층면담을 사용하였고, 면담은 비대면(전화 혹은 ZOOM)으로 진행되었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은 전통적인 내용분석 방법을 통해 이루어졌다. 자료 분석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높이기 위해 참여자 확인법, 동료검토법, 삼각검증법을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어휘 특성은 주로 학교생활에서의 일상적인 언어사용, 교과 수업(내용교과와 예체능 포함)에서의 어려움으로 나타났다. 일상적인 언어사용에서의 특성이 형식적으로는 어휘 수의 제한, 단조로운 표현, 지시어 사용이 많았고, 내용적으로는 상황에 맞게 논리적인 순서로 말하지 못하고 정확한 어휘를 알지 못해 문장이 짧고 정확한 정보를 담지 못하는 특성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특성은 쓰기에서도 유사하게 나타났다. 둘째, 어휘 특성을 나타내는 이유의 내적 요인은 지적 능력, 기억력, 우연학습, 학습동기의 부족이었고, 외적 요인은 독서 부족, 가정의 지원 부족, 매체에의 과다 노출을 언급하였다. 셋째, 학습지원대상학생이 보이는 어휘 특성이 학교생활에 미치는 영향은 개인의 심리 및 정서와 관계 관계 형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학습지원대상학생들의 일상생활과 교과학습에서 나타나는 어휘 특성을 파악하고 이해하는 것

      • KCI등재후보

        블렌디드 러닝을 통한 쓰기교수가 쓰기장애학생의 쓰기능력 및 태도에 미치는 영향

        강옥려,이서현 한국학습장애학회 2010 학습장애연구 Vol.7 No.1

        This study was to examine how the persuasive article writing training based on blended learning affects writing ability and attitudes of students with writing disabilities. To this end, we administered experiments on 13 six-grade students with writing disabilities at K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Seoul. As a preliminary step prior to experiments, training on typing and how to use online BBS’s was provided, along with a basic persuasive article writing training conducted for eight sessions. Pre- and post-test through writing ability test and writing attitude test were conducte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through a t-test of two dependent (corresponding) samples using the SPSS program. The results from this study were as follows:First, the study revealed the persuasive article writing training based on blended learning contributed to the better scores in the area of content, structure, and expression of writing as subcategories of writing ability in the post-test, compared to the pre-test. Second, the persuasive article writing training based on blended learning was found to improve pre-test results in the area of recognition, reaction, and attitude as subcategories of writing attitude in the post-test, in comparison with those of the pre-test.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persuasive article writing training based on blended learning is effective in improving writing ability and attitude of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suggested. 본 연구는 블렌디드 러닝을 활용한 주장하는 글쓰기 훈련이 쓰기장애학생의 쓰기능력과 태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시 K초등학교 6학년 쓰기장애학생 13명을 대상으로 연구하였다. 연구결과, 블렌디드 러닝을 활용한 주장하는 글쓰기 훈련은 주장하는 글쓰기의 특성을 고려한 쓰기능력의 하위 영역인 글의 내용, 글의 조직, 글의 표현에서의 점수가 사전검사에 비해 사후검사에서 모두 유의하게 높아졌다. 쓰기태도 역시 쓰기의 중요성과 필요성에 대한 인식, 글쓰기에 대해 흥미와 관심을 갖는 정도인 반응, 컴퓨터를 활용한 글쓰기 활동에 대한 태도에서 사전검사에 비해 사후검사 결과가 모두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후속연구에서는 블렌디드 러닝을 활용한 주장하는 글쓰기 훈련이 쓰기장애학생만이 아니라 다른 대상들에게도 효과적인지 살펴볼 필요가 있으며 또한 중재기간이나 회기를 늘려 장기적이고 지속적으로 지도한다면 쓰기능력과 태도의 향상에 더 큰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국내 학습부진학생의 학습동기 향상을 위한 중재 분석

        강옥려,이현주 한국학습장애학회 2019 학습장애연구 Vol.16 No.3

        This study aimed to examine interventions that improved academic motivation of students with underachievement. And we reviewed the kinds of academic motivation theories to find out the contents of intervention based on the academic motivation theory.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we selected fifteen studies which met the inclusion and exclusion criteria determined by this stud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more interventions that were reviewed based on the academic motivation theories specifically(n=9, 60%) than generally(n=6, 40%). The academic motivation theory most are based on is self-schema theory and then followed by expectancy-value theory. Goal theory, interest and emotion theory, and social・cultural effect theory were not analyzed. Second,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contents of each intervention, it is indicated that most interventions are utilized on self schema theory, then followed by expectancy-value theory, goal theory, interest and emotion theory and social・cultural effect theory. Third, the construct of academic motivation theory that was dealt with the most was the task value. Based on the research outcomes, we suggested the best ways to improve academic motivation of students with underachievement and provided several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본 연구는 학습부진학생의 학습동기를 향상시키기 위한 중재들이 어떤 학습동기이론을 기반으로 하였는지, 중재의 내용은 학습동기이론에 비추어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지 살펴보기 위해 실시되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 설정한 포함기준과 제외기준을 만족하는 문헌 15편을 선정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구체적인 학습동기이론을 다룬 연구(9편, 60.0%)가 전반적인 학습동기이론을 다룬 연구(6편, 40.0%)보다 많았으며 제일 많이 다루어진 학습동기이론은 자기도식이었고 그 다음은 기대-가치였다. 목표, 흥미와 정서, 사회・문화적 영향을 다룬 연구는 한 편도 없었다. 둘째, 중재의 내용을 분석한 결과 자기도식이론이 가장 많이 활용되었고 그 다음으로는 기대-가치, 목표, 흥미와 정서, 사회・문화적 영향이론 순으로 활용되고 있었다. 셋째, 학습동기이론의 하위요인 중 가장 많이 다루어진 것은 과제가치였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학습부진학생의 학습동기 향상을 위한 방안과 앞으로의 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였다.

      • KCI등재후보

        경계선 지적 기능 학생의 교육지원 관련 이슈와 정책 마련을 위한 과제

        강옥려 대구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소 2023 초등교육연구논총 Vol.39 No.1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a) briefly examine the background of the birth of borderline intellectual functioning(BIF) in order to help an accurate understanding of BIF, b) briefly review major issues related to educational support, and then c) suggest some tasks for the preparationt of policies for BIF's educational support. For these purposes, related laws and literate were reviewed.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background of the BIF is intellectual disability. Second, as issues related to educational support, the use of various terms and definitions, the exclusion of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from legal foundation and legislation for BIF, and the dichotomous approach in educational support were raised. Third, tasks for policy preparation in relation to BIF's educational support include the unified terms and precise definition, systematic screening and diagnosis system, educational support, law for lifelong support, improvement of teacher training courses, provision of parent education and family support, career and vocational education and stable employment policy, and research for policy establishment. The proposed suggestions have limitations in that they were not dealt with in depth and have not been precisely presented at school, school district, ministry of education, and national level for each subject. However, if collective efforts are made systematically and professionally, it is expected that there will be meaningful progress in education, welfare, and law, as well as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of students with BIF. 본 연구는 BIF에 대한 정확한 이해를 돕고자 BIF가 탄생하게 된 배경과 교육지원과 관련된 주요 이슈들을 간단하게 살펴본 후, BIF의 교육지원을 위한 정책 마련을 위한 과제를 제안하는데 그 목적이 있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관련법과 문헌고찰을 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BIF의 탄생 배경은 지적장애이다. 둘째, 교육지원과 관련된 기본적인 이슈로는 다양한 용어와 정의의 혼재, BIF를 지원하기 위한 법적 근거에서의 학습장애의 제외와 BIF를 위한 법 요구, 교육지원의 이분법적 접근을 제기하였다. 셋째, BIF의 교육지원과 관련하여 정책 마련을 위한 제언으로 통일된 용어와 정확한 정의 제시, 체계적인 선별과 진단 시스템 구축, 교육지원(생애주기별 요구와 지원에 따른 교육지원 시스템, 학교급별 연계, 수업부교재 및 교수자료 개발, 일반교육과 특수교육의 협력적 접근 등), 전 생애 지원을 위한 법적 근거 마련, 교원양성과정 개선과 전문가 양성, 부모교육 및 가족지원, 진로직업교육과 안정적인 고용정책, 정책 마련을 위한 연구 수행 방향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제언들을 바탕으로 각 주제별로 심도있는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는 점과 학교, 교육청, 교육부, 국가 차원의 주체별 역할을 구체적으로 제시하지 못한 한계점이 있지만, BIF의 지원과 관련된 다양한 이슈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노력들이 체계적․전문적으로 이루어진다면 BIF를 지닌 학생들의 삶의 질 향상과 함께 교육과 복지, 법과 제도 등에서 의미있는 발전이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난독증 선별 체크리스트를 이용한 난독증 위험학생, 읽기기초부진학생 및 읽기보통이상 성취학생의 읽기 특성 연구

        강옥려,김윤옥,변찬석,우정한 한국학습장애학회 2014 학습장애연구 Vol.11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how the three groups(students with dyslexia at risk, underachievers in reading, and general students) were different in reading characteristics by using the ‘Dyslexia Screening Checklist’. The subjects were 211 elementary school students from first grade to sixth grade, including 126 general students, 60 underachievers in reading, and 25 students with dyslexia at risk. Homeroom teachers measured the ‘Dyslexia Screening Checklist’. Major results were obtained from the study. First, among three groups, students with dyslexia at risk had more difficulties in decoding and spelling, reading fluency and automaticity, and reading comprehension of the ‘Dyslexia Screening Checklist’. Second, in comparisons of grades and genders, general students were no differences in reading characteristics. Lower graders and male students within underachievers in reading had more difficulties in decoding and spelling, and reading comprehension. Students with dyslexia at risk had more difficulties in decoding and spelling and reading comprehension than underachievers in reading. Moreover, lower graders and male students within students with dyslexia at risk had more serious problems in reading fluency and automaticity. Based on such results, some discussions and implications were offered. 본 연구는 난독증을 선별하기 위해 개발된 난독증 선별 체크리스트를 이용하여 읽기능력 집단별 읽기 특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의 대상은 초등학교 1~6학년 학생 211명으로 읽기능력 집단별로는 읽기보통이상 성취학생 126명, 읽기기초부진학생 60명, 난독증 위험학생 25명이었다. 연구의 결과는 첫째, 난독증 선별 체크리스트의 10개 요인 중 핵심 요인인 해독과 철자, 유창성과 자동성, 독해 요인 및 총점 모두에서 난독증 위험학생이 가장 어려움이 있었고 다음으로 읽기기초부진학생, 읽기보통이상 성취학생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읽기능력별 집단에서 읽기보통이상 성취학생의 경우 해독과 철자, 유창성과 자동성, 독해 및 총점에서 읽기능력은 고학년, 중학년, 저학년 순으로 나타났고, 여학생의 읽기능력이 남학생 보다 높게 나타났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읽기기초부진학생은 해독과 철자, 유창성과 자동성, 독해 및 총점에서 중학년의 읽기능력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유창성과 자동성, 독해 및 총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난독증 위험학생은 해독과 철자, 유창성과 자동성, 독해 및 총점에서 고학년의 읽기능력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성별은 요인에 따라 차이가 있었으며, 유창성과 자동성, 독해 및 총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논의 및 제언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초등학교 일반교사의 학습부진아동 어휘지도 경험

        강옥려 서울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원 2022 한국초등교육 Vol.33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ractice of vocabulary instruction for underachievers targeting general education teachers in elementary school. The participants were 10 general education teachers in Seoul and Kyeonggi Province. Teachers had experiences teaching underachievers within the last 3 years and teaching experiences varied from 4 years and 6 months to 21 years and 10 months. For this study, in-depth interview was conducted. Interviews were conducted non-face-to face using phone or ZOOM due to COVID-19.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and interpreted based on the six steps suggested by Cloaizzi(1978) as an analysis method for phenomenological study in qualitative research. Triangular validation, member checking, and peer examination were used to increase the rigor(reliability and validity) of data analysi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first, teachers recognized the meaning of vocabulary instruction as ‘practical use of vocabulary’. This includes activating background knowledge for subject learning, grasping meaning, contextual understanding, vocabulary expression, spelling, vocabulary expansion, and reading books. The importance of vocabulary instruction was recognized as pre-preparation for subject learning, comprehension of content, and age-appropriate vocabulary expression. When teaching vocabulary, teachers focused on the meaning of vocabulary, use of vocabulary, and communication. Second, vocabulary instructions mainly used by teachers were found to be understanding the meaning of words, inferring vocabulary using context, knowing the meaning of vocabulary through reading books, and semantic mapping. Third, teachers had difficulties in figuring out children's level and diagnosing problems, operating the curriculum, teachers' own competence, maintaining learning and low motivation of underachievers in vocabulary instruction. Fourth, for effective vocabulary instruction, teachers' enthusiasm, interesting teaching methods, teachers' own efforts to select books suitable for the underachievers' level, presentation and reorganization of materials in the curriculum, and integration between subjects were suggested. Based on the results, discussions and suggestions for vocabulary instruction were presented. In addition, limitations of this research and some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provided. 본 연구는 초등학교 일반교사를 대상으로 학습부진아동을 위한 어휘지도에 대한 실제를 알아보았 다. 연구참여자는 서울과 경기 지역의 초등학교 일반교사 10명이었다. 교사들은 최근 3년 이내에 학습 부진아동을 가르쳐 본 경험이 있었고 교직경력 면에서는 4년 6개월에서 21년 10개월까지 다양했다. 연구방법은 질적 연구방법 중 현상학적 연구로 심층면담을 사용하였고 면담은 COVID-19로 인하여 비대면으로 진행되었으며 전화 혹은 ZOOM을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은 질적 연구의 현상적 연구의 한 분석방법으로 Colaizzi(1978)가 제안한 6단계를 통해 이루어졌다. 자료 분석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높이기 위해 삼각검증법, 참여자 확인법, 동료검토법을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연구에 참여한 교사들이 생각한 어휘지도의 의미는 공통적으로 ‘어휘의 실제적인 사용’으로 나타났고, 이에는 교과학습을 위한 배경지식의 활성화, 의미 파악, 맥락적 이해, 어휘 표현, 맞춤법, 어휘 확장, 책 읽기 등이 포함되었다. 교사들은 어휘지도의 중요성으로 교과학습을 위한 사전준비, 내용의 이해, 연령에 맞는 어휘 표현으로 보았고, 중점 영역으로는 단어의 뜻, 낱말의 사용, 의사소통에 두는 것으로 나타났 다. 둘째, 교사들이 주로 사용하는 어휘지도 방법에는 단어 뜻 알기, 문맥을 사용한 단어 유추, 책 읽 기를 통한 단어 뜻 알기, 의미지도가 있었다. 셋째, 교사들은 어휘지도를 하면서 교육과정 운영에서의 어려움, 교사 자신의 역량에 대한 고민, 학습부진아동의 특성으로 인한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넷째, 효과적인 어휘지도를 위해서는 교사의 열정과 의지, 흥미를 유발하는 교수법, 아동 수준에 맞는 책 선 정 등에 대한 교사 스스로의 노력과 교육과정 내 자료 제시 및 재구성, 교과 간 통합의 필요성을 제시 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논의를 한 후 어휘지도에 대한 제언을 하였고, 또한 연구의 제한점 과 함께 후속연구를 위해 제언하였다.

      • KCI등재

        학습장애학생의 학습을 향상시키기 위한 교수전략으로서의 그래픽 조직자의 사용

        강옥려 한국학습장애학회 2004 학습장애연구 Vol.1 No.1

        학습자에게 정보를 효율적으로 처리하도록 하게 하는 그래픽 조직자는 다량의 정보를 효과적으로 처리할 뿐만 아니라 기억을 촉진시키고 인출을 용이하게 해 주기 때문에 학생들의 학습과 읽기 이해를 향상시키기 위한 교수전략으로 사용되어 왔다. 본 연구는 학습장애학생들의 학습을 향상시키기 위한 도구로써의 그래픽 조직자 사용에 대한 이론적 기초와 적용될 수 있는 영역, 그리고 그래픽 조직자의 사용과 관련해서 제기되는 문제들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지금까지 그래픽 조직자의 사용은 부호화 이론, 도식이론, 글의 구조론 등에 의해 지지되고 있다. 그래픽 조직자는 내용교과의 학습, 공부 안내서, 작문, 평가, 보고서 작성 등에 적용 가능하다. 그러나 학습장애학생들을 대상으로 사용할 때, 학습장애학생들의 특성, 그래픽 조직자의 특성, 교수적 특성, 교수자료, 교사변인, 학습의 일반화, 그리고 기타 다른 차원에서 많은 질문들이 제기되어 왔다. 그러므로 이러한 문제들을 체계적으로 해결하면서 그래픽 조직자의 구성원리와 사용체계 등을 세워야 하고, 학습시 학생들이 흥미를 갖고서 그래픽 조직자를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고려해야 한다.

      • KCI등재

        초등학교 학급 구성원으로서의 통합교육 경험 - 같음과 다름, 공평과 불공평의 경험적 의미 -

        강옥려,김지영 한국통합교육학회 2023 통합교육연구 Vol.18 No.2

        This study explored how pupils conceive ‘similarity and difference’ when they think of a pupil with Special Educational Needs(SEN) in their classes, how to support him/her, and in what context they personally feel it to be unfair if a teacher treats him/her differently. An open ended questionnaire was used to gain pupils’ opinions and the thematic analysis was applied for data analysis. Most pupils in inclusive settings considered the pupils with SEN as ‘in need of help’ so that they voluntarily provided an extensive support for him/her in daily routines such as class participation, break time including emotional well-being(saying encouraging words etc.). On the other hand, they felt it was unfair when the teacher applied distinctive rules or allowed him/her to do alternative tasks or not during the class. At the same time, some pupils took it for granted that if a pupil with SEN is not capable of a task it is fair for him/her to be exempted from the normal standard. In this case, the pupil with SEN is seen as ‘helpless’, and has no chance to become an independent learner. Interestingly, other pupils felt sorry that pupil with SEN could only participate in a limited way(not being given an appropriate learning task) so that he/she missed out on enjoying the feeling of having mastered a task. The most important thing is that teachers should provide opportunity for every learner so that they can make an effort to achieve their potential. Also, pupils’ opinions can be used to make learning community more inclusive. The inclusive education is a journey of learning for al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