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The Influence of Sociocultural Attitude toward Appearance and Narcissism on Body Stress

        ( Eun Hee Park ),( Sang Joo Lee ) 한국패션비즈니스학회 2014 패션 비즈니스 Vol.18 No.6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sociocultural attitudes toward appearance and narcissism on body stress. Questionnaires are being administered to 206 women in their 20``s-50``s living in Deagu and Kyunbook province. The Frequenc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regression analysis, ANOVA, and Duncan-test are used for data analysis. Sociocultural attitudes toward appearance are categorized into media appearance internalization and social recognition of appearance. Narcissism factors are found to be leadership/privilege, ostentation, and superiority. Body stress is categorized into 4 factors: weight stress, skin aging stress, body dissatisfaction, and hair stress. Sociocultural attitudes toward appearance was related to the sub-variables of narcissism, and body stress. Media appearance internalization is the sun-variable of sociocultural attitudes toward appearance and has significant effects on weight stress, skin aging stress, and body dissatisfaction sub-variables for body stress. Ostentation, and superiority being the sub-variables of narcissism, have significant effects on weight stress, skin aging stress, body dissatisfaction, and hair stress, the sub-variables for body stress. Ages of women display distinctions between the sub-variables in sociocultural attitudes toward appearance such media appearance internalization, and in narcissism such leadership/privilege, ostentation, superiority, and body stress such weight stress, skin aging stress, body dissatisfaction, and hair stress. This result can be a necessary base line data for adult women’s appearance management by examining the influence of the attitude toward the appearance developed from the relationship with people around body stress.

      • KCI등재후보

        보문 : 고등학생들의 미의식, 외모관심도, 외모관리가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광주, 전남 지역을 중심으로-

        송은정 ( Eun Jung Song ),김정화 ( Jung Hwa Kim ),나명순 ( Myung Soon Na ) 대한미용학회(구 대한미용과학회) 2013 대한미용학회지 Vol.9 No.2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aesthetic consciousness, interest in appearance, and appearance management on stress in high school students using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The 850 students in Gwangju and Jeonnam were served as the subjects and the questionnaires of a total of 60 items and 5-point Likert scale were used. The internal beauty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social, study, and concentration factors but negatively correlated with the parent-child relationship and physical factors. The appearance management and interest in appearance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all factors. The effects of aesthetic consciousness, appearance management, and interest in appearance on stress using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investigated. The social factor of stress was affected by the appear-ance consciousness, management awareness, and internal beauty. The appearance consciousness and appearance changes were affected by the parent-child relationship factor of stress and its explanation power was 2.7%. In the case of the phys-ical factor of stress, it was affected by the appearance consciousness and its explanation power was 6.9%. The academic achievement factor of stress was affected by the management awareness, appearance consciousness, and appearance changes and its explanation power was 4.3%. The concentration factor of stress was strongly affected by the management awareness, management attitudes, hair styles, and appearance consciousness and its explanation power was 7.8%. Based on the results, being overly conscious of appearance and being active in changes were highly correlated with stress factors.

      • KCI등재

        간호대학생의 외모 만족도와 우울 관계에서 자아존중감 및 스트레스의 매개효과

        한정원(Jeongwon Ha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21

        목적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외모 만족도, 우울, 자아존중감 및 스트레스 간의 관계를 살펴보고, 외모 만족도와 우울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 및 스트레스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방법 본 연구는 G시 소재의 일개대학 간호학과에 재학 중인 1학년에서 4학년 학생 17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자료분석은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외모 만족도, 우울, 자아존중감, 스트레스는 t-test, One-way ANOVA, 피어슨 상관관계, SPSS PROCESS Macro 모델 6를 활용하여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결과 연구결과 간호대학생의 외모 만족도, 우울, 자아존중감 및 스트레스의 상관관계에서 외모 만족도와 우울과 스트레스는 역 상관관계, 자아존중감은 외모만족도와 순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간호대학생의 외모 만족도와 우울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과 스트레스의 매개효과를 분석한 결과, 스트레스는 완전매개효과를 나타냈었으나, 자아존중감은 매개효과가 없었다. 외모 만족도과 우울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과 스트레스의 이중매개효과 검증 결과, 외모 만족도외모 만족도와 우울 관계에서 자아존중감과 스트레스는 이중매개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간호대학생이 인지하고 있는 우울을 감소시키기 위해서 자신의 외모에 대한 긍정적인 신체상을 갖도록 하는 내용과 간호대학생의 우울을 심리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통한 중재방안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appearance satisfaction, depression, self-esteem, and stress of nursing college students, an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steem and stres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ppearance satisfaction and depression. Methods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a survey of 179 first- to fourth-grade students enrolled in the nursing department of one university in G City. Data analysis analyzed the mediating effect using the subjects' general characteristics, appearance satisfaction, depression, self-esteem, and stress, t-test, one-way ANOVA, Pearson correlation, and SPSS PROCESS macro model 6. Results As a result of the study, in the correlation between appearance satisfaction, depression, self-esteem, and stress of nursing college students, appearance satisfaction and depression and stress showed an inverse correlation, and self-esteem showed a net correlation with appearance satisfaction.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steem and stres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ppearance satisfaction and depression of nursing college students, stress showed a complete mediating effect, but self-esteem had no mediating effect.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double mediating effect of self-esteem and stres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ppearance satisfaction and depression, it was found that self-esteem and stress had no double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ppearance satisfaction and depression. Conclusions In order to reduce the depression perceived by nursing students, it is necessary to find an intervention method through various programs that can reduce the depression of nursing students psychologically and content to have a positive physical image of their appearance.

      • KCI등재

        청소년의 스트레스 유형에 따른 자아의식과 외모관리행동

        박은희 ( Eun Hee Park ) 한국패션비즈니스학회 2015 패션 비즈니스 Vol.19 No.4

        본 연구는 여자청소년을 대상으로 스트레스 유형을 파악하여 그에 따른 자아의식과 외모관리행동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런 결과를 통해 스트레스의 원인을 파악하고 일상생활에서 스트레스를 감소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첫째, 스트레스의 하위요인은 친구스트레스, 시험스트레스, 경제스트레스, 가족스트레스, 수업스트레스로 나타났고 스트레스 요인을 집단별로 분류한 결과, 사회관련 스트레스 중간집단(26.4%), 시험관련 스트레스 고집단(30.3%), 사회관련 스트레스 고집단(43.3%)으로 분류되었다. 또한 자아의식의 하위요인은 공적자아의식, 대인불안, 사적자아의식으로 나타났고 외모관리행동의 하위요인은 미용성형, 의복조화, 체중관리, 헤어관리, 건강관리, 피부관리, 식사관리로 나타났다. 둘째, 여자청소년들은 시험에 대한 부담감으로 스트레스가 높았고 그 다음이 친구로 인한 스트레스가 높았다. 이때 원만한 친구관계의 형성이 사회성 발 달에 중요한 역할을 하므로 학교 안과 밖에서 관심을 가지고 이들을 이해 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셋째, 스트레스의 하위요인은 자아의식의 하위요인 및 외모관리행동의 하위요인에서 의미있는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넷째, 여자청소년의 스트레스 유형에 따른 자아의식 중 공적자아의식, 대인불안, 사적자아의식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사후검증 결과 사회관련 스트레스 고집단이 사회관련 스트레스 중간집단보다 공적자아의식에서 높았고 사회관련 스트레스 고집단이 시험관련 스트레스 고집단보다 대인불안에서 높았다. 또한 스트레스 유형에 따른 외모관리행동 중미용성형, 의복조화, 체중관리, 헤어관리에서 유의한차이를 보였다. 사후검증 결과 사회관련 스트레스 고집단이 사회관련 스트레스 중간집단보다 미용성형, 의복조화, 체중관리에서 높았다. 또한 사회관련 스트레스 고집단이 시험관련 스트레스 고집단보다 헤어관리에서 높았다. 다섯째, 여중생과 여고생에 따른 스트레스, 자아의식 및 외모관리행동에서 차이를 보였다. 여중생은 친구스트레스, 공적자아의식, 의복조화, 헤어관리, 피부관리에서 여고생보다 높았고 여고생은 수업스트레스, 미용성형, 체중관리에서 높았다. 본 연구에서는 여자청소년의 일상생활 속에서 느껴지는 스트레스의 차원이 다름을 알 수 있었다. 이들이 지각하는 스트레스가 친구스트레스, 시험스트레스, 경제스트레스, 가족스트레스, 수업스트레스라는 차원을 분석을 통해 도출함으로써 선행연구들과 비교 분석 할 수 있었다. 여자청소년들의 스트레스 유형에 따라 자신에 대한 관심의 방향이 내부로 향하는지 외부로 향하는지에 따라 차이를 보였고 외모 관리행동과도 차이를 나타낸 것을 입증하였다. 인간은 살아가는데 적절한 스트레스를 가지고 그 스트레스를 해결하려는 과정에서 조금씩 감소하고 또 다른 문제로 인해 스트레스를 가지게 되어 연속적으로 발생하게 된다. 이런 과정에서 감소됨으로 인해 만족감을 느낄 수 있지만 스트레스가 연속적으로 되면 심각한 문제를 유발하게 된다. 그러므로 청소년이 경험하고 있는 스트레스를 파악하여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는데 활용하고자 한다. 여자청소년들은 시험에 대한 부담감으로 스트레스가 높았고 그 다음이 친구로 인한 스트레스가 높았다. 학교에서는 방과 후 수업으로 친구와 협업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만들어 친구와 잘 지낼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한다. 즉 학교생활은 사회의 기초적 역할을 하는 작은 영역으로 미래 사회생활을 하는데 중요한 밑바탕이 된다. 따라서 본 연구를 근거로 하여 학교에서 원만한 인간관계를 형성할 수 있도록 청소년들을 지도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한다. 예를 들면, 친구 생각하고 이야기 들어주기, 친구에게 필요한 것이 무엇인지 알기, 친구와 나눌 수 있는 것이 무엇이 있을까 생각하고 실천하기, 선생님이나 부모님께서는 나에게 왜 이런 행동을 하도록 할까, 왜 학교에서는 우리를 규칙에 맞게 지내도록 할까 등을 생각할 수 있는 기회를 부여하여 자신의 존재적 가치를 느끼고 자신의 역할에 대한 필요성을 일깨울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한다. 이로 인해 이들은 자아정체감이 발달되고 사회 한 구성원으로서 역할을 인지하게 되므로 학습에 대한 필요성, 진로에 대한 관심이 높아질 것이다. 또한 매스컴의 발달로 인해 다양한 매체를 통해 성형미인이 아름답다고 청소년들은 인지하고 있다. 인간의 외모는 모두 다르므로 자신의 개성을 살린 좋은 이미지를 만들어 나가는 것이 필요하다. 그러기 위해서 학교에서는 청소년들에게 아름다움의 의미를 다양한 측면에서 볼 수 있도록 하고 외모는 가꾸고 관리함으로써 더욱 멋진 모습으로 변해진다는 것을 인지시킨다. 따라서 본 연구는 청소년의 스트레스 유형에 따라 외모에 대한 관심이 다르므로 외모관리행동을 위한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기초자료가 될 것이다. 개인이 모여 사회를 이루므로 주변을 의식한다는 것은 자신을 의식한다는 것이다. 자신 안에 타인이 바라보는 나가 존재하므로 주변상황에 적절한 나를 만들기 위해 겉모습에 관심을 가지고 주변과 어울릴 수 있는 행동을 하게 된다. 이때 여자청소년의 일상생활 속에서 느끼게 되는 스트레스 유형에 따라 자아의식과 외모관리행동이 다름을 본 연구에서 밝힌 것에 의의를 가진다. 본 연구는 대구지역의 여자청소년으로 한정하여 실증조사를 한 것으로 연구결과를 전체 청소년으로 확대 해석함에는 신중을 기해야 할 것이다. 추후연구에서는 남자청소년의 특성을 파악하여 스트레스 유형을 분류한 후 유형에 따른 심리적 변인과 관련하여 알아볼 필요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ssify the stress into groups and analyze their differences in self-consciousness, and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Questionnaires were administered to 377 middle and high school girls living in Deagu metropolitan City. Frequenc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luster analysis, ANOVA, Duncant-test, and t-test are all used for data analysis. Our findings show that stress developed due to several reasons: the categories are as follows into grades-related low stress, exam-related high stress, and society-related high stress. For the purposes of our study, we labeled self-consciousness as a combination of being socially and privately self-consciousness and showing signs of social anxiety.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deals with esthetic plastic surgery, clothing harmony, weight management, hair management, health care, skin care, and meal management. Stress shows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the sub-variable self-consciousness and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The groups show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elf-consciousness, and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There is also a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stress, self-consciousness and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by grade. The students in seemed to recognize that their appearance can be improved by dressing up and managing their outwardly appearance. Teachers should educate students to have the variety of views on the meaning of beauty. In addition, schools need to develop programs to educate student about appearances, as the student’s interests differ due to the stress type of the adolescent.

      • KCI등재

        창원지역 대학생의 외모관리행동과 취업스트레스와의 관계 연구

        최수경(Choi, Soo Kyoung)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21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7 No.1

        최근 창원지역 산업체는 고용과 내수가 크게 위축되어, 창원지역 대학생의 취업은 어려운 현실에 직면해 있다. 대학생은 취업 면접 준비를 위해 다양한 스펙과 더불어 외모관리에도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지금까지 선행연구들에서도 외모와 취업 간의 관계를 인정하고 있지만 이에 관한 구체적인 연구는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창원지역 대학생의 외모관리행동과 취업스트레스와의 관계를 알아보는 데 있다. 자료 수집은 창원지역 대학생을 대상으로 2020년 11-12월에 실시되었다. 자료 분석은 SPSS프로그램에 의해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변량분석, Duncan-test, 상관분석, 회귀분석이 사용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외모관리행동의 요인은 체형, 패션, 성형수술, 피부, 건강, 헤어, 메이크업의 7개 차원으로 구성되었고, 취업스트레스의 요인은 취업불안, 학교환경, 가정환경, 학업의 4개 차원으로 구성되었다. 외모관리행동과 취업스트레스는 일반적 특성에 따라 부분적으로 다르게 나타났다. 외모관리행동과 취업스트레스와의 상관관계는 부분적인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외모관리행동은 취업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외모관리행동은 취업스트레스의 취업불안에 두드러진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올바른 외모관리 상식이나 기법에 관한 프로그램은 취업에 대한 불안을 해소시킬 수 있는 역할을 일정 부분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창원지역 대학생을 위한 진로 및 취업 프로그램 기획에 유용한 기초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Recently, industrial companies in Changwon face difficulties in finding employment for college students in Changwon due to a significant contraction in employment and domestic demand. College students are making great efforts to manage their appearance along with various specifications to prepare for job interviews. So far, prior studies have acknowledged the relationship between appearance and employment, but no specific research has been conducted.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and job-seeking stress of college students in Changwon province. The data were collected in November to December 2020 from college students in Changwon. The data have been analyzed by using SPSS program. The methods of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ANOVA, Duncantest,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have been adopted for the data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ings: The factors of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consisted of seven dimensions of form, fashion, cosmetic surgery, skin, health, hair, and makeup. The factors of job-seeking stress consisted of four dimensions of job insecurity, school environment, home environment, and study.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and job-seeking stress were showed partly different depending on the general characteristics. The correlation between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and job-seeking stress has shown partial correlation. The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made influences on job-seeking stress. Especially, the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exerted a noticeable influence on the job insecurity of job-seeking stress. So, it is believed that programs on proper appearance management common sense or techniques may play a certain role in relieving anxiety about employment.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is used as the useful basic sources of career and employment program plans for college students in Changwon province.

      • KCI등재

        남자대학생의 외모 스트레스와 외모관리행동이 취업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강현주,최혜정,김주현,채영란,강소연,이선희,김원희 한국학교보건학회 2018 韓國學校保健學會誌 Vol.31 No.2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ppearance stress and appearance managementbehavior on job-seeking stress among male university students. Methods: The participants of this cross-sectionaland descriptive study were 158 male students attending a university in K Province who completed a self-reportstructured questionnaire. The survey period was from September 19th to November 9th, 2017. Data were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correlation and multiple linear regressionanalyses with the SPSS statistics 23 program. Results: Job-seeking stres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according to BMI (F=2.55, p=.042) and pocket money (F=3.08, p=.049). The results of the regression analysisshowed that grade (β=8.93, p=.008), pocket money (β=-5.11, p=.029), appearance stress (β=.52, p<.001),and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β=.25, p=.001) were significant factors affecting jog search stress. Conclus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 that variables such as grade, pocket money, appearance stress,and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significantly explain job-seeking stress among male students in colleg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program to reduce job-seeking stress for senior male students who arepreparing for employment before graduation. In addition, when organizing a program to reduce job-seeking formale university students, it is necessary to help them have a more positive evaluation of their appearance andpursue proper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s.

      • KCI등재

        COVID-19 팬데믹 이후 외모관리행동과 스트레스의 연관성에 관한 연구

        김태임,권기한 한국화장품미용학회 2022 한국화장품미용학회지 Vol.12 No.3

        This study attempted to confirm how the general characteristics and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of the study subjects affect stress percep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re are differences in stress awareness according to gender, age, residence, education, marital status, and income, and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refers to the behavior of managing appearance for external beauty and showing one's unique and positive image to others. The stress scale refers to the degree of stress that an individual actually feels and interprets. In order to achieve the research purpose of how changes in adult perception and appearance management affect changes in self-management in the COVID-19 pandemic, beauty's interest and appearance satisfaction were derived as sub-factors. A self-entry survey was conducted on 516 study participants in their 20s and 60s, and 352 women(68.2%), 164 men(31.8%), and body images(t=-9.394, p<.001), searching for information (t=-2.883, p<.01), beauty behavior(t=-5.174, p<.001), and appearance satisfaction(t=4.905, p<.001)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stress. However, the degree of interest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stress perception (p>.05). Among the variables that have a significant effect, 'body image(=-.445) > beauty behavior(=-.321) > appearance satisfaction(=-.233) > Search for information(=-.176), the influence was found to be large. Therefore, it means that stress perception decreases as awareness of body image, beauty behavior, appearance satisfaction, and information search increases. It was confirmed that the degree of stress perception was significantly relate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 대학생의 외모에 대한 사회문화적 태도, 외모 스트레스와 섭식장애의 관계

        김민지,박민정,박예진,안슬기,왕소여,이소정,이지수,정은기,하효정,김건희 이화여자대학교간호학회 2020 이화간호학회지 Vol.- No.54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ocultural attitudes towards appearance, appearance stress and eating disorders. Method: Sociocultural Attitudes Towards Appearance Questionnaire-4 revised which was translated to Korean measured sociocultural attitudes towards appearance and appearance stress measurement examined appearance stress. Korean Version of Eating Attitude Test-26 was used to measure eating disorders. 120 university students in a city took surveys from September 20 to October 8, 2019. Of the 120 questionnaires, 4 has insincere or incomplete responses and 116 questionnaires resulted in data. The questionnaires were investigated using statistical process of t-test, ANOVA, and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using SPSS/Win 25.0 software package. Results: The average of KEAT-26 scores was 7.45 and the prevalence of eating disorders was 6.89% in the study. In eating disorder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subjective body image and diet experience. Eating disorders were positively correlated to sociocultural attitudes towards appearance (r=.21, p=.018) and appearance stress (r=.23, p=.006). Conclusion: This study verified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ocultural attitudes towards appearance, appearance stress and eating disorders of university students, and expected to be supporting documents to develop programs for helping university students with eating disorders.

      • KCI등재

        간호대학생의 취업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승희,박선화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9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9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appearance satisfaction, self efficacy, readiness for employment, employment stress, and identify the influencing factors on employment stress of nursing students. The data was collected using questionnaires from 195 university students who were 1 universities in Jeollanam-do, November 2018. Data ware analyzed by using SPSS Win 20.0.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appearance satisfaction and self efficacy(r=.209, p<.01) and appearance satisfaction and readiness for employment(r=.196, p<.01) and readiness for employment self efficacy(r=.303, p<.001), negative correlation were found between employment stress and appearance satisfaction(r=-.167, p<.05) and employment stress and self efficacy(r=-.318, p<.001). As a regression analysis, factors that effect on employment stress were self efficacy. Theses factors explain 25.0% of the variance in employment stress. Therefore, to decrease employment stress and to increases appearance satisfaction and self efficacy of nursing students, it is necessary to develop the program for improving the employment stress of nursing students.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외모만족도, 자기효능감, 취업준비도, 취업스트레스와의 관계를 파악하여 파악하고자 시도되었다. S에 있는 4년제 대학에 다니는 학생을 대상으로 하여 2018년 4월부터 한 달간 조사하여 195부의 설문지가 분석에 사용되었으며 평균, 표준편차, t-test, ANOVA, Scheffe’s test,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multiple regression를 SPSS WIN 20.0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자의 대상자의 외모만족도, 자기효능감, 취업준비도, 취업스트레스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외모만족도와 자기효능감(r=.209, p<.01), 외모만족도와 취업준비도(r=.196, p<.01), 취업준비도와 자기효능감(r=.303, p<.001)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고, 외모만족도와 취업스트레스(r=-.167, p<.05), 자기효능감과 취업스트레스(r=-.318, p<.001)는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또한 대상자의 취업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모형 설명력은 25%였고, 자기효능감(β=-.407, p<.001)으로 나타났으며, 외모만족도, 취업준비도는 취업스트레스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간호대학생의 취업스트레스를 줄이기 위해서 외모만족도와 자기효능감을 높일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이 이루어져야 한다.

      • KCI등재후보

        대학생의 행복에 관한 연구: 외모만족감, 스트레스, 가족탄력성을 중심으로

        김준호(Kim Jun-Ho),서종수(Seo Jong-Soo) 한국청소년상담학회 2021 청소년상담학회지 Vol.2 No.4

        본 연구는 대학생의 외모만족감, 스트레스와 가족탄력성이 행복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대구·경북지역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직접 배포의 방법을 통해 2017년 4월 17일부터 5월 3일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총 315부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연구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대학생의 행복에 외모만족감, 가족탄력성은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취업스트레스와 이성친구스트레스는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행복의 하위요인, 삶의 만족, 긍정정서, 부정정서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삶의 만족은 외모만족감과 가족탄력성에 의해 정적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긍정정서는 외모만족감과 가족탄력성에 의해 정적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정정서는 외모만족감과 가족탄력성에 의해 부적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취업스트레스와 이성친구스트레스에 의해 정적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대학생의 행복을 향상시키기 위한 다양한 개입 방안에 대해 제시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verify the effect of appearance satisfaction, stress, and family resilience on the happiness of college students.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a survey was conducted from April 17 to May 3, 2017, through direct distribution to university students in Gyeongbuk, and a total of 315 data were used for analysis. The study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Appearance satisfaction and family resilience were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happiness of university students, and it was found that dating stress had a negative effect. The results of examining the effects of sub-factors of happiness, life satisfaction, positive and negative emotions, are as follows. Life satisfaction was found to be positively affected by appearance satisfaction and family resilience. Positive emotions were found to be positively affected by appearance satisfaction and family resilience. Negative emotions were found to be negatively affected by appearance satisfaction and family resilience, and positively affected by job-seeking stress and dating stress. Based on the survey results, various interventions to improve the happiness of university students were sugges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