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해산물을 이용한 ADHD 아동·청소년 푸드아트테라피 사례연구

        한수연 한국청소년상담학회 2016 한국청소년상담학회지 Vol.1 No.1

        본 연구는 ADHD아동 청소년을 대상으로 푸드아트테라피 활동에 해산물을 매체로 활용한 후 ADHD아동청소년의 주의집중향상과 충동성감소와 과잉행동 감소에 효과성을 보고자 한다. 더불어 해산물을 푸드아트테라피에 활용 하고, ADHD아동청소년의 부주의함, 과잉행동, 충동성 등의 문제행동감소와 자기효능감 향상을 위한 효과적인 중재를 위한 근거 자료를 제공함으로써 바다의 생물인 해산물에 대한 관심과 푸드아트테라피의 효과성을 알리 고자 한다. 이를 위해 ADHD로 정신의학과 또는 소아 청소년 정신과에서 진단을 받은 아동 청소년 4명을 대상 으로 해산물을 이용한 푸드아트테라피를 2015년 6월24일부터 8월12일까지 일주일에 1회 90분간 총 8회 상담을 실시하였다. 치료과정 중에 구성과 재구성의 변화를 관찰하였으며, 치료가 끝난 후 대상자들에게 질문지 작성을 통해 ADHD문제 행동인 충동성, 부주의성, 과잉행동에 대한 변화를 기록하도록 하였다. 푸드아트테라피상담과정 에서의 효율적인 상담기술 맞이하기, 받아들이기, 찾아들어가기, 받아내기로 ADHD아동 청소년의 생활양식과 정 서에 배어있는 ‘살림’의 본성과 성장의 무한한 잠재능력이 발현되도록 하였다. 해산물을 이용한 푸드아트테라 피를 진행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가 시사하는 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푸드를 통한 예술치료 상담은 ADHD 아동 청소년의 내면과 감정표출이 해산물을 통해 자연스럽게 표출되고 그러한 작업을 하는 과정에서 주의집중 을 하여 산만함이 줄어 든 것이 관찰되었다. 둘째, FAT상담과정 ‘맞이하기-받아들이기-찾아들어가기-받아내 기’의 상담과정으로 접근하여 해산물을 친구로 맞이하고 관찰하면서 자신과 동일시하는 과정에 집중하였으며 신기해 하는 호기심이 작품속에 그대로 표출되면서 ADHD아동청소년의 충동성이 조절되었으며 오감을 통해 느 껴지는 감각에 주의집중하는 모습을 볼 수 있었고 과잉행동이 줄어듬이 관찰되었다. 셋째, 상담과정에서 FAT의 재구성 기법을 활용하여 구성과 재구성을 반복하는 동안 해산물의 변화하는 모습을 자유자재로 표출하고 ADHD 아동들이 상호작용할 수 있었으며 자기효능감이 향상되었다.

      • 아동기 외상을 경험한 청소년의 문제행동 수정을 위한 모래상담사례연구

        이미나,이무영 한국청소년상담학회 2016 한국청소년상담학회지 Vol.1 No.1

        본 연구는 아동기 외상을 경험한 청소년의 문제행동 수정을 위한 모래상담사례연구이다. 연구대상 청소년은 아 동기 외상을 경험한 후 성장과정에서 많은 어려움을 겪었고, 어머니의 우울로 인해 충분한 양육을 제공 받지 못하였다. 현재 내담자는 중학교 3학년(내방당시 중1학년) 청소년으로 어린 시절의 부모와의 관계에서 충분한 돌봄이 부재한 양육환경, 청소년기 문제행동(우울, 판타지 소설 중독, 분노 조절력)과 학교생활 부적응 등의 어 려움을 보이고 있다. 본 모래상담은 G시에 소재한 K상담복지관에서 2013년 12월 20일부터 2015년 3월 13일 까지 주 1회 총 45회기를 진행한 사례이다. 본 상담의 목적은 아동기 외상을 경험한 내담자의 억압된 감정을 알고 문제행동 수정과 부모와의 관계 회복, 그리고 학교적응을 돕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아동기 외상 및 문제 행동은 양적으로 감소되는 양상을 보여주었으며, 모래상담 진행의 효과는 어머니와의 관계가 회복되고, 부정적 인 감정 표출이 줄어들었으며, 학교적응과 또래관계가 회복되었다. 이는 아동기 외상을 경험한 청소년의 문제 행동 수정에 모래상담이 효과가 있음을 제시하고자 한다.

      • 다문화 청소년의 심리적 건강에 관한 메타분석

        나재은(Na, Jae-Eun) 한국청소년상담학회 2017 한국청소년상담학회지 Vol.2 No.4

        The number of multicultural families has increased rapidly, and the number of multicultural youth living in Korea has also increased rapidly. Korean society now has a diverse background and people who speak different languages have come together to form a multicultural society. However, the number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experiencing psychological difficulties with rapid changes has increased, and a number of studies that are interested in the psychological health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have been published.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analyze factors affecting the psychological health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In this study, we conducted a meta - analysis of 15 studies on the psychological health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published in domesic journals from 1995 to 2017.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As a result of analyzing 15 psychological health reports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published in domestic journals from 1995 to 2017, 68 variables suggested to be related to multicultural adolescents in each study were significant heterogeneity respectively. Factors influencing the quantity of multicultural youth were individual, cultural and psychological factors, and these factors were classified as risk factors. Factors influencing negative attitudes toward multicultural youth were family, individual, teacher, psychology, friends, and school. The factors affecting the psychological health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are listed from the top according to the magnitude of the effect value. The protective factor was family, school, teacher, surrounding person, friend, individual and culture order. Risk factors were personal, psychological, and cultural order. Other factors influenced the learned helplessness of multicultural youth according to the order of family, friend, and school. Finally, the limitations and suggestions of the study were described. 다문화 가정의 수는 급속도로 늘어났고, 한국에 거주하는 다문화 청소년의 수 역시 빠르게 증가해왔다. 한국사회는 이제 다양한 출신배경을 가지고 서로 다른 언어를 구사하는 사람들이 모여 다문화 사회를 이루게 되었다. 이러한 빠른 변화와 함께 심리적으로 어려움을 겪는 다문화 청소년의 수도 많아졌고 다문화 청소년의 심리적 건강에 대한 연구도 많이 발표되었다. 이에 다문화 청소년의 심리적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분석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1995년부터 2017년까지 국내 등재(후보) 학술지에 발표된 다문화 청소년의 심리적 건강에 관한 15편의 연구에 대해서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995년부터 2017년까지 국내 등재(후보) 학술지에 발표된 다문화 청소년의 심리적 건강에 관한 연구 15편을 분석한 결과, 각 연구에서 다문화 청소년과 관련이 있다고 제시한 68개의 변인들은 효과크기에서 상당한 이질성을 보여주었다. 다문화 청소년의 심리적 건강에 양의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은 개인, 문화, 심리 요인이었으며 이들 요인들은 위험요인으로 분류되는 요인들이었다. 다문화청소년의 심리적 건강에 음의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은 가족, 개인, 교사, 심리, 주변인, 친구, 학교 요인이었다. 다문화 청소년의 심리적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효과값의 크기에 따라 상위값부터 나열하면 보호요인의 경우 가족, 학교, 교사, 주변인, 친구, 개인, 문화 순이었으며, 위험요인의 경우 개인, 심리, 문화 순이었다. 그 밖의 요인들의 경우 가족, 친구, 학교 순으로 다문화 청소년의 심리적 건강에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연구의 한계와 제언을 기술하였다.

      • 청소년의 부모애착, 또래관계 및 인터넷 과몰입이 자아정체감에 미치는 영향

        류수현(Ryu, Soo-Hyun) 한국청소년상담학회 2018 한국청소년상담학회지 Vol.3 No.2

        본 연구는 부모애착, 또래관계 및 인터넷 과몰입이 청소년의 자아정체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중학생 206명, 인문계 고등학생 559명, 전문계 고등학생 92명, 총 857명의 청소년이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부모애착 척도는 Armsden과 Greenberg(1987)의 부모 및 또래애착척도(The Inventory of Parent and Peer Attachment; IPPA) 개정본(IPPA-R)을 옥정(1998)이 번안한 것을 사용하였으며, 또래관계 척도는 김재은(2007)이 재구성한 또래관계 척도를 사용하였다. 자아정체감 척도는 송현욱(2008)이 재구성한 자아정체감 검사지를 사용하였으며, 인터넷 과몰입 측정도구는 김청택, 김동일, 박중규, 이수진(2002)이 개발한 한국형 인터넷 중독진단척도(K-척도)이다. 자료처리는 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적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청소년의 부모애착은 자아정체감에 의미있는 영향을 주고, 또래관계 역시 자아정체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그러나 인터넷 과몰입은 자아정체감에 부정적으로 영향을 미친다. 즉, 부모애착이 높고 또래관계가 긍정적일수록 자아정체감이 더 높으며, 인터넷 과몰입수준이 높을수록 자아정체감은 더 낮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alidate the effect that the parent attachment, peer relationship and internet immersion would have on ego identity of adolescents.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a total of 857 adolescents consisting of 206 middle school students, 559 adolescents of liberal arts high schools, and 92 adolescents of vocational high schools. The parent attachment scale used in this study is the revised version(IPPA-R) of the Inventory of Parent and Peer Attachment(IPPA) of Armsden and Greenberg(1987) which was translated by Ok Jeong(1998), while the peer relationship used in this study is the peer relationship scale reconstructed by Kim Jae-Eun(2007). For the ego identity scale, we used the ego identity test sheet reconstructed by Song Hyeon-Wook(2008). Moreover, the internet immersion measurement tool used in this study is the Korean Internet Addiction Proneness Scale(K-scale) developed by Kim Cheong-Taek, Kim Dong-Il, Park Jung-Gyu, and Lee Soo-Jin(2002). The collected data were processed for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parent attachment of adolescents had a significant influences on their ego identity while the peer relationship of adolescents also had a significant influence their ego identity. However, internet immersion had a negative influence on ego identity. In other words, ego identity increases higher when the extent of parent attachment is stronger and peer relationship is more positive. By contrast, ego identity decreases lower when the extent of internet immersion is higher.

      • KCI등재후보

        분노 조절 향상을 위한 미술 치료 프로그램을 활용한 단일 상담 사례 연구

        조경숙(Cho Kyung-Sook),박연규(Park Yeon-Gyu) 한국청소년상담학회 2021 청소년상담학회지 Vol.2 No.4

        본 연구는 분노조절 향상을 위한 미술 치료 프로그램을 활용한 단일 상담 사례 연구로써 분노감정 조절과 공격성 안정의 목적을 두고 미술치료프로그램 활용하여 상담을 진행하였다. 연구대상은 중학교 1학년 여학생이며 분노조절 향상을 위한 미술 치료 프로그램을 활용한 단일대상으로 하여 상담 사례 연구 방법을 채택하였다. 상담회기는 사전·사후 검사를 포함하여 주 1회 90분으로 총 8회기를 진행했고, 측정 도구는 Silver(2002)의 이야기 그림검사(Draw A Story : DAS)와Spielberger(1988) 가 개발하고 전겸구, 김동연과 이준석(2000)이 연구하여 수정했던 한국판 상태-특성 분노 표현 척도(STAXI-K)를 사용하였다. 자료수집은 연구윤리에 적합하도록 참여자의 동의를 얻어 작품사진, 관찰기록, 자기보고식 소감을 통하여 수집되었고 자료 분석은 연구자와 연구보조자로서 미술심리상담사 1인 및 박사과정생 1인과 협의하여 분석하였다. 상담회기 시 연구대상자의 변화를 확인하기 위해 자기 보고식 소감문, 연구보조자의 관찰기록 및 연구자의 소감을 통해 분노조절 향상을 위한 비교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는 미술치료프로그램을 활용한 중학생의 감정 조절을 위한 상담 프로그램이 중학생에게 분노감정을 탐색하고 정서적 이완과 표출 작업으로 부정적인 감정을 해소하는 것을 돕고 충분한 지지 및 격려를 통한 치료적 개입으로 인한 정서적인 안정감과 분노감정과 분노의 상황을 인식하면서 긍정적으로 표현하게 함으로써 자신의 감정을 조절하는 데 영향을 미쳤다. 결론적으로 분노 조절의 어려움을 경험한 중학생에게 미술치료프로그램을 활용한 상담은 부정적인 감정과 언어표현에 변화를 보임으로써 분노감정조절의 효과를 확인하였다.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은 단일 상담사례의 일반화 어려움과 집단상담이 갖는 역동성을 고려하여 집단을 대상으로 하는 상담사례 연구가 이루어져야 하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 This study is a single counseling case study using art therapy program to improve anger control, and counseling was conducted using art therapy program for the purpose of controlling anger emotion and stabilizing aggression. The subject of this study was a first-year middle school female student, and the counseling case study method was adopted as a single target using an art therapy program to improve anger control. Counseling sessions were conducted for a total of 8 sessions of 90 minutes once a week, including pre- and post-tests, and the measurement tools were developed by Silver (2002)’s Draw A Story: DAS and Spielberger (1988) and developed by Jeon Gyeom-gu. , the Korean version of the state-trait anger expression scale (STAXI-K), which was studied and modified by Dong-Yeon Kim and Jun-Seok Lee (2000), was used. Data were collected through photographs of works, observation records, and self-reported impressions with the consent of the participants in order to comply with research ethics. Data analysis was conducted in consultation with one art psychology counselor and one doctoral student as a researcher and research assistant. In order to confirm the changes of the study subjects during the counseling session, a comparative analysis was conducted to improve anger control through self-reported impressions, observation records of research assistants and researcher s impressions. In conclusion, counseling using art therapy program for middle school students who experienced difficulties in anger control showed changes in negative emotions and verbal expression, confirming the effectiveness of anger control. Suggestions for follow-up studies suggest that a group counseling case study should be conducted in consideration of the difficulty of generalizing single counseling cases and the dynamics of group counseling.

      • 청소년 따돌림 피해경험과 분노행동단계에서 자기위로능력의 조절효과

        권영(Kwon Young) 한국청소년상담학회 2018 한국청소년상담학회지 Vol.3 No.4

        본 연구에서는 자기위로능력이 청소년의 집단따돌림 피해경험과 분노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청소년의 집단따돌림 피해경험과 분노행동의 영향관계를 알아보고, 분노행동을 조절할 수 있는 ‘자기위로능력’에 대해 살펴보았다. 본 연구에서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 청소년의 집단따돌림 피해경험 인식과 분노행동이 관계가 있는가? 연구문제 2. 자기위로능력이 청소년의 집단따돌림 피해경험으로 인한 분노행동에 조절효과가 있는가? 연구의 대상은 서울시와 경기도에 위치한 5개의 중학교와 고등학교 남․녀 학생 471명이었다. 측정도구는 집단따돌림 피해경험, 분노행동, 자기위로능력의 자기보고식 측정도구이다. 본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청소년의 집단따돌림에 대한 피해경험 인식이 높을수록 분노행동과의 관계가 유의미하게 설명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자기위로능력이 청소년의 집단따돌림 피해경험 인식으로 인한 분노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즉 자기위로능력이 높을수록 집단따돌림이 주는 부정적인 영향을 감소시킬 수 있는 것으로 확인 되었다. 본 연구의 의의는 자기위로능력이 청소년의 집단따돌림 피해경험에 대한 인식과 이로 인한 분노행동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된 바, 청소년의 자기위로능력 향상을 통해 집단따돌림의 피해자가 다시 가해자가 되는 역전이 현상의 악순환 현상을 줄이기 위한 자기위로능력 프로그램 개발과, 집단따돌림 문제를 가진 청소년의 분노행동을 자기위로능력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는 이론적 근거를 제공했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의의를 찾을 수 있겠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self soothing abilities on adolescent bullying experience and anger behavior. For this purpose, we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adolescent bullying experience and anger behavior, and examined self soothing abilities that can control anger behavior. The questions for the study were as follows. Question 1. Does the have a relationship of perception of adolescent bullying victims experience and anger behavior ? Question 2. Does effect of self soothing abilities have a moderating effect on anger behavior due to adolescent bullying experience?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471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n Seoul and Gyeonggi-do. Measuring instruments are the experience of bullying victims, anger behavior, self-reporting measures of self soothing abilit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The higher the perception of victimization experience of bullied youth, the more the relationship with anger behavior was explained. And it was found that self the effects of soothing abilities had an effect on anger behavior due to perceived experience of group bullying victims of adolescents. In other words, the higher the self the effects of soothing abilities, the less negative impacts of bullying.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was found to be that of self soothing abilities restoration affects adolescents perception of bullying victims and their anger behavior. As a result,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the development of a self-abilities program to reduce the vicious cycle of this phenomenon and the rationale for reducing the anger behavior of adolescents with bullying problems to their own abilities. Therefore, through the improvement of self soothing abilities of the youth to reduce the vicious circle the need to develop competency programs on their has emerged the victim.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provided the rationale for reducing the anger behavior of the adolescents with bullying problem to of self soothing abilities.

      • KCI등재후보

        청소년 대상 독서치료에 관한 연구동향

        김영란(Young-Ran Kim),서종수(Jong-Soo Seo),전재민(Jae-Min Jeon) 한국청소년상담학회 2022 청소년상담학회지 Vol.3 No.3

        본 연구는 국내에서 이루어진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독서치료 관련 논문을 분석함으로써,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독서치료의 연구동향을 파악하고, 나아가 발전방향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RISS, DBpia, Earticle, Kiss, newnonmun, scholar 및 기타 연구정보 사이트에 ‘청소년’ and ‘독서치료’, ‘중학생’ and ‘독서치료’, ‘고등학생’ and ‘독서치료’를 검색하여 2003년부터 2022년까지 이루어진 논문을 수집하여 총 95편의 논문을 수집하였다. 수집된 95편을 연구년도, 연구유형, 연구주제, 회기 수 및 개입시간, 개입장소 등으로 분류하고, SPSS WIN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독서치료는 2003년부터 시작되었으며, 학위논문이 68.4%, 학술논문이 31.6%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논문의 유형은 양적 연구가 64.2%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연구주제는 발달/예방이 64.2%로 나타났다. 또한, 대상 수는 평균 28.4명, 회기 수는 11.6회, 개입시간은 71.4분으로 나타났다. 개입장소의 경우 제시되지 않은 경우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학교, 상담소 순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청소년 대상 독서치료의 발전방향을 제시하였다. 구체적으로, 다양한 주제의 독서치료가 연구될 필요가 있으며, 다양한 기관에서 독서치료 연구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또한 독서 치료 연구 시 활용 매체나 주요 문제에 따른 자료들이 연구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research trends and suggest the direction of development of bibliotherapy for youth by analyzing the papers on bibliotherapy for youth in Korea. For this purpose, 95 research papers were collected by searching for ‘adolescent’ and ‘bibliotherapy', 'middle school student' and 'bibliotherapy', 'high school student' and 'bibliotherapy' on RISS, DBpia, Earticle, Kiss, newnonmun, scholar and collecting articles from 2003 to 2022. The collected 95 research papers were classified into research year, research type, research topic, number of sessions and intervention time, intervention place, and analyzed through SPSS WIN 26.0. Bibliotherapy for youth has been since 2003, and dissertations were 68.4% and academic research papers were 31.6%. Quantitative research papers were 64.2% of the research paper type, and development/prevention was 64.2% of the research paper topic. The average number of subjects was 28.4, the number of sessions was 11.6, and the intervention time was 71.4 minutes. The place of intervention, the case where it was not presented was the highest, followed by the school and the counseling center. Based on these results, future research directions for the study of reading therapy for adolescents are present. Specifically, it is necessary to study bibliotherapy in various subjects, and it is necessary to conduct bibliotherapy research in various organizations. In addition, in the study of bibliotherapy, it is necessary to study the materials according to the media used or the problem.

      • KCI등재후보

        상처 입은 치유자로서 청소년동반자의 삶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박연심(Park Yeon Sim) 한국청소년상담학회 2020 청소년상담학회지 Vol.1 No.4

        본 연구는 상처 입은 치유자로서 청소년동반자 삶의 경험과 삶의 의미는 어떠하며, 청소년동반자 활동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를 탐구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 대상은 3명이며 청소년동반자 상담 경험이 5년 이상인 자로 심층면담 후 녹음 자료를 전사한 인생이야기 조각들을 Connelly와 Clandinin가 제시한 내러티브 탐구방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상처 입은 치유자로서 청소년동반자 삶의 경험은 ‘상처 입은 아이로 자람’, ‘고통 속에서 여물어 감’, ‘힘든 아이들의 동반자’, ‘동반자로서 희비(喜悲) 속의 삶’, ‘위기아이들과 함께 성장’이라는 5개의 대주제가 도출되었고, 이에 따른 소주제를 각각 하나씩 도출하여 참여자들의 사례로 기술하였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가족 체계적 · 사회 문화적 · 존재론적 맥락에서 상처 입은 치유자로서 청소년동반자의 삶의 의미를 상처 입은 자로서 삶의 고통 속에서 자기성찰 과정을 통해 의미 있는 진정한 존재로서의 ‘참 나’를 발견하고, 고통 속에 있는 청소년들을 희망의 세계로 이끌어 주는 등불 같은 존재로 성장해 나가는 것으로 해석하고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lve into what the experience and meaning of youth companions’ life as wounded healers looks like, and how it affects youth companion activities. A total of three subjects are the participants with more than 5 years of experience in the youth companion activity and counseling. Each participant‘s story through in-depth interviews was recorded, narrated, and analyzed according to the narrative inquiry method procedure proposed by Connelly and Clandinin. Five themes could be derived from the results of this study of the experience of youth companions’ life as wounded healers like these: “Growing up as a wounded child,” “Suffering and hardening,” “Preparing to be a companion,” “Experiencing joy and sadness as a companion,” and “Growing together with children in crisi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could be interpreted and discussed as follows: In the context of family, society, and existential issue, they had overcome the considerable hardship to identify their ‘True Self’ through self-reflection. Furthermore, they have been thriving and guiding youth in darkness into the promising world like a beacon as youth companions.

      • KCI등재후보

        가출청소년 쉼터 거주 청소년들의 스트레스 경험에 관한 연구

        김영덕(Yeoung-Deok Kim) 한국청소년상담학회 2022 청소년상담학회지 Vol.3 No.1

        본 연구는 쉼터 거주 청소년들이 지각하는 스트레스 경험을 파악하고 그 의미와 본질을 찾아내기 위한 현상학적 연구이다. 본 연구에서는 일반 청소년들보다 더 큰 심리적 스트레스를 받는 그것으로 예상하는 쉼터 거주 청소년들의 스트레스 관련 요인들을 파악하여 그들의 적용을 돕고 삶에 조화를 이루고자 하는 데 의의가 있다. 연구방법은 쉼터에 거주하는 가출청소년 8명을 대상으로 심층 면담하였으며, 이를 통해 수집된 자료를 질적 다양성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는 현상학적 연구방법인 구조분석으로 스트레스 요인들을 범주화하였다. 무엇보다 청소년 자신들이 인지하고 있는 스트레스와 입소 후에도 해결되지 않는 스트레스에 집중하여 연구하였다. 분석결과 60개의 구성의미와 15개의 주제, 그리고 5개의 주제군이 도출되었다. 연구결과 쉼터 거주 청소년들의 스트레스 경험은 쉼터 환경, 가족에 대한 상처, 대인관계의 갈등, 개인의 심리·정서적인 문제, 삶을 위한 경제적인 스트레스로 범주화하였다. 이러한 세부분석을 통해 쉼터 거주 청소년들의 스트레스의 유발요인과 현상, 스트레스에 대한 소극적인 대처들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쉼터 청소년들의 스트레스에 관한 연구를 처음으로 시도한 점과 이들의 심리치료를 위해 상담의 필요성을 제공했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를 지닌다. This study aimed to examine stressed conditions that the runaway youth recognized in their youth refuges and analyze the depth meaning of such experiences by utilizing the phenomenological study analysis. This study identified the psychological stress of the teenage group living in the youth refuge and explored to support the group to live more adaptive and wholesome ways. The study conducted an in-depth interview with eight runaway youths who dwells in the youth refuge. After collecting the data, the study used structural analysis to categorize the stress factor to ensure diversity in understanding qualitative data. This study focused on revealing the stress of the youth in the refuge that they have recognized. And the study concentrated on stress that has not been relieved after entering the refuge. The results revealed 60 compositional meanings, 15 themes, and 5 subject groups. The main factors that caused the stress of the youth were refuge environment, wounds from family, conflict from an interpersonal relationship, individual psychological·emotional problems, and economic insecurity. Based on specific results, the study revealed stressed factors for the youth living in the refuge and also found passive response traits to their stress. This study has measurable value in examining the stress factors of the youth who live in the youth runaway refuges for the first time and suggesting proper counseling to nourish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the youth runaways.

      • KCI등재후보

        청소년이 지각한 사회적 위축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긍정적 부모양육태도의 매개효과

        송수정(Soo-Jeong Song) 한국청소년상담학회 2022 청소년상담학회지 Vol.3 No.3

        본 연구는 청소년이 지각한 사회적 위축과 부모양육태도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아동·청소년 패널조사 2018 3차년도 중학교 재학생 데이터를 활용하였고, 최종 연구 대상자는 남학생 1,278명과 여학생 1,106명이다. 사회적 위축, 긍정적 부모양육태도와 삶의 만족도의 관계를 확인하기 위해 SPSS 20.0을 활용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분석, 상관분석,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이 지각한 사회적 위축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사회적 위축을 높게 지각할수록 삶의 만족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청소년이 지각한 사회적 위축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긍정적 부모양육태도의 매개효과를 살펴본 결과 긍정적 부모양육태도의 부분매개효과가 검증되었다. 즉, 청소년이 지각한 사회적 위축은 삶의 만족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면서, 긍정적 부모양육태도를 통해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이 검증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청소년의 삶의 만족도 향상을 위하여 사회적 위축의 감소 및 긍정적 부모양육태도 제고를 위한 실천적인 정책적 대안과 맞춤형 부모교육프로그램의 개발에 관한 시사점을 제시해 주었다.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social withdrawal perceived by adolescents on satisfaction of life, and verified the mediating effect Positive parenting attitudes of in these relationships. Data from the 2018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were used in this study.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278 male and 1,106 female students in middle schools. Correlation, frequency, the technical statistics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to confirm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ing attitudes, social withdrawal and satisfaction of lif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effect of social withdrawal perceived by adolescents on life satisfaction of life,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s were found, and social withdrawal were found to be the influencing factor. Secon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mediating effect of Positive parenting attitudes on the effect of social withdrawal perceived by adolescents on satisfaction of life, the partial mediating effect of Positive parenting attitudes was verified. It was verified that the social withdrawal perceived by adolescents directly affects satisfaction of life and indirectly affects it through dependence on Positive parenting attitudes. These results suggested practical policy alternatives and the development of customized parental education programs to reduce social contraction and improve positive parenting attitudes in order to improve youth's satisfaction of lif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