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생물 학습을 위한 고등학생 소집단과 교사의 면담에서 나타나는 상호작용 유형 분석

        김정민 ( Jung Min Kim ),송신철 ( Shin Cheol Song ),심규철 ( Kew Cheol Shim ) 경북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13 科學敎育硏究誌 Vol.37 No.1

        본 연구는 고등학생들의 생물 학습 상황의 소집단 활동에서 나타나는 상호작용 유형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상호작용의 유형 분석은 소집단 활동을 위해 교사가 피드백을 제공하고자 하는 면담 과정을 통해 이루어졌다. 상호작용의 유형은 학생과 학생, 학생과 교사간 상호작용 수준에 따라 4가지로 분류되었는데 이는 소집단 내에서 교사와 소집단의 대표 학생 사이에서만 상호작용이 이루어지는 유형(LR, Leader Representation), 일부 학생과 교사의 상호작용이 이루어지고 있는 유형(PSI, Partial Students Interaction), 학생과 학생 사이에 상호작용이 활발히 일어나나 교사와는 대표 학생과 상호작용이 이루어지는 유형(SAI, Students Active Interaction), 구성원 모두가 활발히 상호작용을 하고 모든 학생들이 교사와도 상호작용을 하는 유형(TSAI, Teacher-students Active Interaction) 등이다. 고등학생들은 면담 과정이 거듭될수록 학생과 학생 사이에 상호작용이 활발하게 일어났으며, 학습에 대한 개념 이해가 부족한 초기 단계에서는 학생들 간에 복잡한 상호작용 양상이 나타나지만 개념의 이해가 완성되어 갈수록 점차 상호작용 유형이 간결하게 변화되어가는 특성을 보였다. 이로부터 생물 학습을 위한 소집단에서의 상호작용은 개념 이해가 부족한 학습자에게는 개념을 확인하고 이해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며, 학습 개념을 상호 형성할 수 있는 긍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patterns and features of interaction in teacher interviewing with high school students` small group for biology learning. The interactions in variety between the students and between the students and the teacher were made as the interviews with each small group were repeated to feedback for biology learning. The patterns of interaction were categorized into four types by interactive level of interaction among group members and a teacher: leader representation without interaction among students and the teacher(LR, leader representation), interaction among a part of students and the teacher(PSI, partial students interaction), active interaction among students inside the group, but only interaction between the teacher and the leader student(SAI, students active interaction), and interaction between all of the students and the teacher(teacher-students active interaction). Even though complex patterns of interactions were made among the students at the initial stage of insufficient understanding on the study concept, the simple interaction processes were shown as students had gradually completed the understanding on the concept. It was displayed that the interaction in the small group for biology study provides the opportunity to confirm and understand the concept to the students who were poor at the understanding on the concept, and it can influence positively on the mutual creation of study concept.

      • KCI등재

        멘토링을 통한 초임중등과학교사의 수업에서의 교사,학생 상호작용 변화 분석

        남정희 ( Jeong Hee Nam ),이순덕 ( Sun Duck Lee ),임재항 ( Jai Hang Lim ),문성배 ( Seong Bae Moon ) 한국과학교육학회 2010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30 No.8

        이 연구의 목적은 초임중등과학교사의 수업에서 교사와 학생 사이에 일어나는 상호작용을 상호작용 요소와 유형으로 나누어 그 특징을 알아보고 이들이 멘토링을 통해 어떻게 변화해 가는지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교직경력이 3년 이하인 초임중등과학교사 3명을 멘티교사로 선정하고, 교과교육분야에서 전문성이 있는 대학원에서 석사?박사과정에 있는 12년 이상의 경력교사를 멘토교사로 선정하였다. 초임중등과학교사의 교수기술의 전문성 발달을 위해 수업계획안 작성, 수업실행 전후 저널 작성, 수업 실행, 멘티?멘토의 1대1 멘토링 협의회, 멘토교사의 수업관찰 등으로 구성된 협력적 멘토링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초임교사들에게 5회 적용하였다. 초임중등과학교사의 수업에서 교사와 학생 사이의 상호작용은 수업 녹화 동영상과 녹화 동영상 전사본을 상호작용 시작의 주체, 교사 질문의 형태, 학생 응답의 형태, 교사 피드백의 형태로 범주화된 수업 분석틀에 따라 상호작용 요소와 상호작용 유형으로 나누어 멘토링 실시전인 1차시와 멘토링을 4회 실시한 후인 5차시를 분석을 통해 알아보았다. 이 연구 결과 초임중등과학교사의 수업에서 교사와 학생 사이의 상호작용은 교사에 의해 주도되며 교사 질문의 형태는 단순확인 질문이, 학생 응답의 형태는 단답응답이, 교사 피드백의 형태는 즉각피드백이 주를 이루어 학생들의 사고유발이 촉진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상호작용 유형 역시 교사의 질문(Initiation)에 대한 학생의 응답(Response)에 교사가 즉각피드백(feedback)을 사용하는 단순 IRF형이 주를 이루어 학생들의 사고작용이 활성화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4회 협력적 멘토링이 실시된 후에 초임중등교사들의 수업에서 학생과의 상호작용에 나타나는 상호작용 요소는 학생에 의해 상호작용이 시작되는 경우가 증가하였으며, 교사 질문의 형태는 사고질문이 증가하였다. 학생 응답의 형태는 설명이나 질문 응답 비율이 증가하였으며, 학생의 응답에 대한 교사의 피드백은 지연피드백의 사용 비중이 높아져 학생들이 상호작용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며, 상호작용 과정에서 학생들의 사고가 활성화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상호작용 유형은 교사의 질문(I)에 대한 학생의 응답(R)과 교사 피드백(F)의 반복 횟수가 다양한 복합적인 I(RF)n형으로 변화하였다. 4회 협력적 멘토링 과정을 거치면서 초임중등과학교사들의 교수기술이 상호작용 요소와 유형에서 학생들의 사고작용을 촉진·활성화시킬 수 있도록 발달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hange of teacher-student interaction in a beginner secondary science teachers` class through collaborative mentoring program. Three experienced science teachers as mentors and three beginner science teachers as mentees were participated in this study. Mentors have been teaching science secondary school for more than 13 years with specialty in science education, and mentees have been teaching less than three years in secondary schools. They were matched one-to-one on grounded characteristics that were revealed from pre-interview. Data collection consisted of lesson plans of mentees` classes, videotaped lessons of mentees, consultation meetings between mentors and mentees, and interviews with mentees as well as mentors. The consultation meetings and interviews were audiotaped and then transcribed with the videotaped lessons. To examine the change in teacher-student interactions, the lesson observed after four sessions of mentoring was compared to the lesson before mentoring on the basis of the analytical framework that was developed based on the interpretative approach. The analytical framework addresses the four aspects of teacher-student interaction, which include beginner of interaction (initiation), the types of the question, the student response and the feedback. After four sessions of collaborative mentoring, the beginner science teacher`s classroom interactions were initiated by students more often. Teachers` questions increasingly turned into thought-provoking queries that required higher-order thinking. The students responded in the form of statements instead of asking question more frequently. Also, teachers provided more delayed feedback than immediate feedback. These changes of interaction patterns showed that students took a leading role in classroom interaction and they were encouraged to think. From this result, we argue that the beginner science teachers developed the ability to make students think and to support them in coming to an understanding of knowledge through a collaborative mentoring program.

      • KCI등재

        특수교사의 교사효능감과 일-삶 균형이 교사-학생 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장지현 ( Jang¸ Jihyun ),박재국 ( Park¸ Jaekook ),김은라 ( Kim¸ Eunra ) 대구대학교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21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22 No.3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effects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sense of efficacy, Work-Life Balance on Teacher-Student Interaction and to provide the basic data necessary to present the future direction of program development to improve teacher’s sense of efficacy, Work-Life Balance, Teacher-Student Interaction. [Method] 251 special education teachers completed questionnaires. [Results] First, the level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sense of efficacy is positive. Second, the level of Work-Life Balance of special education teacher is normal. Third, the level of Teacher-Student Interaction is positive. Fourth, among the variables influencing the Teacher-Student Interaction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general teaching efficacy and personal teaching efficacy, which are sub-factors of teacher efficacy,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Conclusion] Based on the results, we will use it as basic data to develop programs to improve the teacher efficacy, work-life balance, and level of teacher-student interaction of special teachers. Also it can be used as evidence when planning a counseling program for people having difficulties in teacher-student interaction.

      • KCI등재

        수학화 과정에서 교사와 학생 간의 상호작용 양상과 교사의 담론 구조

        최상호 한국수학교육학회 2020 수학교육 Vol.59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teacher's discourse structure of teachers according to the interaction pattern between teacher and student in the process of mathematization. To achieve this goal, we observed a semester class (44 lessons) of an experienced teacher who had practiced teaching methods for promoting student engagement for more than 20 years. Among them, one lesson case would be match the teacher’s intention and the student’s response and the other one lesson case would be to mismatch between the teacher’s intention and the student’s response was analyzed. In other words, in the process of mathematization based on students' engagement, the intention of the teacher and the reaction of the student wa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cases where students did not make an error and when they made an error. A methodology used to develop a theory based on data collected through classroom observations(grounded theory). Because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dentify the teacher's discourse structure to help students’ mathematization, observe the teacher's discourse and collect data based on student engagement. Based on the teacher's discourse, conceptualize it as a discourse structure for students to mathematization. As a result, teacher's discourse structure had contributed to the intention of the teacher and the reaction of the student in the process of mathematization. Based on these results, we can help the development of classroom discourse for mathematization by specifying the role of the teacher to help students experience the mathematization process in the future. 본 연구의 목적은 수학화 과정에서 교사와 학생 간의 상호작용 양상에 따른 교사의 담론 구조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 달성을 위해 학생들의 참여를 촉진하는 교수법을 20년 이상 실행한 경력 교사의 한 학기 수업 44차시 중에서 수학화 과정에서 교사와 학생 간의 서로 다른 상호작용 양상을 보이는 대표적인 경우 각각 1차시 수업을 비교분석하였다(근거 이론). 분석 결과, 학생들의 참여 양상을 고려한 교사의 담론 구조는 수학화 과정 경험에 도움을 준것으로 볼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학생들과의 상호작용 양상에 따라 수학화 과정을 경험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기 위한 교사의 역할을 구체화함으로써 수학화를 위한 교실 담론 개발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학생과 교사 성별에 따른 상호작용 차이와 체육에 대한 태도와의 관계

        정명수 ( Myeong Su Jung ),박중길 ( Jung Gil Park ) 한국스포츠심리학회 2011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Vol.22 No.4

        본 연구의 목적은 학생과 체육교사의 성별에 따라 학생들이 지각하는 교사의 상호작용적 행동의 차이를 알아보고, 지각된 체육교사의 상호작용적 행동과 체육에 대한 학생들의 태도간의 관계를 검증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중학생 473명(남학생=236명, 여학생=237명)이며, 자료는 2(학생의 성)×2(교사의 성) 다변량분석과 상관분석,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해 분석되었다. 다변량분석의 결과 여자교사에게 수업을 받는 여학생이 남자교사의 수업을 받는 여학생보다, 남자교사의 수업을 받는 남학생이 여자교사의 수업에 참여하는 남학생보다 체육시간에 주어진 활동에 대해 교사로부터 책임을 다할 기회가 더 많이 주어진다고 보고하였다. 여자교사의 수업을 받는 남학생은 남자교사의 수업에 참여하는 남학생보다, 여자교사의 여학생이 남자교사의 수업을 받는 여학생보다 체육교사가 더 엄격한 행동을 보인다고 지각하였다. 위계적회귀분석의 결과 체육교사의 리더십과 도움/친밀감, 이해 수준이 즐거움을 예측하였으며, 체육교사의 리더십 행동은 정적으로 불확실한 행동은 부적으로 지각된 유용성과 관련이 있었다. 이 결과는 체육교사의 상호작용적 행동이 교사와 학생의 성별에 따라 다르게 지각되고, 이러한 지각은 중학생의 체육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보여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whether students` perceptions of teacher interaction differ by students` and their physical educators` gender, and to examine the effects of teachers` interactional behaviors on attitudes toward physical education. Participants were 473 middle school students (236 boys, 237 girls). Data were analyzed by 2(student`s gender)×2(teacher`s gender) MANOVA with factorial design, correlation,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Results of MANOVA indicated that girls learning from female teachers were given more opportunities to assume responsibility for their own activities than girls in male teachers` classes, whereas boys learning from male teachers were given more opportunities to assume responsibility for their own activities than boys in female teachers` classes. Boys participating in female teachers` classes perceived that their teachers is more strict with and demanding of students than boys in male teachers` classes. But girls learning from female teachers perceived teacher`s behavior was more strict compared with girls in male teachers` classes. Results of regression analyses showed that students` perceptions of leadership, helping/friendly, understanding behaviors were a predictor of enjoyment. Teacher`s leadership behavior was a positive predictor of perceived usefulness, but his or her uncertain behavior in class contributed to perceived usefulness negatively. These results suggest that students` perceptions of teacher interaction in class differ by student`s and teacher`s gender, and positive sectors of interactional behavior by physical education teachers have influence on students` attitude toward physical education.

      • KCI등재

        전문대학 교과 연계형 학습공동체 수업에서의 상호작용 및 학습전략에 관한 문화기술적 연구

        김진실,나승일 한국농업교육학회 2006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Vol.38 No.4

        이 연구는 전문대학 교과 연계형 학습공동체 수업에서의 교수자와 학습자의 상호작용에 대하여 심충적으로 탐색하고 이를 기술하는데 목적이 있었다. 교과 연계형 학습공동체란 두 개 이상의 교과가 연계하여 운영 하는 형태로서, 이 연구에서는 전공기초교과와 전공심화교과를 연계한 학습공동체를 말한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전문대학 교과 연계형 학습공동체를 선정하여 문화기술적 연구방법에 따라 수행하였다. 자료 수집은 D 공과대학 정보통신과의 ‘마이크로프로세스’ 교과와 ‘마이컴응용’ 교과를 연계한 학습공동체를 대상으로 2006년 3월 3일부터 2006년 6월 20일까지 관찰 및 연담을 통해 이루어졌다. 이렇게 수집된 자료는 전사, 자료의 통합, 약호화 및 배열화, 범주화를 통해 분석되었다. 이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론으로 첫째, 교수자와 학습자의 상호작용은 교과중요도, 수업경험, 교과내용, 과제유형, 학습집단, 외부적인 환경, 수업방법, 강화유형, 학제, 개인적 특성에 영향을 받고, 상호작용을 위한 발화유형은 선도발화-반응발화-피드백 발화를 한 단위로 구성되는데, 선도발화는 전달형, 유도형, 지시형, 반응발화는 수긍형, 의문형, 행동형, 응답형, 무반응형, 피드백 발화는 유도발화 반복/수정형, 학습자 반응 평가형, 학습자 반응 수정형, 피드백 생략형이 있다. 또한, 교수자-학습자의 상호작용 유형은 교수자(T)-전체 학습자 (Ss)'유형를 포함하여 10가지 유형이 나타났다. 이와 같이 교수자-학습자 상호작용에 영향을 끼치는 요인과 발화유형 및 상호작용 유형이 진단되고 관리될 때, 보다 활발한 교수자와 학습자의 상호작용이 일어날 수 있고, 궁극적으로 수업의 질을 제고하는데 효과적인 전략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학습자와 학습자의 상호작용은 개인적 특성, 학습집단 구성, 외부적인 환경, 학습과제 수준, 과제유형, 보상수준, 과제 수행방법, 갈등 및 응집성, 리더십, 과제발표부담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이 때 상호작용을 위한 개인 발화유형은 과제 관련 발화유형과 과제와 관련이 없는 비과제 관련 발화유형으로 유형화되었고, 상호작용 유형은 설명주도형, 문답형, 의견교환형 유형이 나타났다. 이와 같이 학습자-학습자 상호작용에 영향을 끼치는 요인과 발화유형 및 상호작용 유형을 근거로 학습집단을 구성하고 관리될 때, 보다 활발한 학습자와 학습자의 상호작용이 일어날 수 있고, 궁극적으로 학습자의 자발적인 학습을 활발히 하는데 효과적인 전략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전문대학 교과 연계형 학습공동체 수업에 참여하는 학습자들은 뚜렷한 학습전략의 개념이나 필요성을 못 느끼고 있고, 외부적인 환경, 특히, 교수자의 수업방법, 과제유형, 강화수준, 발표수업 등에 영향을 많이 받으며, 자료정리나 시간계획 및 실천, 자기점검, 평가, 피드백능력 등이 부족하다. 또한 학습전략 유형은 행동형, 인지형, 관리형 유형이 관찰되었다. 이와 같이 부족한 학습전략에 대한 진단하고, 학습자 나름의 학습전략을 관리하며, 이를 개선할 수 있는 지도방안을 강구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scribe and understand interaction and learning strategy in course-linked learning community instruction of junior college. Teacher-student interaction, student-student interaction and learning strategy in course-linked learning community instruction of junior college were investigated in this study. For the observation and depth interview of the learning community Instruction at 'D' Junior college in Kyoungki province, which was linked courses of 'Microprocess' and 'Micom Application'. These observation and depth interview were conducted in one semester that was lasted form 3 in March to 20 in June. The observation and depth interview focused on the interaction between a teacher and students, interaction among students and learning strategies of learners participating in learning community. To establish trustworthiness, multiple data collections were conducted through triangulation of observation, depth interviews, recording and videotaping.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effect factors on interaction between a teacher and students were Importance of Subject matters, Experiences of Subject matters, Contents of Subject matters, Task Types, Cohort, External Environment, Teaching Method, Reinforcement Type, Education System and Individual characteristics. The utterance patterns in interaction between a teacher and students were 1) Initiatives, 2) Response, 3) Feedback. The 10 interaction patterns between a teacher and students in course-linked learning community instruction of junior college were noticed. Second, the effect factors on interaction among students were Individual Characteristics, Construction of Cohort, External Environment, Level of Learning Task, Level of Compensation, Project Management, Conflict and Cohesion, Leadership and Load of Presentation. The utterance patterns in interaction among students were 1) utterance related tasks, 2) utterance not related tasks. The 6 interaction patterns among students in course-linked learning community instruction of junior college were 1) Pattern of Leading Explanation, 2) Pattern of Q&A, 3) Pattern of Exchanging Opinion(Addition of Opinion, Correction of Information, Pattern of dialectic), 4) Pattern of Action. Third, the learners didn't perceive the importance of learning strategy. They depended on the external environment, especially teaching types of teachers, tasks types, reinforcement and presentation. They felt difficulties in recording, time management and practice, self-examination and feedback. Patterns of Learning Strategies of learners were 1) Behavior (Participation Class, Recording, Preview and Review, Accomplishment of Tasks, Repetition and Exercise, Preparation of Exam, Asking help to teacher and colleagues, Presentation); 2) Cognition(Attention, Comprehension, Selection of core contents, Memorizing); 3) Management(Time Management and Practice, Learning Materials Management, Self-Examination, Environment Management, Health Management).

      • KCI등재

        학생들의 창의성이 발현되는 수업 맥락에서의 상호작용 특성

        조연순 ( Youn Soon Cho ),정혜영 ( Hye Young Chung ),최규리 ( Kyou Lee Choi ),백은주 ( Eun Joo Baek ),정지은 ( Ji Eun Jeong ) 한국초등교육학회 2011 초등교육연구 Vol.24 No.4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plore the characteristics of teacher-students` interactions in the teaching and learning contexts where creativity emerges. For the research, 3 elementary schools were selected, and the 14 classes of the recommended 13 teachers of the sites were observed and analyzed with the use of the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the most frequently observed interaction which creativity emerges in the teaching and learning processes was teacher`s open-ended question and student`s response followed by the teacher`s sustained feedback. And the interaction could be categorized as two types: teacher-initiated and student-initiated. In the teacher-initiated interaction, teachers promoted students` divergent thinking and facilitated students` progressive understanding through teacher-guided questions and students` responses. In the student-initiated interaction, students experienced critical thinking processes through group discussion with classmates, and created collaborative products and/ or outputs while having active communication in groups. The study suggested that the understanding of how both types of the interactions could facilitate students` creativity was required prior to apply special programs, methods or techniques in school classrooms.

      • KCI등재

        교사-학생 간 상호작용이 특수교사의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교사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김은라,박재국,장지현 대구대학교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22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23 No.1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mediating effects of teaching efficacy in the effects of teacher-student interaction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on happiness. [Method] The survey on teacher-student interaction, happiness, and teaching efficacy was conducted with 280 teachers in special education institute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SEM verification, and bootstrapping according to the research questions. [Results] First, the levels of teacher-student interaction, happiness, teaching efficacy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were found to be positive, and a significant correlation was confirmed among the three variables. Second, it was confirmed that the teaching efficacy had a significant mediating effect in the effects of teacher-student interaction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on happiness. [Conclusion] Based on the results, a practical strategy that can be applied to the school scene, such as various strategies that can improve the level of teacher-student interaction and improve teaching efficacy at the same time, was proposed as an effective method to improve the happiness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목적] 본 연구는 특수교사의 교사-학생 간 상호작용, 행복감, 교사효능감 수준을 파악하고 교사-학생 간 상호작용이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교사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살핌으로써 특수교사의 행복감 수준을 높일 수 있는 지원방안을 마련하는 데 목적이 있다. [방법]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전국에 근무하는 특수교사 280명을 대상으로 교사-학생 간 상호작용, 행복감, 교사효능감 수준을 파악하기 위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한 자료는 기술통계, 상관관계분석, SEM 검증, 부트스트래핑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첫째, 특수교사의 교사-학생 간 상호작용, 행복감, 교사효능감 수준은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각 변인 간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확인하였다. 둘째, 교사효능감은 교사-학생 간 상호작용이 특수교사의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유의미한 완전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결론] 특수교사의 행복감을 증진시키는 방안으로써 교사-학생 간 상호작용과 교사효능감 수준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양한 전략들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초등 탐구수업에 나타난 초등학교 교사.학생 간 상호작용과 비언어적 의사소통 행동패턴 분석

        성경환(Sung kyunghwan),권동택(Kwon dongtaik)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3

        목적 본 연구는 초등학교 탐구수업에 나타난 교사와 학생 간 상호작용과 비언어적 의사소통 행동 패턴을 분석하여 새로운 교육적 요구에서 강조하고 있는 교사의 의사소통 역량 향상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방법 교사와 학생의 상호작용의 중요성을 강조하면서도 다양한 수업방식과 교수 실천에 있어 실제 교실 상황을 분석하는 일은 주로 발문이나 언어적 의사소통 연구에 치중해 왔으나 본 연구에서는 교사와 학생의 의사소통 과정에서 다양한 비언어적 의사소통 행동의 실증적인 데이터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탐구수업 관찰 프로토콜(RTOP)과 행동 분석 프로그램(Observer XT)을 활용하였고, 현직 교사 3명의 실제 수업 촬영 영상을 대상으로 상호작용과 비언어적 의사소통 행동 데이터를 수집하였고, 이를 분석하였다. 결과 교사와 학생의 RTOP 분석에서 상호작용 척도 측정결과에서 상호작용 척도가 가장 높게 나타난 탐구수업에서 비언어적 의사소통 행동의 하위 요소 중 정보제공 및 설명시 제스처를 사용하는 비율도 높게 나타났다. 수업에서 교사가 중심일 때 보다 학생 중심으로 진행될 때, 교사와 학생의 친밀한 거리, 학생 개개인과의 눈 맞춤 비율이 늘어났고, 학생들의 질문과 요구에 직접적으로 반응하는 행동 패턴이 두드러졌다. 본 연구에 참여한 교사들의 수업 영상에서는 학생들을 평가 하거나 피드백 하는 빈도는 거의 나타나지 않았고, 중요한 정보 제공 시 모두 목소리에 적절한 변화를 주어 전달하고자 하는 바를 강조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현재뿐만 아니라 앞으로 변화될 것으로 예상되는 미래 수업에서 학습자 중심의 수업이 더욱 강조되고 지속적으로 확대되어 나갈 것이라고 볼 때, 새로운 교육적 요구에서 강조하고 있는 교사의 의사소통 역량은 단순한 학생들의 참여의 여부와 활동 의미를 두기보다는 상호작용 시 비언어적 의사소통 행동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이를 잘 활용하는 것이 아동들에게 의미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data for improving the teacher s communication competency, which is emphasized in new educational demands, by analyzing the interaction and nonverbal communication behavior patterns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in elementary school inquiry classes. Methods While emphasizing the importance of teacher⋅student interaction, the analysis of actual classroom situations in various teaching methods and teaching practices has mainly focused on questionnaires and verbal communication studies. We collected and analyzed empirical data on various nonverbal communication behaviors. To this end, the inquiry class observation protocol (RTOP) and behavior analysis program (Observer XT) were used, and interaction and nonverbal communication behavior data were collected and analyzed from the actual class footage of three incumbent teachers. Results In the inquiry class where the interaction scale was the highest in the RTOP analysis of teachers and students, the ratio of using gestures for information provision and explanation among the sub-elements of nonverbal communication behavior was also high. When the class was student-centered rather than teacher-centered, the close distance between the teacher and the student and the ratio of eye contact with each student increased, and the behavioral pattern of responding directly to the students questions and demands was prominent. In the classroom video of the teachers participating in this study, the frequency of evaluating or giving feedback to students was rarely seen, and it was found that all important information was emphasized by changing the voice appropriately. Conclusions Considering that learner-centered classes will be more emphasized and continuously expanded not only in the present but also in the future classes that are expected to change in the future, the teacher s communication competency emphasized in the new educational demands depends on whether or not students simply participate. It suggests that it is meaningful for children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nonverbal communication behavior and use it well in interaction, rather than placing the meaning of activities with children.

      • KCI등재

        고등학교 체육교사의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과 교사-학생 상호작용이 체육수업 태도 및 만족에 미치는 영향

        박유찬 한국체육교육학회 2019 한국체육교육학회지 Vol.24 No.2

        Purpose: The major aim of this study is to examine influence of non-verbal communication of high school teachers and interaction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on attitude and satisfaction of physical education classes. Method: Students who participated physical education classes (PEC) in the high school were selected as the population and total 1004 valid samples from high school students in Gwang-ju metropolitan city were collected using a convenience sampling method. All data were analyzed by SPSS statistics program ver. 25.0 (frequency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sults: The results of the study was summarized as in the following. First, all sub-factors in attitude of PEC were positively influenced from sub-factors of non-verbal communication. Second, all sub-factors in satisfaction of PEC were positively affected from sub-factors of non-verbal communication. Third, sub-factors in attitude of PEC were partially and positively influenced from sub-factors of interaction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Fourth, sub-factors in satisfaction of PEC were partially and positively affected from sub-factors of interaction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Conclusion: These results in this study indicate that high satisfaction on PEC leads to unwearying sports participation of students similar as results from previous researches. Thus, PE teachers have to understand importance of non-verbal communication and interaction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and they have to utilize these methods during PEC for improving attitude of satisfaction of PEC. 본 연구의 목적은 체육교사의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과 교사-학생 상호작용이 학생의 체육수업 태도 및 체육 수업 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 것이다. 고등학교 체육수업에 참여하는 학생을 모집단으로 선정하고, 광 주광역시에 소재하는 고등학교 학생을 대상으로 편의표본추출방식을 활용하여 1,004명의 유효표본 자료를 분 석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window Ver 25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상 관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도출된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의 하위 요인들은 체육수업 태도의 하위 요인에 부분적으로 정(+) 적인 영향을 미쳤다. 둘째,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의 하위 요인은 체육수업 만족의 모든 하위 요인에 정(+) 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사-학생 상호작용의 하위 요인은 체육수업 태도의 하위 요인에 부분적으로 정(+) 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넷째, 교사-학생 상호작용의 하위 요인은 체육수업 만족의 하위 요인에 부분적으로 정(+) 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체육수업에 대한 만족이 높은 학생 일수록 지속적인 스포츠 참여 의지가 높아진다는 기존 연 구들의 결과에 기초하여 체육교사는 체육수업 태도 및 만족도 향상에 있어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 행동 및 학 생과의 상호작용 요인의 중요성을 인식하여야하고, 적절한 의사소통 행동 및 상호작용 능력에 대한 전문적 지 식 함양과 기술 습득을 위해 노력하여야 함을 시사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