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특수학급이 설치된 중등 일반학교 특수교사와 일반교사의 통합교육, 통합학급, 교사의 역할에 대한 인식

        권현수 대구대학교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16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17 No.3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dentify secondary inclusive school teachers’ perception about inclusion, inclusive classroom, and teachers’ role for inclusion. 201 inclusive secondary schools were selected by stratified method and asked to participate the survey, and teachers of 128 schools responded. The results reported that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general education teachers showed different perceptions about inclusion. Special education teachers reported that the general education teachers should be charged of inclusion while general education teachers said that the special education classroom should be a main place for inclusion and special education teachers should take a responsibility about inclusion. Also, special education teachers reported that behavior problem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were the obstacle for inclusion when general education teachers revealed that it was the lack of knowledge and teaching skills of teachers. In addition, general education teachers reported reducing the number of students in classroom would be the most helpful support for inclusion. For special education teachers’ role for inclusion,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general education teachers showed statistically different perceptions. Special education teachers said the most important role for themselves was supporting inclusion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while general education teachers answered that supporting social development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was the most important role for special education teachers. As a conclusion, it was proposed that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general education teachers should work collaboratively and understand each other to improve the quality of inclusion in secondary schools. 본 연구는 특수학급이 설치된 중등학교에서 근무하는 특수교사와 일반교사의 통합교육, 통합학급, 교사의 역할에 대한 인식을 확인하려는 목적에서 실시되었다. 전국의 특수학급이 설치되어 있는 중·고등학교를 대상으로 층화표집 한 128개교의 특수교사와 일반교사에게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서로 다른 인식을 갖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먼저 통합교육에 대해 특수교사는 일반학급 주도로 일반교사에 의해 실시되어야 한다고 응답한 반면 일반교사는 특수학급에서 특수교사에 의해 주도적으로 실시되어야 한다고 답하였다. 특수교사는 개별화교육 지원을 중요하다고 답한 반면 일반교사는 통합학급의 학급관리를 중요하게 생각하였고 특수교사는 장애학생의 문제행동을 통합학급 운영의 문제점으로 인식하고 있는데 반해 일반교사는 장애에 대한 교사의 지식과 지도기술 부족을 문제점으로 지적하였다. 또한 일반교사는 통합학급 수업을 위해 학생 수 축소를 가장 필요한 지원이라고 답했고 교수적 수정에 대해 어렵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통합교육을 위한 일반교사의 역할에 대해서는 일반교사와 특수교사가 유사한 인식을 보였으나 특수교사의 역할에 대해서는 특수교사는 장애학생을 위한 통합 지원과 전환교육을 중요하게 꼽은 반면 일반교사는 장애학생의 사회성 발달 지도와 구성원 대상의 장애인식 교육을 가장 중요한 역할로 인식하고 있어 차이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중등 통합교육 활성화를 위해서는 특수교사와 일반교사가 서로에 대해 이해하고 협력하려는 자세를 가져야 할 필요가 있음을 주장하였고 특수교사와 일반교사가 통합교육과 장애학생 교육에 대해 공감대를 형성하고 함께 노력할 수 있도록 다양한 교육과 연수기회를 제공하고 통합교육을 촉진하는 제도적 틀을 마련해야함을 강조하였다.

      • 초임특수교사와 경력특수교사가 인식하는 개별화교육계획 작성에 대한 구조 연구

        김은정 ( Kim Eun-jung ) 대구대학교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16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학술대회발표자료집 Vol.2016 No.-

        개별화교육계획은 장애학생의 개개인의 교육적 욕구를 지원하기 위한 학생중심의 교육과정이다. 이 연구는 초임특수교사와 경력특수교사가 인식하는 개별화교육계획의 작성에 대한 차이점을 분석하고 초임특수교사 때 경험한 개별화교육계획 작성에 대한 인식이 경력특수교사에게 미치는 영향력을 알아보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특수교육 경력 5년 미만의 초임특수교사 560명과 특수교육 경력 5년 이상에서 10년 미만의 경력특수교사 439명을 대상으로 개별화교육계획 작성에 해당하는 13개 문항을 설문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알아보기 위하여 독립표본 t 검증과 구조방정식 모델링을 적용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임특수교사와 경력특수교사의 개별화교육계획 구성요인에 대한 인식은 차별성이 없었다. 둘째, 초임특수교사 때 형성한 개별화교육계획 구성요인에 대한 인식은 경력특수교사에게 영향을 미치는 구조가 아니었다. 이 연구에서는 경력특수교사가 인식하는 개별화교육계획의 작성에 대한 인식이 경력특수교사에게 영향력을 미치지 않는 구조에 대하여 논의하고 있다. The individualized educational program (IEP) is a student centered curriculum to support educational needs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what were the perception differences to IEP flame which means to make the IEP between novice and expert special teachers and how to transfer the knowledge of novice experiences to make the IEP flame to expert teachers. The 560 novice special teachers who had less than 5 years teaching experiences and 439 expert special teachers were participated for this study. The t-test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ere utilized for this study to analyze the questionnaire with 13 items. The result of this study were that: (a) there were no differences between the novice and expert special teachers’ perception toward the IEP flame; and (b) the expert teachers’ structure to IEP flame was not related with those of the knowledge during the novice special teacher experiences. This study also discussed why the expert special teachers’ IEP flame structure was not related with those of the novice special teachers.

      • KCI등재

        고등학교 장애학생 진로·직업교육 현황조사 도구 개발을 위한 델파이 연구

        안예지,김라경,이미지,이정은,이현주 대구대학교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23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24 No.1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survey tool for exploring the current status of career and vocational education of high school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their educational needs. [Method] A survey tool was developed in consideration of connectivity with the primary and secondary career education status survey, which is currently being conducted in the field of general education. The Delphi survey was conducted in two rounds with a total of 26 expertise with knowledge and experience of career and vocational education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The suitability and importance of the component areas and preliminary items of the career and vocational education survey tool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were evaluated and finalized. [Results] The survey tool consist of 19 items(10 items and 9 sub-items) in 6 areas(‘career and vocational education/curriculum status', ‘career and vocational education experience activity program', ‘career and vocational education program(data)', ‘social participation', ‘career status', ‘awareness of career and vocational education’) and 7 sub-areas. [Conclusion] The implications for future career and vocational education for high school students with disabilities were discussed. [목적] 본 연구는 고등학교 장애학생의 진로·직업교육 현황과 학습자의 교육적 요구 파악을 위한 현황조사 도구 개발을 목적으로 한다. [방법]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현재 일반교육 현장에서 실시하고 있는 초·중등 진로교육 현황조사와의 연계성을 고려한 장애학생 진로·직업교육 현황조사 도구를 개발하고, 델파이 조사를 통해 개발된 문항에 대한 타당도를 확보하고자 하였다. 델파이 조사는 장애학생 대상 진로·직업교육에 대한 지식과 전문성을 가진 중등 (특수학교급) 특수교사, 특수학교 진로전담교사, 대학교수, 학교 관리자 및 장학사, 장애학부모 총 26명을 대상으로 2차에 걸쳐 실시되었다. 장애학생 진로·직업교육 현황조사 도구의 구성영역 및 예비문항의 적합도와 중요도가 평정되었으며, 개방형 응답의 형태로 수렴된 전문가 의견을 종합하여 문항을 확정하였다. [결과] 2차에 걸친 델파이를 분석한 결과, 고등학교 장애학생 진로·직업교육 현황조사 도구는 ‘진로·직업교육/교육과정실태', ‘진로·직업교육 체험활동 프로그램 현황', ‘진로·직업교육 프로그램(자료)의 운영현황', ‘사회참여', ‘상급학교 진학 및 취업 등 진로현황', ‘진로·직업교육에 대한 인식’의 6개 대영역과 7개 하위영역으로 구성되었으며, 최종 19개의 문항(10개 문항, 9개 하위문항)이 도출되었다. [결론] 개발된 고등학교 장애학생 대상 진로·직업교육 현황조사 도구를 바탕으로 향후 장애학생 진로·직업교육을 위한 함의를 논하였다.

      • KCI등재

        장애학생의 교수적 통합을 위한 교육과정 차원의 지원 방향: 한국과 일본의 교육과정에 제시된 지침을 중심으로

        박남수 ( Park Nam-su ) 대구대학교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19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20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일반학교에서 통합교육을 받고 있는 장애학생의 교수적 통합을 위한 교육과정 차원의 지원 방향에 대해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한국과 일본의 국가 수준 교육과정에 제시된 통합교육 관련 지침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한국의 교육과정에서는 장애학생의 통합교육에 대한 지침이 총론에만 제한적으로 제시되고 있어 장애학생의 교수적 통합에 도움을 주기에는 한계가 있었다. 반면, 일본의 교육과정에서는 총론에서의 개괄적인 지침과 더불어 각 교과 및 교과외 교육과정, 그리고 교육과정 해설서에 장애학생의 통합교육에 대한 지침이 다양한 수준과 범위에서 제시되어 있어 교수적 통합에 실질적인 도움을 주고 있었다. 하지만 이러한 지침은 각 교과 및 교과외 수업에서 장애학생이 직면할 것으로 예상되는 일반적인 학습곤란 상황을 중심으로 제시되고 있어 장애유형에 따라 다양한 특성을 지닌 학생들의 교수적 통합과 관련한 방향을 제시하는 데는 한계가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장애학생의 교수적 통합을 위한 교육과정 차원의 지원 방향으로 총론에서의 교수적 통합을 위한 방향 제시와 더불어 각론에서는 이러한 총론의 지침에 토대해서 각 교과나 교육활동의 성격과 학생의 장애 유형별 특성을 고려한 교수적 통합을 위한 지침의 제시가 필요함을 지적하였다. 또한 교육과정 해설서 및 교사용 지도서에는 이러한 지침을 반영한 교육과정 수정 전략과 사례들이 보다 체계적이고 다양하게 제시될 필요가 있음을 지적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direction of support on the curriculum-level for curricular inclusion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To this purpose, I analyzed the guidelines presented on the national curriculum in Korea and Japan. As a result of this analysis, in the curriculum of Korea, guidelines for curricular inclusion of the students with disabilities is briefly presented in the general part only, so there is a limit to practical assistance for the curricular inclusion of the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each subject class. On the other hand, in the curriculum of Japan, guidelines on the curricular inclusion of the students with disabilities were presented in detail in the general part, as well as in the subjects and extra subject, and they provided practical support in each class. However, these guidelines focus on the learning difficulties that students with disabilities will face in situation of each class, and thus they have limitations in presenting practical directions related to the curricular inclusion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each disability area. Based on these results, I discussed the necessity of guideline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each subject and disability area in the curriculum for the curricular inclusion of the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tegrated into the general class.

      • 초임특수교사와 경력특수교사가 인식하는 수업설계와 수업실행 구성요인에 대한 관계 연구

        김동희 ( Kim Dong Hee ) 대구대학교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16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학술대회발표자료집 Vol.2016 No.-

        초임특수교사와 경력특수교사의 수업기술 향상을 위한 역량개발에는 경력에 따른 임의의 차별성이 존재할 것이다. 이에 연구자는 초임특수교사 시절에 형성한 교직수행과 경험이 어떤 구조로 영향을 받은 경력특수교사가 인식하는 수업설계와 수업실행 구성요인에 대한 관계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 연구의 대상은 특수교육 경력 5년 미만의 초임특수교사 560명과 특수교육 경력 5년 이상에서 10년 미만의 경력특수교사 439명이었다. 수업에 해당하는 21개 문항을 선정하여 t 검증과 구조방정식을 적용하여 자료 처리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임특수교사와 경력특수교사의 수업설계와 수업실행 요인에 대한 인식에서 수업설계 방법 요인에서 차이가 나타난다. 수업설계 모듈, 수업실행 기준, 그리고 수업실행 과정 요인은 두 집단의 인식에서 차이가 없었다. 둘째, 수업설계와 수업실행 구성요인에 대한 초임특수교사의 인식은 경력특수교사에게 연계되는 구조가 아닌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 구에서는 또한 초임특수교사 시절에 형성한 교직수행과 경험이 어떤 구조로 경력특수교사 에게 영향력을 미치는가에 대하여 논의하고 있다. There may be a difference in competence development of teaching skill between novice and expert teacher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llustrate what were the structural influences in teaching design and performances from novice teaching experiences to expert special teachers. The 560 novice special teachers who had at least 5 years teaching experiences and 439 expert special teachers who had teaching experiences 5 to 10 years were participated for this study. A questionnaire with 21 items with teaching instruction and performance were utilized with t-test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that: (a) the two groups had different perception in the factor of instruction design method, however no differences in the instructional design module, instructional performance criterion and process; and (b) the expert special teachers’ structure in instructional design and instructional performance had no related with those of the novice special teachers’experiences. This study also suggested that the novice special teachers’structure in teaching design and performance how to transfer to expert special teachers.

      • 가정중심 긍정적 행동지원이 발달장애아동의 문제행동 개선에 미치는 효과

        이민정,정은지,이효신 대구대학교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18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학술대회발표자료집 Vol.2018 No.1

        본 연구는 발달장애 아동을 대상으로 가정에서 긍정적 행동지원을 실시한 연구로서 가정중심 긍정적 행동지원이 발달장애 아동의 문제 행동 개선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6가지의 기준에 따라 대상자 2명을 선정하였다. 첫째, 특수교육기관이나 병원에서 장애로 진단받은 아동이다. 둘째, Eyberg 문제행동검사에서 심도점수가 127점 이상이거나 문제행동이 11개 이상인 아동이다. 셋째, 긍정적 행동지원을 실시한 적이 없는 아동이다. 넷째, 부모가 문제행동과 관련하여 어려움을 호소하는 아동이다. 다섯째, 연구에 참여를 동의한 아동이다. 여섯째, 가정에서 실시하는 교사와의 수업에서 출석률이 90%이상인 아동이다. 부모면담과 자료수집절차를 거쳐 아동들의 문제행동인 공격행동과 자리 이탈행동을 표적행동으로 선정하고 긍정적 행동지원 절차를 통한 효과를 입증하기 위해 중다기초선 설계를 적용했다. 중재를 실시하기 위해 부모와 교사를 중심으로 협력팀을 구성했으며 연구자가 부모에게는 선행사건 중재를 위한 부모교육을 실시하고 교사에게는 연구도구와 강화스케줄 및 대체행동에 대한 교사교육을 실시했다. 중재는 2개월간 실시되었으며 아동에 따라 기초선 측정은 5-9회, 중재는 10-14회, 유지효과 측정은 3회로 진행되었다. 연구의 신뢰도와 타당성을 확보하기 위해 수집된 자료 분석에 따른 연구자와 특수교육 전공자간의 관찰자간 일치도를 실시하였고 중재자에게 중재실행에 대한 중재충실도, 실험결과가 일반화할 만한 가치가 있는지에 따른 사회적타탕도를 부모와 교사에게 측정하였다. 관찰자간 신뢰도는 A아동의 경우 평균 96.1%였으며 B아동의 경우 평균 91.6%로 나타났다. 중재충실도는 A아동의 경우 평균 95%였으며 B아동의 경우 평균 90%로 나타났다. 사회적타당도는 A아동의 경우 평균 92.5%였으며 B아동의 경우 평균 94%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는 첫째, 중재회기 동안 대상 아동들의 문제행동 발생률이 감소되었다. A아동의 꼬집기 공격행동의 경우, 기초선측정시 평균발생률 38%에서 중재회기의 평균발생률 4.5%으로 현저히 낮게 나타났다. B아동의 자리이탈 행동의 경우, 기초선측정시 평균발생률 60.8%에서 중재회기의 평균발생률 4.8%으로 현저히 낮게 나타났다. 둘째, 중재회기 동안 감소된 꼬집기 공격행동과 자리이탈 행동이 감소된 수준으로 잘 유지 되었다. A아동의 경우, 유지회기 평균발생률이 1.7%로 안정적인 모습을 보였고 B아동의 경우, 유지회기 평균발생률이 7.5%로 중재효과가 안정적으로 유지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중재효과 측정 비중첩률(PND)의 효과치가 높게 나타났다. 대상아동 A의 기초선기간의 행동발생률의 범위는 32.5∼50%이며, 중재기간의 행동발생률의 범위는 0∼12.5%이고 아동 B의 중재기간은 14회, 중재기간의 발생률 중에서 기초선 자료 범위 안에 들어가지 않는 발생률 회기는 모두 해당되는 14개로 나타났다. 이를 바탕으로 대상아동 A와 B는 동일하게 비중첩률이 100%로 중재효과가 매우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긍정적인 효과의 결과를 바탕으로 아동이 가장 많은 시간을 보내는 가정에서의 긍정적 행동지원은 활발히 연구되어야 할 것이다. 덧붙여 연구의 장소가 가정에서 교사가 수업을 실시하는 장소에서만 실시되었기 때문에 부엌, 거실, 화장실 등 가정 내 다양한 장소에서의 중재가 실행될 필요가 있다. 또한 더 질 높은 효과를 끌어내기 위해서는 가족구성원들의 장애 아동과 문제행동, 긍정적 행동지원에 대한 인식전환도 함께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 KCI등재

        특수교육대상학생 관련 일반 교육과정 총론 및 시·도 교육청 지침 분석

        정은주 ( Jung Eunju ) 대구대학교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16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17 No.4

        본 연구에서는 일반교육 현장에 통합되어 있는 특수교육대상학생의 교육에 대해 일반 교육과정에서 어떻게 기술하고 있는지 분석하고 개선방안을 논의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2009 개정 교육과정 총론과 17개 시·도 교육청의 초등학교와 중학교 교육과정 편성·운영 지침에서 특수교육대상학생과 관련된 지침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교육과정 총론에는 특수교육대상학생의 교육에 대해 총 세 가지 지침이 있었으며, 대부분의 시·도 교육청에서는 총론에서 제시한 지침과 동일한 내용을 제시하고 있었다. 별도의 시·도 지침이 있는 경우, 그 내용의 범위와 구체성은 교육청별로 다양하였다. 일부 교육청의 경우 시·도 지침에 구체적으로 언급하기 보다는 특수교육 관련 문서를 참고하도록 한 경우가 있었다. 또한 시·도 지침에 기술된 내용과 용어 사용에서 특수교육전문가의 검토가 필요한 경우가 있었으며, 일반교사의 책무성과 관련하여 보다 구체적인 지침이 필요한 경우도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how the general education documents at the national and regional level present the education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To do this, this study reviewed the General Guidelines in 2009 Revised Curriculum and 17 MPOE(Metropolitan?Province Office of Education) Curriculum Arrangement and Implementation Guidelines at the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level.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General Guidelines mentioned 3 times on education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most of MOPE have the same contents as the General Guidelines includes. In the cases of having additive guidelines in MOPE, the scope and specificity varied depending on MOPE. Some MOPE did not describe in detail on education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but only inform the teachers to reference the documents related to special education. Also, there were needed special educator’s review on the contents and terms in MOPE Curriculum Arrangement and Implementation Guidelines for the exact guidance. Finally, there needed more concrete guidelines for general education teachers to support their students with disabilities.

      • KCI등재

        특수교육 기본교육과정의 편성·운영지침에 대한 학교 현장 적합성 연구

        권요한 ( Kwon Yohan ) 대구대학교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16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17 No.4

        본 연구는 국가수준의 교육과정인 특수교육 기본교육과정에 제시된 교육과정 편성·운영 지침이 기본교육과정을 적용하고 있는 특수학교 현장에 대한 적합성이 어떠한지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기본교육과정의 교육과정 편성·운영 중점과 공통사항에 제시된 내용을 교과, 창의적 체험활동, 별도 프로그램, 교육과정 질 관리 등 4개 영역 총 55개 문항으로 설문지를 구성해 전국의 89개 특수학교를 대상으로 중요도와 실천도를 알아보았다. 설문지결과는 영역, 문항별로 평균, 표준편차, 평균의 차이검증을 통해 처리하였다. 연구결과, 기본교육과정에 제시된 교육과정 편성·운영지침에 대해서, 특수학교현장에서는 교과, 창의적 체험활동, 별도 프로그램, 교육과정 질 관리영역 모두에 걸쳐 낮은 적합성을 나타내었다. 교과영역의 경우, 교육과정 편성기저, 교과목편성, 수업시수, 교수·학습내용, 교수·학습방법, 교과평가와 관련된 내용들, 창의적 체험활동영역의 경우, 체험활동 편성·운영, 부가적 프로그램, 치료지원 및 적응훈련, 중도·중복 장애아지도, 지역사회 연계와 관련된 내용 대부분이 낮은 적합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별도프로그램 영역의 경우, 순회교육, 부진아·다문화교육, 방과후·방학중 프로그램 모두에서 그리고 교육과정 질 관리영역의 경우도 낮은 적합성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기본교육과정이 지니고 있는 학교현장 적합성의 의미와 문제, 향후 국가수준 및 학교수준 교육과정 편성·운영에 주는 시사점을 논의하고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adequacy of organization and operating guideline of curriculum proposed by special education basic curriculum applied by special schools. For this, the contents proposed in organization, operating points and common factors of the basic curriculum were composed into 55 questions in 4 domains of subjects, creative experiential activities, extracurricular activities and curriculum quality management and distributed to 89 special schools nationwide to study their importance and practice. The survey result was processed through mean, standard deviation, and test for difference in means per domain and question. Major result and conclusion obtained through discussion are as follows : First, with regard to the organization and operating guideline of curriculum proposed by basic curriculum, the significance and practice of subjects, creative experiential activities, extracurricular activities and curriculum quality management were all highly perceived. However, the difference in perception of significance and practice were extremely high, rendering the adequacy extremely low. To solve this, it is important to more clearly establish the identity of basic curriculum. For special schools applying basic curriculum, due to the overlapping phenomenon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it is important to make efforts to review revision of the curricular correlation to regular schools and revise in various ways, i.e. change the identity of subjects to curriculum activities; or strengthen the correlation between subjects and creative experiential activities; or develop and distribute extracurricular activities. Also, in order to improve the adequacy of special education basic curriculum in special schools, it is important to exert efforts to gradually change the direction of development of curriculum from the top-down to bottom-up method. Second, the efforts to improve the adequacy of organization and operating guideline of curriculum proposed by special education basic curriculum must solve the identity problem along with the problem which comes with trusting the authority to determine the curriculum in special schools, i.e. the expertise autonomy of schools with respect to organizing and operating the curriculum, problems in converting and applying simplified basic curriculum to special schools, problems in supporting organizing and operating curriculum, teaching and learning, and evaluation, and problems pertaining to activating school curriculum and self-evaluation. Third, the contents with high adequacy in special schools with respect to organizing and operating special education basic curriculum, i.e. limiting number of subjects per semester, varying number of lectures within 20% range per subject, opportunity education on current social issues, after school programs and summer or winter programs, everyday English, utilization of info-communication, use of leisure time, rehabilitation, health education, and school sports club activities as well as creative experiential activities must strengthen their correlation with state-level and school-level curricula must be continuously supported to maintain and expand their adequacy.

      • KCI등재

        특수학교 설립에 대한 지역주민의 인식 : 서울특별시를 중심으로

        김대용,박재국,양한재,최진혁 대구대학교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19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20 No.4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and categorize local residents 'perceptions on the establishment of special schools, and to identify the local residents' requirements for the establishment of special schools and the influence factors that influence the approval of the establishment of special schools. [Method] The total number of participants in the study was 168 residents in Seoul. The analyzes were frequency analysis,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ross analysis, one-way variance analysis, cluster analysis, and binary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Results] Through the analysis of factors, the recognition of special schools was classified into “Positive impact of special schools”, “Situation of Special Schools”, “Right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Coexistence measures with local”. According to the classified factors, 'the pursuit of practical benefit type' was 68, 'the local conditions type' was 50, and 'the educational right type' was 50. The establishment of a special school near the place of residence showed positive influences such as 'positive influence', 'special education', 'rights', 'self disability' and 'family disability'. [Conclusion] In order to facilitate the establishment of special schools near the place of residence, local residents need to be positively aware of the impact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special schools, and various policies and projects are required.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특수학교 설립에 대한 지역주민의 인식을 분석 및 유형화하고, 특수학교 설립에 대한 지역주민의요구사항과, 거주지 인근 특수학교 설립 찬성에 영향을 미치는 영향 요인을 확인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방법] 본 연구의연구 참여자는 서울특별시 지역주민 총 168명이며, 자체 개발한 설문 문항을 활용하였다. 분석은 빈도 분석, 요인 분석 및신뢰도 분석, 교차 분석, 일원배치 분산분석, 군집 분석, 이분항 로지스틱 회귀 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특수학교 설립에대한 인식을 요인분석을 통해 ‘긍정적 영향’, ‘특수학교 실태’, ‘특수교육대상자의 권리’, ‘지역상생방안’로 분류하였다. 분류된 요인에 따라 실리추구형은 68명, 지역여건형은 50명, 교육권리형은 50명이 분류되었다. 거주지 인근 특수학교 설립은전체 변수 중 긍정적 영향, 특수교육 실태, 특수교육대상자의 권리, 본인의 장애 여부, 가족의 장애 여부, 공시지가 인지여부가 거주지 인근 특수학교 설립 찬성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나타났다. [결론] 거주지 인근 특수학교 설립의 수월성을위해서는 장애학생 및 특수학교가 미치는 영향에 대한 지역주민의 긍정적인 인식이 필요하며, 이를 위한 다양한 정책 및사업이 필요하다.

      • KCI등재

        COVID-19 상황에서 청각장애대학생의 온라인 교육 지원 실태에 관한 사례 연구 -D대학을 중심으로-

        권보민,권순우 대구대학교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22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23 No.1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urrent state of online education support for hearing-impaired university students and their satisfaction with this support, and based on the results, to seek appropriate support measures for their online education in response to the potential spread of various infectious diseases in the future and identify the requirements for support needed to increase their satisfaction. [Method] To this end, the study conducted individual in-depth interviews with four hearing-impaired university students enrolled at D University, and based on a phenomenological approach, intended to explore the implications and essence of human experiences and even their deep implications within various phenomena.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Results] First, according to the review of online education support for hearing-impaired university students in the COVID-19 situation, they were receiving online education after applying for online education support and they desired different types of online education support according to their mainly used communication modes. At present, most university students with hearing impairment primarily use verbal communication, and in this case, they prefer shorthand interpretation. However, many students experienced the difficulty of not receiving the support they wanted due to a shortage of professional workers placed at D University. This lack of support lowered the students’ understanding of online educational content and they exhibited various limitations at school. Hence, hearing-impaired university students hope that workers supporting online education will also be changed in line with changes in primary communication methods. Second, based on the results of an examination of areas for improvement in providing online education support for hearing-impaired university students in the COVID-19 situation, it is recommended to make concrete efforts to improve the general perception of disabled people and create an environment of embracing them, secure the budget for developing online education support systems and deploy professional manpower, develop real-time subtitling systems, and continue to provide information to hearing-impaired university students. [Conclusion] In order to provide online services that meet the needs of hearing-impaired university students, it is necessary to investigate their online education support needs, and a procedure to identify the most appropriate online education support services is also needed. [목적] 본 연구는 COVID-19상황에서 청각장애대학생의 온라인 교육 지원 실태 및 만족도를 조사하여 이를 바탕으로 향후 다양한 감염병 확산으로 인한 청각장애대학생에게 적절한 온라인 교육 지원 방안을 모색하고 그들의 만족도를 높이는데 필요한 지원 요구를 밝히는데 있다. [방법] D대학에 재학 중인 청각장애대학생 4명을 대상으로 개별 심층 면담을 실시하였고, 현상학적 접근을 바탕으로 인간이 가지는 경험의 의미와 본질을 탐구하고 다양한 현상 안에 내포된 깊은 의미까지 탐색하고자 하였다. [결과] 첫째, COVID-19 상황에서 청각장애대학생의 온라인 교육 지원 실태를 살펴보면, 자신이 희망하는 온라인 교육 지원을 신청하여 지원을 받고 있었으며 주로 사용하는 의사소통 양식에 따라 희망하는 온라인 교육 지원 유형이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 청각장애대학생 대부분의 경우 구어를 주요 의사소통으로 사용하는 학생이 대부분이며, 이러한 경우 속기 통역 지원을 희망하지만 현재 D대학에 배치된 전문 인력 부족으로 희망하는 지원을 받지 못하는 어려움을 다수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원 부족으로 인하여 온라인 교육 내용의 이해도는 떨어졌으며, 학교생활에서의 한계점이 다양하게 나타났다. 따라서 청각장애대학생들은 주요 의사소통 방법이 변화됨에 따라 온라인 교육 지원 인력 또한 변화되기를 희망하고 있다. 둘째, COVID-19 상황에서 청각장애대학생의 온라인 교육 지원 시 개선과제를 살펴보면, 장애인에 대한 인식 개선 및 수용 환경 개선을 위한 구체적인 노력, 안정적인 온라인 교육 지원 시스템 개발을 위한 예산 확보 및 전문 인력 배치, 실시간 자막 시스템 개발, 청각장애대학생에게 지속적인 안내 제공 등을 제시하고 있다. [결론] 청각장애대학생의 요구에 맞는 온라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그들의 온라인 교육 지원 요구를 조사해야 할 것이며, 또한 가장 적절한 온라인 교육 지원 서비스를 확인하는 절차가 필요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