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임의효과를 고려한 도심지 교차로 교통사고모형 개발에 관한 연구

        이상혁,박민호,우용한 한국ITS학회 2015 한국ITS학회논문지 Vol.14 No.1

        기존의 교통사고모형은 수집된 데이터에 대한 추정된 모수가 고정되어있다고 가정하여 교통량이나 기하구조의 길이와 폭 등은 설치형태와 관계없이 동일한 값을 적용하는 고정효과모형을 이용하여 개발하였다. 하지만 고정효과를 이용한 모형은 모형을 통해 추정된 계수의 표준오차 값이 과소 추정되거나 각 계수의 t-값이 과도하게 산정되어 모형의 설명력이 낮아지게 된다. 이를 극복하기 위하여 교통량, 기하구조, 그리고 관측되지 않은 다른 요인 등에 대한 이질성을 고려한 임의효과모형을 활용하여 모형을 개발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임의효과모형의 효용성을 파악하고자 대전광역시 주요 89개 교차로를 대상으로 데이터를 수집하여 임의효과와 고정효과를 이용한 음이항 회귀모형을 개발하고 이를 비교ㆍ분석하였다. 모형개발 결과 년평균일교통량, 제한속도, 차로수, 우회전 전용차로 설치유무, 전방신호등 설치유무 등이 유효한 설명변수로 나타났으며 모형의 설명력을 비교해보면 로그-우도함수값이 임의효과에서 –1537.802로 고정효과의 로그-우도함수값 –1691.327보다 모형 설명력이 좋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우도비의 경우 임의효과에서 0.279로 고정효과의 0.207보다 개선된 것으로 나타나 임의효과를 이용한 모형이 고정효과를 이용한 모형보다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Previous studies have estimated crash prediction models with the fixed effect model which assumes the fixed value of coefficients without considering characteristics of each intersections. However the fixed effect model would estimate under estimation of the standard error resulted in over estimation of t-value. In order to overcome these shortcomings, the random effect model can be used with considering heterogeneity of AADT, geometric information and unobserved factors. In this study, data collections from 89 intersections in Daejeon and estimates of crash prediction models were conducted using the random and fixed effect negative binomial regression model for comparison and analysis of two models. As a result of model estimates, AADT, speed limits, number of lanes, exclusive right turn pockets and front traffic signal were found to be significant. For comparing statistical significance of two models, the random effect model could be better statistical significance with –1537.802 of log-likelihood at convergence comparing with –1691.327 for the fixed effect model. Also likelihood ration value was computed as 0.279 for the random effect model and 0.207 for the fixed effect model. This mean that the random effect model can be improved for statistical significance of models comparing with the fixed effect model.

      • KCI등재후보

        보증사고 완화를 통한 서민금융 활성화 방안: 패널자료 분석

        최석환,강만수,김학진,손희영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5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5 No.6

        This study explores which factors influence guarantee accident in the Regional Credit Guarantee Foundation and ways to vitalize common people economy through shaving off bankruptcy of common people. Methodology to analyze is panel regression analysis with data of Korean Federation of Credit Guarantee Foundations, Statistics Korea and the Bank of Korea. This study analyzes basic statistics, correlations and Hausman test to select the optimal model among PLS model, fixed effects model and random effects model ,and fixed effects model is optimal in the result. The results show that gross domestic savings rate and regional amount of imports and exports showed a negative relationship with the guarantee accident rates, and house price inflation has showed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the guarantee accident rates. In other words, the government promotes the real estate market is stabilized and should enable increased savings and local import and export. This study explores which factors influence guarantee accident in the Regional Credit Guarantee Foundation and ways to vitalize common people economy through shaving off bankruptcy of common people. Methodology to analyze is panel regression analysis with data of Korean Federation of Credit Guarantee Foundations, Statistics Korea and the Bank of Korea. This study analyzes basic statistics, correlations and Hausman test to select the optimal model among PLS model, fixed effects model and random effects model ,and fixed effects model is optimal in the result. The results show that gross domestic savings rate and regional amount of imports and exports showed a negative relationship with the guarantee accident rates, and house price inflation has showed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the guarantee accident rates. In other words, the government promotes the real estate market is stabilized and should enable increased savings and local import and export. 본 연구는 지역신용보증재단의 보증사고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탐색하고, 서민들의 사업 부도를 낮춰 서민경제를 활성화 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지역신용보증재단중앙회, 통계청, 한국은행 등 세 기관의 자료를 패널(panel) 자료로 구축하여, 패널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패널회귀분석에 앞서 기초통계량 및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PLS모형, 고정효과모형, 확률효과모형 중 최적의 모형을 선택하기 위해 하우스만 검정을 실시하였다. 검정결과 고정효과모형이 최적모형으로 판단되었으며, 이를 실증분석에 이용하였다. 분석결과, 국내 총 저축률과 지역별 수출입금액은 보증사고율에 음(-)의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주택가격상승률은 보증사고율에 양(+)의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서민금융 활성화 방안으로 보증사고를 완화하기 위해서는 정책적으로 부동산 시장의 안정화를 도모하고, 저축률 증대 및 지역별 수출입을 활성화시켜야한다. 본 연구는 지역신용보증재단의 보증사고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탐색하고, 서민들의 사업 부도를 낮춰 서민경제를 활성화 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지역신용보증재단중앙회, 통계청, 한국은행 등 세 기관의 자료를 패널(panel) 자료로 구축하여, 패널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패널회귀분석에 앞서 기초통계량 및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PLS모형, 고정효과모형, 확률효과모형 중 최적의 모형을 선택하기 위해 하우스만 검정을 실시하였다. 검정결과 고정효과모형이 최적모형으로 판단되었으며, 이를 실증분석에 이용하였다. 분석결과, 국내 총 저축률과 지역별 수출입금액은 보증사고율에 음(-)의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주택가격상승률은 보증사고율에 양(+)의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서민금융 활성화 방안으로 보증사고를 완화하기 위해서는 정책적으로 부동산 시장의 안정화를 도모하고, 저축률 증대 및 지역별 수출입을 활성화시켜야한다. 본 연구는 지역신용보증재단의 보증사고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탐색하고, 서민들의 사업 부도를 낮춰 서민경제를 활성화 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지역신용보증재단중앙회, 통계청, 한국은행 등 세 기관의 자료를 패널(panel) 자료로 구축하여, 패널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패널회귀분석에 앞서 기초통계량 및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PLS모형, 고정효과모형, 확률효과모형 중 최적의 모형을 선택하기 위해 하우스만 검정을 실시하였다. 검정결과 고정효과모형이 최적모형으로 판단되었으며, 이를 실증분석에 이용하였다. 분석결과, 국내 총 저축률과 지역별 수출입금액은 보증사고율에 음(-)의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주택가격상승률은 보증사고율에 양(+)의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서민금융 활성화 방안으로 보증사고를 완화하기 위해서는 정책적으로 부동산 시장의 안정화를 도모하고, 저축률 증대 및 지역별 수출입을 활성화시켜야한다.

      • 최저임금의 고용효과

        김유선 한국노동사회연구소 2014 한국노동사회연구소 이슈페이퍼 Vol.2014 No.20

        최근 나라 안팎에서는 임금 불평등을 완화하고 소득주도 성장을 실현하기 위한 정책수단으로 최저임금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고, ‘최저임금의 부정적 고용효과가 발견되지 않는다.’는 실증분석 결과가 다수를 이루고 있다. 그럼에도 국내 중고교 교과서는 여전히 최저임금의 부정적 고용효과를 가르치고 있고, 일부 언론에서는 기회 있을 때마다 ‘최저임금을 인상하면 고용에 부정적 영향을 미친다.’는 담론을 퍼뜨리고 있다. 이 글에서는 먼저 이론과 실증분석 두 측면에서 선행연구 결과를 살펴본 뒤, OECD 25개 회원국(1990~2012년)과 한국의 16개 시도(2000~2013년)에서 최저임금의 고용효과를 추정했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OECD 회원국에서 최저임금의 고용효과를 통상적인 패널분석 모형(임의효과 모형, 고정효과 모형)으로 추정하면, 최저임금이 전체 고용과 고령자 고용에 미친 부정적 영향은 발견되지 않는다. 그러나 청년 고용과 여성 고용에는 부정적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난다. 그렇지만 동태적 패널분석 모형(차분 GMM 모형, 시스템 GMM 모형)으로 추정하면, 최저임금이 전체 고용과 고령자 고용, 청년 고용과 여성 고용에 미친 부정적 영향이 발견되지 않는다. 둘째, 한국에서는 통상적인 패널분석 모형을 사용하든 동태적 패널분석 모형을 사용하든 최저임금이 고용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이 발견되지 않는다. 이는 분석대상을 전체 고용으로 하던 청년, 고령자, 여성고용으로 하던 마찬가지다. When I estimate the employment effects of minimum wages in OECD member countries by using ordinary panel analysis models(random effect model & fixed effect model), the negative effects on employment of the whole population and the aged are not found, while the negative effects on employment of youth and women are found. However, if I estimate them by using dynamic panel analysis models(difference GMM model, system GMM model), the negative effects on employment of the whole population, the aged, youth and women are not found. When it comes to the Republic of Korea, regardless of the methodology such as ordinary panel analysis models or dynamic panel analysis models, the negative effects of the minimum wage on employment are not found. That is to say, the negative effects of the minimum wage on employment of the whole population, the aged, youth and women are not found in Korea.

      • KCI등재

        중국의 사회보장지출이 산업격차에 미치는 영향

        김종섭,심권평 한국동북아학회 2017 한국동북아논총 Vol.22 No.1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impacts of social security expenditure, which could affect the industrial gap, by establishing panel data collected from 31 Chinese local governments (castle, city and autonomous district) from 1997 to 2014, and by assuming fixed effects model or the random effects model respectively.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according to the Hausman test, In the population-based model, only the I-2 model appears to be a more preferable model, and all other models show that the fixed effect model is more desirable. On the other hand, in the model based on the employed, the fixed effect model is more preferable in all models. Therefore, we analyzed the impact of social security expenditure using a fit models. Second, In the industrial gap model based on the population, it was found that social security expenditure did not have a statistical significance on the industrial gap in the central region. On the other hand, we found that social security expenditure h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industrial gaps in the national, eastern region, and western region, and it was found that social security expenditure in these regions reduces the industrial gap. Third, in the model based on the number of employees, social security expenditure affects industrial gaps in all models except the western region. In the national and eastern regions, the increase in expenditure appears to increase the industrial gap, while the central region reduces the industrial gap. Based on the results of these findings, policy implications for Korea are suggested. 본 연구는 중국의 사회보장지출이 산업격차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사회보장지출의 영향이 지역별로 차이가 있는지를 파악하기 위하여 전국, 동부지역, 중부지역, 서부지역 등으로 구분하였다. 분석에 사용된 자료는 중경시가 사천성에서 분리된 시점을 기준으로 31개 성·시의 1997년부터 2014년까지 시계열 자료와 횡단면 자료를 사용하였으며, 분석방법으로는 Hausman 검정결과를 토대로 고정효과모형과 확률효과모형 중에서 더 바람직한 모형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Hausman 검정결과 인구를 기준으로 한 모형에서는 동부지역만 확률효과모형(I-2)을 적용하고 나머지 모두는 고정효과모형을 적용하였으며, 취업자를 기준으로 한 모형은 모든 모형이 고정효과모형이 더 적합한 것으로 나타나 이모형을 사용하여 사회보장지출의 영향을 분석하였다. 둘째, 인구를 기준으로 한 산업격차모형에서는 중부지역은 사회보장지출이 산업격차에 대해 통계적 유의성을 갖지 못한 반면 전국, 동부지역, 서부지역에서는 통계적 유의성이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회보장지출 증가는 산업격차를 축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취업자를 기준으로 한 모형에서는 서부지역을 제외하고 나머지 모든 모형에서 사회보장지출이 산업격차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는데, 전국과 동부지역에서는 지출 증가가 산업격차를 확대시키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중부지역은 산업격차를 축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우리나라에 대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후보

        메타분석을 활용한 중앙분리대의 사고감소효과 분석

        최은진 ( Choi Eun-jin ),이동민 ( Lee Dong-min ),이호원 ( Lee Ho-won ),김응철 ( Kim Eung-cheol ) 한국도로교통공단 2016 교통안전연구 Vol.35 No.-

        본 논문에서는 메타분석 방법론을 통해 중앙분리대의 사고감소효과를 분석하여 중앙분리대 설치의 당위성을 제시하고 효과분석에 있어서 새로운 방법론을 제시하고자 한다. 메타분석은 본래 기존의 연구결과를 통계적인 기법으로 통합하기 위한 방법론으로 연구의 결과를 분석 데이터로 활용하나,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사고 잦은 곳 개선사업 및 효과분석(2004~2008)을 통해 제공되는 결과를 그 데이터로 활용하였다. 메타분석에는 자료의 동질성 검정을 우선수행하며 자료의 이질성 여부를 판정하였다. 자료의 동질성 검정결과 이질성이 상당한 것으로 분석되어 변량효과의 모형이 더 타당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중앙분리대 설치에 따른 사고감소 효과 분석을 위해 고정효과모형과 변량효과모형을 이용하여 산출한 통합 추정치는 고정효과모형의 경우 약 28%, 변량효과모형은 약 32%로 분석되었다. 최종적으로 산출된 결과 검증을 위해 수행한 민감도 분석 결과 통합추정치의 신뢰구간 안에서 분석되므로 최종결과가 지역별 효과를 대표할 만한 신뢰성을 가질 수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국내에서 중앙분리대의 사고 감소효과는 변량효과모형의 통합 추정치인 32%로 결론내릴 수 있다. In this study, we tried to suggest a new method of effect analysis and necessity of median barrier installation as analyzing crash reduction effect of median barrier using meta-analysis. The meta-analysis is a statistical analysis than combine the results of multiple scientific studies. We used the data of ‘Effective Analysis of Improvement Project at Black Spot’ while the meta-analysis is used the results of the scientific studies. First we analyzed the Homogeneity test to assure a heterogeneity of the data. The analysis of Homogeneity showed that the probability I<sup>2</sup> to have a heterogeneity of data is 77.89%. It means that the data is suitable a Random effect model than fixed effect model. The Random effect model analyzed that the crash reduction effect of median barrier installation is 32%. Therefore,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a random effect model. In case of using a random effect model, the crash reduction effect of median barrier installation were analyzed 32% while a fixed effect model were analyzed 28%. We performed the sensitive analysis to verify the result. Its result showed that the aggregated estimation have a significant representative. Therefore, we conclude that the crash reduction effect of median barrier is 32%.

      • KCI등재

        개인 기부, 소득과 한계 세율에 관한 연구: 패널 데이터 분석 기법을 중심으로

        박정수,김준기 서울대학교 한국행정연구소 2014 行政論叢 Vol.52 No.3

        This article exploits the relationship between private giving and government taxation by using the Korean“Tax and Benefit Survey” panel data published by the Korean Institute of Public Finance. A summary of previous empirical studies suggests that government taxation and deduction policy has commonly been associated with partial crowding in and out of charitable giving. This phenomenon, the major concern of this paper, called“tax price elasticity to donation,” is very important when policy change is considered but there has been somewhat limited academic concern because of a data shortage, as well as public concern for government tax income. Using various approximation techniques such as OLS, Tobit MLE estimation, and fixed and random effect panel data analysis, the elasticity coefficient was calculated to range from–0.87 to –1.8. The OLS coefficient with fixed effect (OLS/FE) was –1.0, and the Tobit effect estimation with fixed effect (MLE/FE) was estimated as –1.87. The MLE/FE was 180% more than OLS/FE. The individual fixed effect was smaller than the Tobit effect, estimated as 26% of the OLS coefficient. This means that tax deduction policy implementation should consider both the latent behavior of non-donors, and all of the unobservable characteristics of individuals, and their long-term effects. 본 연구는 (1-세율)이라는 기부 가격이 개인 기부에 미치는 영향을 패널데이터를 통해 살펴보려는 것이다. 이론적으로 정부의 기부 소득 공제는 기부를 장려하기 위한 정책이지만, 지금까지의 정부 조세 정책은 경기 변동에 대처하기 위한 소득 공제 제도의 일부로 사용되었다. 이 과정에서 개인에게 미치는 영향은 간과된 부분이 존재하며, 효과에 대한 연구 역시 데이터 상의 문제로 공백이 있어왔다. 실증 분석에 사용될 자료는 한국조세연구원에서 2008년부터 실시한 재정패널 자료이다. 여타 선행 연구를 따라, 본 연구는 종속변수가 절단되었을 때 사용하는 방법인 토빗 추정, 그리고 패널 데이터 분석기법인 고정효과 모형과 랜덤효과 모형을 고려하도록 한다. 분석 결과, 개인 기부 가격과 기부액 사이에는 부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관계가 관찰되었으며, 양호한 모형 적합도를 보여준 Tobit 고정효과 모형을 기준으로 시사점을 제시한다. 먼저, 비교대상인 OLS 고정효과 모형 추정결과 탄력성은 –1.0정도로 관찰되었다. 그리고 Tobit 효과는 기부를 하지 않는 사람들에게도 기부 가격이 개인의 잠재적 기부행위에 영향이 있다는 점을 보여주며 그 크기는 OLS로 추정된 값의 80% 정도로 관찰되었다. 그리고 개인 특정 고정 효과를 고려했을 경우 개인 기부의 가격탄력성을 크게 낮추어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값은 기초 추정 값의 26%였다. 최종적으로 제시하는, Tobit 고정효과 모형의 추정 탄력성은 –1.8로 나타났다. 작지 않은 탄력성 값을 관찰한 만큼 기부 소득 공제 제도 변경이 상당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도 전망되지만, 그 영향의 크기는 선행연구와는 약간 작을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이전에 수행되었던 기부에 대한 연구와 비교해서도 보다 명시적으로 개인의 세 부담 및 한계 세율을 활용할 수 있게 된 만큼 향후 조세 정책에 있어 연구가 활성화되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부동산 경매절차상 매각가율에 미치는 영향요인: 매수인이 인수하는 특수권리를 중심으로

        안진섭,이명훈 한국도시행정학회 2018 도시 행정 학보 Vol.31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examine the effect of factor analysis on the price ratio of real estate auction process as real estate buyer take the special rights of real estate auction. This study uses panel data model. Panel data model was used to test the POLS model, fixed effect model, and randomized effect model The temporal ranges are from January 2011 to December 2015, and the spatial ranges are metropolitan in Korea. The special rights of real estate buyer have a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 on the real estate all auction price ratio. According to POLS model, lien execution bid rate, tenants opposing power bid rate, and priority charter right bid rate have a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 on the all auction price ratio, while fixed effect model and randomized effect model not have a significantly on the all auction price ratio. If the all auction price ratio is increasing, special rights of real estate buyer will increase, while the housing auction price ratio is decreasing, special rights of real estate buyer will decrease Therefore all auction price ratio can be used as an indicator of the special rights of real estate buyer. It was confirmed that the direction of the movement of the real estate auction price ratio and the special rights of real estate buyer. 본 연구는 매수인이 인수하는 특수권리를 중심으로 부동산 경매절차상 매각가율에 미치는 영향요인에 대해서 분석하고자 하는 것이 연구목적이다. 본 연구는 패널데이터모형을 사용하여 실증분석을 수행하였는데, 패널분석모형은 POLS 모형, 고정효과모형, 임의효과모형을 사용하여 비교분석을 하였다. 2011년 1월부터 2015년 12월까지 기간 동안 우리나라의 전 지역을 대상으로 하여 연구범위를 설정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부동산 경매절차상 매수인의 특수권리가 매각가율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쳤다. 패널데이터모형 중에서 POLS 모형이 유의한 연구모형으로 검증된 반면에, 고정효과모형과 임의효과모형은 유의하지 않은 모형으로 검증되었다. POLS 모형을 분석한 결과, 매수인의 특수권리 중에서 유치권 매각가율, 대항력 있는 임차인의 매각가율, 선순위 전세권의 매각가율이 전체 매각가율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쳤다. 이는 부동산 경매 매각가율이 증가할 경우에 매수인의 특수권리 또한 함께 증가하는 반면에, 모든 경매 매각가율이 감소할 경우에 이에 비례하여 매수인의 특수권리도 감소하는 결과를 보여 주고 있다. 따라서 부동산 경매 매각가율이 매수인의 특수권리를 예측하는 인디케이터로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를 통해서 매수인의 특수권리와 부동산 경매 매각가율의 변화가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 담배소비세 인상정책에 따른 흡연 감소 효과는 일시적인가?

        김범,조영민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21 한국복지패널 학술대회 논문집 Vol.14 No.-

        본 연구의 목적은 2015년 1월 1일 시행된 담배소비세 인상이 흡연량 감소에 미친 장기적, 단기적 영향을 분석하는 것이다. 또한, 소득구간을 3분위로 구분하여 흡연량의 장단기적 효과의 추정량을 기반으로 담배소비세의 역진성이 실재하는가를 확인하고자 했다. 본 연구는 담배소비세의 효과를 추정하기 위해 단절적 시계열 설계를 적용한 통합최소제곱모형, 일원확률효과모형, 일원고정효과모형을 사용했고, F-검정과 Hausman 검정을 거쳐 일원고정효과모형을 본 연구의 분석모형으로 채택했다. 일원고정효과모형으로 담배소비세의 효과를 추정한 결과 전체표본은 -3.84 개비, 저소득 -4.08 개비, 중소득 -4.73 개비, 고소득 -2.57 개비의 단기적 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장기적인 효과는 전체표본, 저소득, 중소득이 각각 -0.23 개비, -0.31개비, -0.44개비였고, 고소득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담배소비세의 장기적 효과는 음의 값을 가졌지만, 단절적 시계열 설계를 통해 추정한 정책 전후 기울기를 기반으로 소비세 인상을 하지 않았을 때의 대응사실(counterfactual)과 비교했을 때 담배소비세 인상에 따른 장기적 효과는 2029년부로 사라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추정량을 활용하여 소득구간 별 가격탄력성 및 담배지출 비중의 변화를 분석한 결과 저소득의 가격탄력성이 다른 소득구간에 비해 탄력적이지만, 담배지출의 비중은 오히려 증가한 것을 통해 담배소비세의 역진성이 존재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2015년 담배소비세 인상은 장단기적으로 흡연량 감소효과를 갖고 있지만, 80% 가격인상과 같은 지나친 가격정책은 저소득의 부담을 가중할 수 있다. 담배소비세의 장기적 효과 크기가 작고 담배소비세의 역진성이 존재하는 만큼 비교적 저소득에게 부담이 적은 물가연동제를 비롯하여 다양한 비가격정책과의 정책도구 조합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KCI등재

        환경 변화가 오프라인 유통채널 매출액에 미치는 영향

        한상린,문지효 한국유통학회 2020 流通硏究 Vol.25 No.4

        In the distribution industry, uncontrollable factors such as unpredictable weather factors and epidemics, as well as competition among companies, have caused companies to face difficulties in establishing strategies in inventory, production, and sales management. Compared to online shopping, which can be accessed easily anytime, anywhere, offline distribution channels that consumers have to visit and consume directly are more easily exposed to changes in the psychological state and behavior of consumers due to external environmental factors. Because of these characteristics, this study focuses on representative offline distribution channels such as hypermarkets and department stores in estimating the impact of external environmental changes on distribution channel sales. The study also includes monthly sales and regional and monthly fine dust concentrations, temperature, population, MERS, and Covid- 19 events in 17 major metropolitan and provincial department stores nationwid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imate the influence factors of sales of hypermarkets and department stores as offline distribution channels. The factors affecting sales are limited to external environmental factors, and are intended to include fine dust concentration, temperature, local population, MERS, and Covid-19. In order to achieve the research objectives, we estimated the sales of major marts and department stores monthly, from 2015 to 2020, by 17 metropolitan cities and provinces, and their impact factors as an offline distribution channel. First, as a result of the Hauzman test, the fixed effect model was found to be significant in both models, and accordingly, the research results were analyzed with the fixed effect model as the center. As a result of the analysis, both Model 1, which estimates the influence factors of hypermarket sales, and Model 2, which estimates the influence factors of department store sale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at the significance level of 1%, but there was a difference between the impact factors. First, in Model 1, which estimated the effect of hypermarket sales, fine dust and Covid- 19 had a negative effect on hypermarket sales, but the population had a positive (+) effect. Next, in model 2, which estimated the effect of department store sales, fine dust and temperature had a positive (+) effect on sales, while Covid- 19 had a negative (-) effect. A common influence factor in both models was an epidemic called Covid-19. MERS showed no effect factor in both models. From the monthly or daily data, epidemics such as MERS and Covid-19 may be seen as factors that decrease sales, but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found only in Covid-19 when viewed as time series data of 17 metropolitan cities, that is, panel data. These results can be seen as a factor that directly affected Covid- 19's sales to offline retailers more than MERS. In addition, the increase in the concentration of fine dust had a negative effect on sales at hypermarkets, but it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department store sales. These results mean that if the fine dust gets worse, the sales of hypermarkets decrease, but the department store sales increase. In addition to the results of these previous studies,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examined more comprehensively, including infectious diseases such as MERS and Covid- 19, population, and fine dust as factors affecting sales. 유통산업은 타 산업보다 소비자의 가까이에 위치하고 있으며, 소비자의 심리적 변화에 많은 영향을 받는다. 따라서 소비자 행동의 변화가 매출과 직결되기 때문에 기상요인과 같은 외적 요인 변화에 대해 소비자의 구매행동이 어떻게 달라지는지 분석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과업이다. 이러한 특징으로 인해 본 연구는 외부 환경변화가 유통채널의 매출액에 미친 영향을 추정함에 있어 대형마트, 백화점이라는 대표적인 오프라인 유통채널을 연구 대상으로 한다. 또한 본 연구는 전국 17개 광역시·도의 대형마트, 백화점의 월별 매출액과 지역별, 월별 미세먼지 농도, 기온, 인구수, 메르스 및 코로나19 사태 등을 설명변수로 포함하였다. 연구모형은 총 2개로 구성되었다. 모형1은 대형마트의 매출액 영향요인을, 모형2는 백화점의 매출액 영향요인을 추정하며, 패널데이터 분석방법을 적용하였다. 본 연구는 패널데이터를 실증분석하는데 있어서 단계적 접근을 하였다. 첫째, 하우즈만 검정(Hausman test)을 통해 고정효과모형과 확률효과모형 중 더 적합한 모형을 판단하였다. 둘째, 하우즈만 검정을 통해 고정효과모형과 확률효과모형 중 하나를 선택하였다. 셋째, 고정효과모형과 확률효과모형의 비교 및 선택된 모형을 통해 실증분석 결과를 제시하였다. 최적의 모형을 선택하는 하우즈만 검정에서 고정효과모형이 더 적합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실증 분석 결과, 대형마트 매출액 영향요인을 추정한 모델1과 백화점 매출액 영향요인을 추정한 모델2는 모두 유의수준 1%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였으나, 영향요인 간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먼저, 대형마트 매출액 영향요인을 추정한 모델1에서는 미세먼지, 코로나19는 대형마트 매출액에 부(-)의 영향을 미쳤으나, 인구는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백화점 매출액 영향요인을 추정한 모델2에서는 미세먼지, 기온은 매출액에 정(+)의 영향을 미쳤으나, 코로나19는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소비자의 심리적 변화 등에 쉽게 영향을 받는 오프라인 유통채널의 매출액을 추정하여 매출액 관리에 필요한 영향요인을 식별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외부 환경변화에 대비하여 매출액 관리 전략 수립에 근거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금융위기 이후 Panel Data를 이용한 국내 생명보험회사의 효율성 변화 및 결정요인 분석

        김병철 한국제도경제학회 2017 제도와 경제 Vol.11 No.2

        본 연구는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인 2009년부터 2015년까지 7년간 우리나라 생명보험회사를 대상으로 효율성 변화를 살펴보기 위해, 정태적 효율성은 Radial 모형인 DEA-CCR, DEA-BCC 모형을 이용하였고, 동태적 효율성은 DEA/Window 모형을 이용하였다. 그리고 효율성 결정요인을 다양한 방법으로 비교하기 위해 정태적 패널모형으로 가중최소자승추정법(GLS), 토빗모형, 고정효과모형, 확률효과모형을 이용하였고, 동태적 패널모형으로 일반화적률추정법(GMM)을 이용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정태적 효율성 변화를 살펴보면 분석기간 동안 평균 기술효율성은 9.5%의 비효율성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비효율성은 순수기술효율성과 규모효율성 모두 원인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추세와 안정성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DEA/Window 분석결과 기간에 따라 생명보험회사별로 표준편차, LDP, LDY 값이 차이를 나타내고 있었다. 셋째, 기술효율성 결정요인 분석결과 고정효과 모형의 설명력이 다른 모형들보다 높았고, 기술효율성 증대를 위한 전략으로 사업비와 신계약비 축소를 통한 수입보험료와 투자영업이익율 증대가 가장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efficiency change and determinants factor of life insurance industry in Korea. In order to measure the efficiency change, we used the Data Envelopment Analysis (DEA) model and the dea / window model and measured the efficiency determinants factor using GLS, Tobit model, fixed effect model, random effect model and GMM. We use panel data for 21 life insurers from 2009 to 2015 First, the average technological efficiency is 9.5% inefficiency during the analysis period, and this inefficiency is caused by both pure technology efficiency and scale efficiency. Second,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DEA/Window efficiency analysis, the standard deviation, LDP, and LDY values of life insurance companies appeared differentry according to the period. Third, the analysis of the determinants factor of technological efficiency showed that the explanatory power of the fixed effect model was higher than that of the other models. As a strategy for increasing the technological efficiency, it was found that the increase of the insurance premium and the investment profit margin were the most importa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