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상호 문화적 능력 향상을 위한 한국의 ‘흥’ 이해 교육 연구 - 고전 문학 제재를 중심으로 -

        김혜진,김종철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2015 한국언어문화학 Vol.12 No.1

        이 연구의 궁극적 목표는 한국어 학습자들이 한국인의 정서 혹은 정신 문화의 한 요소인 흥을 이해하여 한국 문화에 대한 심층적인 이해를 도모함은 물론 이를 바탕으로 상호 문화적 능력을 향상시키는 데 있 다. 상호 문화적 능력은 의사소통 능력과 문화 능력의 기저로 작용하 는 중요한 요소로써 외국어 학습 혹은 외국 문화와의 교류 시, 목표 언 어와 문화의 습득을 위해 필수적으로 획득해야 하는 능력이다. 한편 ‘흥’은 즐거움, 기쁨, 상쾌함과 같은 긍정적이고 즐거운 기분을 향유하는 데서 오는 양(陽)의 정서로 한국인의 사회・역사・문화적 배 경 아래 형성되어 한국인의 정신세계나 일상생활 속에 많이 내재되어 있다. 본고에서는 한국어 학습자의 상호 문화적 능력 향상을 위해서 한국 정신문화의 한 요소인 ‘흥’을 이해할 필요가 있다고 보고, 대상 텍스트로 한국의 고전 판소리인 <흥부가> 및 시조, 가사, 잡가, 민요 등의 고전 문학 제재를 선정하여 대상과의 교감을 통한 흥, 즉흥적 성 격으로서의 흥, 낙관적 성격으로서의 흥, 집단적 개방성으로서의 흥 등 ‘흥’의 교육 내용을 크게 네 가지로 유형화하였다. 상호 문화적 능력 향상을 위한 ‘흥’ 이해 교육 방법으로는 흥에 대한 학습자의 기초 지식 확인, 흥의 용례를 통한 개념 이해, 실현과 공감을 통한 흥의 체험, 타문화간 토론을 통한 흥의 인식을 제시하였다.(서울 대학교) Journal of the International Network for Korean Language and Culture 12-1, 79-111.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understand Koreans' emotions or ‘Heung(興)’, an element of Korean spiritual culture, to help understanding Korean cultures in depth, and to improve intercultural competence. Intercultural competence, as an important element which acts as a base of communicative competence and cultural competence, is essential to acquire target language and culture. Meanwhile, ‘Heung’ is a positive emotion, such as joy, pleasure, refreshingness, and it is embedded in Koreans' spirits and their everyday lives with background of Korean society, history, and culture. This paper reports that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Heung’, an element of Korean spiritual culture, in order to improve intercultural competence of Korean language learners. Next, target texts are selected from classical literatures including <Heungbuga>, the Korean classical pansori, and Sijo, Kasa, Jabga, and classic folk songs. Then educational contents of ‘Heung’ were divided into four: ‘Heung’ through communion with target person, ‘Heung’ as a spontaneous personality, ‘Heung’ as a optimistic personality, and ‘Heung’ as collective openness. The following are also suggested as a teaching methods of understanding ‘Heung’ to improve intercultural competence: confirming students' basic knowledge about ‘Heung’, understanding the concepts through the usage of ‘Heung’, experiencing ‘Heung’ through realization and sympathy, and realizing ‘Heung’ through cross cultural discussion.(Seoul National University)

      • KCI등재

        “흥(興)” 의 시학(詩學) 변치 과정 고찰(考察) Ⅱ-당(唐) 에서 宋까지

        이종무 영남중국어문학회 2012 중국어문학 Vol.0 No.61

        這篇文章的主要硏究目的在於考察中國古典詩學發展史中“興”的演變過程, 以此探討“興”的詩學槪念發展趨勢和其在中國文學理論批評史上的意義。到了唐代,“興”義的發展含有社會性與諷刺性的色彩。陳子昻與白居易嘗試從“興寄”的角度來解析“興”義, 强調詩歌的政?美刺作用。到了中期, 一些有志復興儒學的文人自覺運用詩文革新來參與政治,所以在魏晉時期受到文士唾棄的美刺比興的傳統再度流行起?。這些言論反映出在唐代形成的一種追求諷諭寄託的詩風。?若說“興寄”能代表由初唐至中唐時期“興”的詩學演變過程,那可以說代表盛唐時期“興”的演變過程便是殷?所提的“興象”。“興象”這一詩學槪念, 實際上是由象而興和象外之興的綜合, 突破情景交融的層面, 獲得象外之境的無限意蘊的詩學境界。到了宋代, “興”義的解釋在前代多義化與複合化傾向的襄助之下, 幾乎進入了作爲詩學範疇的安定狀態。所謂“安定化”就是雖然對“興”沒有出現創新的解釋, 但?基於前代旣有的詩學成果, 增加了多義的複合的特點, 同時也作爲詩學範疇, 逐漸走向了完整的狀態。宋代對“興”的解釋中, 値得注意的有三種。其一是繼承鍾嶸的“文已盡而意有餘”的說法, 其二充實“興”本義?“起也”, 其三是“觸物以起情”的“興”。總之, “興”是在獨特的中國傳統文化四維模式下形成的。“興”注重審美主體的興發感動和偶然得之, 是物的觸動與心靈的契合雙重作用的結果, 深深地影響了中國古典詩學的範疇體系,在“興”的統攝下形成了一系列的相關範疇群, 如“感興”、“興象”、“興寄”,“興會”等。

      • KCI등재

        중국 미학 범주인 ‘흥(興)’의 두 함의

        김현미 인문예술학회 2020 인문과 예술 Vol.- No.8

        The purpose of the research is to examine the two significant implications of ‘Xing 興’ in the Analects of Confucius and to discuss the link between the two significant implications to better understand the meaning of the Chinese aesthetic category, xing. Xing is a Chinese aesthetic category that has been dealt with for a very long time to understand the process of generating emotions in East Asia’s literature and art. The xing a Chinese aesthetic category has two significant implications. The first signifies to the natural conversational method and poetry-creating method of ancient East Asian writers. Xing is an expression that makes people realize its meaning through awards without revealing its meaning. The East Asian used conversational method and as poetry-creating method, modeled after the way nature reveals its meaning and signals through awards. The second signifies the beginning of an involuntary reaction in which the flow of qi 氣 opens and rises throughout the body through repeated rhythms in performing arts acts such as music and dance. If we can continue the xing that took place in the process of creating art, we can enter a stage of freedom and immersion. To do this, a pure heart must be keep on. Xing has two significant implications, because of the circumstances in which poetry was integrated with music and dance in the shamanistic rite during the Shang era when xing was created. 이 글은 중국 미학 범주로서 ‘흥’이 지닌 함의를 논어와 시경을 비롯한 관련 문헌들을 통해 심적, 신체적 두 방면으로 풀어내고자 한다. ‘흥’은 동아시아의 문학과 예술에서 창작자의 감정이 일어나고 감상자의 감응을 이끌어내는 감정 촉발의 과정을 이해하기 위해 매우 오랜 기간 다루어져 온 범주다. ‘흥’은 논어를 통해 중국 미학의 중요한 범주로 제출되었으며 고대로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동아시아의 시가 창작 방식으로 활용되어 왔다. 논어와 시경을 비롯한 고대 문헌을 통해 살펴볼 수 있는 ‘흥’의 두 함의는 아래와 같다. 첫째 ‘흥’은 동아시아 고대 문인의 자연 화법이자 시가 창작 방식을 말한다. ‘흥’은 그 의미를 겉으로 드러내지 않고 ‘상(象)’을 통해 깨우치게 하는 표현 방식이다. 예로부터 동아시아의 문인들은 자연이 ‘상’을 통해 이치를 드러내고 조짐을 알리는 방식을 본받아 일상의 화법과 시가 창작 방식으로 활용하였다. 이는 심리와 의식의 영역에 관련한 의미로 예술 창작의 근원이 된다. 둘째 ‘흥’은 음악과 무용 등 공연 예술 행위에서 반복되는 리듬을 통해 기(氣)의 흐름이 몸 전체로 트이고 상승하는 무의식적 반응의 시작을 의미한다. 예술 창작 과정에서 일어난 무의식적 반응인 ‘흥’을 계속 이어나갈 수 있다면 완전한 자유와 몰입의 경지로 들어설 수 있다. 이는 신체의 무의식적 행위의 영역에 관련한 의미로 예술 표현의 근거가 된다. ‘흥’이 두 가지 함의를 지니게 된 것은 ‘흥’ 자가 만들어지던 상(商)나라 때 ‘무(巫)’ 의식에서 시가와 음악, 무용 등의 예술 행위가 통합적으로 실시되었던 상황에서 기인한 것이다. 이 글은 ‘흥’이 지닌 함의를 심적, 신체적 두 방면으로 구분하여 논의함으로써 예술 창작 중 감정 촉발과 발상의 단계에서 주로 논의되었던 ‘흥’의 심적 의미와는 구분되는 예술 행위론으로서 ‘흥’이 지닌 가치를 드러내고 개념적 근거를 확보하는 일에도 보탬이 될 것이다.

      • KCI등재

        『기호흥학회월보』의 ‘흥학(興學)’과 서사적 실험

        전은경 한국현대문학회 2018 한국현대문학연구 Vol.0 No.56

        This paper is to analyze Kihohunghakhuiweolbo among the academic societies in the modern enlightenment era and to discuss the function and narrative experiment of the current society. Kihohunghakhuiweolbo was published 12 volumes by the Kihohunghakhui from August 25, 1908 to July 25, 1909, and was based on Seoul, Gyeonggi and Chungcheongnambuk provinces. Kihohunghakhuiweolbo was a journal followed by Seowoo, Seobukhakhuiweolbo and honamhakbo. Kihohunghakhui is a banner of education on 'heonghak(興學)', and positions itself as a contender and competitor in the northwestern region. 'Heonghak(興學)' means to promote academic studies. It was also constantly emphasizing that it is different from other regional societies through its pride as a geographical center and its role as a historical city. Kihohunghakhuiweolbo is classified into the academic society, the literature, the new thoughts, and the education-related articles. There were published a new interpretation of the classics and a satirical narrative in the Kihohunghakhuiweolbo. The modern enlightenment period was the field of literary art in which these epigraphs were variously experimented. Therefore Kihohunghakhuiweolbo had have comprised collections of epic experiments with personality in the symbolic area. 『기호흥학회월보』는 기호흥학회에서 1908년 8월 25일부터 1909년 7월 25일까지 총 12호가 발간되었으며 서울 및 경기, 충청남북도를 기반으로 한 지역학회지였다. 기호흥학회는 ‘흥학’을 교육의 기치로 내세우면서 서북지역의 대항마이자 경쟁자로서 자신들을 위치 지운다. 또한 지리적인 중심부로서의 자긍심과 역사적인 도읍지로서의 역할을 통해 다른 지역 학회와는 다르다는 것을 끊임없이 강조한다. 또한 호서 등 남부 지역의 경우 사족들로 대표되는 기성세대 혹은 구지식인들의 구교육에 반대하면서 새로운 학문을 배워야 함을 ‘흥학’을 통해 설파하기도 했다. 이러한 『기호흥학회월보』의 전체 글을 보면, 주제별로는 기호흥학회, 문예면, 신사상, 교육 관련 글들로 분포되었고, 문체는 단어형 국한문체가 가장 많았지만, 다른 지역 학회지와 비교해봤을 때는 한글은 거의 없고, 한문 및 현토한문체가 많았다. 이는 『기호흥학회월보』의 향유자들이 그만큼 기존 지식인들 혹은 한학 중심의 인물이었음을 반증해준다. 또한 표제 역시 다른 학회와 비슷하면서도 기호흥학회만의 표제를 달고 있는데, <흥학궁구>, <학해집성>, <예원수록>, <학계휘문> 등이 그것이다. 특히 『기호흥학회월보』에는 대화체 서사물이 총 8편 실려 있고, 토론이나 문답 형식 등을 활용하고 있다. 또 고전을 역발상적으로 차용한 성낙윤의 「골계소설」이 실려 있기도 한데, 고전인 『한시외전(韓詩外傳)』의 “당랑포선(螳螂捕蟬)”을 차용하여 새롭게 해석하고 풍자하고 있다. 근대계몽기는 바로 이러한 서사물들이 다양하게 실험되던 문예의 장이었다. 또한 그 가운데 『기호흥학회월보』 역시 기호 지역의 개성을 담지한 서사적 실험들을 담아내고 있었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웃음으로 눈물 닦기: 흥의 정동 연구

        KIM SOO YOUNG SUE 한국목회상담학회 2021 목회와 상담 Vol.36 No.-

        As part of the indigenousization of counseling, this study aims to help pastoral counselors and caregivers in Korea understand a unique characteristic of Koreans, which is Heung. Based on the study of Shin Eun-kyung, a researcher in Korean studies, I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Heung through dialogue with Affect theory. The encounter between Heung and Affect theory reveals that Heung as a driving force has influence on the real world and has a direction without attributing it to a specific emotion. In addition, the characteristics of Heung reveal the reality of mutual impact between subject and the environment. This study reveals that there is an affect of Heung in the essence of Christian faith experienced by Koreans. In addition, the study offers advice to help pastoral counseling and caring become a place to experience the affect of Heung. The process of searching for Heung, which is relevant to any place in life, helps Koreans discover the vitality of the relationships in a one’s life. And it is expected that the encounter between counselor and client will be driven by the affect of Heung, and it will be a place of excitement that forms support, revelation, and reconciliation. 이 연구는 상담의 토착화를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한국 문화권에서 시행되는 목회 상담과 돌봄이 한국인이 담지하고 있는 흥이라는 특성을 이해하도록 돕고자 시행되었다. 연구를 위해 필자는 우선 한국학 연구자인 신은경의 연구를 토대로 한국적 흥의 특징을 살펴보았으며, 다음 단계로 현대 인문학의 새로운 시도로 한국에 비교적 최근 소개된 정동 이론과의 대화를 통해 흥의 정동적 특질을 살펴보았다. 흥과 정동 이론의 만남은 흥을 특정 감정에 한정하거나 귀속시키지 않으면서 인간의 몸과 내면을 추동하는 특질로 이해하도록 안내한다. 집단성을 띠면서 풍자와 해학을 통해 발전되어 온 한국인의 흥은 세상에 대해 자신을 여는 마음가짐과 연관되어 존재의 생명력을 고양시키는 활력으로 이해되고 있다. 그런데 정동으로서의 특징은 실제 세계에 영향을 끼치면서 방향을 갖는 추동력으로서 주체와 환경간의 상호영향의 실체라는 정동의 의미를 바탕으로 흥을 이해하도록 돕는다. 이 연구는 흥의 정동적 특징을 주체와 객체간의 경계를 흐트러트리며, 활달함을 띠며 급격한 확산력과 전이성으로 설명하고 있다. 필자는 한국인이 경험하는 기독교 신앙의 본질에 담겨있는 흥의 요소를 밝히고 있다. 그리고 목회 상담과 돌봄이 흥의 정동을 경험하는 자리가 되기 위한 몇 가지 방안으로 기독교를 흥의 기독교로 새롭게 인식해 볼 것을, 흥에 추동될 때 자신을 열 준비를 할 것을, 그리고 풍자와 해학으로 기꺼이 정동 소외자가 될 것을 제안하였다. 한과 더불어 한국인의 삶 곳곳에 배여 있는 흥을 이해하도록 도움으로서 이 연구는 내담자로 하여금 삶의 주체로 스스로 살아내도록 지지하고 폭로하고 화해하도록 돕는 흥의 자리로서 목회상담과 돌봄을 이해하려고 한다.

      • KCI등재

        玉洞 李漵의 詩에 드러난 興의 情緖와 樣相

        尹載煥 동양고전학회 2013 東洋古典硏究 Vol.0 No.53

        이 글은 玉洞 李漵의 詩에 드러난 興의 情緖와 그 表現 樣相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는 글이다. 이미 여러 편의 선행 연구 를 통해 밝힌 것과 같이 옥동 이서는 학자였다. 그것도 성리학적 이상세계의 현실적 구현을 꿈꾸었던 도학자였다. 그렇 지만 옥동의 시 세계가 오롯하게 도덕적이기만 한 것은 아니다. 옥동의 문집 속에 수록된 1,300여 수의 시 중 54題 62首 의 시가 제목에 자신이 느낀 흥의 정서를 그대로 노출시켜 놓고 있는 시이다. 물론 제목에서 흥의 정서가 노출되어 있다 고 해서 그 시들이 모두 흥을 담고 있는 것은 아니지만, 이와 같은 제목의 추출은 최소한 옥동의 시가 오롯하게 유가적 도덕 교육의 도구나 수양의 방편으로만 작용하지는 않았다는 것을 보여주는 하나의 단서가 될 수는 있을 것이라고 생각 한다. 옥동의 시에서 흥의 정서를 묘사한 시들을 살펴보면 그의 흥이 의도적으로 만들어낸 계획적이고 인위적인 것이 아니라 무의도적인 순간에 자신도 모르게 일어난 자연스러운 것임을 쉽게 알 수 있다. 그런데 옥동의 시 속에 드러난 옥동의 흥 , 또는 옥동에게 시 창작의 계기가 된 흥의 대부분이 내적으로 沈潛된 것임을 확인할 수 있다. 또, 옥동은 주변 경물이나 상황이라는 對他的이고 相對的인 外部 對象이나 外的 刺戟에 의해서만 흥을 인식한 것이 아니라 자신의 수양 의지나 수 양 과정, 또 수양의 결과를 확인하는 개인적이고 내적인 상황에서도 흥을 느꼈다고 보인다. 이와 같은 점에서 옥동의 흥 은 感覺的이고 感情的인 것이기도 하지만 다른 한 편으로는 理智的이고 知性的인 것이기도 하다는 특성을 지닌다. 옥동 의 興이 지니고 있는 이와 같은 특성으로 인해 그의 시에 드러나는 흥은 대부분 외적으로 분출되는 터져 나오는 것이라 기보다 내적으로 갈무리되어 침잠된 것이었다. 따라서 그의 시는 대부분 터져 나오는 감각적인 興趣보다 내적으로 갈무 리되며 짙은 여운을 남기는 理智的인 幽興를 중심으로 흥을 형상화하였다고 보인다. 옥동 시의 흥의 정서는 시적 형상화의 방법에서도 특징적인 모습을 보여주는데, 이를 간단하게 정리하면 다음 세 가지 로 설명이 가능하다. 옥동의 시에서 확인할 수 있는 興의 情緖 形象化 方法으로 가장 먼저 거론할 수 있는 것은 感情의 知性化(Intellectualization of Feeling)이고, 다음은 描寫의 場面化(Putting into the Scene of Description), 마지막이 詩 語의 單純化(Simplification of a Poetic word)이다. 이와 같은 흥의 정서 형상화 방법은 옥동이 그 자신의 문학관을 자신 의 시 속에 구체적으로 적용한 결과이고, 그가 문학관이라는 관념과 시 창작이라는 실재적 행위에서 동일한 모습을 보 여주고 있다는 것을 증명해주는 것이라는 점에서 기본적으로 의미를 지니는 것이지만, 이와 함께 옥동의 문학적 경지를 보여준다는 점에서도 적지 않은 의미가 있다. 화려한 수식과 새로운 언어의 사용을 통한 낯선 신기함이나 역동적이고 다채로운 변화에 의한 다양한 전개, 확장된 感傷에 의해 야기된 감정의 몰입은 없지만, 눈으로 직접 바라보는 듯 한 구 체적인 묘사와 누구나 이해할 수 있는 시어의 구사는 무기교의 기교와 같이 독자들을 편안하게 시 속으로 이끌고 시를 통해 잔잔하지만 깊이 있는 흥을 느끼게 해 준다는 점에서 그렇다. 이러한 점에서 볼 때 단언해 말하기는 곤란하지만, 옥동의 시에서 확인할 수 있는 흥의 정서는 옥동을 비롯하여 조선조 도학자들이 느꼈던 흥의 정서를 대변해주는 것이 아닐까 하는 생각까지 하게 된다.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emotion of excitement appearing in Okdong Lee Seo’s poems and the aspects of its expression. As explained in some previous researches, Okdong Lee Seo was a scholar. He was not a mere scholar but a Confucian scholar dreaming the realization of the Confucian ideal world in reality. However, Okdong’s poems are not merely moralistic. Among his 1,300 some poems recorded in his anthology, 62 poems under 54 titles directly expose his own emotions even in the titles. Although it is not that all poems exposing emotions in their titles contain excitement, such a extraction of titles can be thought as a clue showing that Okdong’s poems not merely functioned as a tool for the Confucian moral education or as a method for cultivation. An examination of the poems describing the emotion of excitement, among all of Okdong’s poems, easily reveals that his excitement was not intentionally and artificially created but unintentionally and naturally raised in unintentional moments. Yet, it can be verified that the most of the excitements either appearing in Okdong’s poems or causing his poetic creations were internally withdrawn. Also, it seems that Okdong perceived excitements not only from the objective and relative external objects or the external stimulations such as surroundings and circumstances but also from the personal and internal situations checking out his own will for cultivation, his cultivation process, and the result of his cultivation. Depending on such points, Okdong’s excitements have a characteristic sensuous and emotional on a hand and intellectual and intelligent on the other. Due to such a characteristic of Okdong’s excitement, most of the excitement appearing in his poems was not externally exploding but internally controlled and withdrawn. Therefore, his poems mostly seems to express the intellectual, mellow, and internally controlled emotions rather than the explosively sensuous excitements. The emotions of excitement in Okdong’s poems show some unique characteristics in the methods for poetic figuration; if they are concisely categorized, the following three explanations are possible. Among the methods for figuration of excitement, which can be verified in Okdong’s poems, the ‘intellectualization of feeling’ can be mentioned first, the ‘putting into the scene of description’ second, and the ‘simplification of a poetic word’ the last. Basically, such methods for figuration of excitement have the meanings that they are the result of the specific application of Okdong’s literary ideology to his own poems, and that they proves the identity between the perspective of his literary ideology and the real activity of his poetic creation; but they have another important meaning that they can indicate the level of his literature. In spite that they do not have strange novelties through fancy modifications and through new linguistic usages, diverse developments through dynamic and colorful changes, or emotional immersions derived from expanded melancholy, they are so important that his detailed descriptions like directly watching and his usage of poetic words anybody can understand, like the artless art, can comfortably lead readers to get into his poems and to feel the calm but deep emotions. For the reasons, though it is not yet definitive, it can be thought that Okdong’s emotion of excitement which can be verified in his poems represented that of all Confucian scholars of Joseon dynasty.

      • KCI등재

        전래놀이로 바라본 한국인의 흥 원형 연구

        이주현,이명희 한국기초조형학회 2020 기초조형학연구 Vol.21 No.1

        The historical aspect of a nation retains its original form, which is fluid and variable but does not change. Heung, the basis of K-pop, is thought to be the prototype of Korean design for modern people, however, there is a lack of research on design humanities to determine the identity of Korean desig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future direction of Korean design based on Heung by grasping the sensation of Koreans in works of art and by examining the structure in which Heung is expressed through traditional plays. Traditional plays were classified into individual and group plays according to the number of participants, and analyzed by subject and play characteristics. In terms of play characteristics, “faith origin” and “folklore customs” were both closely related to religious behaviors such as Shamanism, which were unique to Korea. It was confirmed that Korean seasonal customs were closely linked to group plays and were dynamically performed outdoors using objects found in nature as materials for tools and crafting them by hand. In traditional plays involving large numbers of groups, which were overwhelming, there was tendency to prioritize group entertainment over individual entertainment. This seems to have had a profound influence on the culture of farming villages and the harvest of crops. In addition, the rise and fall of the group through traditional Heung group plays was not only a relationship among humans, but also between ‘humans and nature’ and ‘humans and gods’. This suggests that the interest of Koreans is formed through relationships, and it is the same structure as that of Korean traditional paintings that expressed sympathy between humans and nature. It is understood that the culture of unique consilience is an original form affecting Korean Heung. We hope to combine this “Heung” or interaction of these relational characteristics with design studies to form the basis for further research. 한 민족의 시대적 양상은 유동적이고 가변성을 가지나 변화하지 않는 민족의 원형을 간직하고 있다. k-pop의기저에 위치한 흥은 현대인들을 위한 한국적 디자인의 원형이 된다고 생각하나, 한국적 디자인의 정체성을 찾기위한 디자인 인문연구는 부족한 상황이다. 본 연구는 예술 작품에서 한국인의 흥 정서를 파악하고, 전래놀이를통해 흥이 발현되는 구조를 살펴봄으로써 흥을 원형으로 한 한국디자인의 미래 방향성 모색을 목적으로 한다. 전래놀이는 우선 참가자 수에 따라 개인과 집단놀이로 분류하고 놀이 대상 주체와 놀이 특성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놀이 주체 대상으로 나눈 ‘신앙기원’과 ‘민중풍속’의 놀이는 양자 모두 한국 특유의 종교적 행위(무(巫)) 와 깊은 관련이 있었다. 세시풍속과 관련 깊은 놀이는 집단놀이로 실외에서 동적으로 행해지는 것이 많았고, 실외놀이는 자연물에서 도구의 재료를 찾아서 직접 제작하는 방식으로 진행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집단놀이의 수가 압도적으로 많은 전래놀이에서는 개인의 흥보다 집단의 흥이 우선시되는 경향을 보였다. 이것은 농경시대의촌락 공동체 단위 생활과 농작물 수확의 품앗이 문화의 영향이 깊다고 보여진다. 또한 전래놀이를 통해 파악한집단의 흥은 ‘인간과 인간’의 관계를 넘어서 ‘인간과 자연’, ‘인간과 신’의 관계도 자연스럽게 맺고 있었다. 이는한국인의 흥이 관계를 통해 형성되는 점을 시사하고 있으며, 인간과 자연의 교감이 체화하여 나타는 전통회화속의 흥과 동일한 구조로써, 인간과 자연의 독특한 접화문화가 한국인의 흥에 영향을 주는 원형이라고 파악된다. 이러한 관계적 특성의 “흥”을 디자인 연구와 접목하여 보다 깊은 연구의 기초가 되길 바란다.

      • KCI등재

        興象의 구체적 의미에 대한 연구-호응린의 評語를 중심으로-

        이상봉(Lee, Sang-bong),김승룡(Kim, Seung-ryong) 대동한문학회 2018 大東漢文學 Vol.57 No.1

        1. 들어가는 말 2. 흥상에 대한 기존의 해석들 3. 흥상: 詩想의 끝없는 광대함 4. 나오는 말 興象은 한시비평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는 용어지만 그 구체적인 의미를 파악하기는 어려운 점이 있었다. 마침, 호응린은 詩藪 에서 興象이라 는 용어를 사용하여 작품들을 자주 품평했고, 작시의 요점을 강조하는 말에서 흥상을 반드시 언급했는데, 이를 통해 흥상의 구체적인 의미를 파악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하고 연구를 진행했다. 이에 앞서 흥상에 대해 남긴 선행연구들을 검토해 보았는데, 진백해・오윤숙・성복왕・임준철 등의 연구에 따르면 興이란 것은 시인의 감정과 관련된 것이고 象이란 것은 시인의 눈에 비친 대상인데, 이 두 가지가 조합되어 象內는 물론 象外까지 나타내어 독자로 하여금 곱씹는 여운을 느끼게 해야 흥상이라고 할 수 있었고, 동시에 시인의 감정인 情思가 시인이 표현 대상 으로 삼고 있는 景象 속에서 흔적도 없이 자연스럽게 드러나야 흥상이 제대로 표현 된 것이라고 볼 수 있었다. 흥상에 관한 선행연구의 결과와 호응린의 評語를 바탕으로 해서 흥상의 구체적 의미 분석을 시도한 결과, 흥상이 잘 표현되었다는 것은 ‘詩的 경관이 하늘과 땅에 광대하게 펼쳐져 있는 경우.’와 ‘시적 경관이 끝없이 이어지는 경우.’로 정리할 수 있었는데, 이는 한 마디로 ‘詩想의 끝없는 광대한 표현’으로 요약할 수 있었다. 이는 선행연구에서 진백해가 흥상의 ‘興’이란 鍾嶸(468?~518)이 말한 “文已盡而意有餘, 興也.”에서 확대된 것으로 말은 쉽게 했으나 뜻이 심오하여 여운이 끝없는, 곧 시가에서 특별히 지닌 미학속성과 예술정취를 가리킨다고 한 말과 관련이 있었다. 그리고 흥상에 대한 이러한 해석은 조선 문인들에게도 이어져 그들 또한 흥상이란 용어를 통해 시를 비평하면서 ‘흥상이 멀지 못하다.[興象不遠]’・‘흥상이 광대하다.[興象之曠]’・‘흥상이 높고 빛난다.[興象高華]’ 등으로 표현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 KCI등재

        송강 시조에 나타난 흥의 성격 고찰

        고영화(Ko, Young-Hwa)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021 한국민족문화 Vol.79 No.-

        본고는 흥이라는 개념을 중심으로 하여 송강 시조의 문학적 특질에 대해 논의한 것이다. 송강 시조의 개성과 뛰어난 표현력에 대해서는 일찍부터 주목되어 왔으며, 그 결과 송강의 작품은 문학교육에서도 중요하게 다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흥이라는 측면에서 송강 시조를 본격적으로 다룬 연구는 찾기 힘든 상황이다. 이에 본고는 다른 사대부 시조들과의 비교를 통해 송강 시조에 나타난 흥의 성격을 중점적으로 고찰해 보았다. 분석 결과 ‘관계지향성’, ‘일탈성’, ‘천진성’과 같은 자질을 송강 시조에 나타난 흥의 두드러진 특성으로 도출할 수 있었다. 이러한 특성은 사대부 문학이 기반으로 삼는 유가적 미의식이나 시조 장르의 관습성과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서, 흥이 구현되는 양상이 사대부 집단 안에서도 다양할 수 있음을 말해준다. 본고는 송강 시조를 통해 한국 시가문학에서 전개되어 온 흥의 양상을 좀 더 섬세하게 파악해 보았다는 의의를 가진다. 흥은 한국적 미의식의 특성으로 중요하게 언급되는 만큼, 이에 대한 연구는 앞으로 더 활발하게 진행될 필요가 있겠다. 이러한 연구 성과는 문학교육에도 반영되어 한국문학에 대한 이해를 심화하는 데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paper aims to study the literary characteristics of the Song-gang Sijo, focusing on the quality of Heung(興). Song-gang Sijo"s personality and excellent expressiveness have been paying attention from early on, and as a result, it has been treated as an important educational material in literature education. However, studies so far have not paid much attention to Heung(興) of Song-gang Sijo. Based on the consciousness of the problem, this paper researched the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Song-gang Sijo. As a result of the analysis, qualities such as ‘relationship orientation’, ‘deviation’, and ‘innocence’ could be derived as prominent characteristics of Song-gang Sijo. This characteristic shows the difference from the Confucian aesthetic consciousness and the customary nature of the Sijo genre. Because Heung(興) is mentioned as an important characteristic of Korean aesthetic consciousness, research on this needs to be conducted more actively by diversifying the layers in the future. This research results will be reflected in literature education, expanding the understanding of Song-gang Sijo and contributing to deepening the understanding of Korean literature.

      • KCI등재

        남도민요(잡가) <흥타령>에 대한 史的 고찰

        손인애 한국국악학회 2009 한국음악연구 Vol.46 No.-

        대표적인 남도민요(잡가) 중 하나인 <흥타령>은 경기 <흥타령>과 후렴구 사설이 유사하여 상호 관련성이 있으리라 추정되기도 하였지만, 음악적으로 공통점을 찾기 어려워 이에 대한 논의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그런데 20세기 전반기 남도 <흥타령>이 사설과 음악에서 현행보다 경기 <흥타령>과 더 많이 유사한 사실이 발견됨에 따라, 경기와 남도 <흥타령>의 음악적 관계와 남도 <흥타령>의 형성과정 및 그 배경을 밝혀낼 수 있었다. 20세기 전반기 남도 <흥타령>의 특징을 고찰한 결과, 당시에는 오늘날과 달리 선율의 특징에 따라 크게 두 가지 유형(제1형, 제2형)이 존재한 사실을 살펴볼 수 있다. 제1형은 가장 초기 음반인 송기덕 창(1913)과 산타령패 소리를 수록한 最古 악보집인 『조선속곡집』(1914)등에 나타나며, 제2형에 비해 발견되는 수가 매우 적다. 그런데 제1형은 가장 초기 소리인 송기덕 창이 현행 소리보다 선율이 훨씬 빠르며 단순 고졸하고, 경기 <흥타령>과 리듬통사구조가 흡사하며 공유하는 사설이 많아, 경기 <흥타령>과 상호 연관성이 매우 컸던 사실이 확인된다. 그런데 경기 <흥타령>은 근자에 필자에 의해 19세기 사당패 <흥타령>을 근간으로 20세기 초 신민요로 재창출된 사실이 밝혀진 바 있다. 그리고 남도 <흥타령>은 초기 형태로 갈수록 현행보다 훨씬 사설과 음악이 단순하며 경기 <흥타령>에 가까워지는 양상을 살펴볼 수 있다. 따라서 이상의 정황들로 볼 때, 남도 <흥타령>은 경기 <흥타령>이 창출될 무렵, 거의 비슷한 시기에 이를 토대로 소위 남도 버전으로 만들어진 소리일 가능성이 매우 높다. 제2형은 20년대 후반 이후에 녹음된 소리가 모두 여기에 해당하며 제1형에 비해 발견되는 수가 많아, 이 시기의 보편적인 남도 <흥타령>으로 보인다. 제2형에 해당하는 소리들은 제1형보다 선율이 상당히 기교적이고, 속도가 좀 더 느리며 2소박 12박자 중모리장단에 가까워진다. 그러나 사설과 리듬통사 및 악곡구조 등 부분적으로 제1형의 특징을 여전히 지니고 있어, 제1형과 현행의 과도기적 양상을 잘 보여준다. 이러한 제2형의 변화는 남도 잡가로 정착되는 과정에서 다른 잡가 및 남도음악의 영향으로 일어난 현상으로 보인다. 요컨대 제1형과 제2형은 일종의 古調와 新調의 관계로 볼 수 있겠다. 그런데 20세기 후반에 이르러서는 더 이상 경기 <흥타령>과 사설 및 음악적 특징이 유사한 남도 <흥타령>은 전승되지 않게 된다. 판소리 여류 명창들에 의해 전승되고 더욱 남도화가 이루어지면서, 독창은 사설내용이 많이 변화하고 그 길이도 장절형태로 길어진다. 이로 인해 선율도 길어지게 되며, 다른 남도잡가 및 판소리의 영향으로 리듬 및 선율이 상당히 기교적인 형태가 전승되고 있다. 이러한 남도 <흥타령>은 형성 시기 및 그 과정이 사당패소리를 근거한 형성된 경, 서도 통속민요의 것과 매우 흡사하다. 이에 20세기 벽두 경, 서도 통속민요 및 입창이 경, 서도 사당패 계승집단에 의해 대거 재창출되며 극장공연에서 인기를 얻을 무렵, 이를 참조하여 초기 잡가광대, 이른바 남도 사당패계승집단 또는 그 영향을 많이 받는 집단이 형성시켰을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 Namdo popular folk song Heung-Taryeong has thus far been assumed to have the relationship with Gyeonggi popular folk song Heung-Taryeong(Cheunan-samguri), based on the similar text of a refrain. However, this was not assured because of the lack of the musical common things. This paper verified these two songs‘ close musical relation. This study argues that the origin and evolution of Namdo popular folk song Heung-Taryeong by analyzing songs in the early and late 20th century and comparing with Gyeonggi popular folk song Heung-Taryeong. NamdoHeung-Taryeong was originated from Gyeonggi Heung-Taryeong by the Namdo Sadangpae successors when they went into the theater, seeking repertoires in order to succeed in their public performances in the early 20th. There were two different versions of Namdo popular folk song Heung-Taryeong in the early 20th century:old and new ones. The former, which is found still fewer than the latter in the recordings and the music books, is simpler in terms of tune and melody and is faster in tempo. Also this one has many textual and musical things in common with Gyeonggi Heung-Taryeong. In this respect, it approximates to the original source of Namdo Heung-Taryeong. Meanwhile, the latter is similar with the recent song, which is affected by Pansori in the textual and musical way, and has few or no more musical things in common with Gyeonggi Heung-Taryeong. However, since the late 20th, only new version has come to be transmitted. In conclusion, Namdo Heung-Taryeong was more closely related with Gyeonggi Heung-Taryeong in terms of text and musical features in the early 20th century. However, it was transformed into a more Namdo musical style, which was causedby the influence of other Namdo music, Jabga and Pansori.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