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한국어교육에서의 언어와 문화의 연계

        장소원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2012 한국언어문화학 Vol.9 No.2

        본고는 역사적으로 한국 문화교재의 시초라고 볼 수 있는 리델의 한국어문법 의 문화 부분을 따로 떼어내어 그 구성과 성격을 소개한 후, 2000년대에 들어와 한국인에 의해 집필, 발간된 문화교재들이 다루는 주제들을 검토하고 이 교재들이 공통으로 다룬 주제들을 추출, 동일 주제를 다루는 텍스트들 간의 관계를 고찰하는 데 목적이 있다. 최근 들어 한국어교육은 단순한 언어교육을 넘어 문화교육 혹은 문화를 통한 언어교육으로 확대되고 있다. 그러나 교재 개발의 측면에서 볼 때 문화 내용은 언어 교재 속에서 부분적으로만 취급될 뿐이고, 전적으로 문화만을 다루고 있는 교재가 개발된 것은 비교적 최근으로, 2007년부터 개인 연구자를 중심으로 문화교재가 집필․편찬되어 발간되기 시작하였다. 좀 더 본격적인 문화교육에 대한 논의는 2008년 이후부터 이루어졌다. 외국어교육에서 문화를 통한 언어교육이 가장 효율적인 교육을 담보한다는 사실은 비단 최근 들어서 인식되기 시작한 것은 아니다. 우리나라에서 행해진, 외국인을 대상으로 하는 한국어 교육의 시초는 리델의 한국어문법 Grammaire Coréenne (1881)이다. 이 책은 이후 언더우드의 한영문법(1890)을 비롯하여 여러 문법서에 막대한 영향을 끼쳤다. 이 책은 단순히 한국어 문법을 기술하는 데 그치지 않고, 책의 후반부에 부록을 싣고 이어서 단계별 한국어 연습에 해당하는 부분을 추가함으로써 문화교재를 겸한 강독교재로서의 성격을 겸하고 있다는 특징을 지니고 있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paper is to introduce the format and characteristics of the cultural content of F. C. Ridel’s Grammaire Coréenne, this book being the first teaching material in Korean culture, and to examine the topics that appear in the teaching materials of Korean culture that have been written and published by Koreans in the 2000s, and stud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exts that cover the same topics. Korean language education has recently been expanding its field from simple language education to cultural education or language education through culture. Previously, cultural content composed only a small part in teaching materials for language education. Recently however, teaching materials wholly devoted to cultural content is starting to be developed. Since 2007, teaching materials with cultural content have started to be written and published by individual researchers. A more advanced discussion about cultural education has been started since 2008. It is not a recent realization that language education through culture promises greatest efficiency in foreign language education. The beginning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conducted in Korea for foreigners is F. C. Ridel’s Grammaire Coréenne published in 1881. This book exerted great influence on various grammar books, including H. G. Underwood’s An Introduction to the Korean Spoken Language which was published in 1890. Ridel’s Grammaire Coréenne not only focuses on explaining Korean grammar, but adds a supplement at the end of the book where one can practice Korean according to one’s proficiency level. The presence of this supplement shows that this book was not only a grammar book, but also a reading material combined with cultural content.

      • KCI등재후보

        Role and Importance of Korean Cultural Education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 A Case Study of Malaysian Universities -

        류승완,김금현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2010 한국언어문화학 Vol.7 No.1

        류승완, 김금현. 2010. 한국어 교육에 있어 문화교육의 역할과 중요성 -말레이시아 대학에서의 사례연구-. 한국언어문화학. 7-1. 117-144. 본고는 말레이시아에서의 한국어 교육에 있어 문화 교육의 필요성과 중요성을 실증적 조사를 통해 알아보는데 중점을 두었다. 한국은 물론 인근 동남아시아 국가들과는 달리 다인종, 다문화, 다종교 국가로 대별되는 말레이시아는 국어인 말레이어 외에도 중국어, 인도어 그리고 영어는 물론 토착민들의 토속어 등 사용언어에 있어서도 다언어 국가로 특징 지워진다. 80년대 중반부터 대학교 선택과목으로 보급된 한국어 교육은 언어구사능력 중심 교육에서 90년대 말부터 서서히 문화 교육을 도입하기 시작한다. 문화교육의 중요성을 인지하고는 있으나 실질적으로 한국어 학습자들이 어떠한 문화교육을 얼마나 필요로 하고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는 데 이 연구의 목적이 있다. 설문 및 인터뷰 방식을 채택, 단계별로 학습자들의 한국어 학습 목적 등에 관한 설문조사와 한국에 대한 지식 및 문화교육에 대한 학생들의 요구도를 조사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세 그룹으로 나누어, 첫 번째 그룹은 한국어를 선택과목으로 수강하는 말레이시아 국립 대학교 학생들, 두 번째와 세 번째 그룹은 말라야 대학교 학생들로서 한국어를 선택과목으로 그리고 전공/부전공으로 하는 학생들을 나누어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는 각 세 그룹 학생들의 문화교육에 대한 인식과 관심이 많은 부분에 있어 일치하고 있음과, 앞으로 말레이시아에서의 한국어 교육에 있어 문화교육의 체계화와 및 비중이 높아져야 함을 제시하고 있다. (말레이시아 국립 대학교, 말라야 대학교)

      • KCI등재

        한국 언어문화 리터러시에 나타난 북한이탈대학생의 경험에 관한 연구

        정지현,최희,김영순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2015 한국언어문화학 Vol.12 No.3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 언어문화 리터러시에 나타난 북한이탈대학생의 경험의 의미를 탐구하는 것이다. 이를 위한 연구문제는 첫째, 북한이탈대학생의 한국 언어문화에 대한 리터러시는 어떠한가? 둘째, 한국 언어문화 리터러시에 나타난 경험의 의미는 무엇인가? 이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우선 북한이탈대학생의 현황과 적응 과정의 어려움을 선행연구를 통해 파악하고, 언어문화와 리터러시의 개념을 고찰하였다. 이어 북한이탈대학생들의 한국 언어문화 리터러시에 나타난 경험을 비판적 이해, 소통적 참여, 성찰적 실천의 관점으로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비판적 이해의 관점에서 ‘같은 언어, 다른 언어문화’, 소통적 참여의 관점에서 ‘소통의 장벽이 되는 이중언어문화’, 성찰적 실천의 관점에서 ‘사회 구성원으로서 인정받기 위한 노력’이라는 주제를 도출하였다. 연구 결과를 통해, 시민교육의 차원에서 다수 한국 대학생들에게 북한의 언어문화적 배경을 이해할 수 있는 상호언어문화 이해교육을 제언하였다. The aim of this research is to explore the significance of Korean language and culture literacy that North Korean defector students experience. The first research question of this study is “How is North Korean defector students’ literacy to the Korean Language Culture?”, and the second is “What is the significance of the literacy of Korean language and culture performed by North Korean defector students?”. In solving these research question, previous studies was examined. Through the exam we acknowledge the better grasp the North Korean defector students’ current situation and their difficulties that they face in their assimilation process. The other hand, we reviewed the concept of the literacy of Korean language and culture. By analyzing the significance of the North Korean defector student’s Korean language and culture literacy, this study give an indication to the possibility of understanding mutual language culture and the perspective of educating citizens, that enables the for many Korean university students to understand North Korean language and cultural background.

      • KCI등재

        「한국언어문화학」의 연구 동향 - 네트워크 분석과 내용 분석의 활용 -

        양길석,구민지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2021 한국언어문화학 Vol.18 No.1

        본 연구의 목적은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의 학술지에 실린 논문의 연구 경향을 분석하여 학회의 정체성을 공고히 하고 학회지가 나아가야 할 방향을 모색하는 데에 있다. 이를 위해 창간호부터 17-3호까지의 학술지에 게재된 440편의 논문을 대상으로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법과 내용 분석법을 병행, 적용하여 연구 경향을 분석하였다. 네트워크 분석 결과 키워드 출현 빈도 측면에서는 ‘한국어교육, 문화 교육, 한국어, 언어문화, 한국어 교재’ 등의 빈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이를 시기별로 구분했을 때 ‘한국어교육, 문화교육, 한국어, 요구분석, 한국어 교재’ 등은 시기와 구분 없이 출현 빈도가 높았으나 등재지 이후 시기에는 보다 한국어교육에 초점화된 키워드의 빈도가 높게 나타났다. 중심 구조 측면에서는 ‘한국어교육, 문화교육, 언어문화, 한국어 교재/한국어, 한국 문화/문화’ 등의 순으로 연결중심성 값이 높게 나타났고 이 키워드들은 전체 시기의 연구 경향을 대표한다고 볼 수 있다. 내용 분석 결과 전체적으로 한국어교육 관련 주제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시기별로 살펴보면 초창기 언어문화를 포함한 문화 자체를 주제로 한 연구가 꽤 많았으나 최근으로 올수록 언어 관련 연구와 교육 관련 연구의 비중이 점차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방법 측면에서는 전반적으로는 질적연구 방법의 비중이 높고 시기별로 보면 최근으로 올수록 설문조사 연구 및 양적 연구방법의 비중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identity of the society by analyzing the research trends of papers published in the journals of ‘the International Network Korean Language and Culture’, and to seek the direction the journal should proceed. To this end, the research trend was analyzed by applying the keyword network analysis method and the content analysis method in parallel for 440 papers published in the journals published in the first issue through 17-3. As a result of network analysis, in terms of the frequency of occurrence of keywords, the frequency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culture education, Korean language, language culture, Korean language textbooks’ was found to be high. When categorized by period, ‘Korean language education, cultural education, Korean language, Needs analysis, and Korean textbooks’ appeared in a high frequency regardless of the period, but the frequency of keywords focused on Korean language education was higher than in the period after registration. In terms of the central structure, the value of connection center was high in the order of ‘Korean education, cultural education, language culture, Korean textbooks/Korean, and Korean culture/culture’, and these keywords can be considered to represent the research trend of the entire period. As a result of the content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many topics related to Korean language education. Looking at each period, there were quite a lot of studies on the subject of culture itself, including language culture in the early days. In terms of research methods, overall, the proportion of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is high, and the proportion of survey research and quantitative research methods tends to increase as they become more rec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