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간호사를 위한 호스피스 완화의료 교육과정 개발

        최은숙,김현숙,이소우,유양숙,Choi, Eun-Sook,Kim, Hyun-Sook,Lee, So-Woo,Yoo, Yang-Sook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 2006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지 Vol.9 No.2

        목적: 호스피스 완화간호 실무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간호사를 위한 호스피스 완화의료 기본 교육과정을 개발하기 위함이다. 방법 간호사를 대상으로 하는 국내외 호스피스 완화의료 7개 교육과정의 내용을 비교하였으며, 전국의 호스피스 완화의료 기관에서 근무하는 간호사 162명에게 우편으로 교육 요구도를 조사하였다. 결과: 1. 국내외 교육과정에서 공통적으로 다루고 있는 내용은 호스피스 완화요법의 이해, 삶과 죽음의 이해, 말기 환자의 통증 및 증상관리, 기관견학 및 실습, 호스피스 병동 운영의 실제, 가정 호스피스, 건강사정(신체사정), 치료적 의사소통, 아동 호스피스, 호스피스 운영관리, 호스피스 완화의료 팀, 호스피스 완화의료의 윤리와 법, 심리적 사회적 영적 돌봄, 임종 관리, 사별가족관리 등이었다. 2. 간호사의 호스피스 완화의료에 대한 교육 요구도가 3.5점 이상인 문항은 34개였다. 교육 요구도가 높았던 문항은 '죽음의 이해 ', '죽음에 대한 태도와 반응', '통증의 이해와 평가' 등이었고, 이전에 교육받은 경험이 많았던 문항은 '통증 및 증상완화', '호스피스의 윤리와 법', '호스피스 협력 및 홍보체계 구축'이었다. 3. 17개 내용을 강의, 토론 및 증례 등의 교육방법을 통하여 이론교육 48시간과 실습교육 30시간, 총 78시간의 기본 교육과정 을 구성하였다. 결론: 앞으로 개발된 교육과정으로 교육을 시행하여 효과를 평가하고, 호스피스 완화의료기관 실무자들의 교육 요구도를 정기적으로 파악하여 실무의 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표준 교육과정을 개발하는 것이 필요하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basic curriculum for the nurses who work at hospice and palliative care settings. Methods: Seven curricula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for the nurses in Korea and other countries were reviewed, and Education Need for hospice and palliative care was surveyed from 162 nurses by mailing the questionnaires to hospice palliative care settings. Results: 1. The curricula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for the nurses in Korea and other countries in common include 'understanding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understanding of lift and death', 'pain and symptom management for person with terminal disease', 'on-the-spot study and practical training', 'management of hospice and palliative ward', 'hospice and palliative care at home', 'physical assessment', 'therapeutic communication skills', 'children's hospice', 'administration and management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interdisciplinary team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ethics and laws in hospice and palliative care', 'psychological, social and spiritual care', 'care of the dying', 'bereavement care', etc. 2. The scores above 3.3 were marked for 34 items in education Need Survey. The highest scores were given in the order for the items 'understanding of death and dying', 'attitude and response to death and dying', 'understanding and assessment of pain' etc. respondents marked that they have been trained for 'pain and symptom management', 'ethics and laws in hospice and palliative care', 'building the system for cooperation and publicity activities in hospice' etc. 3. The basic curriculum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for the nurses requires 78 studying hours for 17 subjects, comprising 48 hours of theory education and 30 hours of practical training. The education methods are lectures, discussions, and case studies. Conclusion: The efforts of developed basic curriculum should be evaluated after educating nurses. It is necessary to develop the standard curriculum and regularly update it based on the result of education Need Survey for actively working nurses in hospice and palliative care settings.

      • 의사를 위한 호스피스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 2004 호스피스.완화의료 시범사업을 중심으로 -

        김수현,신상원,정미경,이순남,이소우,이경식,최윤선,Kim, Su-Hyun,Shin, Sang-Won,Chong, Mi-Kyong,Lee, Soon-Nam,Lee, So-Woo,Lee, Kyung-Shik,Choi, Youn-Seon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 2006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지 Vol.9 No.2

        목적: 2004년 호스피스 완화의료 시범사업을 실시하면서 의사를 대상으로 한 사업을 위하여 호스피스 완화의료에 관한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를 기초로 교육을 실시하고 성과를 분석하였다. 방법: 교육 분과위원회에서 3차례의 회의를 통해 교육 요구도(총 79문항) 설문지를 개발한 후 125개 전국 호스피스 관련 기관에 종사하는 의사를 대상으로 우편을 이용하여 설문지를 발송하였다. 교육 중요도는 호스피스 전문가 27명에게 이메일을 통하여 조사하였다. 결과: 교육 요구도 및 중요도 조사 결과, 다양한 문헌 검토 및 외국의 호스피스 완화의료 관련 교육과정을 기초로 호스피스 완화의료 교육 프로그램이 개발되었으며 교육 시간은 총 36시간(이론 21, 실습 15시간)이었다. 이를 토대로 1일 교육 코스를 전국에서 4회에 걸쳐 시행하였으며 47명의 의사가 참여하였다. 교육 이수 후 참가자들은 교육 과정이 향후 업무에 도움이 된 정도는 항목마다 $3.0{\sim}3.6$점, 교과 강사의 적절성은 $3.1{\sim}3.3$점으로 평가하였다(1: 전혀 아니다 ${\sim}4$: 매우 그렇다). 전반적인 만족도는 100점 중 80점이었다. 결론: 개발된 교육 프로그램은 전체적으로는 운영되지 않았으며 일부만 시험교육으로 운영하였다. 대상자들은 대체로 만족하였으나 강의보다는 사례, 토론 중심의 교육 및 주제별 심화교육을 원하였다. 향후 지속적인 요구도 조사와 프로그램 개발 및 시행이 필요하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education program for physicians who work at hospice palliative care settings in Korea, to practice abridged education program extracted from the full contents of the proposed education, and to improve the quality of hospice palliative care service. Methods: To develop the education program, questionnaire for hospice education need assessment (total 79 items) was distributed to 125 organizations practicing hospice service via mail and the data was collected from 1 Sep. to 10 Oct. 2004. Another questionnaire for hospice education importance assessment was asked to the palliative specialists from Sep. 23 to 17 Oct. 2004.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questionnaires, and reviewing various references and actual hospice palliative education programs of other countries, the education programs were developed. Results: Ore-day-Hospice education 2004 was conducted based on the suggested education program, and it was practiced four times on a national basis (2 times in Seoul, and once in Busan and Gwangju, respectively). 47 physicians attended the education program. The education program lasted about 7 hours, comprising 5 hours of common lectures for all attendants regardless of their professions and 2 hours of specific seminar for physicians only. Attendants positively responded to the contents of the education program. But they pointed out that the program should be offered on weekday and it should be more in-depth and more discussion based lesson. Conclusion: The suggested education program was not fully conducted yet. After practicing the abridged education program, more in-depth and discussion oriented rather than lecture-based education were suggested. It may be argued that the proposed education, which requires much longer period education, should also reflect the evaluation of the 1-day education program to successfully implement the proposed education program.

      • KCI등재

        간호대학생을 위한 지역연계 호스피스 완화의료 교육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김경아(Kim, Kyungah)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8

        본 연구는 지역연계 호스피스 완화의료 교육프로그램의 개발과 효과를 규명하기 위한 단일그룹 유사실험설계 연구이다. 교육프로그램은 ELNEC(End-of-life Nusring Education Consortium)을 바탕으로 지역의 권역호스피스센터의 전문가와 함께 개발하였다. 연구참여자는 I 지역 간호학과 2학년 학생으로 연구 진행 전 호스피스교육, 임상실습, 호스피스실습 경험이 없는 39명을 대상으로 총 16회(16시간)의 교육이 시행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WIN SPSS 23.0 program를 활용하여 independent t-test, ANOVA, paired t-test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지역연계 호스피스 완화의료 교육프로그램은 호스피스 완화의료 인식(t=-4.996, p=<.000)과 지식(t=-2.019, p=.050)을 유의하게 향상시켰으며, 죽음(t=1.253, p=.217)과 임종간호 태도에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호스피스 완화의료 교육프로그램이 간호대학생의 호스피스 완화의료에 대한 인식과 지식을 향상시키므로 다양한 교육방법과 교육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을 제언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effect of regional linked hospicepallative care education program for nursing students. The educational program was developed with experts from regional hospice centers based on the ELNEC (End-of-life Nusring Education Consortium). This study used a quasi-experimental design with 39 nursing students in one university and the education program was provided 16 times(16 hours). Participants were second grade students and not received education on hospice, clinical prctice, hospice practic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independent t-test, ANOVA, paired t-test using the WIN SPSS 23.0 program. After the end of the regional linked hospicepallative care education program, students were significantly elevated hospicepallative care perception scores (t=-4.996, p=<.000) and knowledge levels (t=-2.019, p=.050). However, the attitude in death (t=1.253, p=.217), and terminal care(t=-1.880, p=.067) were not significant. In conclusion, The results indicate that regional linked hospicepallative care education program was an effective learning method to improve nursing attitude and knowledge. Further study is needed to identify the effects of various education program of hospicecpallative care.

      • KCI등재후보

        호스피스.완화의료 표준교육 프로그램 시범교육의 효과

        강진아,유양숙,박진노,김원철,남은정,고수진,이영선,허정식,최성은,김정이,신동욱,Kang, Jin-A,Yoo, Yang-Sook,Park, Jean-No,Kim, Won-Chul,Nam, Eun-Jeoung,Koh, Soo-Jin,Rhee, Young-Sun,Huh, Jung-Sik,Choi, Sung-Eun,Kim, Jung-Lee,Shin, Dong-Wo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 2008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지 Vol.11 No.4

        목적: 호스피스 완화의료 전문인력을 위한 기본단계 교육과정으로 개발된 표준교육 프로그램 시범교육의 결과를 평가하기 위함 방법: 표준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하여 미국의 Education in Palliative and End-of-life Care (EPEC)교육을 벤치마킹하여 국내 실정에 맞게 수정 보완하였다. 표준교육 프로그램은 총 19개의 세부 주제로 구성하였으며, 강의와 쌍방향식 강의, 소그룹 토론, 역할극 등의 다양한 교육방법을 적용하도록 설계하였다. 개발한 표준교육 프로그램의 내용과 교육방법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3개 주제를 선택하여 호스피스 고위과정을 수료한 23명을 대상으로 시범교육을 실시하였다. 결과: 표준교육 프로그램 시범교육 대상자들은 피교육자 중심의 교육방법과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교육 내용에 대하여 만족하였으며, 강의를 위주로 하는 기존의 교육보다 효과적인 교육이라고 평가하였다. 결론: 표준교육 프로그램 시범교육은 그 효과가 긍정적이었으며 호스피스 완화의료 교육의 표준화와 교육 방법의 발전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앞으로 표준교육 프로그램을 성공적으로 실행하기 위해서는 교육자 (Trainer)를 위한 교육이 실행되어야한다. Purpose: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pilot program on standard curriculum of hospice palliative care education; a basic training program for physician, nurse, social worker and clergies at hospice institute. Methods: To develop an educational program, we used the Education in Palliative and End-of-life Care (EPEC) program as a paradigm and modified it to be suited in our situation: The standard curriculum consists of 19 modules, and it is designed to be applied to the teaching methods, including lecture, interactive lecture, small group discussions, and role play. To verify its contents and teaching methods, we implemented a pilot program which consisted of 3 modules, using various teaching methods; trigger video tapes, interactive lecture, small group discussions, and role play. Results: Overwhelming majority were satisfied with the teaching methods and learner-centered methods, and agreed that the contents were clinically relevant to the care of dying patients. They also indicated that their attitudes would likely change as a result of the education. Conclusion: The effects of the pilot program on standard curriculum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are very positive and has broader implications for improving hospice palliative care education. For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the program, trainers must also be prepared to teach effectively. Also it must be accompanied with train-the trainer program.

      • KCI등재

        호스피스·완화의료 자원봉사자 교육 프로그램 활성화 방안

        조현 ( Hyun Cho ),조병모 ( Byungmo Cho ),조서영 ( Seo Young Cho ),조슬민 ( Seul Min Cho ),정성훈 ( Sung Hoon Jeong ) 대한보건협회 2021 대한보건연구 Vol.47 No.1

        연구목적 : 본 연구는 호스피스 · 완화의료 다학제팀의 일원으로 활동하고 있는 자원봉사자 등 비전문 인력이 양질의 호스피스 · 완화의료 돌봄을 제공할 수 있는 교육 프로그램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 : 문헌 연구를 통해 국내외에서 진행되고 있는 호스피스 · 완화의료 교육 프로그램과 사례 점검 1) 관련 통계를 이용하여 호스피스 · 완화의료 현황을 파악 2) 문헌 고찰을 통해 국내외 호스피스 · 완화의료 교육 프로그램 분석 3) 분석된 교육 프로그램을 기반으로 자원봉사자 교육 프로그램 개발 연구결과 : 호스피스 · 완화의료 자원봉사자 교육 프로그램으로 이론 강의 및 시청각 자료를 통하여 ‘호스피스 · 완화의료 개요’, ‘삶과 죽음’, ‘호스피스 · 완화의료 돌봄’, ‘말기질환(암) 이해’, ‘통증관리’, ‘의사소통’, ‘스트레스 관리’, ‘연명의료결정법’, ‘뇌사’, ‘장기이식’, ‘사별가족 돌봄’ 등을 교육 후 현장 실습을 통한 사례관리 결론 : 표준화된 호스피스 · 완화의료 자원봉사자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과 온라인 교육 확대가 필요하며 교육 이수 후 수료증 교부 및 일자리 창출이 가능한 자격증 발급 등을 통해 자원봉사자 육성을 준비 Objectives : As part of a multidisciplinary team of hospice·palliative care, this study aims to develop an education program which provides hospice·palliative care of superior quality for nonprofessional labor force including volunteers. Methods : Through literature review, this study inspects hospice·palliative care education programs and cases which are taking place in and out of Korea 1) Grasp the current hospice·palliative care conditions through statistics 2) Analyze hospice·palliative care education programs through literature review 3) Develop a new model of education program for volunteers based on analyzed education programs Results : Focusing on hospice·palliative care education program which incorporates basic lecture and audiovisual materials, the study will manage post-education placement cases with regard to ‘hospice·palliative profile’, ‘life and death’, ‘hospice·palliative care’, ‘understanding of terminal illness(cancer)’, ‘pain management’, ‘‘communication’, ‘stress management’, ‘Act on Life Prolongation Decision-making’, ‘brain death’, ‘organ transplant’, ‘bereavement care’, and others. Conclusion : Development of a standardized education program for hospice·palliative care volunteers as well as expanded education in online setting are required. It is also necessary to foster volunteers by issuing certificates upon completing education for potential employment opportunities.

      • KCI등재

        요양보호사의 호스피스 교육요구 분석

        조한아(Cho, Han-A),권운영(Kwon, Eunyoung),이정은(Lee, Jung-Eu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9

        목적 본 연구는 요양보호사의 호스피스 역량강화 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기여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방법 소셜 미디어 플랫폼을 통해 요양보호사 80명을 대상으로 호스피스 역량에 대한 중요수준과 실행수준을 조사하였다. 연구대상자의 특성과 호스피스 역량에 대한 중요수준 및 실행수준 파악을 위해 빈도분석과 기술통계를 실시하였다. 호스피스 교육에 대한 우선순위를 도출하기 위해 대응표본 t검정, Borich 요구도 및 The Locus for Focus Model을 사용해 분석하였다. 결과 요양보호사의 특성에 따라 호스피스 역량에 대한 중요수준과 수행수준의 인식에는 대부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다만 시⋅도 위탁기관에서 교육받은 경우 호스피스 역량에 대한 중요수준이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호스피스 교육에 대한 최우선 순위 항목은 ‘임종환자와 가족의 심리적 충격에 대한 이해와 돌봄’과 ‘사별가족관리’였다. 차순위 항목은 ‘림프부종관리’, ‘개인과 가족의 위기관리’, ‘직원의 스트레스 관리’, ‘자원봉사자 관리’였다. 결론 호스피스 교육에 대한 최우선순위와 차순위 항목을 반영하여 호스피스 역량 강화를 위한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운영함으로써 요양보호사의 전문성을 강화시키고 이를 통해 사회적 돌봄의 질을 향상시킬 필요가 있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basic data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hospice competency-building education programs for care works. Method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importance level and performance level of hospice competency among 80 care works through social media platform. Frequency analysis and descriptive statistics were performed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the study subjects and the important level and order of execution of the hospice competency. To derive priorities for hospice education, the paired-sample t-test, Borich s Need Analysis, and The Locus for Focus Model were used for analysis. Result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care works,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most of the perceptions of the importance level and performance level of hospice competency. However, the level of importance for hospice competency was found to b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case of receiving education from a city/provincial consignment institution. The top priority items for hospice education were ‘understanding and caring for the psychological impact of dying patients and their families’ and ‘management of bereaved families’. The next priority items were ‘lymphedema management’, ‘individual and family crisis management’, ‘employee stress management’, and ‘volunteer management’. Conclusions The professionalism of care works should be improved by developing and operating an education program to strengthen hospice competency by reflecting the highest and next priority items for hospice education. it is also necessary to improve the quality of social care through this.

      • KCI등재

        호스피스 교육이 대학생의 임종돌봄 태도, 호스피스 지식 및 죽음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효과

        윤매옥 기독교학문연구회 2014 신앙과 학문 Vol.19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 of hospice education on attitude toward end-of-life care, knowledge of hospice and attitude toward death of university students. This study used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Subjects of this study included 81 students(41 students for the experimental and 40 students for the control group). The hospice education was provided 150 min. a week for 14 sessions from March to June, 2014. The data were analyzed with t-test, x²-test, paired t-test with SPSS/PC 18.0 program. Levels of attitude toward end-of-life care, knowledge of hospice and attitude toward death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experimental group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after the hospice education.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 hospice education was effective in developing positive attitude toward end-of-life care, knowledge of hospice and attitude toward death.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broadly apply this education or related programs to university students. 본 연구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호스피스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한 후 임종돌봄 태도와 호스피스 지식 및 죽음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실험설계이다. 연구대상은 J지역에 소재한 일개 기독교 대학교에 재학 중인 대학생 81명으로 (실험군 41명, 대조군 40명), 호스피스 교육은 1학기 매 주 1회씩 150분간 총 14주간에 걸쳐서 진행하였다. 자료 수집은 2014년 3월 3일부터 6월 10일까지였으며, 자료 분석은 SPSS/PC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호스피스 교육 중재 후 실험군의 임종돌봄 태도, 호스피스지식, 죽음에 대한 태도는 대조군보다 각각 유의하게 증가된 것으로 나타났다(t=5.77, p=.000; t=4.86, p=.000; t=4.05, p=.000). 둘째, 중재 전ㆍ후 실험군의 임종돌봄 태도, 호스피스지식, 죽음에 대한 태도는 통계적으로 모두 유의하게 증가하였다(t=7.69, p=.000; t=13.14, p=.000; t=11.24, p=.000). 본 연구결과를 볼 때 호스피스 교육은 대학생의 임종돌봄 태도와 호스피스 지식 및 죽음에 대한 태도를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인 교육임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제공된 호스피스 교육은 대학생이 호스피스 대상자를 이해하고 도울 수 있으며, 죽음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를 가질 수 있도록 대학교육과정에서 다양한 대학생들에게 확대 적용이 필요하다.

      • KCI등재

        간호학생을 위한 웰다잉 교육프로그램을 적용한 호스피스간호교육의 효과

        윤매옥,양경희 21세기기독교사회문화아카데미 2017 신학과 사회 Vol.31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 of well-dying education program-based hospice care education on knowledge of hospice, spiritual well-being, and attitude toward death of nursing students. This study used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Subjects of this study included 52 students: 26 students for the experimental and 26 students for the control group. The education was provided 30 hours, a week for 10 sessions from March to May, 2017. The data were analyzed with SPSS/PC 18.0 program. The well-dying education program-based hospice care education showed significantly improved knowledge of hospice and spiritual well-being, but ha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attitude toward death.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knowledge of hospice and spiritual well-being between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but no difference in attitude toward death. The results suggest that well-dying education program-based hospice care education had positive effects on knowledge of hospice and spiritual well-being of nursing students. However, because of low score on attitude toward death, further in-depth research is necessary, such as program for attitude toward death or participants’ psychological process. Application of a well-dying educational program based on the results will help nursing students perceive meaning of life and death and improve their spiritual well-being, which can lead to providing holistic care to hospice recipients. 본 연구는 웰다잉 교육프로그램을 적용한 호스피스간호교육이 간호학생의 호스피스인식과 영적안녕 및 죽음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고자 실시되었다. 연구설계는 비동등성 대조군 사전-사후설계의 유사실험(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연구로 연구대상은 J도 소재 2개 4년제 대학 간호학과 3학년 학생 52명이었으며, 연구기간은 2017년 3월부터 2017년 5월까지였다. 교육프로그램은 주1회 3시간씩 총 10주간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18.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교육 후 실험군의 호스피스 인식과 영적 안녕 수준은 대조군보다 유의하게 향상된 결과를 보였다. 그러나 죽음에 대한 태도는 실험군과 대조군이 모두 낮아졌고,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본 연구결과를 볼 때 웰다잉 교육프로그램을 적용한 호스피스간호교육은 간호학생의 호스피스의 인식과 영적 안녕에는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으나, 죽음에 대한 태도에서는 점수가 낮아져서 추후 연구에서 죽음에 대한 교육 프로그램의 운영방법이나 대상자에 대한 심리적 변화과정 등에 대한 심층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이를 바탕으로 웰다잉 교육프로그램이 보완되어 적용된다면 간호학생들이 삶과 죽음의 의미를 인식하고 영적 안녕을 향상시켜 호스피스 대상자들에 대한 전인적 돌봄을 수행하는데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후보

        호스피스 자원봉사자교육의 비교

        허정식,김현주,Huh, Jung-Sik,Kim, Hyeon-Ju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 2008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지 Vol.11 No.2

        Purpose: The end of one's life can be one of the most important times in human life. However, physicians, nurses and volunteer workers are not sufficiently trained to understand the end-life care with competence and confidenc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various education programs currently carried out for volunteer workers. Methods: Nine curricula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s for volunteer workers at hospital and palliative care settings. Results: The mean time duration of theory education at nine institutes was 21.56 hours (range; 14-30). The common curricula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s for volunteer workers included 'Understanding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Understanding of life and death', and 'Understanding of psychologic problem of end-of-life'. The education method comprised lectures, off-line 8 institutes and on-line 1 instiutute. Conclusion: It is necessary to develop the standard curriculum as well as regularly updated education program for volunteer workers. 목적: 인생의 말기는 삶을 영위하는 가운데 가장 중요한 부분 중의 한가지이다. 그런데 의사, 간호사를 포함한 의료진과 자원봉사자가 말기 환자에 대한 이해와 교육이 충분하게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호스피스 완화의료의 꽃으로 알려진 자원봉사자들에 대한 교육내용을 비교하고자 한다. 방법: 다양한 기관에서 자원봉사자들에 대한 교육이 실시하고 있으나 강의 내용과 강의 시수를 알 수 있는 전국 9개 기관의 교육내용을 분석 비교하였다. 결과: 평균 강의 시간은 21.56 ($14{\sim}30$)시간이었으며, 모든 기관에서 공통적으로 포함된 교육 내용은 호스피스 완화의료의 이해, 삶과 죽음에 대한 이해, 호스피스 대상자의 심리 이해 등이며, 온라인을 통한 교육이 1개 기관, 나머지 8개 기관에서는 집체교육을 통한 강의를 위주로 시행되고 있다. 결론: 자원봉사자들의 지역사회 참여의 활성화를 도모하여 말기 환자와 가족에게 제공되는 서비스를 질적으로 강화시키기 위하여 자원봉사자를 위한 교육과정의 목표와 교육내용, 교육시간, 교육기관으로서의 인정평가 등에 대한 전반적인 표준화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 KCI등재

        호스피스 환자와 가족을 위한 임종교육 시청각 자료 개발

        서미숙,강유정,윤지윤,김태연,조혜준,박소연,이시연,장지혜,김유진,강믿음,Seo, Mi-Suk,Kang, Yu Jung,Yoon, Ji Yoon,Kim, Tae Yeon,Cho, Hye Jun,Park, So Yeon,Lee, Si Yeon,Jang, Ji Hye,Kim, Yu Jin,Kang, Mi Teum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 2016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지 Vol.19 No.3

        목적: 호스피스완화의료의 목적은 환자와 가족의 고통을 줄이고 삶과 죽음의 질을 향상시키는데 있다. 편안한 임종을 맞이하는 것은 죽음의 질을 향상시키는데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환자와 보호자는 남은 삶 동안 임종을 준비할 수 있도록 임종과정 중 발생하는 다양한 문제와 요구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따라서 호스피스 환자와 가족을 위한 매뉴얼화된 임종교육 시청각 자료를 개발하고자 한다. 방법: 시청각 자료 개발을 위해서는 문헌고찰을 토대로 접근하기 쉬운 파워포인트 유인물로 초기 교육자료 개발하였고 다섯 차례에 걸친 전문의의 자문과 수정 및 보완, 평가 과정을 거쳐 완성하였다. 결과: 호스피스 환자와 가족들을 대상으로 한 시청각 교육자료는 3차시 5단계로 분류하였으며 교육 소요시간은 총 26분 34초이다. 최종 교육프로그램은 시청각 교육실 협력 하에 촬영하였으며 시청각 자료를 완성하였다. 결론: 본 연구는 완화의료병동의 구축과 전문성 증대를 위해 개발된 매뉴얼화 된 임종교육 시청각 자료로써 큰 의의가 있으며, 호스피스 환자와 가족뿐 아니라 호스피스 영역 전문 종사자들이 호스피스 환자와 가족을 대상으로 효율적인 임종교육 자료로 적극 활용되길 기대한다. Purpose: Patients and their caretakers need to understand various problems and requirements in the dying process so that they may prepare for death for the rest of their remaining life. Accordingly, a systematic audio-visual resource was developed to educate hospice patients and their families at the palliative care ward about the process of dying. Methods: For the development of an audio-visual resource, a initial education material was produced in the form of simple and accessible Power Point handouts based on literature study. Then, the program was completed through five rounds of a process, including expert advice, revision, update and evaluation. Results: The final version of the program was filmed with cooperation of the medical literature information division. Using the program, patients and families were educated through five phases over three sessions for a total 26 minutes and 34 seconds. Conclusion: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lies in the fact that it was conducted after the establishment of the palliative care ward, which made it easier for nurses provide the education. It is expected that the program may be used by hospice specialists as well as nurses as an education resource for hospice patients and their famil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