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 KCI등재

        통일을 대비한 초등실과 가정생활교육 방안(Ⅱ)-가족 및 소비생활 영역을 중심으로-

        정미경 한국실과교육학회 2008 한국실과교육학회지 Vol.21 No.1

        본 연구는 초등실과 ‘가족 및 소비생활’ 영역에서의 통일교육 방안을 제시함으로써 실과교과에서의 통일교육의 실제적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고 수행되었으며, 통일교육에 관련한 연구논문과 단행본, 통일부의 통일교육 관련 발간물, 실과교육과정 및 교과서, 북한 소학교 교과서 등의 문헌 자료를 수집·분석하여 통일교육의 기본 방향과 현황을 소개하고, 초등 실과교과서의 통일교육의 문제점들을 제시하였다. 또한 북한 정보에 관련한 웹사이트, 인터넷 신문기사 등을 검색하여 북한의 가족 및 소비생활에 관한 정보를 수집・분석을 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요약해 보면, 첫째, 우리나라 통일교육의 체제에서 실과교과는 최근의 초등학교 통일교육에서 추구하는 생활 문화적 접근이 가능한 교과로서 그 역할을 담당할 수 있으나 여전히 그에 대한 인식이 부족하므로 더 많은 실제적 연구의 수행이 요구되고 있었다. 이는 실과교과의 각 생활영역에 해당하는 북한의 현황 및 교육에 대한 이해가 통일교육방안의 마련에 반드시 수반되어야 함을 나타낸다고 볼 수 있다. 둘째, 남북한의 가정에 대한 개념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뚜렷이 나타나며, 북한사회는 정치·경제 체제의 존속을 위하여 ‘사회적 대가정’ 체제를 확립시키고 있으나 한편으로는 가부장적 가치관이 지배되고 있어 남북한의 이질적 격차를 가장 뚜렷이 나타내는 영역이지만 민족동질성회복의 가능성이 있는 영역임을 알 수 있었다. 셋째, 북한의 소비생활은 북한 당국의 경제체제변화의 조치로 생필품의 여건이 비교적 좋아지고 있으나 소학교 학생들의 교과서나 학용품의 보급은 여전히 어려운 형편인 것으로 보여 진다. 또한 북한의 어린이들은 용돈을 받는 경우가 거의 없으며, 북한 사회에서 금융기관의 이용 경험도 거의 전무하다고 할 수 있다. 넷째, 북한 공산주의 도덕 1학년 교과서에는 1개의 가족 단원과 1개의 소비생활 관련 단원이 있었으며 글과 삽화로 구성되어 있었다. 또한 남한에 비하여 일찍 가족과 소비생활에 관한 교육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초등실과 가족 및 소비생활 영역에서의 통일교육은 ‘북한 가족 및 소비생활에 대한 기초지식을 습득하고, 북한의 가족 및 소비문화를 탐구함으로써 남북한 민족 공동체 의식을 함양할 수 있다’로 목표를 설정하였으며, 북한의 가족 및 소비생활 현황과 교육내용을 바탕으로 실과 5, 6학년 교과서의 가족 및 소비생활 단원에 관련된 통일교육내용과 교수-학습방법들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the basic materials of Unification Education in clothing & textiles area of practical Arts of elementary school as a preparation for the unification of Korea. First, this study introduces the basic direction for Unification Education and the current situation and it suggests the problems of elementary Unification Education in the Practical Arts Education with the analysi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guidebooks, curriculum commentaries, periodical journal, and the thesis. It also collects and analyses the information on North Koreans' family and consumer life and text books related with family and consumer life education in North Korean elementary school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ings. First, it confirms that the practical arts is a very useful subject in Unification Education in the point of that it can be approached by the life cultural approach method for the elementary Unification Education. However, there is a lack of recognition on the issue and it needs studies which are more practical. Second, there are difference in concept of family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n. Even though North Korea has been establishing 'The Social Great Family' system for sustain their politics and economy, North Korean is being ruled by the value of patriacal system. Therefore it is a impossible area to recover a national homogeneity. Third, The given condition of necessaries has been gradually improved by the change of economic system. But school supplies and textbooks for elementary students are insufficient. And it revealed that the North korean children has never received pocket money and never experienced a using bank system. Fourth, There are 1 unit of family education and 1 unit of consumer life including a unit in North Korean text books, "Moral of communism" for grade 1. The layout of each page contains just illustrations. The grade level is earlier than Practical Arts text book of South Korea. Fifth, the aim to obtain the basic knowledge of North Korean family and consumer life and inqure the North Korean Family and consumer life based on the knowledge to develop a shared racial consciousness was established. Instructions & learning methods were suggested for the Unification Education in family and consumer life areas of Practical Arts Education.

      • KCI등재후보

        군인가족의 통합적 지원을 위한 지역복지서비스 연계방안

        정미경 한국군사회복지학회 2012 한국군사회복지학 Vol.5 No.1

        본 연구는 실제 S지역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복지서비스 현황 분석을 토대로, 군인가족의 복지서비스를 통합적으로 지원하기 위한 지역복지서비스 연계방안을 모색하는 것이 목적이다. 연구대상은 S시로서 조사기간은 2012년 1월 5일부터 2월 28일까지이다. 연구 방법은 2011년도에 시행한 S시 복지자원 및 서비스 내용 지역복지서비스 내용을 전수 파악하기 위하여 공문 발송, 전화 인터뷰, 면담 등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군인가족실태조사에 따른 군인가족복지 서비스 지원영역을 분류한 결과, 주거지원영역, 취업지원영역, 지역정보지원영역, 가족지원영역, 자녀지원영역, 의료지원영역으로 구분하여 서비스를 제공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S시의 지역복지자원 및 서비스 현황을 분석한 결과, 현재 S지역에서는 다양한 복지서비스가 시행되고 있으나 대부분 민간 일반가족을 대상으로 계획한 것으로서 군인가족의 특성을 고려한 서비스라고 보기에는 한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군인가족복지서비스 지원 영역(수직적 과업체계)과 지역복지서비스(수평적 서비스체계)를 통합 연계하여 지원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군인가족 통합서비스 지원을 위한 지역복지 서비스와의 연계방안 모형을 제안하였지만, 대부분의 지역과 마찬가지로 S지역 또한 복지자원들을 갖추고는 있으나 이를 통합 운영할 수 있는 전달체계 역할이 미진하여 복지자원과 서비스 체계는 분절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독일 반도체산업 인력양성제도의 분석 및 시사점

        정미경,안세화 한국질서경제학회 2022 질서경제저널 Vol.25 No.3

        This study analyzes how the curriculum of companies and schools is created and operated for customized vocational training system in Germany through the case studies on Germany’s Duale Ausbildung and the German semiconductor industry, and also derives useful implications for Korean society. The development of the German vocational training curriculum begins with agreement between labor and management on the establishment of a job. Afterwards, if the ministries and stakeholders agree to introduce a new job, the experts recommended by labor and management and the BiBB draw up vocational training regulations and define the basic framework, and core contents of the corporate customized curriculum. The vocational training regulations for a new job are legislated unanimously by the labor, management and government. This vocational training law provides guidance on the content and method of the curriculum and examinations. In addition, the agreed legal provisions for curriculum and testing are internalized in vocational training programs to foster workforces tailored to corporates’ demands. The German case shows the importance of vocational training tailored to corporates’ demands by establishing and operating training jobs and curriculum through labor-management initiatives and social consensus. This study presents useful implications. In Korea, major stakeholders such as vocational education institutions and industries need to participate in qualification policy-making to significantly strengthen their roles, and innovate the current system so that labor, management, and government can jointly decide on vocational education curriculum. In particular, in order to resolve the imbalance in manpower supply and demand in the semiconductor industry, the dual education system should be activated to increase performance in wages and employment. In this way, it is necessary to move toward fostering manpower in the semiconductor industry suffering from chronic manpower shortages and establishing stability in the supply and demand of manpower in the mid- to- long term. 본 연구는 독일의 기업수요 맞춤형 인력양성제도에서 어떻게 기업과 학교의 커리큘럼과 훈련과정이 만들어지고 운영되는지를 독일의 듀얼 아우스빌둥과 반도체산업에 대한 사례연구를 분석한 후 한국사회에 유용한 시사점을 도출한다. 독일의 기업수요 맞춤형 교과과정의 개발은 노사가 훈련직종의 신설에 대해 합의하는 것에서 출발한다. 이후 소관 부처와 이해관계자가 새로운 훈련직종의 도입에 동의하면 노사가 추천하는 전문가와 연방직업훈련협회가 직업훈련 규정안을 작성하면서 기업 맞춤형 교과과정의 기본 골격과 핵심내용을 규정한다. 새로운 훈련직종에 대한 훈련 규정안은 노사정의 만장일치로 법제화된다. 그리고 직업훈련법령에는 커리큘럼과 시험의 내용과 방법에 대한 지침이 명시된다. 노사가 전문가들을 통해 제안하고 만장일치로 합의한 커리큘럼과 시험에 대한 법령은 결국 기업 맞춤형 인력양성을 위한 직업훈련에 내재화된다. 독일의 사례는 훈련직종의 생성과 커리큘럼의 구축과정에서 노사의 주도성과 노사정의 사회적 합의에 의한 훈련직종과 커리큘럼의 구축 및 운영이 기업수요 맞춤형 직업훈련의 중요성을 보여준다. 본 연구는 독일의 사례분석을 통해 우리나라의 반도체산업 인력양성을 위한 유용한 시사점을 제시한다. 한국의 경우에도 직업교육기관 및 산업계 등 주요 이해관계자들이 자격정책심의에 참여하여 각자의 역할을 대폭 강화하며, 직업교육 커리큘럼을 노사정이 공동으로 결정할 수 있도록 현행의 제도를 혁신할 필요가 있다. 특히 반도체산업의 인력 수급의 불균형을 해소하기 위해 이원화 교육을 활성화하여 임금과 취업에서의 성과를 높여야 한다. 이를 통해 만성적 인력난에 시달리는 반도체산업의 인력양성과 중장기적으로 인력 수급의 안정성을 구축하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한다.

      • KCI등재

        초등학교 다문화교육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의생활문화영역의 내용 분석을 중심으로-

        정미경 한국실과교육학회 2011 한국실과교육학회지 Vol.24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directions for development of multi-cultural education program especially in the clothing & textiles culture unit. To achieve this purpose, the national curriculum and text books were analyzed by setting up the reference points and the notion of "multi-cultural education." The major findings in this study were as follows:1) The notion of multi-cultural education should be more broadly applied, to the global perspective, based on the basic philosophy of getting along. The reference points should be in two large categories, the "Multi-cultural citizenship" category, which includes identity, diversity, equality, and citizenship, and the "global task" category, which includes interdependence, peace, and perpetual progress. 2) In the current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multi-cultural education is approached from many different angles. While in Ethics and Social studies curriculum, "multi-cultural citizenship" and "global task" categories are covered thoroughly, while in the Art,Physical Education, and Clothing & Textiles, the curriculum only focuses on the identity and the diversity of the "multi-cultural citizenship" category. Therefore, it is needed to develop the elementary multi-cultural education programs in the clothing & textiles to recognize and fulfill its purposes. 3) In case of the clothing & textiles culture education being performed in each subject,the object of the subject should be recognized before approaching the clothing & textiles culture education, and the approaches should be distinctive between subjects with the consideration of the roles of each subject. 4) Ten different nations should be carefully selected in the clothing & textiles educational program according to dimensions such as their geography, level of social development, society, economy, and politics. 본 연구는 초등학교 다문화교육프로그램 개발에 있어서 의생활 영역의 기본 방향 및 내용에 관련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고, 다문화교육의 개념 및 다문화교육내용 분석기준을 설정하여 초등교육과정에서의 다문화교육내용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다문화교육을 위한 의생활문화교육 프로그램의 개발에서의 다문화교육의 개념은 더불어 살아가기 위한 기본철학을 바탕으로 전 지구적 관점으로 그 의미를 넓혀야 하며, 내용의 분석기준은 두 개의 큰 범주로 나누어, ‘다문화적 시민성’범주에는 ‘정체성, 다양성, 평등/정의, 시민성’이라는 4개의 기준과 ‘전지구적 과제’의 범주에는 ‘상호의존, 평화, 지속가능한 발전’이라는 세 개의 기준이 가장 타당하다고 할 수 있다. 둘째, 초등학교 교육과정에서 다문화교육은 전 학년의 각 교과에서 다각도로 접근되고 있으며, 교과별로 보면 도덕과 사회교과가 ‘다문화적 시민성’과 ‘전 지구적 과제’ 범주의 내용요소 전반을 다루는 것에 비해 미술, 체육, 실과는 ‘다문화적 시민성’ 범주 중 정체성과 다양성에 집중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므로 이를 기를 수 있는 효과적인 영역으로서의 역할을 인식함과 동시에 그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프로그램의 개발이 요구된다. 셋째, 초등학교에서의 의생활문화교육이 교과에서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각 교과의 목표를 먼저 인식하고 그 안에서 의생활문화교육이 접근되어야 하며, 교과간의 역할을 고려하여 내용의 접근에서 차별화가 분명히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넷째, 의생활문화 프로그램에서의 나라의 선정은 10개 의생활 문화권을 고려하고, 해당 문화권의 의생활에 대한 지리적 요인, 사회적 발전단계, 사회적 요인, 경제적 요인, 정치적 요인의 세부적 사항을 바탕으로 심도 있게 접근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운전자 연령에 따른 운전능력 분석: 고령운전자 운전능력 평가시스템(Senior Driver Assessment System; S-DAS)을 활용하여

        정미경,정민예 한국교통연구원 2019 交通硏究 Vol.26 No.4

        In Korea, traffic safety for elderly drivers has become a social issue. As the number of elderly drivers increases, the proportion of traffic accidents caused by older drivers increases in total traffic accide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hange of driving ability according to the age increase by using Senior Driver Assessment System (S-DAS). A total of 580 driver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based on 65 year old, and elderly driver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by 75 year old. The distribution of average percent correct response and average response time by age group was also confirmed.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the basic data for determining the driver's license policy or limiting operation of elderly drivers. 우리나라는 현재 전체 인구의 14% 이상이 65세 이상 고령자인 고령사회에 진입하였으며, 고령운전자 증가에 따라 전체 교통사고 중 고령운전자에 의한 교통사고 점유율이 증가하는 등 고령운전자 교통안전이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이에 대한 대응으로 75세 이상 운전자의 운전면허 갱신기간이 단축되었고, 지자체 주도로 운전면허 자진반납을 시행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연령 증가에 따른 운전능력 변화를 분석하여 고령운전자 교통안전대책 수립에 시사점을 얻고자 하였다. 580명의 운전자를 대상으로 고령운전자 운전능력 평가시스템(Senior Driver Assessment System; S-DAS)을 연구도구로 활용하여 운전능력을 분석하였다. 전체 실험대상자를 65세를 기준으로 일반운전자 집단과 고령운전자 집단으로 구분하고, 고령운전자 집단을 75세를 기준으로 초기 고령운전자와 후기 고령운전자 집단으로 구분하여 운전능력 차이를 비교하였다. 그리고 연령대별 평균정답률과 평균반응시간 분포를 확인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고령운전자 운전면허 갱신이나 운전제한에 있어 운전적합성을 판단할 기준 연령을 결정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도시와 농촌지역 중학생들의 쓰기 능력에 관한 비교 분석

        정미경 한국국어교육학회 2010 새국어교육 Vol.0 No.86

        The aim of this research is to analyse the writing ability of middle school students living the urban and rural in each. Especially, it is focused on cognitive factors in informational text writing performance and examined these factors. To find the difference correctly, I divided these factors with content, organization, expression, word choice, form and convention, then research the writing ability of middle school students living the urban and rural in each factors. Rather, I analysed difference of urban students' writing and rural students' writing as level of writing ability. The result are following. First, urban students' mean score was higher than rural students' in middle school students' informational writing,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se groups. Second, in the other cognitive factor, not context and organization, urban students' mean score was higher than rural students', that differenc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본고의 목적은 도시와 농촌 지역 중학생들의 쓰기 능력을 비교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설명문 쓰기 수행의 인지 요인에 주안점을 두었고 요인별로 검사를 실시하였다. 도시와 농촌 지역 중학생들의 차이를 파악하기 위하여, 요인들을 내용, 조직, 표현, 단어 선택, 형식 및 어법으로 나누어 이들의 쓰기 능력을 조사하였다. 그리고 도시와 농촌 학생들의 쓰기 능력 차이를 수준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도시 지역의 학생들이 농촌 지역 학생들 평균 점수보다 더 높았고 이것은 유의미 차이를 보였다. 둘째, 내용과 조직 요인을 제외한 나머지 요인에서, 도시 지역 학생들이 농촌 지역 학생들의 평균 점수보다 더 높았고 이는 유의미하였다.

      • KCI등재

        교원양성 교육과정에 대한 초․중등 교원의 요구 분석

        정미경,김갑성,류성창,김병찬,박상완 한국교원교육학회 2011 한국교원교육연구 Vol.28 No.3

        본 연구는 교원양성 교육과정을 이수하고 초․중등학교 현장에서 교직을 수행하고 있는 학교 현장 교원들을 대상으로 교직 경험 결과, 교원양성 교육과정 영역의 적정 비중은 어떠해야 하는지, 교직을 잘 수행하기 위해서는 교원양성 교육에서 어떠한 내용이 강조되어야 할지 등 학교 현장과의 연계성에 초점을 둔 경험적 자료를 분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학교급, 지역규모를 고려하여 총 360개 학교를 표집, 각 학교당 5명의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도구는 문헌분석과 면담조사를 통해 초안을 개발하여 전문가 검토를 받아 수정․보완하였으며, 면담조사 결과는 설문지 개발과 설문조사 결과 해석을 위한 근거자료로 활용되었다. 구체적인 설문조사 내용은 전공, 교직, 교양 등 교원양성 교육과정 구성 비율의 확대 및 축소, 가장 강조되어야 할 내용, 교과내용학과 교과교육학과목 간의 비율 확대 및 축소, 교직과목 재구성 안에 대한 의견 등이다. This article is based upon a survey conducted about Korean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teachers' demands for revising the current teacher training curriculum. The sample was 1,800 in-service teachers, comprised of every five teachers from the total of 360 schools randomly selected with consideration given to the levels of schools and the sizes of region. 1,424 survey questionnaires were returned from 1,800 distributed copies. The results demonstrated their demands for expansion and reduction in the three main areas of the Korean teacher education curriculum - subject-matter, teacher education and liberal arts areas. There was a demand for increasing courses in the subject-matter area. In particular, pedagogical courses dealing with instructional issues such as effective instructional strategies, understanding learners, raising motivation levels, and reformulating curriculum are more demanded than subject content courses. For the teacher education area of courses, practicum is requested to be expanded with more curricular emphasis on understanding students in guidance and counseling, development of professional qualities and effective management of classrooms. Preference was given to keeping the status quo for the ratio of liberal arts courses, of which content should be revised to have more emphasis on interpersonal and communication skills, interdisciplinary studies and creativ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