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보건의료분야에 기독교세계관의 적용과 실천 : 교육과 연구를 중심으로
김지원 기독교학문연구회 2013 신앙과 학문 Vol.18 No.4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build a basic model to apply Christian worldview in health and medical science fields and to find ways to practice Christian worldview in these fields. How we look at health and disease, builds the basis of application of Christian worldview in health and medical fields. The contents of whole health, the origin of disease, caring patients, and teaching and learning of medical and heath science was applied to the Christian wordlview frame including creation, degradation, salvation. The creation frame of Christian worldviw in medical and health fields is that human created in the image of God at creation is the state of perfect health. Namely, the comprehensive and whole health mean the state of intact relationship with God, neighbor, and oneself. Degradation frame in medical and health is that disease is originated from the distortion of the creation due to original sin. The corruption coming from the original sin ruins relationship with God, neighbor, and oneself and led to a slanted view of health. Salvation frame means a recovering relationship with God, neighbor, and oneself beyond curing a disease. It also includes the restoration of the kingdom of God in the teaching and learning of medical and health fields. In order to practice the Christian worldview applied to healthcare, education and academic research were explained separately. Christian scholars need to develop Christianity based curriculum and Christian College with health and medical science fields should be reorganized overall to apply Christian world view in total curriculum framework. Studies of health and medical science fields were divided in terms of the Creation, the Fall, and the Redemption, accordingly. Through this, role of each educational studies were identified via Christian Worldview framework. Also, studies within heath and medical science fields were redefined in the light of Christian worldview. This research hopes to revisit the basics and to promote the practice of Christian worldview in each educational fields including health and medical science fields. 본 연구는 보건의료분야에 기독교세계관을 적용하기 위한 기초적인 모델을 제시하고 보건의료 분야의 각 영역에서 기독교세계관을 실천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건강과 질병을 어떻게 바라보는지의 문제가 보건의료분야에 기독교세계관을 적용하는 기초가 된다. 따라서 온전한 건강의 상태, 질병의 기원, 환자의 치료, 보건의료학문의 연구와 교육에 대한 내용을 기독교세계관의 창조, 타락, 구속, 완성의 기본적 틀에 적용하였다. 보건의료분야에 적용한 기독교세계관의 창조의 틀은 하나님의 형상을 따라 만들어진 창조 당시의 인간을 온전한 건강의 상태로 보는 것이다. 이는 하나님, 이웃, 나와의 온전한 관계를 이루고 있는 포괄적이고 전인적인 건강의 상태를 말한다. 보건의료분야에 적용한 타락의 틀은 인간의 죄와 이로 인한 창조세계의 왜곡으로 인해 질병이 기원했다고 보는 것이다. 죄로 인한 타락은 하나님, 이웃, 나와의 관계를 훼손시키고 건강에 대한 왜곡된 현상을 초래하였다. 보건의료분야에 적용한 구속의 틀은 환자의 치료에 있어서는 단순히 질병의 치료를 넘어 하나님, 이웃, 나와의 온전한 관계성을 회복하는 것으로 보았다. 학문의 영역에서는 과학적 자연주의, 진화론, 포스트모더니즘에 물들어 있는 보건의료분야의 왜곡된 점들을 찾아 하나님나라를 회복하는 것으로 설명하였다. 이와 같이 보건의료분야에 적용한 기독교세계관의 기본적 틀을 실천하기 위해 교육과 학문연구로 나누어 설명하였다. 보건의료분야의 왜곡된 상황을 회복하기 위해서는 해당 보건의료 분야의 문제를 해석할 수 있는 기독교지성을 가질 수 있도록 연구하고 교육해야 한다. 이를 위해 보건의료분야의 기독교학자는 기독교세계관에 근거한 교과목을 개발하고 보건의료분야의 대학을 가지고 있는 기독교대학에서는 기독교세계관에 근거하여 전체적인 교육과정의 틀을 개편하도록 해야 한다. 기독교세계관에 근거한 학문연구에 있어서는 보건의료분야 안에 있는 해부학, 생리학, 임상의학, 간호학, 물리치료학 등의 학문 연구내용이 보건의료분야에 적용한 기독교세계관의 창조, 타락, 구속의 틀 중 어디에 해당하는지 분류하여 기독교세계관의 틀에서 각 학문의 위치와 역할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기독교세계관의 관점에서 보건의료분야 내에 포함된 학문의 정의를 내려 봄으로서 기독보건의료분야의 학자들이 하나님나라를 향해 나아갈 길을 제시하고 보건의료분야의 왜곡된 학문을 회복할 수 있도록 하였다. 본 연구가 보건의료분야에 포함된 다양한 학문들이 기독교세계관의 틀 안에서 기초를 다지는 계기가 되고 각 학문 영역에서 기독교세계관을 실천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신국원 기독교학문연구회 2013 신앙과 학문 Vol.18 No.4
What should be the vision of Christian scholarship after the demise of the myth of academic neutrality in the contemporary postmodern situation? The integration of faith and scholarship is still the important principle for Christian scholarship in our pluralist and relativist culture. Contending for the uniqueness of Christian scholarship because of faith is more strategic than defending how it is possible in spite of faith. Christian scholarship must be able to present a research methodology that is interesting to non-believing scholars and to show excellence of results in order to be credible and persuasive. Active participation to scholarly traditions is necessary. It is unwise and even impossible to ignore age-old traditions and to start all over. An effort to transform the traditions with biblical perspectives is needed. Academic excellence as well as service toward God and neighbor is important for this purpose. Christian scholarship should neither fall into dogmatic hubris on the basis of faith, nor have a defeatist, avoiding attitude. Instead, Christian scholarship must hold onto a vision to overcome the opposition that regards it as “outrageous ideas” and “the academic atmosphere that makes it despair,” through excellent scholarship and contributions that. 학문의 중립성 신화가 깨어진 오늘의 포스트모던 상황 속에서 기독교 학문은 어떤 비전을 가져야 하는가? 신앙과 학문의 통합과 변혁은 다원주의와 상대주의 상황에서도 여전히 기독교 학문의 중요한 원리이다. 지금은 기독교 학문이 가능함을 변호하기보다는 신앙으로 인해 어떻게 독특한 학문을 할 수 있는지를 보이는 것이 전략적으로 좋다. 기독교 학문이 불신자에게도 신빙성과 설득력이 있으려면 연구 방법론과 가정이 불신자에게도 흥미롭고 결과적으로 탁월함을 보여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무엇보다 학문 전통에의 적극적 참여가 선행되어야 한다. 수천 년의 역사를 가진 학문 전통을 무시하고 새로 시작하려 하는 것은 어리석을 뿐 아니라 사실 가능하지도 않다. 물론 학문을 기독교적 관점에서 변혁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학문적 탁월성은 항상 중요하지만 그와 함께 학문을 통해 하나님과 이웃을 섬기려는 태도를 갖추어야 한다. 기독교 학문은 신앙을 토대로 독단적 오만에 빠져서도 안 되지만 패배주의적 소심함이나 회피적 태도에 빠질 이유가 없다. 오히려 기독교 학문이 “터무니 없는 생각”이라는 격렬한 반대나 “좌절감을 느끼게 만드는 학문적 풍토”를 넘어서는 탁월한 기여를 통해 하나님과 이웃 섬김을 실천하는 비전을 갖추어야 한다.
우리나라 초기 기독교학교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역사적 고찰
정희영 ( Hee Young Jeoung ) 기독교학문연구회 2007 신앙과 학문 Vol.12 No.3
본 논문의 목적은 과거 기독교학교 교육의 역사를 해석학적 방법으로 서술함으로써 현대 교육에 대한 시사점과 함께 현대 기독교교육의 문제점에 대한 대안을 찾는 것이다. 본 논문의 목적을 이루기 위해 우리나라 초기 기독교학교의 설립, 우리나라 초기 기독교학교의 사회적 역할, 초기 기독교학교의 사회적 책임이 현대 기독교교육에 주는 시사점 등을 다루었다. 우리나라 초기 기독교학교의 설립에서는 우리나라 기독교학교 설립초기의 사회적 배경으로 정치적 상황과 교육적 상황, 그리고 종교적 상황을 언급하였다. 기독교학교설립 부분에서는1885년부터 1909년 사이에 설립된 기독교학교들을 소개하였다. 우리나라 초기 기독교학교의 사회적 역할로는 민족운동과 구국운동, 여성운동, 그리고 우리나라의 고등교육의 발전을 위한 초석을 다루었다. 마지막으로 초기 기독교학교의 사회적 책임이 현대 기독교교육에 주는 의미로는 기독교학교의 수, 기독교학교의 교육과정, 그리고 교사의 지도력과 소명의식에 대한 시사점 등을 살펴보았다. 이러한 연구를 근거로 기독교학교에 대한 관심의 고취와 재정적 투자로 인한 기독교학교의 설립, 기독교학교에서 기독교적 특징을 지닌 교육과정의 개발과 교사재교육실시, 기독교지도자들이 해야 할 일과 대안을 제시해 줄 수 있는 연구기관의 활발한 역할, 그리고 기독교학교 교사들의 소명의식과 영적 각성을 위한 대안 등이 마련되어야 할 것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suggestions and countermeasures to the problem of today`s Christian education through description of the history of Christian education in the past by analytical research.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purpose, the establishment of Christian school, the social role of Christian education in the early 20th century, and the implications of the social role of Christian education in the early 20th century for current Christian education were dealt with. In the establishment of Christian school in the early 20th century the political, educational and religious context as social background were described. In the part of the establishment of Christian school Christian schools which were founded from 1885 to 1909 were explained. As the social role of Christian education in the early 20th century, national movement, save-the-nation drive, women`s liberation movement and the foundation for the development of higher education were mentioned. In the implications of the social role of Christian education in the early 20th century for current Christian education, the number of Christian schools, the curricular of Christian schools, and Christian teachers` leadership and calling were discussed. From this study there are several suggestions as follows: first, ministers need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the construction of Christian schools and support them financially. Second, it is necessary to develop Christian curriculum and to establish the institute for Christian teachers` re-training. Third, a research institute which suggests Christian leaders` duty and the counterproposal for Christian education is essential. Last, the calling and spiritual awakening of Christian teachers are indispensible.
기독교대학 재학생의 대학 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탐색
백상현 ( Sang Hyon Baek ) 기독교학문연구회 2019 신앙과 학문 Vol.24 No.2
This study has a purpose to research how characteristics of individual background, religious background, and campus climate of students, who are attending a Christian university, could influence institutional commitment. In order to identify the research problems, this study surveyed 416 university students, who are attending Christian universities, which are four Christian universities with four-year-course, and final 385 surveys were utilized for analysis.First, this study found that, in the individual background, the institutional commitment is significantly higher when students live in a dormitory rather than they do not live in a dormitory, and when they have preference of their university at the time of admission. Also, in the religious background, this study found that students have significantly higher institutional commitment when they are attending a church and their parents are Christian rather than students who are not attending a church and their parents are not Christian and when they are Christian rather than students who are atheist. Second, this study found that influential factors of the institutional commitment are gender, admission preference, current religion, and recognition of campus climate. Specifically, this study found that they have the higher institutional commitment when they are male students rather than female students, they have higher preference at the time of admission, and they are Christian rather than they are not Christian. Also, this study found that sub-variables of the campus climate such as academic climate, relational climate, and religious climate are the most influential variables. Third, this study found that the gender, the admission preference, and the campus climate are common influential variables regardless of current religions of students. Related to the religious background, this study found that Christian students who are attending a church show high institutional commitment and the religious background of students who are not Christian does not influence the institutional commitment significantly.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explored results on the correlation amongthe individual and the religious back ground of Christian university students, recognition of the campus climate, and the institutional commitment.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given.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given. 본 연구는 기독교대학에 재학 중인 학생들의 개인배경특성, 종교적 배경과 대학환경 풍토에 대한 인식이 학생의 소속대학에 대한 몰입수준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와 같은 연구문제를 알아보기 위하여 4년제 기독교대학 4곳에 재학 중인 학생 385명의 학생들의 설문조사를 서면으로 진행하여 최종자료로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들의 분석은 spss statistics 24.0 프로그램을 이용하였으며, 분석결과를 다음과 같이 도출하였다. 첫째, 개인배경특성 중 현재 기숙사에 거주하는 학생들이 그렇지 않은 학생들에 비해, 입학 당시 해당 대학에 대한 선호도가 높을수록 소속대학에 대학 몰입이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드러났다. 또한, 종교적 배경 요인과 관련해서 현재 교회를 다니고 있으며, 부모님의 종교가 기독교인 학생이 그렇지 않은 학생보다, 현재 종교가 기독교인 학생이 무교인 학생에 비해 대학 몰입이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기독교대학 재학생의 대학 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성별, 입학선호도, 현재 종교, 대학환경풍토의 인식인 것으로 드러났다. 구체적으로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입학 전 소속 대학에 대한 선호도가 높을수록, 기독교인 학생이 비기독교인 학생에 비해 대학 몰입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대학환경풍토의 하위변인인 학업적, 관계적, 신앙적 풍토는 대학 몰입에 가장 뚜렷한 영향력을 미치는 변수로 나타났다. 셋째, 학생의 현재 종교와 상관없이 성별, 입학선호도, 대학환경풍토 요인이 공통적인 영향력을 미치는 변수로 확인되었다. 종교적 배경과 관련해서 기독교인 학생들은 현재 교회에 출석하고 있는 학생들이 대학 몰입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비기독교 학생들의 종교적 배경 요인은 대학 몰입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기독교 대학 재학생의 대학 몰입을 높이기 위한 방안을 논의하였다. 본 연구는 기독교대학 재학생의 개인적 특성과 종교적 배경, 대학환경 풍토에 대한 인식을 통해 향후 이와 관련된 대학 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방향을 모색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을 제시하였다.
김미혜 기독교학문연구회 2020 신앙과 학문 Vol.25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research trends of Christians’ Leisure since 2000, and to suggest future research directions. To achieve this, a total of 37 articles were reviewed by utilizing the Inductive Content Analysis, and the results were analyzed based on 5 analysis items such as ‘the year of publication’, ‘research methods’, ‘journal distributions’, ‘research themes’, and ‘the demographics of research participants’. Results follow. First, the largest number of articles were published in 2004 and 2012, which was due to introduction of the five-day workweek. Second, previous studies were by literature review (74.6%). Third, the majority of previous studies were in theology studies (54.1%). Fourth, the main themes of previous studies were ‘the concept and meaning of Christians’ leisure(37.8%)’, ‘the individual Christian’s leisure experiences and related research variables(18.9%)’. Fifth, previous studies were conducted only on the basis that they were Christians. Sociocultural and psychological factors were barely included. Therefore, future research on Christians’ leisure should explore characteristics of Christians’ leisure experiences by utilizing qualitative research rather than literature review.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expand through the specification of the research subjects and convergence with neighboring disciplines (Physical Education, Tourism Studies, Psychology, etc.). 이 연구는 지난 20년(2000-2020)간 이루어진 국내 기독교적 여가연구의 동향을 파악하고, 향후 연구 방향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국내 학술지에 게재된 기독교적 여가연구 37편을 분석대상으로 선정하였으며, 내용분석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기독교적 여가연구는 주5일 근무제와 주5일 수업제의 영향으로 2000년부터 2014년까지 증가세를 유지하였으나 2015년 이후부터 최근까지 연구물이 감소하는 추세이다. 둘째, 기독교적 여가연구는 문헌연구 75.7%, 양적연구 18.9%, 질적연구 5.4% 비중으로 수행되었다. 셋째, 기독교적 여가연구는 기독교신학 외에 체육학, 관광학에서 많이 시도되었다. 넷째, 기독교적 여가연구는 다섯 가지의 연구주제들이 도출되었으며, ‘기독교적 여가의 개념과 의미’, ‘기독교인의 여가체험 및 관련요인’, ‘기독교 여가문화’, ‘여가와 현대의 목회방향’, ‘여가와 현대의 기독교 교육’에 관한 연구들이 이루어졌다. 다섯째, 기독교적 여가연구는 연구대상을 구체화하기보다는 기독교인이라는 일반적인 특성을 중심으로 수행되었다. 여섯째, 기독교적 여가연구에서 많이 연구된 개념은 안식(sabbath, 15.8%), 문화(culture, 12.3%), 역사(history, 10.5%)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할 때, 향후 기독교적 여가연구자들은 기독교적 여가연구의 비전과 목표를 공유하고, 공론화함으로써 학문의 발전을 도모하고, 질적 연구방법을 활용하여 현장성 있는 이론을 구축할 필요가 있다. 또한, 연구대상을 구체화하고 인접 학문(체육학, 관광학, 교육학 등)과의 융합을 통해 지식체계의 확장을 시도할 필요가 있다.
대학수업에서의 신앙과 학문의 통합 - 학생에세이 사례 분석
이은실 기독교학문연구회 2010 신앙과 학문 Vol.15 No.2
One of the key features of Christian colleges and universities is the integration of faith and learning. This study is to explore students' understanding of the integration of faith and learning including possible learning activities helpful for such integration, and perceived influence of the integration. Students' understanding of the integration varies widely. From an analytic approach where premises and assumptions made for a specific field were critically analyzed, the integration is understood as an application of biblical principles to a content area and also as a reconstruction of content knowledge from the Christian worldview. Students consider exemplary figures and cases introduced during the course to be the most helpful learning activity for their integration efforts. Classroom discussions also enhance their orientation and understanding of the content knowledge from Christian perspective. It is also found that students' exposure to the integration efforts in a subject area motivates them to continue such efforts in other areas as well. Follow-up studies are suggested in order to examine possible differences in integration approaches across subject areas. 기독교대학의 독특한 특징은 신앙과 학문의 통합이다. 대학수업에서 이뤄지는 신앙과 학문의 통합은 기독교 학습공동체 형성을 목표로 하여 교수자와 학습자간의 관심과 배려를 강조하는 태도적인 접근에서부터 신학적·성경적 원리를 전공지식에 연결하는 접근, 나아가 기독교 세계관적 관점에서 학문의 내용을 재구성하는 접근까지 다양하다. 본 연구는 학습자인 학생들이 신앙과 학문의 통합을 어떻게 이해하고 있는지, 어떤 학습과정이나 활동이 그러한 이해를 돕고 학생들은 이러한 통합적 활동을 통해 얻는 결과를 무엇이라고 인식하는지를 탐색하고 있다. 학생들이 작성한 수업사례 에세이를 분석한 결과 신앙과 학문의 통합에 대한 이해는 다양하였다. 학생들은 전공지식의 원리나 이론의 전제를 비판적 사고로 분석하는 접근, 성경의 진리와 학문의 진리를 동일하게 인정하고 성경의 원리를 전공분야에 적용하는 접근, 혹은 기독교세계관으로 교과목의 지식을 재조명하는 것을 수업에서의 통합이라고 이해하고 있었다. 신앙과 학문의 통합에 도움이 되는 수업의 요소를 분석한 결과 통합을 시도한 인물이나 사례를 통한 모델링이 많았고, 질의응답이나 토론을 통해 통합의 시각을 갖추는 경우도 있었다. 학생들은 이러한 통합 활동을 통해 사고방법의 다양성을 이해하고 기독교적 관점에서 보는 습관이나 태도를 기르게 되었으며, 신앙인으로서의 정체성 확인 뿐 아니라 삶과 진로의 목적이나 방향에 대한 인식을 확고히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학생들이 갖고 있는 통합에 대한 인식을 분석한 것으로써 결론 부분에서는 교수자들의 통합에 대한 인식 연구와 학문분야별 통합 접근에 대한 차이 등 향후 과제를 제안하고 있다.
라영환 기독교학문연구회 2013 신앙과 학문 Vol.18 No.4
Without doubt, Gauguin has had a great impact on modern art. Having become a professional artist at the late age of 35, he is regarded as one of the pioneers of modern art. At the end of the 19th Century, Impressionism was the dominant force in art. They emphasized the objectivity of art rather than its subjectivity, believing that the purpose of the artist was to represent nature as it appears to the eye. In contrast, Gauguin believed that the essence of art was not to simply represent nature objectively but rather to express one’s subjective interpretation of nature. Gauguin’s philosophy and his resulting work inspired others to follow in his footsteps. Gauguin’s work also stirred great debate. Some hailed him as a pioneer. Others, such as Griselda Pollock criticized his art as being colonialist and chauvinistic. Charles Morice pointed out the hypocrisy of the middle-class and the sexual debauchery of the European man that was presented in Gauguin’s work. Some critics consider Gauguin’s work as being religious paintings due to his frequent use of religious imagery. In Gauguin’s time, the use of religious imagery in art was very rare. Seeing this, Thomas Buser argued that Gauguin, despite the fact that he had great moral problems in his life, was a spiritual man. Similarly, Bradley Collins points to Gauguin’s teenage education at a Catholic school and argues that it had a significant influence in his art. Sister Wendy Beckett views Gauguin’s ‘Vision After the Sermon’ as an expression of his experience of religion. However, I do not completely agree with such interpretations of Gauguin’s work. The fact that someone uses religious imagery does not mean that his painting is a religious painting. It is indeed also possible to use non-religious imagery in order to convey a religious message. Therefore, it is a stretch to say that Gauguin’s work is religious merely because he uses religious imagery. There is a lack of a religious message in his work. Rather, Gauguin uses religious imagery simply to express his anger and despair at his unappreciated art. 본 논문의 목적은 폴 고갱(Paul Gauguin)이 자신의 작품 속에서 기독교적인 이미지를 어떻게 사용했는가를 살펴보는데 있다. 고갱이 활동했던 시대의 화가들은 주로 종교적인 주제보다는 자연 속에서 작품에 대한 영감을 받았다. 인상주의의 영향을 받았던 초기에는 고갱 역시 자연을 주제로 그림을 그렸다. 그러나 퐁트아방(Pont-Aven)에 머무르는 동안 고갱은 상징주의와 종합주의를 표방하면서 종교적인 상징이나 주제들을 자신의 작품에 자주 사용하였다. 특별히 1888년 고갱의 대표적이라고 불리어지는 《설교후의 환상, 1888》, 《황색 그리스도, 1888》, 《황색 그리스도가 있는 자화상, 1888》과 같은 작품들을 보면 대부분 기독교적인 이미지를 사용한 것이다. 고갱이 이렇게 그의 작품 속에서 그 시대에 흔치 않았던 기독교적인 이미지나 주제를 자주 사용하는 이유가 무엇일까?비평가들 가운데 일부는 고갱이 기독교적인 이미지를 자신의 작품에 자주 사용한 것을 예로 들면서 고갱의 작품을 종교화로 보기도 한다. 고갱이 활동했던 19세기에는 종교적인 그림을 그리는 화가들이 그 이전 세기와 비교하여 볼 때 상당히 적었다. 이에 반해 고갱은 그 시기 다른 어떤 화가들보다 기독교적인 이미지를 많이 그렸다. 이러한 특징을 보고서 고갱의 작품 안에는 기독교적인 세계관이 담겨 있다고 주장하는 이들이 있다. 토마스 부서(Thomas Buser)가 그 대표적인 경우인데 그는 고갱이 개인적인 삶에 있어서는 크리스천의 입장에서 보았을 때 논란이 많겠지만 ‘영적인 사람(a spiritual man)’이라고 주장하였다. 브래들리 콜린스(Bradley Collins) 역시 고갱이 오를레앙(Orlèans)에 있는 생메스멩 신학교 부속 가톨릭학교에서 5년간 수학한 것을 예로 들면서 가톨릭 신앙이 고갱의 세계관을 형성하는데 영향을 끼쳤다고 본다. 웬디(Sister Wendy Beckett) 또한 고갱의 《설교후의 환상》을 고갱의 내적 체험에 대한 묘사라고 보았다. 그녀는 고갱이 야곱의 씨름을 통해 자신 안에 있는 선과 악의 갈등을 묘사하는 것이라고 주장한다. 이들의 지적과 같이 고갱은 그가 활동했던 시대의 다른 화가들에 비해 종교적인 이미지들을 자주 사용하였다. 19세기의 화가들은 이전 세기와 달리 종교적인 주제보다는 자연 속에서 작품에 대한 영감을 받았다. 인상주의의 영향을 받았던 초기에는 고갱 역시 자연을 주제로 그림을 그렸다. 그러나 브르타뉴지방에 머무르는 기간 동안 고갱은 기독교적인 이미지를 자신의 작품 주제로 자주 선택을 하였다. 특별히 1888년 고갱의 대표적이라고 불리어지는 《설교후의 환상, 1888》, 《황색 그리스도, 1888》, 《황색 그리스도가 있는 자화상, 1888》과 같은 작품 들은 기독교적인 이미지를 주제로 그린 것이다. 하지만 이러한 주장들은 고갱의 삶의 여정과 작품들을 통해 보았을 때 동의하기가 어렵다. 브랜드(Hilary Brand)와 아드리엔느 채플린(Adrienne Chaplin)가 지적한 바와 같이 기독교적 이미지를 사용하면서도 비 기독교적이거나 반 기독교적일 수도 있다. 또 반면에 비 기독교적인 이미지를 사용하면서도 기독교적인 메시지를 담아낼 수 있다. 따라서 고갱이 단지 기독교적인 이미지를 사용했기 때문에 고갱의 그림이 종교적이라고 보는 데는 상당한 무리가 있어 보인다. 알버트 월터스(Albert Wolters)가 기독교 예술을 기독교 예술가들이 그림을 매개로 자신들의 신앙을 표현하는 것이라고 주장을 한 바와 같이, 만약 고...
임신일,김은영 기독교학문연구회 2019 신앙과 학문 Vol.24 No.1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dentify how Christian university professors perceive the role of Christian universities in the era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nd to explore the degree of perceived importance of factors derived by professors. To collect data using concept mapping, personal interviews with 17 Christian university professors were conducted on the role of Christian universities in the era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50 final statements were confirmed by classifying the interviews, and a concept map resulting from multidimensional scaling and cluster analysis was completed. The study result showed that the professors' perceptions of the role of Christian universities consisted of three dimensions and the sub-dimensions of seven clusters. The three dimensions are human nature, education content and method, and practice. The seven clusters for the sub-dimensions are human creation value education, future talent capacity education, community awareness education,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adaptive change education, selection and use of knowledge information, practice of Christian values, and community resource provision. Christian university professors' awareness of the role of Christian universities was different from one another, but the four most commonly valued roles were human creation value education, future talent capacity educatio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adaptive change education. The study findings provide some insights and implications for the role of Christian universities i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era. 본 연구의 목적은 4차 산업혁명 시대 기독교대학의 역할에 대해 기독교대학 교수자들의 인식을 밝히고, 도출된 요인들 중 교수자들이 중요하게 지각하는 정도를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개념도 연구방법을 바탕으로 7개 기독교대학 교수자 17명에게 4차 산업혁명시대 기독교대학 역할에 대한 개인면접을 실시하였다. 면접 결과를 종합․분류하여 최종 진술문 50개를 확정하였다. 50개 진술문은 다차원 척도분석 및 군집분석을 실시하여 최종 개념도를 완성하였다. 연구결과, 기독교대학 역할에 대한 교수들의 인식은 인간본질, 교육내용 및 방법, 실천이라는 3개 차원이 도출되었고, 하위 영역으로 인간 창조 가치 교육, 미래인재 역량 교육, 공동체의식 교육, 대인관계 및 변화적응력 교육, 지식 정보의 선택과 사용 교육, 기독교 가치 실천, 지역사회 자원제공 실천이라는 7개 군집이 도출되었다. 기독교대학 교수들은 기독교대학이 수행해야 할 역할에 대해 각각 달리 인식하고 있었으며, 그 중에서 인간 창조 가치 교육, 미래인재 역량 교육, 대인관계 및 변화적응력 교육을 중요하게 인식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4차 산업혁명시대 기독교대학이 담당해야 할 역할에 대한 성찰과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한국 초기 기독교학교의 쇠퇴에 관한 연구 -장로교계통의 소학교를 중심으로-
박상진 ( Sang Jin Park ) 기독교학문연구회 2012 신앙과 학문 Vol.17 No.1
한국의 최초 기독교학교들은 미국의 선교사들에 의해 설립되지만 1890년대 이후 한국의 토착 교회에 의해 기독교학교들이 설립되기 시작한다. 1009년에는 장로교계통의 기독교학교들만 694 개교에 이를 정도로 기독교학교 설립운동이 활발하게 일어났다. 그러나 1909년을 기점으로 그 후 에는 지속적으로 기독교학교의 수가 감소하게 된다. 본 연구는 초기 기독교학교, 특히 장로교계통 의 기독교학교의 감소 현상을 살펴보고 그 원인을 분석하며, 그 과정 속에서 교회가 한 역할은 무엇인지를 규영하고 이러한 역사가 오늘날 한국교회와 기독교학교들에게 주는 교훈을 얻기 위 한 것이다. 이룰 위해 먼저 본 연구는 장로교가 총회를 구성하기 전인 독노회 시기의 회의록과 장로교 총회 회의록 및 기타 역사자료들을 분석하여 기독교학교 수의 추이를 분석하였다. 장로교 계통의 기독교 소학교의 경우, 1887년의 경신학교 1개교로부터 시작하여 1009년에는 694개교로 증가하게 된다. 그러나 그 이후에 기독교학교 수가 감소하게 되는데, 1915년에는 477개교로 줄어 들게 된다. 이러한 감소 현상의 원인은 크게 세 가지로 분석될 수 있다 첫째는 재정적인 어려움으로 인한 폐교이다. 재정적인 어려움은 모집의 어려움과도 직결되며. 안정적 채원을 지원받지 못한 것도 중요 요인이다. 둘째는 일제의 기독교학교 탄압정책, 특히 1908년에 공포된 사립학교령 발포로 인한 기독교학교의 위축을 들 수 있다. 셋째는 관· 공립학교의 설립 증가로 인한 어려움 이다. 일제가 시설이 좋으면서도 등록금 부담을 대폭 줄인 관·공립학교를 설립함으로 기독교학교의 경쟁력이 약화돠었기 때문이다. 한국 장로교회가 이런 과정 속에서 노회마다 학무국을 설치 하고 교단적인 차원에서 지원의 노력을 기울이고 일제의 기독교학교 탄압에 항거하였지만 기독교 학교의 쇠퇴를 막자는 못하였다. 오늘날 한국교회와 기독교학교들은 이러한 초기 기독교학교의 쇠퇴의 역사를 반복하지 않아야 할 것이다. Although the first Christian schools were established by missionaries from North America, Korean churches began to establish many Christian schools after the 1890`s. In 1909, the number of Christian elementary schools established by Presbyterian churches in Korea was 694. Dr. Nak-Jun Baik has called it the "educational renaissance." However, the number of Christian schools began to decrease gradually from right after 190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look into the phenomenon of the decrease of Christian schools, to analyze its reasons, to understand the role of Korean churches in its process, and to gain insights for today`s Korean churches and Christian schools from these historical facts. For this purpose, the study analyzes all the annual reports of the Presbytery and the Assembly of Presbyterian Churches in Korea during 1907-19 15, and other historical documents. According to this study, the number of Christian schools, which had been 694 as of 1909, had decreased to 477 by 1915. The reason for this decrease can be explained as follows. First, Christian schools were closed due to financial problems. Second, the government of Japan in Korea oppressed Christian schools through various laws, including the law regarding private schools. Third, public schools rapidly increased in number during that time. Although Korean churches tried to support Christian schools by establishing Hakmukook in each presbytery and to resist the government of Japan in Korea, they could not turn the tendency of decrease of Christian schools. Korean churches and Christian schools must gain insights from this history in order to overcome the crisis of Christian schools in the future.
유아기 자녀를 둔 기독교인 어머니의 자녀양육 스트레스를 통해 본 기독교 부모교육의 방향성 연구
정희정 ( Hee Jung Chung ) 기독교학문연구회 2011 신앙과 학문 Vol.16 No.4
본 연구의 목적은 기독교인 어머니들이 유아기 자녀를 키우면서 느끼는 자녀양육 스트레스가 무엇인지를 질적 면담을 통해 살펴보고, 이를 토대로 앞으로 우리나라 기독교 부모교육의 방향성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유아기 자녀를 둔 기독교인 어머니 29명을 세 개의 소그룹으로 구성한 후 기독교 부모교육 프로그램을 각각 8주간 실시하였고 이 과정에서 서술적 관찰, 심층 면담, 그리고 과제 형태의 서술적 설문조사를 통하여 질적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전 사와 코딩작업을 통해 질적으로 분석되었으며, 그 결과 본 연구에 참여한 어머니들의 자녀양육 스트레스는 부모의 개인 및 대인관계 특성으로 인한 스트레스와 자녀의 개인 및 대인관계 특성으로 인한 스트레스로 나타났다. 기독교 부모교육의 방향성을 제시하기 위한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기독교 부모 교육의 내용의 변화이다. 앞으로의 기독교 부모교육은 본 연구에서 제시한 합의를 포함하면서 자녀양육이 실제 삶에서 신앙의 표현으로 나타나도록 돕는 것이 되어야 한다. 즉, 기독교 부모교육은 부모들이 느끼는 삶의 일상적 스트레스가 신앙과 어떠한 관계가 있으며, 성삼위 하나님의 도우심이 자녀양육에서 어떻게 구체적으로 나타나는가에 대한 내용들을 제시할 수 있어야 한다. 둘째, 기독교 부모교육의 형식의 변화이다. 부모들의 마음을 다룰 수 있는 소집단 형식의 부모교육이 효과적으로 나타났는데, 기독교 부모교육은 자녀의 신앙교육이나 자녀의 발달이해와 같은 교육적 차원에서 부모 간 그리고 부모와 교육기관 및 교회 간의 상호작용을 격려하고 부모 자신의 자녀양육에 대한 신념과 갈등을 심층적으로 다룰 수 있는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필요하다. The study qualitatively examines the child care stress of the Christian mothers while mothers rear their children in early childhood, and, based on this, it proposes directions of the Christian parent education in the future in South Korea. To investigate this, the research qualitatively analyzes various data collected from Christian parent education targeting for mothers of children in early childhood,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us, the child care stress of the mothers in the study shows the stress from the parents themselves and their relationship with others and the stress from their children and the children`s relationship with others. From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directions of Christian parent education are as follows. The first is the change of the content of the Christian parent education. The future Christian parent education should include implication of this study, and it should help child care represent an expression of faith in the real life. Thus, Christian parent education should present wha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arents` daily stress and their faith is and how the help from the triune God is concretely represented in the child care. The second is the change of the form of the Christian parent education. The small group parent education, which can deal with the mind of the parents, is effectively represented; Christian parent education should encourage interactions between parents and parents, parents and educational institutions, and parents and churches in terms of educational perspective on Christian education for children and understanding of children`s development, and it should discuss in depth the belief and conflict about child rearing of parents themselv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