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우수 초등 영어 수업의 학습 자료 활용 분석

        홍정실(Jeong-Sil Hong),김정렬(Jeong-ryeol Kim) 한국콘텐츠학회 2018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8 No.4

        본 연구는 우수한 영어 수업을 관찰하고 활용된 학습 자료들을 분석하여 효과적인 수업 개선 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학습 자료가 수업에서 어떤 양상으로 활용되는 지를 분석하기 위한 도구로는 학습 자료 활용 분석법을 사용하여 활용양상을 양화하였다. 분석 결과 수업 단계별 자료의 사용 정도는 전개 단계에서 가장 많이 활용되었고 그 다음은 도입, 정리 순이었다. 자료의 사용자 비율은 학생보다 교사가 높았으며 학생 개인이나 그룹별 사용 정도보다 학생 전체를 대상으로 학습 자료를 활용한 횟수가 많았다. 학습자료 활용 주체의 비율이 교사가 학생보다 4배 이상 높다는 것은 학습자 중심의 학습 자료 개발이 더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또한 언어 자료보다 비언어 자료를, 한국어 자료보다 영어 자료를 많이 활용하였으며 문제를 제시하거나 설명을 할 때 학습 자료를 많이 활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우수한 영어수업에서 활용되는 학습 자료의 특징들을 살펴보고 초등 영어 교사들에게 학습 자료의 적절한 활용 방법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how learning materials are used in an outstanding English class and to analyze learning materials and their use in primary English classroom activities. To this end, An Analytic Scheme of Learning Materials Use (ASLMU) is used to quantify utilization patterns of learning materials. The findings are: Learning materials are most actively used in the development period, followed by introduction and consolidation. The teacher’s rate of using learning materials is much higher than student’s, and the rate of using materials for whole students is higher than the rate of using materials for an individual or groups. It requires developing learning materials toward more a student-centered class because the teacher’s occupancy of the learning materials is fourfold compared to the student’s occupancy. Also, non-language materials are used more than language materials, and English materials are used more than Korean materials. Most of the materials are used to present a question and explain. The findings of the study are expected to suggest features of learning materials in an outstanding English class and application method of learning materials to primary English teachers.

      • KCI등재

        『KICE 교수학습 개발센터』교수학습 자료 운영 요구 분석

        진의남 한국기술교육학회 2008 한국기술교육학회지 Vol.8 No.1

        This study aims at constructing and application 『KICE Teaching Learning Material Development Center』 which supports teaching of elementary and middle schools and generating operation method of teaching based on analysis of teaching materials used in schools current situations, and needs for schools. The analyzed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when teachers prepare for teaching, they do that individually (9.7%) rather than by meeting for each grads or subjects (68.2%). Second, teachers use internet web sites to prepare for their class because they can find web sites that include abundant teaching materials. Third, as for the question whether they share teaching materials in the internet, 51.8% of them say they do unconditionally and 30.3% say that they will if authorship will be clarified. This means most of teachers agree an idea to share their teaching materials in internet. Fourth, as for the development of teaching process 58.5% teachers say it will be proper if it is developed by class hours and themes. Also, 58.5% teachers asked teaching materials that they can reconstruct according to progress of their own class rather than those that can use immediately (45.2%). This results mean that most teachers have recognized the developed teaching materials are not enough. Fifth, as for the role of『KICE Teaching Material Support Center』, teacher ask different service from the existing education web sites. That is, the web sits is expected to provide professional information for teachers (27.6%), and it must reflect teachers' opinions and their consistent participation (15.3%), and reconsideration of the materials (13.9%). 이 연구는 초‧중등학교 교수학습을 지원하고 있는 『KICE 교수학습 개발센터』의 구축 운영을 목적으로 학교 현장에서 운영되고 있는 교수학습 자료 운영 실태 및 요구 분석을 토대를 이를 지원하기 위한 교수학습 자료 활용 방안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 분석 결과는 첫째, 교과 수업을 준비하는 데 있어서 학년이나 교과별 협의회를 통해서 준비한다는 의견(9.7%)보다는 대부분의 교사들은 개별적으로 수업을 준비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68.2%). 둘째, 교사들이 수업 준비를 위한 해당 인터넷 사이트를 검색하는 주된 이유는 우수한 학습 자료가 풍부하고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이트를 주로 방문하는 것으로 인식되었다. 셋째, 교수학습 자료 공유에 대해서는 무조건 공유해야 한다는 의견이 51.8%, 저자를 밝혀주면 공유하겠다는 의견이 30.3%로 나타나, 대부분의 교사들은 교수학습용 자료의 인터넷 공유에 대하여 찬성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넷째, 교수학습 과정 안의 개발은 차시별, 주제별로 개발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응답하였으며(58.5%), 또한 개발된 자료는 수업에 바로 사용할 수 있는 형태의 학습 자료 요구(45.2%)보다, 교사가 자신의 수업 진도에 따라 재 가공될 수 있는 형태의 자료를 요구하는 교사들이 53.7%에 달해 상당수 교사들이 개발된 교수학습 자료에 대해 부족함을 느끼고 있는 것으로 인식하였다. 다섯째, 『KICE 교수학습 개발센터』의 역할에 대해서는 기존의 교수학습 자료 제공 사이트와는 다른 형태의 서비스를 요구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즉, 교사를 위한 전문 정보를 제공해야 한다(27.6%), 교사들의 의견 수렴 및 지속속적 참여(15.3%), 자료의 질 제고(13.9%) 등 측면에서 주력해야 한다는 의견 등이 나타났다.

      • KCI등재

        초·중등 교사의 교수·학습자료 이용 실태와 개선방안 탐색

        천세영,방인자,전미애 이화여자대학교 사범대학 교과교육연구소 2015 교과교육학연구 Vol.19 No.3

        이 연구는 학교현장에서 사용하는 교수·학습자료의 이용 실태 및 만족도를 토대로 수요자가 원하는 교과서를 개발할 수 있는 교과서 정책 개선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교과용도서 정책을 분석하고, 선행연구를 토대로 하여 초·중등교사, 출판사관계자의 자문 및 검토를 거쳐 설문 문항을 구성하였다. 이후 초·중등교사를 대상으로 학교현장에서 사용하고 있는 교수·학습자료 이용 실태 및 만족도 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을 통하여 수집된 자료 중에서 불성실한 응답을 제외하고, 초등학교 교사용 설문 242부, 중학교 교사용 설문 167부, 고등학교 교사용 설문 169부 등, 총 578부의 설문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과서 이외의 교수·학습자료의 사용빈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디지털콘텐츠 자료, 교사 자신이 직접 제작한 자료, 교사용 지도서, 출판사 제공 자료, 참고서 및 문제집, 전문서적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과서에 대한 만족도는 ‘각종 자료의 학습효과’, ‘관련이 있는 학습활동 제공 여부’, ‘교과서 내용 난이도’ 순으로 높게 나타났고, ‘교과서의 양’, ‘학생들의 자기주도적 학습 용이성’, ‘학생용 자가 점검 평가 방법 제시‘의 영역은 만족도가 낮게 나타났다. 셋째, 교수·학습자료는 학교급에 따라 활용용도가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급이 높아질수록 교과서 내용의 심화와 보충을 위하여 교수·학습자료를 사용하며, 참고서 및 문제집의 사용빈도도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대로 학교급이 낮아질수록 디지털콘텐츠와 같은 자료의 활용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수요자가 바라는 교과서는 흥미를 유발할 수 있고, 자기주도적 학습이가능하며, 좀 더 쉽게 이해할 수 있어야 한다는 요구가 높았다. 결론적으로 교과서에 대한 학교현장의 만족도가 낮고, 교과서 이외의 교수·학습자료가 다양하게 이용되고 있다. 즉 학습콘텐츠에 대한 수요자의 질적·양적 요구에 비해 효과적인 공급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수요자 맞춤의 다양한 교수·학습자료를 개발하기 위한 비용투자, 다양한 교수·학습자료의 활용이 요구되고 있는 현장을 고려한 방안으로서 디지털교과서제도와의 연계방향 수립, 교과서 가격의 현실화 등 교과서 제도와 교과서 정책개선이 요구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reasonable alternatives of teaching & learning materials, and research the actual conditions of using the materials, based on a teacher survey. To achieve the research objectives, the textbook policies were analyzed, and a survey was carried out regarding utilization and satisfaction of teaching & learning materials used at school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frequently utilized are teaching & learning materials except for textbooks, such as digital contents, teachers' own materials, teacher's instructions, publishers' freely offered materials, reference books, exercise books, and professional books. Second, as for the satisfaction of the textbooks used in schools, the highest satisfaction was found in 'learning effect of the various materials', followed by 'including proper learning activities' and 'textbook difficulty'. On the other hand, satisfaction in 'amount of textbook contents', 'ease of students' self-directed learning', and 'student' self-assessment method presented' were comparatively low. Third, desirable textbooks should be more easily understood, facilitate students’ self-directed learning, and keep students interested in the lessons. This study shows that the currently used textbooks do not meet the demand required by customers in terms of the quality and the quantity. Therefore publishers and educational authorities should meet requirements through the improvement of textbooks.

      • KCI등재

        소집단 자료 통합적 글쓰기 활동에 대한 질적 연구

        김태경 ( Kim Tae-gyeong ) 한국작문학회 2016 작문연구 Vol.0 No.30

        이 연구에서는 고등학생 학습자의 소집단 자료 통합적 글쓰기 활동 양상을 분석하고 그 교육적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연구자와 사서교사가 공동으로 두 차례에 걸쳐 고등학교 2학년 학습자를 대상으로 소집단 자료 통합적 글쓰기 활동을 진행하였다. 교수·학습 과정은 연구자가 제안한 10가지 주제 가운데 하나를 선택한 다음, 자료 활용 방법에 대한 교육이 이루어지고, 해당 주제에 대한 단행본들이 일부 제공된 상황에서 학습자들이 능동적으로 자료를 탐색하여 필요한 정보를 추출하고 이를 통합하는 글쓰기 활동을 하여 보고서를 제출하는 것으로 이루어졌다. 학습자의 소집단 자료 통합적 글쓰기 양상에서 관찰된 것은 소집단 구성원들이 ``지시하는 자``와 지시받는 자``로 나뉘었고, 과제 수행을 하는 데 시간 부족을 호소하였으며, 자료 탐색 과정에서 자료의 양이 많고, 학술논문과 같은 전문 정보 독해에 대한 어려움을 호소하였으며, 특정 학습자 홀로 모둠원들이 추출한 내용을 통합하였다는 점이다. 활동 양상에서 관찰할 수 있는 소집단 자료 통합적 글쓰기 활동의 구조는 먼저, 학습자들은 서로의 학업 수준에 따라 자신을 포함한 모둠원들의 능력을 판단하고 스스로를 지시하는 자와 지시받는 자로 구분하였다. 그리고 과제 수행의 효율성을 추구하기 위해 지시하는 자를 중심으로 철저한 역할 분담을 통해 과제를 수행하였고 과제 수행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판단되는 모둠원들은 중심 활동에서 배제되었다. 또한, 학습자들은 자료 탐색의 과정에서 자료의 신뢰성과 적절성에 초점을 두지 않고 자료에 접근하기 편하거나 인용하기 편리한지 등에 따라 자료를 선택하여 글쓰기에 활용하였다. 효율성의 추구는 특정 모둠원만이 자료를 통합하는 활동을 수행한 것으로 귀결되었다. 개인에게 집중된 자료 통합 활동은 과도한 인지적 부담을 가져왔고 이 과정에서 모둠원들이 추출한 자료의 맥락 파악의 어려움 호소, 출처 표기와 자료 통합적 글쓰기 관습 소홀 등의 문제점을 드러내었다. 소집단 자료 통합적 글쓰기 활동을 경험한 학습자들의 반응에서 다음과 같이 다섯 가지 교육적 시사점을 발견할 수 있었다. 첫째, 제한된 시간 내에서라도 충분한 학습자 활동 시간을 보장해야 한다. 둘째, 글쓰기가 학습자의 삶과 좀 더 긴밀한 연관을 가질 수 있어야 한다. 셋째, 교수자는 학습자들이 모둠원들 간 특성이 가지는 차이에 주목할 수 있도록 학습자 대화에 개입을 하여야 한다. 넷째, 논문과 같은 전문 자료를 학습자들이 읽어낼 수 있도록 소집단 내 상호작용을 위한 교육적 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자료들에서 추출한 정보를 맥락에 맞게 재구성하는 과정에 모둠원들이 모두 참여할 수 있는 방안을 구체화해야 한다. The aim of this study is explore the small-group`s writing from sources and suggest educational implications. The class was designed ``writing from sources`` for second grade in high school by the researcher and school librarian teacher. Teaching-learning activities proceeded as follows. Initially, students in the small-group chose one among ten topics provided from the researcher and were educated how to use source from the school librarian teacher. Then, they were actively searching sources and extracting proper informations. Finally, they wrote a report together from sources. By observation, students were divided into two parts; people who instructed and people who was instructed. And they appealed a shortage of time, too much sources, hard to reading professional sources like academic essays. Reached the writing a report, a single student integrated extracted sources which is not well organized. The way of the small-group`s writing from sources were found some characteristics. A student judged the abilities of the group members as their learning level included himself. Then, the members of group were distinguished people who instruct and people who were instructed. Only for the purpose of an efficient task execution, a person who instructs became the leader. He assigned roles to the members and in some cases, excluded a member who had not ability to carry out task from an essential role. Also, students tended to not focus on the reliability and appropriacy of sources. Instead, they preferred to make use of sources easy to access or cite. Efficiency is the best value of their activities. It might resulted from a single member of the group write a report from sources in a stage of excessive burdens for cognition. As a result, single member who instructed other members to do tasks had the difficulty understanding of context, made light of marking the sources and writing conventions. The study showed five educational implications. First, although in the limited time, classes should be guaranteed sufficient activity time for students. Second, writing tasks should be closely related with students` lives. Third, teacher should intervene in students` conversation for their taking note of their group members` characteristics. Forth, classes should be prepared educational methods for students` reading professional sources through communicating each other in their small-group. Last, teachers should design educational activities that make all group members take part in the process restructuring extracted information from sources.

      • KCI등재

        초등영어 자료기반학습(Data-Driven Learning) 모형 개발 및 적용 효과

        주성재 서울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원 2023 한국초등교육 Vol.34 No.4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effects of data-driven learning (DDL) on Korean elementary school students’ English learning. A DDL model for English vocabulary and grammar learning was designed and its effectiveness on the cognitive and affective domains of Korean elementary school students was analyzed. The DDL model was applied in the form of inductive student-centered DDL (SDDL) and deductive teacher-centered DDL (TDDL), and these two methods were compared. For the experiment, target learning sentences were extracted from the SEEC Elementary English Learner Corpus, the Korean elementary school students’ English learner corpus. Students from three school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SDDL and TDDL; they learned eight lexico-grammatical elements using the target learning sentences during the experiment. The students were administered two rounds of recall tests and surveys regarding their attitudes toward DDL. Both methods were essentially inductive; however, considering the differing levels of English comprehension amo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TDDL with sentence translation and teacher explanation was more deductive than SDDL. The test results indicated that DDL could be useful in improving students’ vocabulary and grammar learning. In particular, SDDL was found to be more effective than TDDL in grades four and six. However, students with relatively lower comprehension of English preferred TDDL with sentence translation and teacher explanation.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eachers should consider their students’ levels of comprehension and characteristics when applying DDL in elementary school English teaching. 본 연구는 한국 초등영어 학습자들의 효과적인 어휘⋅문법 학습을 위한 자료기반학습 모형을 개발하고 실제 수업에 적용함으로써 초등학생들의 영어 어휘⋅문법 학습 및 정의적 영역에 미치는 영향에대해 알아보았다. 영어 학습의 초기 단계에 있는 초등학생들의 수준에 적합한 자료기반학습의 적용을위하여, 한국 초등영어 학습자 코퍼스에서 추출한 문장들을 활용하여 학습 자료를 구성하였다. 자료기반학습은 일반적으로 학습자 주도의 귀납적 학습을 특성으로 하지만, 본 연구에서는 EFL 환경의 초기영어 학습자가 대상임을 고려하여 교사의 개입이 함께 이루어지도록 설계하였다. 또한 교사의 개입정도에 따라 귀납적 학생중심 모형과 연역적 교사중심 모형으로 구분하여, 본 연구의 대상인 세 초등학교의 4, 6학년에서 각각 두 학급을 실험 집단으로 선정하고 학급별로 학생중심 및 교사중심 자료기반학습을 적용한 연구 수업을 실시하였다. 연구 수업의 전, 후에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사전⋅사후평가 및 서면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이 결과를 기반으로 자료기반학습의 효과를 인지적, 정의적 측면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를 통하여, 자료기반학습은 초등학교 영어교육에서의 적용 가능성을 가지며 초등학생들의 영어 어휘⋅문법 학습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결론을 도출할 수있었다. 자료기반학습의 유형별 비교 결과에서는 4, 6학년 모두에서 학생중심 학습 방법의 효과가 교사중심 학습 방법의 효과에 비해 더 큰 것으로 나타났지만, 학생들의 영어 수준에 따라 자료기반학습의 유형에 따른 학습 효과가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는 결과 또한 확인하였다. 따라서, 학습자의 수준및 성향을 고려하여 자료기반학습 방법을 적절하게 적용한다면 초등학교 영어수업에서 효과적인 어휘및 문법 학습을 위한 교수⋅학습 방법으로서 자료기반학습을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고등학교 「사회」교과서 경제단원의 통계 학습자료 분석

        이기연 ( Lee Ki-Yeon )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2003 사회과교육연구 Vol.10 No.2

        본 연구는 7차 교육과정에 따라 집필·사용되고 있는 6종의 10학년「사회」교과서 경제단원에 수록된 통계 학습자료가 사회현상의 올바른 인식을 위한 의미있는 학습자료로서 통계 고유의 특성 및 사회과교육의 특성, 학습자료로서의 특성을 고려하여 학습자료로서의 조건을 갖추고 있는지 분석하고자 하였다. 교과서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정확성에 근거해야 하는 통계 학습자료의 제시에서 일반인을 대상으로 한 간행물에 잘못 그려진 통계가 교과서에 그대로 제시되거나, 교과서에 제시되는 과정에서 단위 표시의 오기가 나타나는 사례가 있었다. 신뢰성에 근거해야 하는 자료 제공처의 제시 방식에서 교과서별로 자료 제공처의 제시 횟수, 공식통계의 제시 횟수에 차가 크게 나타남으로써 교과서별로 통계 학습자료의 신뢰성에 차이가 있었다. 둘째, 정확성에 근거해야 하는 통계 학습자료에 사용된 경제지표는 같은 의미의 경제지표를 여러 용어로 사용하는 경우, 다른 의미의 경제지표를 같은 의미로 혼용하는 경우, 다른 의미의 경제지표이지만 통계 분석에 있어 대표성이 크므로 같은 의미로 혼용하는 경우, 경제지표의 용어가 명확하지 않은 경우 네 가지로 나누어 볼 수 있었다. 셋째, 유용성에 근거해야 하는 통계 학습자료의 활용은 부가적 발문을 통하여 자료 수집 및 해석 기능을 도울 수 있는 탐구적 기능, 교과서의 내용 이해 및 설명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설명적 기능, 통계 학습자료와 관련된 기술이나 발문없이 단순한 시각적 정보를 제공하는 이미지적 기능 순으로 활용되었다. 탐구적 기능을 수행하도록 활용된 통계 학습자료에서 부가적 발문이 요구하는 자료 해석 수준은 주어진 자료를 초월한 추론, 주어진 자료의 이해, 주어진 자료의 읽기 순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통계 학습자료 표현의 제시 방식과 지표의 사용 방식에 있어 부정확성, 서술 방식에 있어 주관성은 교수학습과정에서 통계 학습자료의 수요자인 교사와 학습자에게 인지적 혼란을 일으킬 수 있다. 통계 학습자료의 활용에 있어 단순한 시각적 이미지적 기능의 수행과 편향된 자료 해석 수준을 요구하는 발문은 학습자의 올바른 사회인식을 돕기 어렵다. 그러므로 교과서 집필 과정에서 좀 더 신중한 노력이 경주되어야 할 것이다. Learning materials of excellent quality in the textbook of social studies, which emphasizes learners on right recognition of social phenomena, should aid students to understand social phenomena objectively. It is very important to provide students with statistical data which state social happenings in figures as learning materials for their right recognition of social phenomena in the era of overflowing information and rapid social changes. Statistical learning materials are used educationally for helping students' right recognition of society in the textbook. Therefore, first, the numerical and visual information in statistical graphs, and the indicators used in materials should be precise. Second, the source of the learning materials should be authentic and reliable. Third, the materials should be practical in the process of teaching-learning. Followings are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textbook in these views. First, even though learning materials require correctness, wrong statistical data, which were extracted from general publication, were used in the textbook just as it were, or there were some errors in marking units in the process of publishing the textbook. Each textbook showed their own source of materials and they largely differed in the frequency of presenting the source and using the official statistics. It showed the problem of reliability because the way of indicating the source of materials should be reliable. Second, the using of the economic indicators in statistical learning materials could be analyzed in following four ways; using one economic indicator in various terms, using different economic indicators as the same meaning, using different indicators as one when it represented others in statistical analysis, using the economic indicator ambiguously. Third, the application of statistical learning materials that is required to be practical could be observed in series of searching function, which can help students collect and analyze the materials with additional texts, explanatory function, which can help them understand and explain the content of the textbook, and visual function, which offers simple visual information without any related descriptions or texts. In statistical learning materials designed to facilitate the searching function, it was seen that the additional texts required the level of interpreting materials in the order of inferencing beyond the given materials, understanding of the given materials, reading the materials. As seen in this study, the inaccuracies in ways of presenting statistical learning materials and using the indicators, can cause cognitive confusion between the teacher and students, who are users of materials, in the process of teaching-learning. Carrying out simple visual function and using the texts that require biased analysis of materials cannot improve students' right recognition of society. Therefore, far more careful attention is needed in the process of publishing the textbook.

      • KCI등재

        해양 이상 자료 탐지를 위한 오토인코더 활용 기법 최적화 연구

        김현재(Hyeon-Jae Kim),김동훈(Dong-Hoon Kim),임채욱(Chaewook Lim),신용탁(Yongtak Shin),이상철(Sang-Chul Lee),최영진(Youngjin Choi),우승범(Seung-Buhm Woo) 한국해안해양공학회 2021 한국해안해양공학회 논문집 Vol.33 No.6

        해양 이상 자료 탐지의 연구는 이전부터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며, 통계 및 거리 기반의 기계 학습 알고리즘을 활용하는 기법들이 개발되었다. 최근에는 AI 기반의 해양 자료 이상 탐지 기법이 많은 관심을 받고 있으며, AI를 활용한 해양 이상 자료 탐지 기법은 정답이 주어지는 지도학습 기법이 주를 이루고 있다. 이러한 방법은 학습에 필요한 모든 자료에 수작업으로 분류 정보(라벨)를 지정해야 한다는 점에서 많은 시간과 비용이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비지도학습 기반의 오토인코더를 이상 자료 탐지 기법에 사용하였다. 실험으로는 오토인코더의 평가를 위해 단변수·다변수학습 두가지 실험을 구성하였고, 단변수 학습은 기상청에서 제공하는 덕적도 부이 정점 관측 자료 중 수온만 사용하였으며, 다변수 학습은 수온과 기온, 풍향, 풍속, 기압, 습도 등을 사용하였다. 사용기간은 1996~2020년의 25년간이며 학습 자료에 해양-기상 자료의 특성을 고려한 전처리 기법을 적용하였다. 학습된 다변수와 단변수 오토인코더를 활용하여 실제 표층 수온에 대한 이상 탐지를 시도하였다. 모델 성능 비교를 위해 오차를 삽입한 합성 자료에 다변수와 단변수 오토인코더를 포함한 여러 이상 탐지 기법을 적용하여 정량적으로 평가하였으며, 다변수/단변수의 정확도가 각각 약 96%/91%로써 다변수 오토인코더가 더 나은 이상 자료 탐지 성능을 보였다. 오토인코더를 이용한 비지도학습 기반 이상 탐지 기법은 주관적 판단에 의한 오류와 자료 라벨링에 필요한 시간과 비용을 줄일 수 있다는 점에서 다양하게 활용될 것으로 판단된다. Outlier detection research in ocean data has traditionally been performed using statistical and distance-based machine learning algorithms. Recently, AI-based methods have received a lot of attention and so-called supervised learning methods that require classification information for data are mainly used. This supervised learning method requires a lot of time and costs because classification information (label) must be manually designated for all data required for learning. In this study, an autoencoder based on unsupervised learning was applied as an outlier detection to overcome this problem. For the experiment, two experiments were designed: one is univariate learning, in which only SST data was used among the observation data of Deokjeok Island and the other is multivariate learning, in which SST, air temperature, wind direction, wind speed, air pressure, and humidity were used. Period of data is 25 years from 1996 to 2020, and a pre-processing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ocean data was applied to the data. An outlier detection of actual SST data was tried with a learned univariate and multivariate autoencoder. We tried to detect outliers in real SST data using trained univariate and multivariate autoencoders. To compare model performance, various outlier detection methods were applied to synthetic data with artificially inserted errors. As a result of quantitatively evaluating the performance of these methods, the multivariate/univariate accuracy was about 96%/91%, respectively, indicating that the multivariate autoencoder had better outlier detection performance. Outlier detection using an unsupervised learning-based autoencoder is expected to be used in various ways in that it can reduce subjective classification errors and cost and time required for data labeling.

      • 5세 누리과정 지도서의 이야기나누기활동에 수록된 교수학습자료 분석 및 평가

        정혜진 ( Jeong Hye-jin ) 한국실천유아교육학회(구 한국Montessori교육학회) 2018 실천유아교육 Vol.23 No.1

        본 연구는 5세 누리과정 지도서의 이야기나누기활동에 수록된 교수학습자료의 내용을 분석하고, 평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문제는 첫째, 이야기나누기활동에 수록된 교수학습자료의 현황 및 유형은 어떠한가? 둘째, 이야기나누기활동에 수록된 교수학습자료의 내용분석은 어떠한가? 셋째, 이야기나누기활동에 수록된 교수학습자료 평가 및 사례는 어떠한가? 연구의 대상은 5세 누리과정 지도서의 이야기나누기활동에서 제시하는 DVD에 수록된 교수학습자료이다. 분석방법으로는 이야기나누기활동에 수록된 교수학습자료 유형 및 내용분석을 위해서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고, 교수학습자료를 평가하기 위해 평가영역과 자료 유형에 따른 평정결과를 산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나타나는 결과는 첫째, 이야기나누기활동에 수록된 교수학습자료의 현황으로는 ‘환경과 생활’이 가장 많았고, ‘우리 동네’,‘건강과 안전’이 가장 적었다. 교수학습자료의 유형을 분석한 결과 PPT가 가장 많이 제시되었으며, 가장 적게 제시된 유형은 음원으로 나타났다. 내용분석에서는 이야기나누기활동의 생활주제, 주제, 활동명, 목표, 자료 번호, 자료 유형, 자료 구성 및 내용 순으로 제시하였으며, 이는 교수학습자료 평가 및 사례의 자료로 활용되었다. 셋째, 이야기나누기활동에 수록된 교수학습자료 평가 및 사례에서 평가결과는 평균점수 80.75로 전반적으로 높은 편으로 분석되었다. 결론적으로 누리과정 지도서의 이야기나누기활동의 교수학습자료는 전반적으로 활동에 적합하며 적절한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and evaluate the types and content of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for the 5-Year Old Nuri Program Guide. Research issues are as follows. First, what is the status and type of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that are included in the conversation activity? Second, how about analyzing the content of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included in the conversation activity? Third, how would you rate and use the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listed in the conversation activity? The subject of the study is the instructional materials included in the DVD presented in the conversation sharing activity of the five-year-old Nuri curriculum guides. Frequency and percentage have been calculated for analyzing the type of instructional materials and content contained in the chat activity, To evaluate the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the equilibrium results were calculated according to the evaluation area and type of data. The results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study materials listed in the conversation activity showed the most ‘environment and life' and the fewest ‘my neighborhood' and ‘ health and safety'. The analysis of the type of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showed that PPT was given most frequently, and the fewest was presented as sound source. The content analysis was presented in order of the life theme, topic, active name, goals, data number, data type, data organization and content of the conversation sharing activity, which was used as a source of assessment and case studies of the professor. Third, the overall score was higher at 80.75 in the study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assessment and cases included in the discussion activities. Consequently, the materials for the studies of the children's guide's conversation activities were generally appropriate and relevant to the activity.

      • KCI등재

        디지털 매체(콘텐츠, 미디어)를 활용한한국의 한자, 한문교육 -디지털 媒體를 활용한 중등학교 교수ㆍ학습 자료와 수업 사례를 중심으로-

        정동운 한국한문교육학회 2022 한문교육논집 Vol.58 No.-

        이 논문은 디지털 매체(콘텐츠, 미디어)의 의미와 이를 활용한 한문 수업의 필요성에 대해서 살펴보고, 필자가 수업 실제에서 영상 매체를 활용한 교수ㆍ학습 자료를 共有하고 이를 적용한 수업 사례들을 소개한다. 이를 통해 디지털 기술(콘텐츠, 미디어)을 활용한 한국 한자, 한문교육 현황의 일부분을 부분적으로나마 파악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하고,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새로운 기술과의 접목으로 보다 한자, 한문교육 방법의 개선에 구체적인 논의와 개발이 활성화되는데 보탬이 되고자 한다. 4차 산업혁명 시대로의 진입 또는 통과 중이라고 여겨지는 현 시점에서 디지털 기술(콘텐츠, 미디어)을 활용한 한국의 한자, 한문교육의 현황과 실태를 파악하는 것은 중요한 의의가 있다. ‘디지털 매체(콘텐츠, 미디어)’란 디지털 자료로 볼 수 있는 주로 대중매체 즉 영화, 드라마, 가요, 웹툰 만화, 광고, 뉴스 기사 등을 말하는데, 내용인 콘텐츠와 매체인 미디어를 포괄하여 ‘디지털 매체’라 하겠다. 디지털 매체를 활용하는 수업 특히 영상 매체를 활용한 수업은 실생활과 연결된 영역에서 한자, 한문 학습이 삶에 유용하다는 점에 공감하게 하고 학생들에게 한자, 한문 학습에 대한 흥미를 유발하여 학습 동기를 부여하는 의의가 있다. 한문 학습 요소(한자, 한자 어휘, 고사성어, 한문 격언 명언, 한시, 한문 고전의 글 등)가 담겨 있는 디지털 매체를 활용하는 한자, 한문 교수ㆍ학습자료와 수업 사례를 매체의 종류별로 나누어 예시로 다음과 같이 제시한다. 1. TV예능 프로그램을 활용한 한자, 한문 학습 자료1) 한자, 한문 학습에 대한 흥미 유발-<놀면 뭐하니?>한자 이름2) 한자 이름에 담긴 뜻-‘펭수’의 이름 뜻3) 한자의 짜임․유래․조자 원리에 대한 이해-<개그콘서트>한자의 달인4) 한자를 응용하여 재미있게 할 수 있는 학습 활동-<놀면 뭐하니?>음식재료 한자 명칭 학습2. 영화/드라마를 활용한 한자, 한문 학습 자료1) 영화 <자산어보>로 배우는 한자어휘ㆍ한문문장ㆍ한시ㆍ문화2) 드라마 <더 킹: 영원의 군주>로 배우는 단어의 짜임3. 만화(웹툰)를 활용한 한자, 한문 학습 자료 - <죽음에 관하여>20화4. 신문기사/방송뉴스/다큐멘터리 등을 활용한 한자, 한문 학습 자료 - 안중근 의사 사진과 일본인의 헌시 / 김구의 한문 친필 사연과 사진5. 노래를 활용한 한자, 한문 학습 자료 - 슈가<대취타>/힙합곡<마법천자문> 6. 광고를 활용한 한자, 한문 학습 자료 -<애착용기>/<치어럽 캠페인> 7. 其他 디지털 매체를 활용한 한자, 한문 학습 자료1) 디지털 기술로 실재화한 한문 고전 학습 자료2) 고전앱/고전 창작동화를 활용한 한자, 한문 학습 자료4차 산업혁명 시대의 새로운 기술과의 접목으로 보다 한자, 한문교육 방법의 개선에 구체적인 논의와 개발이 활성화되는데 보탬이 되길 기대해 본다. 본론에 사례로 제시하고 보고한 자료 이외에 한문수업 적용할 수 있는 다양한 디지털 매체(콘텐츠, 미디어)를 활용한 한자, 한문학습 자료를 목록으로 만들어 부록에 첨부한다. This thesis examines the meaning of digital media (contents, media) and the meaning of Chinese language classes using them, and introduces class cases in which the author possesses teaching/learning materials using video media in class practice and applies them. Through this, we want to help to understand at least a part of the current status of Korean Chinese character/Chinese education using digital technology (contents, media), and improve the Chinese character/Chinese education method by grafting it with new technology in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It is intended to contribute to the activation of detailed discussion and development.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the current status and current situation of Korean character/Chinese education using digital technology (contents, media) at the present time, which is considered to be entering or passing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Digital media (contents, media)' refers mainly to mass media that can be viewed as digital materials, such as movies, dramas, songs, webtoons, comics, advertisements, and news articles.' I'll say. Classes that use digital media, especially those that use video media, make them sympathize with the usefulness of learning Chinese characters/ Chinese characters in life in areas connected to real life, and give young students (secondary school learners) interest in learning Chinese characters/ Chinese characters. It is meaningful to motivate learning by inducing it. Chinese characters/Chinese teaching/learning materials and class cases using digital media that contain Chinese characters learning elements (Chinese characters, Chinese vocabulary, ancient idioms, Chinese proverbs, Chinese poetry, classic Chinese texts, etc.) It is presented as follows. 1. Chinese character/Chinese learning materials using TV entertainment programs 1) Arouse interest in learning Chinese characters/Chinese characters - <What do you do when you play?> Chinese name 2) Meaning of Chinese character names - The meaning of the name ‘Pengsoo’ 3) Understanding the weave, origin, and principle of Chinese characters - <Gag Concert> Master of Chinese characters 4) Learning activities that can be fun by applying Chinese characters -<What do you do when you play?> Learning Chinese characters for food ingredients 2. Chinese characters/Chinese learning materials using movies/dramas 1) Learn Chinese vocabulary, Chinese sentences, Korean poetry, and culture through the movie <Janja Eobo> 2) Word structure learned through the drama <The King: Eternal Monarch> 3. Chinese characters/Chinese learning materials using cartoons (webtoons) - <About Death> Episode 20 4. Chinese character/Chinese learning materials using newspaper articles/broadcast news/documentary, etc. - Ahn Jung-geun's photo and Japanese tribute / Kim Gu's handwritten story and photo 5. Chinese characters/Chinese learning materials using songs - Sugar <Daechwita>/ Hip-hop song <Magic Thousand Characters> 6. Chinese characters/Chinese learning materials using advertisements - <Courage of Attachment>/<Cheerup Campaign> 7. 其他 Chinese characters/Chinese learning materials using digital media 1) Classical Chinese learning materials made real with digital technology 2) Chinese characters/Chinese learning materials using classic apps/ classical creative fairy tales It is hoped that the grafting with new technologies in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will help to revitalize detailed discussion and development of the improvement of Chinese characters/Chinese education methods. In addition to the materials presented and reported as examples in the main body, Chinese characters/Chinese learning materials using various digital media (contents, media) that can be applied to Chinese language classes are listed and attached to the appendix.

      • KCI등재

        2015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고등학교 한국지리, 세계지리, 여행지리 교수 · 학습자료 개발 과정에 대한 논의

        전보애 ( Bo Ae Chun ),길현주 ( Hyun Joo Ghil ),김민숙 ( Minsuk Kim ),김인철 ( Incheol Kim ),범영우 ( Yeongwoo Beom ),서지연 ( Jiyeon Seo ),성정원 ( Jeongwon Seong ),오태훈 ( Tae-hun Oh ),이윤구 ( Yungu Lee ),채나미 ( Nami Chae ),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2018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Vol.26 No.2

        본 연구에서는 2015 개정 교육과정 고등학교 사회과 교수·학습자료 『한국지리, 세계지리, 여행지리』의 개발 및 검토 과정을 분석하였다. 『한국지리, 세계지리, 여행지리』는 2015 개정 지리 교육과정의 학교 현장 안착을 위한 교수·학습자료의 사례를 제시하려는 목적으로 개발되었다. 따라서 개발 및 검토 과정의 분석은 『한국지리, 세계지리, 여행지리』가 교수·학습자료로서 갖는 의미와 가능성에 대한 이해를 제고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궁극적으로는 지리교육 분야의 교수·학습자료 개발 및 운영과 관련된 의미있는 논의를 제공하리라고 기대된다. 개발과정에서는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중점 사항이자 특징이기도 한 교과역량 및 기능의 교육적 실천, 교수·학습과정과 연계된 과정중심 평가, 학생 참여에 토대한 활동 중심의 교수·학습 등을 위한 자료를 구성하는데 주안점을 두었다. 그리고 현장적합성 제고를 위해 현장적합성 검토, 교실 수업 적용 등과 같은 검토를 거쳤다. 검토결과 『한국지리, 세계지리, 여행지리』는 성취기준과 교과역량에 대한 분명한 안내를 토대로 활동 중심의 수업 실천, 과정 중심의 평가 등을 가능케 하여 궁극적으로는 교실 수업의 발전적 변화에 기여할 가능성을 가지는 교수·학습자료라고 평가받았다. 이와 더불어 활동량이나 수업 시수 조정, 지리 현상과 관련된 다양한 인문지리적·자연지리적 요인들 간의 관련성에 대한 고찰의 필요성 등과 같은 지적사항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같은 결과는 교육과정 교수·학습자료 개발 및 활용과 관련된 의미있는 시사점을 제공한다. 첫째, 교수·학습자료는 교수활동이나 학습활동에 활용되는 자료 뿐만 아니라 평가를 위한 자료까지도 아울러야 한다는 인식을 분명하게 할 필요가 있다. 둘째, 교육과정 교수·학습자료상에는 자료 자체는 물론 그것을 어떻게 활용할 것인가에 대한 안내도 충분히 제시되어야 한다. 셋째, 역량중심 교육과정 교수·학습자료가 적절히 개발 및 활용되려면 교과역량 및 기능에 대한 충분한 분석과 검토가 선행되어야 한다. 넷째, 지리 교수·학습자료는 복잡다양한 인문지리적·자연지리적 요인과 맥락에 대한 충분한 검토를 바탕으로 개발되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한국지리, 세계지리, 여행지리』는 예시적인 자료집의 성격을 갖는만큼, 2015 개정 지리 교육과정의 보다 효과적인 학교 현장 안착 및 개선을 위해서 교육과정 교수·학습자료의 개발 및 활용에 관한 후속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질 필요성을 제안해 본다. This study analyzed the development, revision, and supplemental processes involved in the creation of curriculum materials for the high school social studies of the 2015 National Revised Curriculum, Korea Geography, World Geography, and Travel Geography. Korea Geography, World Geography, and Travel Geography was created to provide the examples of curriculum materials necessary for the successful practice of the 2015 National Revised Curriculum. Therefore the results of this study possibly provide meaningful discussions about the development and use of geography curriculum materials as well as the potential of Korea Geography, World Geography, and Travel Geography. The characteristics of the 2015 National Revised Curriculum, including the adoption of the concept of competence, student-centered learning,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and assessment improvements, were emphasized in the development process. Several revisions and supplemental processes were followed to refine and enhance the quality of educational materials. These processes suggested that Korea Geography, World Geography, and Travel Geography has meaningful possibilities for contribution to the effective enhancement of South Korean geography education. Further ideas, such as considerations for optimizing the volume of contents/ activities and diverse geographic contexts, were also proposed. These results show several meaningful discussions toward the development and use of curriculum materials as follows: First, curriculum developers and teachers should recognize that the concept of curriculum and educational materials are not limited to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ies but encompass assessment processes. Second, curriculum materials ought to provide guidance as to their use in class. Third, the meaning and characteristics of the competencies should be deeply analyzed and understood before the development and use of competencybased curriculum materials. Fourth, consideration of diverse geographic factors and contexts are essential for creating geography educational materials. Additionally, Korea Geography, World Geography, and Travel Geography is a collection of geography curriculum materials for the 2015 National Revised Curriculum. Follow-up researches on the development and use of geography curriculum materials can meaningfully contribute to the successful development of the 2015 National Revised Curriculu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