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등교원 양성기관 과학교과 교육과정의 실태 및 초등 교사들의 인식연구

        김문희,조미영,김성원 이화여자대학교 사범대학 교과교육연구소 2011 교과교육학연구 Vol.15 No.2

        This study investigated the science curriculum of Elementary Teacher Education and in-service teachers’ perceptions of the science curriculum in Elementary Teacher Education. We first studied the current science curriculum of thirteen Elementary Teacher Education institutions in Korea (i.e., 11 National Universities of Education, and the Department of Elementary Education in the Korea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and Ewha Women's University); 253 elementary teache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y were questioned regarding their experiences in the science curriculum of Elementary Teacher Education and the usefulness of this experience in teaching. The results indicated that: (1) the average number of units of liberal arts related to science were 3.9 credits, and 3 out of 13 curricula offered this course as an elective course rather than a mandatory course; (2) the average number of units of science education majors were 4.9 credits. The major course included the theory of science education as well as content and experiment; and (3) many in-service elementary teachers had a negative perception of the science curriculum for Elementary Teacher Education and recognized a need for improvement in the science curriculum of Elementary Teacher Education. This study suggests three directions for the science curriculum in Elementary Teacher Education. It should: (1) combine science content with experiment, (2) be in accord with the elementary science curriculum, and (3) provide opportunities for the designing of experiments represented in the elementary textbook. 본 연구는 초등 교사들의 과학교과 교수 어려움의 원인을 찾고자 초등교원 양성대학의 교육과정을 분석하고, 초등 교사들의 인식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11개 교육대학교, 한국교원대학교 초등교육학과, 이화여자대학교 초등교육학과의 교육과정을 조사하였다. 또한 현직 초등교사 253명에게 대학 재학당시 과학교과 교육과정에 대한 경험과 과학교과를 가르칠 때, 대학에서 다루었던 교육과정 프로그램 활용정도를 알아보았으며, 대학의 과학교과 교육과정 개선사항을 알아보았다. 연구 결과 과학교과와 관련된 교양과정은 평균 3.9학점으로 구성되어 있었고, 조사한 13개의 양성대학 중 3개의 대학은 과학관련 교양과목을 필수과목이 아닌 선택과목으로 운영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전공과정은 평균 4.9학점의 시간으로 운영되고 있었으며, 이 과정 안에서 과학교과 4가지영역의 교과내용과 관련 실험, 교과교육에 관한 이론수업까지 많은 양의 수업이 이루지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현직 초등 교사들의 양성기관 재학당시 과학교과 교육과정 인식조사에서는 대부분의 교사들이 교육과정에 만족하지 못하고 있었으며, 과학교과를 가르치는데 어려움이 있어 양성기관 교육과정 프로그램의 개선을 희망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초등 교사 양성 기관의 과학과 교육과정의 질적인 변화를 촉구하는 동시에 이를 위해 다음의 세 가지 내용의 필요성에 대해 논의하였다. 첫째, 제한된 시간에 맞추어진 교과내용수업과 실험수업의 통합이 필요함과 둘째, 과학과 교육과정이 현재의 초등학교 교과와 부합되도록 구성되어야 하고 마지막으로 초등학교 교과서에 나와 있는 다양한 실험의 설계를 교사가 구성 할 수 있도록 하는 수업의 필요성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대학 교양과목으로서의 소비자교육 교과모형 개발

        김현정,정순희 이화여자대학교 사범대학 교과교육연구소 2002 교과교육학연구 Vol.6 No.2

        인간은 생애를 통해 끊임없이 소비자로서 활동을 수행하기 때문에 일생을 통해서 소비자교육이 이루어질 때 가장 효과적인 결과를 얻을 수 있다. 따라서 생애주기에 따라 교육이 이루어지는 장으로서 가정과 학교, 그리고 소비자교육이 유기적으로 연결될 때 비로소 소비자교육이 완성된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에서 실시되고 있는 소비자교육을 살펴보면, 학교교육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며, 학교소비자교육의 범주 속에 초 · 중 · 고등학교만 포함하고 대학소비자교육은 제외되고 있다. 대학 내 소비자교육은 소비자전공학과의 학생들에게만 제한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교양교과에서 소비자교육을 실시하는 대학은 그리 많지 않다. 사회교육차원에서 실시하는 대학생 대상의 프로그램 또한 소비자관련 전공자를 대상으로 실시되고 있을 뿐이다. 이에 본 연구는 대학에서의 소비자교육이 소비자전공학과의 학생에게 한정된 전공교육뿐 아니라, 대학생 전체를 수강대상으로 하는 교양과정에도 개설되어야 한다는 취지를 가지고, 대학의 교양교과를 위한 소비자교육 프로그램을 구성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된 교육내용은 가치교육, 구매교육, 시민의시교육이라는 3개의 대분류 하에 9개의 중분류와 24개의 소분류로 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는 이상적인 모형으로 대학의 16주 학사일정에 따라 교과목이 개설될 때는 꼭 필요한 내용이 선정되어야 한다. 따라서 대학 내 교양과정에 소비자교육교과를 개설 시 실제적인 자료로 사용될 수 있도록 16주 강의일정에 맞춰 강의계획안을 구성하였다. 본 연구는 대학 내의 소비자교육 교과목을 개설하는데 실질적인 도움을 줄 수 있는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대학 내에 전문적 소비자교육을 실행하는 교과를 개설하는 것은 올바른 소비를 하는 시민으로 육성한다는 소비자교육의 취지를 사회인을 준비시키는 단계인 대학에서 실현할 수 있다는 점 외에도 소비자교육의 활성화에 여러 가지로 기여할 수 있다. 그 구체적인 방안으로는 사범대나 교직과목에 소비자교육과목을 필수수강과목으로 선정하게 되면 학교교육에서의 가장 큰 문제로 지적받고 있는 소비자교육 담당 교사를 양성할 수 있게 된다는 것이다. 또한 방학중에 초 · 중 · 고등학교의 교사 연수과정으로 활용될 수도 있다. 학교소비자교육에의 기여 외에도, 대학에서 운영하는 평생교육원이나 사회교육원에서 활용되거나 대학과 지역사회의 연계가 활발해 지는 상황에서 지역주민을 위한 프로그램으로 발전된다면, 사회교육 차원에서도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was performed to develop a consumer education program for college students as a general requirement course. Existing curricula or programs for college students focuses on students who majors in consumer science. Few universities have courses for consumer education program as a compulsory course. This study classified curriculum for college students into 3 concepts ; consumer values and behavior, consumlers in the market place, and consumer rights and responsibilities. But the curriculum suggested in this study is ideal model. In order to set up course according to the academic calender, essential contents are selected. So syllabus of 16 weeks for consumer education class was also proposed. The program suggested in this study can be helpful in opening a consumer education program courses in a university. Also it will contribute to consumler education promotion in school and field education.

      • KCI등재

        교과교육학의 학문 위상과 현 단계 도전 과업

        박인기 이화여자대학교 사범대학 교과교육연구소 2006 교과교육학연구 Vol.10 No.1

        이 글은 교과교육학이 하나의 '학문'으로서 온전한 위상을 확보하고, 지식 사회의 선도적 가치를 생산하는 학문 영역으로 명실상부하게 발전해 가려면 어떤 문제 의식과 도전 전망을 가져야 할 것인지를 교과교육학 분야 학문 공동체에 제기해 보기 위한 글이다. 현재의 교과교육학은 여러 가지 도전을 받고 있다. 1) 학문이라기보다는 기능과 처방의 수준에 머무는 것이라는 인식 2) 학문으로서의 이론 체계를 구비하지 못하고 있는 점 3) 연구방법론의 정합성에서 취약한 점 4) 연구 범주의 생산적 분화가 이루어지지 못한 첨, 5) 다른 학문 분야와의 상호작용이 약한 점 6) 학문으로서의 고유성과 수요 창출이 미약한 점 등이다. 교과교육학은 학문으로서의 본격적인 위상을 높이기 위해서, 자신을 상위 인지하고 독자적인 학문으로서의 자기 결정성을 구축하는 체제와 토양을 길러야 한다. 따라서 교육현상을 단순 추수하는 데 그치지 말고, 교과교육의 지형 자체를 스스로 결정하고, 교과교육학의 토대를 재설정함으로써, 현재의 교과교육학에 대한 인식론을 넘어서도록 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학적 노력이 필요하다. 먼저 장기적인 관점에서 교과교육학의 이론 연구 분야가 정립되어야 한다. 이는 물론 새로운 연구 범주 확장과 기존 연구 범주를 재개념화 해 나감으로써 가능하다. 이 과정에서 교과교육학이 타 분야 학문과의 학제성을 넓히고 상호작용을 강화해야 할 것이다. 이는 교과교육학의 고유성과 보편성이 상호 긴장력 있게 확충되는 방향의 노력을 요청할 것이다. 교과교육학은 교과의 실제적인 힘(원심력과 구성력)을 학문사회와 교육사회에서 동시에 길러야 한다. This paper aimed to propose a desirable status of subject matter education as science to the community of scholars studying subject matter education. And this paper aimed to became an issue and propose the perspective to establish the scientific perfectness of subject matter education at current stage. At present the subject matter education as science is challenged in many-side as followings. 1) Lack of understanding : tendency to recognize the subject matter education as skill of treatment not science 2) Defect of theoretical system as a science 3) Unreliability of methodology 4) Unspecialized categories of research 5) Insufficiency of interaction with other sciences 6) Be weak in originating new learning demands It is necessary to intensity the scientific identity, self-determination and self-conquest of the subject matter education as science, to raise its academic status. In order to overcome the fixed idea about the subject matter education, a diverse of approaches oriented new understanding are needed as followings Theoretical study of the subject matter education should be established as an approved formal research area. And we should develop new domain of study and re-conceptualize existing domain of study in the subject matter education as science. It is necessary to enlarge inter-disciplinary activity and enforce interaction with other science under the initiative of the subject matter education as science. And in order to establish the academic status of the subject matter education, it is necessary to keep both universality and distinctiveness as a science of the subject matter education. In short it is important to build up the power of the subject matter education through creating demand in both learning society and academic society.

      • KCI등재

        2009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수학 교과서의 기하영역 분석

        조명현,김부미 이화여자대학교 사범대학 교과교육연구소 2013 교과교육학연구 Vol.17 No.4

        본 연구는 2009 개 정수학과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교과서 12종의 기하영역을 이전 교육과정에 따른 교과서와 구성 방식과 순서, 내용 서술의 변화된 내용을 중심으로 비교 분석하였다. 그리고 2009 개 정수학과 교육과정에서 강조하고 있는 학생의 이해 수준에 따른 정당화와 수학적 과정(수학적 추론, 수학 문제 해결, 수학적 의사 소통)이 교과서에서 어떻게 구현되었는지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삼각형의 결정 조건에 대한 교육과정의도 해석의 차이로 인하여 교과서 서술에서 차이가 나타났다. 또한 삼각형의 무게중심, 각의 이등분선, 할선, 수직이등분선, 원주 각의 성질, 닮음의 중심, 닮음의 위치, 삼각형의 중선 연결정리 등에 대한 제시 순서와 내용 서술은 교과서마다 차이가 있었다. 둘째 정당화에 대한 교과서 분석 결과, 2009 개 정수학과 교육과정에 따른 교과서 12 종 모두 가정, 결론, 증명의 용어를 사용하지 않을 뿐 2007개 정수학과 교육과정에 따른 교과서의 증명서술 방식과 차이가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2009 개 정수학과 교육과정에 제시된 수학적 과정의 특징에 따라 중학교 수학② 교과서 12종의 기하영역을 분석한 결과, 수학적 문제 해결, 수학적 추론, 수학적 의사 소통의 문항수와 문항의 적합도 여부에 차이가 있었다 This study analysed the changes in the geometry area between the junior high school mathematics textbooks based on the 2009 Revised Mathematics Curriculum and those based on the 2007 Revised Mathematics Curriculum. This study also analysed how junior high school textbook authors and teachers understand ‘mathematical justification’ and ‘improvement of students’ creativity through mathematical processes’ in the revised content of the 2009 Revised Mathematics Curriculum. The results indicate that, in the twelve mathematics textbooks, the introduction to timing, and the existence or nonexistence of a definition of a vertical bisector of a line segment, the bisector of an angle, and a chord differ between the 2009 Revised Mathematics Curriculum and the 2007 Revised Mathematics Curriculum. Regarding the content of the section dealing with ‘triangle-determining conditions’ and ‘understanding the congruence conditions of a triangle by construction’, nine textbooks show triangle congruence by specific conditions(SSS, SAS, and ASA) in the main text with examples and questions. Three textbooks do not deal with congruence conditions using construction in the introductory part of the chapter sections: ‘exploratory activity’ or ‘open thinking’. According to an analysis of the twelve junior high school third grade textbooks, all twelve integrated the achievement standard of the ‘circumference angle’ in the ‘application of circumference angle’ section. In addition, the textbook authors and teachers do not seem to understand ‘mathematical justification’ in the 2009 Revised Mathematics Curriculum. In the interpretation of the mathematical processes, each textbook exhibited significant differences.

      • KCI등재

        사범대학 음악교육과의 교육 과정 연구

        장선희,최희정 이화여자대학교 사범대학 교과교육연구소 2004 교과교육학연구 Vol.8 No.1

        본 연구는 중등 음악 교사를 양성하는 사범대학 음악교육과 총 8개교의 교과 과정을 분석함으로써 음악 교사 교육 현황을 파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교육 인적 자원부의 「교원 양성 기관 현황」 과 음악교육과가 개설된 사범대학들의 2003학년도 요람에 근거하여 중등 음악 교사 양성 기관의 현황과 교육 과정의 편제 및 그 내용을 분석하였다. 교육 과정 편제에 따른 이수학점의 편성 현황을 살펴보고, 「교직 교육 과정의 과목과 이수학점」및 「기본이수과목」규정의 운영과 전공 개설 교과목의 과목 수 및 학점 수를 분석함으로써 중등 음악 교사 양성 교육 과정의 내용 현황을 파악하였다. 사범대학 음악교육과의 교육 과정 편제는 교양, 교직, 전공 교육 과정으로 구성되어있고, 이수학점은 대학별로 큰 차이를 보이고 있다. 특히 교양과 전공 교육 과정의 대학별 이수학점의 차이는 더욱 큰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과정의 내용은 교육 인적 자원부에서 고시한 「교직 교육 과정의 과목과 이수학점」의 규정을 대부분 이행하고 있었다. 그러나, 「기본이수과목」의 규정은 지켜지지 않았으며, 전공 교육 과정의 대부분은 교과 내용학 과목으로 구성 되어 있어, 상대적으로 교과 교육학 과목의 비중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교과 내용학의 개설 교과목 수 및 학점 수는 전통음악 영역의 교과목이 서양음악 영역의 교과목에 비하여 매우 적었으며, 교과 교육학의 경우는 음악 교육학 영역, 서양음악, 그리고 전통음악 영역순의 비중으로 나타났다. 이와같이 음악교육과의 교육과정이 교과 내용학 과목에 편중되어있고, 또한 일반음악대학의 음악관련 과목과 차별화되지 못한 채, 교사 양성기관으로서의 특수성과 독자성을 확립하지 못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사범대학 음악교사 양성 교육과정은 음악교과에서 요구되는 음악교사의 자질 함양을 구체적 교육목표로 제시하고, 음악교육교과의 각 영역에 따른 교과교육학 과목의 비중의 확대와 교육실습과정의 보완을 통하여 음악교사의 실질적 능력과 자질을 함양할 수 있는 바람직한 교사교육 교육과정으로의 강화가 필요하다고 하겠다. The study examines the curricula for secondary music education in eight colleges of education in the Republic of Korea using "The Status Quo of Teacher Education Institutions" report of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Human Resource Development and the 2003 Yearbooks of the eight colleges. More particularly, it seeks to ascertain the type of institutions that have music teacher education as well as to analyze the curricula of these programs. The curricula examined on whether they have the three areas of study, viz. (i) liberal arts;(ii) the major subject of study and (iii) music education and the relationship and balance among these three areas. The study found that 8 colleges of education, 39 colleges of music, 1 college and 50 graduate schools of education conduct music education programs. It was also found that the objectives of these programs were not specific enough to allow for the goals of music education to be achieved. Furthermore the study found that the curricula consisted of the three areas listed above in all the eight colleges. However, the major subject of study took the largest portion of the curriculum in each of the colleges. The imbalance was most evident in the colleges of education. The curriculum in music teacher education in the colleges tended to concentrate on regular music courses. In the music teacher education curriculum, however, there was inadequate emphasis on traditional Korean music. In addition the study found that music education curriculum was similar in the colleges of education and colleges of music. As a result, the objectives of music teacher education were not achieved. It is desirable to give more emphasis to music education, teaching courses and teaching practicum in the curriculum

      • KCI등재

        0-2세 표준보육과정, 3-5세 누리과정, 초등 통합교과과정 과학교육내용의 연계성 분석

        최성진,조성연 이화여자대학교 사범대학 교과교육연구소 2015 교과교육학연구 Vol.19 No.1

        본 연구는 현재 시행되고 있는 0-2세 표준보육과정, 3-5세 누리과정, 초등통합교과과정 과학교육내용의 연계 형태를 과학교육의 영역별 내용에 초점을 맞추어서 분석한 것이다. 이를 통해 과학교육 내용연계의 문제점을 파악하여 유아과학교육과정의 개정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분석결과, 첫째, 물리, 화학영역에서 표준보육과정과 누리과정 간에는 연계가 나타났으며,누리과정과 초등통합교과과정 간에는 연계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생명과학영역에서 표준보육과정과 누리과정간에는연계되지않는것으로나타났고,누리과정과 초등통합교과과정 간에 ‘연계됨’ 과 ‘연계안됨’ 이 모두 나타났다. 셋째, 지구과학영역에서 표준보육과정과 누리과정 간에는 연계가 나타났으며, 누리과정과 초등통합교과과정 간에 ‘연계됨’ 과 ‘연계안됨’ 이 모두 나타났다. 넷째, 공학영역에서 표준보육과정과 누리과정 간에는 연계가 나타났으며, 누리과정과 초등통합교과과정 간에는 연계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과학교육내용의 연계성을 위한 제언을 하였다. 첫째, 과학교육내용이 0세부터 과학영역별로 연계되어야하며, 둘째, 교육과정에 제시된 문장 만으로도 내용의 위계가 분명하게 나타날 수 있도록 명확하게 서술되어야 한다. 셋째, 표준보육과정과 누리과정, 초등학교통합교과과정의 교육내용 진술방식을 일관성있게 조정해야한다. 마지막으로 추후 교육과정의 연계성 연구가 좀 더 실효성을 거두기 위해서 교육과정상의 내용만 분석하기보다 교육과정이 실행되는 현장에서 이루어지는 교육내용을 분석하는 심층적인 연구가 병행되어야 함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continuity and sequence of each science educational contents in the current standard childcare curriculum for 0 to 2 year-olds, Nuri curriculum for 3 to 5 year-olds, and elementary integrated curriculum. The result of the study is as follows. First, in physics and chemistry, Nuri curriculum was connected with the standard childcare curriculum, but not with the elementary integrated curriculum. Second, life science showed no continuity and sequence in the standard childcare curriculum and Nuri curriculum, whereas it exhibited both linkage and non-linkage between Nuri curriculum and the elementary integrated curriculum. Third, earth science showed continuity and sequence in the standard childcare curriculum and Nuri curriculum, while it exhibited both linkage and non-linkage between Nuri curriculum and elementary integrated curriculum. Fourth, in engineering, Nuri curriculum was linked with the standard childcare curriculum, but not with the elementary integrated curriculum. Based on this analysis, this study produced a set of recommendations for the continuity and sequence in science education content.

      • KCI등재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에 나타난 인성교육 요소 분석 : 연령, 생활주제, 활동 영역을 중심으로

        박선미 이화여자대학교 사범대학 교과교육연구소 2013 교과교육학연구 Vol.17 No.4

        본 연구는 만3, 4, 5세 누리 과정 지도서에 수록된 활동중인 성교육요소가 포함된 활동을 연령별, 생활주제별, 활동영역별로 나누어 분석함으로써 누리과정의 주요 구성방향인 인성교육이 실제로 어떻게 적용되었는지를 파악하는데 목적이있다. 이를 위해 인성교육 요소가 포함된 총1606개의 활동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만4세 지도서의 활동이 가장 많은 인성교육 요소를 포함하고 있었으며만3세, 만5세 순으로 나타났다. 만3, 4, 5세 모두 존중과 협력의 분포가 가장 많았고, 나눔과 효는 상대적으로 매우 낮은 분포를 나타냈다. 둘째,생활 주제에 따라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인성교육요소가 달랐으며 특정 생활주제에 인성교육 요소가 집중되는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성격 및내용에 따라 특정 인성교육요소가 집중되는 생활주제가 있었다. 셋째, 인성교육 요소가 가장 많이 나타난 실내 자유선택 활동은 수·조작영역 이었으며, 집단활동은 이야기 나누기였다. 인성교육 요소는 대부분의 영역 및 집단활동에 다양하게 분포 되어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연령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또한,인성교육 요소가 명시되어 있기는하나 관련된 내용이 활동방법에 기술되지않은 활동이 있었고, 활동방법에 인성교육 요소와 관련된 내용이 포함되어 있는데도 인성교육 요소가 명시되지 않은 활동이 있었다.이러한 연구결과를 볼때 누리과정 지도서에서의 인성교육 요소의 분포가 연령, 생활주제, 활동에 따라 보완되어야 할것이다. 더불어, 연구결과 및 시사점을 토대로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a practical application of early childhood character education through investigating activities including character education components that are on 3 to 5-year-old preschooler-oriented Nuri curriculum guidebooks for teachers as per ages, life themes, and activity areas. For this, character education components in 1606 activities were investigated.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greatest number of character education components were in teachers’ guidebooks for 4- year-old preschoolers, followed by those for 3-year-old and for 5-year-old preschoolers in that order. The most common character education components for each age were ‘cooperation’and ‘respect’; whereas, ‘sharing’ and ‘filial piety’ were the least common. Second,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proportions of the character education component depending on life themes, although it appeared that the character education components converged on particular life themes. In addition, there were particular life themes that occurred as particular character education component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and content of the life themes. Third, the indoor free-play activity that had the most character education was mathematics-manipulative activity and so was ‘discourse’ among the group activities. The character education components were varied in most of the free-play and group activities, but there were some differences by age. Further, there were some activities where character education components were specified but not described in the activity processes, and there were some activities where character education components were not specified although they were described in the activity processes. On the basis of these results, some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for further study were proposed.

      • KCI등재

        과학 교과에 적용되는 창의·인성 교육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홍혜정,윤회정,우애자 이화여자대학교 사범대학 교과교육연구소 2012 교과교육학연구 Vol.16 No.4

        본 연구에서는 2009 개정교육과정에서 미래 사회의 핵심 키워드로 제시한 창의·인성 교육에 대한 중·고등학교 과학 교사들의 인식과 창의·인성 교육 방법, 평가 방법 및 발전 방향에 대한 의견을 알아보았다. 연구 대상으로 현재 전국 중·고등학교 과학 교사 138명을 선정하여,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과학 교사들의 78.3%가 창의.인성 교육의 중요성은 인정하였으나 그 취지를 정확히 알고 있다고 응답한 교사들은 25.4%로 매우 낮았으며 현장 적용 실태에 대해서도 48.6%의 교사들이 부정적인 의견을 나타냈다. 둘째, 과학 교사들은 교과 과정으로 명확히 제시되는 창의·인성 교육을 선호했는데, 창의·인성 교육 방법으로 협동학습을 강조한 조별 활동(57.2%), 창의·인성 교육 내용으로 현재 이슈가 되고 있는 과학관련 문제해결(52.2%), 창의·인성 교육 프로그램으로 창의적 체험 활동(54.3%)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창의·인성 교육 방법이 제시된다면 55.8%의 교사들이 이를 활용할 의사가 있다는 의견을 나타냈지만, 창의·인성 교육이 보다 효과적으로 진행되기 위해서는 전문적인 창의성 지도 및 교사의 역할 모델 제공, 창의·인성 교육을 위한 충분한 수업시간과 업무 축소가 필요하다고 응답했다. 셋째, 과학 교사들의 41.3%가 수행평가 항목에 정의적 요소를 포함하는 것이 창의·인성 교육을 평가하는데 가장 적합하다고 응답하였으며, 31.2%의 교사가 창의·인성 교육 평가가 제대로 이루어지기 위해서 교사의 자율성 존중이 선행되어야 한다고 응답했다. 넷째, 창의·인성 교육을 보다 효과적으로 적용하기 위해서는 교사가 충분히 교과에 대한 연구를 할 수 있도록 여건이 조성되어야 하며, 교사 연수 확대와 지원체제 마련, 학급당 학생 수 및 교사 일인당 수업시수의 감축, 창의·인성 교육에 대한 교사, 학부모 및 학생의 마인드 변화가 선행되어야 할 것으로 나타났다. Creativity-personality education in the 2009 Revised National Curriculum was noted as a 'key word' for our future society. This study intends to investigate secondary school science teachers' perceptions of creativity-personality education, methods for creativity-personality education, methods for assessment, and their opinions on the progress of creativity-personality education. The participants in this survey were 138 secondary school science teachers.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78.3 percent of the teachers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creativity-personality education, but only 25.4 percent of them correctly understood the purpose of it. In addition, 48.6 percent of the teachers showed negative opinions with respect to the implementation of creativity-personality education. Second, the teachers preferred the creativity-personality education activities indicated in curriculum. They preferred to do the group activities (57.2%), to teach the science-related issues (52.2%), and to perform the creative experience activities (54.3%). If appropriate methodology were provided, 55.8 percent of the teachers were willing to implement creativity and personality education activities. They thought, however, that professional guidance on creativity, a proper role model for the teacher, and sufficient class hours should be provided to ensure the progress of creativity-personality education. Third, 41.3 percent of the teachers replied that the affect factor should be included in the assessment of creativity-personality education. For the assessment of creativity-personality education to be carried out properly, 31.2 percent of the teachers answered that respect for teachers' autonomy should take precedence. Lastly, proper conditions for teachers to do the curriculum study, expansion of teacher training, systems for the support of teachers, reduction in the number of students per class and lesson hours per teachers, and changes in perception toward creativity-personality education should be provided for the progress of creativity-personality education.

      • KCI등재후보

        초등학교 통합학급에서 교사의 교육적 지원을 통한 자폐아동의 학교생활 변화 연구

        김진선,정혜영 이화여자대학교 사범대학 교과교육연구소 2008 교과교육학연구 Vol.12 No.1

        본 연구는 일반아동과 장애아동의 물리적 통합이 실시되고 있는 초등학교 일반 학급에서 사회적, 교육과정 통합이 어떻게 시도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담임교사의 교육적 지원을 통해 초등학교 3학년 남자 자폐아동의 학교생활이 어떻게 변화되어 가는지 탐색하고자 예비관찰과 집중관찰, 면담 등을 활용한 사례연구를 실시하였다. 예비관찰 시기였던 물리적 통합단계에서는 아동은자폐적 특성을 그대로 드러냈지만, 담임교사에 의해 교육적 지원이 제공된 사회적 통합과 교육과정 통합의 단계에서는 자폐아동에게 많은 변화가 나타났다. 담임교사가 자폐아동을 위해 제공한교육적 지원은 생활면과 학업면으로 다양한 프로그램이 제공되었다. 학교생활의 변화과정을 살펴볼 때, 자폐아동의 학습능력이 향상되었고 혼자만의 일방적 상호작용에서 함께 하는 쌍방적 상호작용으로 점차 변화되어갔다. 또한 공격적, 방어적 태도가 줄어들고 협동심과 자립심이 증가하여통합학급 내에서 자폐아동의 학교생활이 긍정적으로 변화되어가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또한 실제적인 통합교육이 되려면 교사의 애정과 관심, 적절한 교육적 개입이 필수적이며, 자폐아동을 둘러싼 관련인과의 협력관계, 자폐아동 및 그 학급아동 간의 쌍방적 상호이해를 위한 시도가 함께 이루어져야 함을 지적하였다.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hanging process of an autistic child's life at school through a qualitative research. A boy who has been diagnosed as an Autism, was selected. In order to get the resources, general observation and in-depth interviews were employed.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changing process of the autistic child's life at school was observed in the stage of physical integration with no educational support. In the stage of physical integration, where the class was integrated for the sake of qualitative integration of the child, there was no educational support offered; the child revealed his autistic tendencies. Second, the educational support was given in the academic aspect. The school subjects were revised and all those efforts were made as the investigator got together with a special teacher to discuss the curriculums at the Curriculum Revisions Council and to revise the curriculum of cooperative learning-based social studies and that of science for the child with autism. Third, there were changes to him both in the academic and behavioral characteristics aspect after the educational support was given. The changes were as follows; in the academic aspect, the negative sides of the child revealed in the early semester gradually disappeared as the educational support was given. Thus, the results showed that his learning abilities increased, his own one-way interactionschanged to the two-way interactions, his aggressive and defensive attitudes decreased, and hiscooperation and autonomy increased. In the integrated class, the autistic child's school life wentthrough very positive changes.

      • KCI등재

        Impact of Political Situations on the Early History of English Language Education in Korea

        Choi, Yeon-Hee 이화여자대학교 사범대학 교과교육연구소 2006 교과교육학연구 Vol.10 No.1

        한국 영어교육은 정치적 상황에 많은 영향을 받아왔다. 특히 초창기에는 그 영향이 지배적이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구한말, 일제시대, 그리고 미군정기로부터 1955년 제1차 중등교육과정이 발표되기 전까지 시기의 영어교육에 미친 정치적 요인을 분석하고자 한다. 구한말은 조선왕조가 쇄국정치를 폐지하고 일본, 미국 등과 통상조약을 맺으면서 문호를 개방하여 영어가 소개된 시기이다. 이는 한국 영어교육이 처음 시작된 시기로서, 한국 근대화를 추구한 고종과 선각자, 또한 기독교 전파라는 종교적 목적을 가졌던 미국 기독교 선교사들에 의해 영어교육이 주도되었다. 영어는 주로 귀족이나 정부 관료의 업무 목적을 위해 가르쳤기 때문에 특수 목적을 위한 영어의 한 유형이었으며, 대부분의 교사가 영미인이었기 때문에 영어로의 교수가 이루어졌던 시기이다. 또한 기독교 학교들에서는 모든 교과가 영어로 가르쳐져서 일종의 몰입 학습 유형이었다. 이러한 특징을 가졌던 영어교육은 일제시대에 일본어 교육 정책, 조선인의 일본 황국민화(동화 정책), 일본의 중일전쟁 및 2차 세계대전 참여로 야기된 전시교육정책의 영향을 받았다. 일제 시대 초기에는 일본어 교육 강화로 영어교육이 침체되었다가 3·1 운동 등과 같은 독립 운동이 시작되자 일본식민정부는 문화 정치를 표명하면서 다시 영어교육을 부활시켰다. 그러나 이는 표면적으로만 이루어진 것이었다. 또한 일제시대 말에는 영어가 적대국 언어로 규정되어 교실언어로서의 사용이 금지되고 영미인 교사들이 일본인 교사로 대치되어, 영어 수업이 이루어져도 영어를 공부 시간에 사용하는 시간은 아주 제한적이었으며, 경성제국대학 입시에 영어가 포함되어 입시 위주의 영어 학습이 시작되었다. 세 번째, 해방 후부터 제1차 중등 교육과정이 공포되기 전 1955년까지는 정치적으로 아주 불안정한 시기였다. 해방과 동시에 남북이 둘로 나누어져 남한은 미군정의 통치를 받게 되었다. 이에 영어교육이 다시 정립되기 시작하였다. 그러나 일제 시대의 영어교육 방법이 그대로 전수되어 시험을 위한 영어교육, 교사중심, 문자언어중심, 문법, 독해중심의 교육이 부활되었다. 이러한 영어교육은 1990년대에 제6차, 제7차 교육과정 개편을 통해 학생중심, 의사소통 중심, 언어기능 중심의 영어교육으로 전환되었지만, 일부 일선 교육 현장에서는 현재까지도 이어지고 있다. This paper explores the impact of political situations in Korea on the early history of its English language education. It is classified into three major periods: the end of Joseon Dynasty(the beginning of English language education). the Japanese colonial time(the declination, revival, and oppression of it), and after liberation from Japan till 1955 including U.S. military govemment(the reestablishment of it). The period was strongly infleunced by the king's modernization policy and American missionaries' propaganda of Christianity. It was mainly for aristocrats and government officers. The second period was dominated by the policies of the Japanese colonial government. including a Japanese-only policy and the wartime education policy during World War Ⅱ. The status of the English language weakened and native speaking teachers were replaced by Japanese instructions. The last period is the emergence period of English language education after liberation from Japan. It had a signification impact of the U.S. military government. which established a comerstone of its reestablish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