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전남사회과교육연구학회의 변천사 연구

        송하인,김준성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2013 사회과교육연구 Vol.20 No.4

        초창기 사회과 교육연구사의 대부분은 수도권 중심의 내용 서술에 의해 자칫 지방에서 이루어지는 사회과교사들의 실천기록을 상실할 위험이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초창기 지방 사회과교사들의 신교육에 대한 열망, 사회과교육의 실천에 대한 기록을 체계적으로 정리하여 사회과교육사를 연구하는데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으로 전남사회과교육연구학회를 선정한 이유는 한국사회과교육연구회의 창립에 큰 도움을 준 단체이고 초창기 전남교원들의 사회과 열망이 타 지방보다 높았기 때문이다. 연구 방법으로는 초창기 전남사회과연구학회의 연구회지, 연구보고서를 문헌탐구 하였고 생존해 있는 초창기 전남 사회과 전문가들과 시대별 주요 활동가들을 면담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일정기간 초창기 전남사회과교육연구학회의 성립과 변천에서 미국 교육사절단의 영향이 컸다는 것과 전남 지역의 사회과 전문가들의 자발적 참여로 이루어진 전남사회과교육연구학회가 지금까지 한국사회과에 적지 않은 영향을 끼치고 있다는 것을 밝히고 있다. Most education history in early stage social affairs division has a risk to lose the practice records of the social affairs division teachers which are executed in local regions by the contents description focusing on metropolitan area. Therefor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be helpful to study the history of social affairs division education by systematically arranging the enthusiasm about new education of the early stage local social affairs division teachers and their records about the fulfillment of theeducation in social affairs division. Reason why Chonnam Social Affairs Education Research Association was selected as a researchsubject was that it is anassociation which gave big assistance in establishing Korea Social Affairs Education Research Association and also that the enthusiasm of early stageChonnam teachers was much higher than that in other regions. Research was conducted through the literature examination of research papers and reports in early stage Chonnam social affairs division research association and through the interviews with surviving early stage Chonnam social affairs division experts and major activists of the era. This study shows that the influences of the U.S. delegation were big in the establishment and transition procedures of early stage Chonnam social affairs division research association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and that Chonnam social affairs division research association which was established by the voluntary participation of the social affairs division experts in Chonnam regions gave substantial influences to Korean social affairs division until now.

      • KCI등재
      • KCI등재

        초등교육 정체성 관점에서 본 초등사회과교육 개론서의 변화 양상과 개선 방향

        이동원,나경훈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2022 사회과교육연구 Vol.29 No.4

        본 연구는 초등교육 정체성 관점에서 우리나라의 주요 초등사회과교육 개론서가 초등사회과의 정체성을 어떻게 드러내고 있는지를 종단적으로 분석한 것이다. 이를 바탕으로 초등교육의 정체성을 살린 초등사회과교육 개론서의 개선 방향을 제안하였다. 연구를 위해 초등교육의 정체성을 담아낸 초등사회과교육 개론서를 선정하여 시기 구분을 하였고, 분석틀에 따라 변화 양상과 특징을 정리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과로서 사회과의 본질 규정에 따라 초등사회과교육 개론서의 체계는 다르게 나타났다. 둘째, 초등사회과의 고유성을 나타낸 개론서는 초등교육의 맥락에서 교과의 위상과 역할에 대해 강조하였다. 셋째, 아동의 발달단계를 고려한 초등사회과교육 개론서는 아동의 수준에 따른 내용 선정과 수업 방법을 강조하였다. 넷째, 초등사회과의 통합성을 강조한 개론서는 교과 내, 교과 간 통합적 접근을 강조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초등교육 정체성을 담아낸 초등사회과교육 개론서 개발을 위해 교과의 통합성과 아동의 발달성 측면에서 시사점을 제언하였다.

      • KCI등재후보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학교 교육과정 편성의 쟁점과 과제: 고등학교 사회과목을 중심으로

        이대성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2011 사회과교육연구 Vol.18 No.3

        This study covers the main issues as well as the analysis of the organization of the school curriculum based on the 2009 Revised Curriculum. The contents of the analysis is the different class hours between social studies and other subjects; the ranks and arrangements of the intensified selections for the social studies subjects; the present condition of the intensive course completion system in social studies subjects; students’ free or restricted choice of the subjects. The result of the analysis is as follows. First, the sixty-four units of school autonomy has been alloted to the basic and the research courses. Greater importance has been allocated to Korean and Social Studies subjects in humanities and social studies courses; Mathematics and Science subjects in Natural Science and Engineering courses. Second, most schools have 'society', 'Korean History' ,and 'Morals' in the first school year, and the rest selective subjects mainly in the second and the third school year. In particular, each of the four subject areas of social studies, history, geography, and ethics, has one subject as the essential subject, and students are supposed to choose from the rest of the subjects. Third, most schools operates the intensive course completion system for the subjects of Society, Korean history, Morals in the first school year, and the system also works for a variety of selective subjects in the second and the third year courses. Fourth, as for the humanities course, students?right for the subject choice is guaranteed effectively, while for the natural science courses, the selections are poorly guranteed except for 'Society',' ethics' and 'Korean history'It is necessary to come up with the alternatives to overcome the crises of the social studies: the organizations of social studies-empahsized school curriculum. 2009 개정 교육과정의 변화는 단위학교 교육과정 편성에 상당한 영향을 주었고. 이로 인해 사회과 교사들의 수급은 물론 교사 양성과정에도 위기의식이 팽배하다. 사회과 교사들은 개정 교육과정의 변화에 민감하게 대응하고 이에 대처할 준비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고등학교 교육과정 편성안을 분석하고 주요 쟁점을 검토하였다. 사회과와 다른 교과와의 시수 차이, 사회과 심화선택 과목 간의 위계와 배열, 사회과 집중이수제 현황, 학생의 자유로운 선택권 여부 등을 기준으로 분석하였고, 그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자율과정으로 배정된 64단위를 기초과정과 탐구과정에 집중적으로 배정하였고, 인문사회과정 경우는 국어와 사회교과에, 자연공학과정 경우에는 수학과 과학교과에 높은 비중을 두고 편성하였다. 둘째, 대부분 학교에서 ‘사회’, ‘한국사’, ‘도덕’과목을 1학년에 개설·운영하고 있었고, 2-3학년에는 나머지 선택과목을 중심으로 편성하고 있었다. 특히 4개 영역(일반사회, 역사, 지리, 윤리) 중에서 영역별 1개 과목을 필수과목으로 지정해 놓고 나머지 과목들 중에서 학생들에게 선택권을 부여하고 있었다. 셋째, 대부분 학교에서 1학년에서 사회, 한국사, 도덕 과목이 집중 이수제로 운영되고 있었고, 2-3학년 과정에서도 여러 선택과목들이 집중 이수제로 편성?운영되고 있었다. 넷째, 인문과정의 경우, 학생들의 과목 선택권이 실질적으로 보장되고 있었으나 자연과정의 경우에는 ‘사회’, ‘도덕’, ‘한국사’과목 이외에는 선택권이 제대로 보장되고 있지 않았다. 주요 쟁점으로는 사회교과의 이수 단위 설정, 사회과교사의 수급관계와 학생 선택권 보장의 관계, 선택과목 간의 위계 문제, 사회과 관련 교과교사들 간의 의견 조율 문제, 집중이수제 운영의 효과성 문제가 논의되었고, 사회과의 위기를 극복할 수 있는 대안으로 사회과 중점학교 교육과정편성을 제시하였다. 크게 영역별 집중 이수과정과 학생 선택 중심 과정의 사회과 교육과정 특성화 모형이 제시되었다.

      • KCI등재

        런던폭동에 대한 한국인의 반응과 다문화교육의 방향

        황갑진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2013 사회과교육연구 Vol.20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opinions on the internet of the London riots and to suggest the direction of multicultural education in Korea. For this purpose, this paper, firstly, reviews cases of ethnic conflict in multicultural nations, specifically the characteristics of the London riots in 2011. Second, this paper attempts to analyze opinions of koreans on the internet about the London riots, and to suggest the direction for the new multicultural education in Korea.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analysis, multicultural consciousness appeared on internet in relation to the London riots is very negative, contrary to different survey results. People more than 50% show negative thinking about multicultural society. And most of people tend to think that multicultural conflicts are associated with the socio-economic problems. Meanwhile, some people recognize that multicultural conflicts are related to poverty culture. Particularly, most people think immigrant labour negatively as competitors of korean labour in the debate. On the basis of these results, multicultural education should be necessary to include the contents of immigrant labor as well as of international marriage family. In addition this, multicultural education needs to include debate-based education on the issues of the value and knowledge embedded in multicultural phenomenon that reflect reality of korean society. 현대사회에서 다문화사회의 인종 간 갈등은 증대하고, 한국은 매우 빠르게 다문화사회로 변화하고 있다. 그래서 본 연구는 2011년 8월에 일어난 런던폭동에 대한 인터넷에서의 논의들을 중심으로 한국인의 다문화사회에 대한 의식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다문화교육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런던폭동과 관련하여 인터넷에 나타난 한국인의 다문화에 대한 의식은 매우 부정적이다. 다문화 의식에 대한 다른 조사들과는 달리 의견 제시자의 절반이 넘는 사람들이 다문화사회에 대해 반대하는 의견을 제시하고 있다. 그리고 대부분의 사람들은 다문화사회의 갈등을 그 사회의 사회·경제적 차별 문제들과 연관시켜 인식하고 있다. 특히 한국의 다문화사회에 대한 토론에서는 대부분의 사람들이 이주노동자를 일반 노동자들과 경제적 경쟁자로 인식하고 이들에 대해 부정적인 태도를 보이고 있다. 이러한 점들을 고려할 때 현재 한국의 다문화교육은 국제결혼자의 다문화가정 중심에서 이주노동자와 그들의 가정을 포함한 다문화교육으로 확대되어야 한다. 그리고 다문화교육은 현실적 기반에 기초한 상호이해적 방법을 통해 사회통합과 세계시민교육을 지향하는 목표를 명확히 하고, 다문화사회의 갈등 현황과 원인들의 이해를 위한 지식교육과 다문화사회의 갈등 해결을 위한 토론교육을 포함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동남아시아 사회과 교과서의 한국 인식코드

        안지영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2013 사회과교육연구 Vol.20 No.3

        최근 한류열풍이 불고 있는 동남아시아 지역의 사회과 교과서 분석을 통해 나타난 한국 인식코드를 알아보았다. 첫째, 싱가포르 사회과 교과서에 나타난 한국 인식코드는 1980년대 ‘중국 속국’, ‘전쟁’, 1990년대와 2000년대는 ‘한국전쟁’으로, ‘한국전쟁’이라는 강한 부정적 인식코드만이 존재한다. 둘째, 말레이시아 사회과 교과서에 나타난 한국 인식코드는 1980년대 ‘미국 원조’, 1990년대 ‘새마을 운동’과 ‘페낭대교’, 2000년대 ‘기아와 나자모티브 모터스’, ‘삼성과 현대’이다. 이와 같은 한국 인식코드는 말레이시아가 한국을 선진 공업국이자 기술 전수국으로 인식하고 있음을 반증한다. 셋째, 인도네시아 사회과 교과서의 한국 인식코드는 1980년대 ‘중·일의 속국’, 1990년대 ‘아시아의 호랑이’, ‘한국전쟁’, 2000년대 ‘중·일의 속국’, ‘한국전쟁’, ‘아시아의 호랑이’로 한국을 인식하는 단 세 개의 인식코드가 시기에 상관없이 일관되게 나타난다. 넷째, 베트남 사회과 교과서의 한국 인식코드는 1990년대 ‘신흥공업국’, 2000년대 ‘신흥공업국’, ‘베트남전’이다. 베트남은 ‘신흥공업국’이라는 한국 인식코드를 통해 한국을 베트남이 추진하고 있는 경제·개혁개방 정책의 경제발전 모델이자, 반면교사(反面敎師)의 대상으로 인식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다섯째, 필리핀 사회과 교과서의 한국 인식코드는 분석대상국 중에서 가장 많고 다양하다. 따라서 한 분야에서도 긍정과 부정의 여러 개의 한국 인식코드가 혼재되어 나타난다. 그러나 필리핀 교과서의 한국 인식코드가 다른 동남아시아 국가와 비교해 나타나는 가장 큰 차이점은 ‘기독교’와 ‘한국 문화’ 인식코드가 강하게 나타난다는 점이다. 먼저 ‘군인과 기독교’, ‘여의도 순복음 교회’, ‘한명숙 총리’ 등과 같은 한국 인식코드는 기독교가 한국사회 전반, 즉 한국의 경제발전, 양성평등, 여성인권 제고 등에 미친 영향에 대해 강조하고 있다. 다음으로 ‘한글’, ‘청자’, ‘첨성대’, ‘팔만대장경’, ‘한류’ 등의 문화 인식코드는 필리핀 교과서에서 한국을 고대부터 현재까지 전통문화와 과학기술, 문화적 파워를 지닌 국가로 인식하고 있음을 나타낸다. 여섯째, 태국 사회과 교과서에 나타난 한국 인식코드는 1980년대 ‘중·일 식민지’, ‘한국 전쟁’, 1990년대 ‘독립운동’, ‘한국전쟁’, 2000년대 ‘한국전쟁’, ‘선진공업국’, ‘한류’, ‘한복’, ‘김치’, ‘태권도’, ‘세계문화유산’이다. 이는 1980년대와 1990년대 태국이 한국을 “한국 = 한국전쟁”, “한국 = 신흥공업국”이라 인식했다면, 2000년대에는 “한국 = 한류”이라는 한국을 이해하는 또 하나의 새로운 축이 만들어졌고, ‘한국의 복식문화’, ‘한국의 식문화’, ‘한국의 세계문화’로 개념을 파생·확산시켜 가고 있음을 나타낸다. 상술한 바와 같은 동남아시아 사회과 교과서에 나타난 한국 인식코드를 통해 동일 권역권이라도 해당국가의 대외관계 변화, 해당국가 처한 정치·경제·사회 등의 다양한 변화요인에 의해 한국 인식코드는 변화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최근에 동남아시아 사회과 교과서에 나타나 ‘한국 = 첨성대’, ‘한국 = 꽃 보다 남자’, ‘한국 = 불고기’ 등의 새로운 한국 인식코드를 통해 동남아시아 국가들이 한국을 바라보는 시각이 기존의 한국전쟁에서 경제성장을 이룬 신흥공업국에서 세... This study looks into the perception codes of Korea present in social studies textbooks in Southeast Asia where the so-called Korean Wave or Hanryu is sweeping across the region. Perception codes of Korea present in social studies textbooks in Singapore are strongly negative. Korea is synonymous with ‘subject country to China’ and ‘war’ in textbooks in the 1980s and ‘Korean War’ in textbooks in the 1990s onwards. Perception codes of Korea in Malaysian textbooks include ‘aid from US’ in the 1980s, ‘New Village Movement’ and ‘Penang Bridge’ in the 1990s, ‘Kia and Kia and Najamotiv Motors’ and ‘Samsung and Hyundai’ after 2000. This tells that Korea is perceived as an advanced industrial country that transfers its technologies in Malaysia. Perception codes of Korea in Indonesian textbooks include ‘subject country to China and Japan’ in the 1980s, ‘Tiger of Asia’ and the ‘Korean War’ in the 1990s, ‘subject country to China and Japan’, ‘Korean War’ and ‘Tiger of Asia’ after 2000. They are pretty consistent in Indonesia as demonstrated in the same codes repeatedly used in the textbooks throughout the decades. Social studies textbooks in Vietnam use such perception codes of Korea as ‘emerging industrial country’ in the 1990s and ‘emerging industrial country’ and the ‘Vietnam War’ after 2000. Its perception of Korea as an emerging industrial country clearly shows that Korea is Vietnam’s role model in spearheading its economic opening and reform initiatives. Perception codes of Korea in Philippines’ social studies textbooks are most varied among other countries in Southeast Asia with positive and negative ones mixed together. What starkly differentiates social studies textbooks in the Philippines from other countries in the region is that it uses such codes like ‘Christianity’ and the ‘Korean culture’ to perceive Korea. Words such as ‘military officers and Christianity’, ‘Yoido Full Gospel Church’ and ‘Prime Minister Han Myungsook’ emphasizes the degree of impact Christianity had on the overall Korean society and particularly on Korea’s economic development, gender equality and human rights of women. Words like ‘Hangeul’, ‘Chungja’, ‘Cheomsungdae’, ‘Palmandaejangkyung’ and ‘Hanryu’ in the textbooks is a demonstration of how Korea is perceived as a country rich in traditional and contemporary culture, advanced in science and technology from a long time ago. Social studies textbooks in Thailand use codes like ‘colonial rule under China and Japan’, the ‘Korean War’ in the 1980s, ‘Independence Movement’, ‘Korean War’ in the 1990s, ‘Korean War’, ‘advanced industrial country’, ‘Hanryu’, ‘Hanbok’, ‘Kimchi’, ‘Taekwondo’ and ‘World Cultural Heritage’ after 2000 to perceive Korea. Thailand started to associate Korea with Hanryu from 2000, which is a big departure from its perceptions in the 1980s and 1990s, and tried to expand its concept as viewed by Thailand to ‘Korea’s fashion culture’, ‘Korea’s food culture’ and ‘Korea’s global culture’. As described above, perception codes of Korea in countries in Southeast Asia are bound to vary depending on their relations with Korea and changes in their political, economic and social conditions even though they are all located in the same regional boundary. New perception codes of Korea in social studies textbooks in Southeast Asia such as ‘Korea=Cheomsungdae’, ‘Korea=Boys over flowers’ and ‘Korea=Bulgogi’ are a vivid proof that Korea is seen as one of the countries developing and driving global cultural contents beyond mere an emerging industrial country that achieved phenomenal economic growth after the end of the Korean War.

      • KCI등재

        초등 사회과 교과서 연구의 동향 분석

        홍미화,곽혜송,정태호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2021 사회과교육연구 Vol.28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rends and characteristics of research on textbooks in elementary social studies and to suggest directions and tasks for the research. The research literatures were classified into four categories in this study: recognition and utilization of textbooks, composition system of textbooks, content analysis of textbooks, and development and writing of textbook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first, there is a lack of research that deals with students’ understanding and textbook writers’ recognition of textbooks. Second, there are no follow-up studies that reflect and evaluate the findings in textbook research. Third, there is a lack of research on other textbooks such as the atlas and local textbook. The results suggest the need for research on the recognition and utilization of textbooks by various subjects related to social studies textbooks and retrospective research which evaluates whether tasks proposed in each study are really reflected in improving social studies textbooks.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 사회과 교과서 연구의 동향과 특징을 파악하고, 앞으로의 사회과 교과서 연구의 방향과 과제를 제안하는 데 있다. 본 연구에서는 수집한 연구물을 첫째, 교과서 인식 및 활용 연구, 둘째, 교과서 구성 체제 연구, 셋째, 교과서 내용 분석 연구, 넷째, 교과서 개발 및 집필 연구 등 네 가지로 범주화하고, 각 유형에 따른 초등 사회과 교과서 연구의 동향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사회과 교과서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활용에 관한 연구에 비해 학생들의 교과서 인식이나 교과서 집필진의 인식 등을 다루는 연구는 부족하다. 둘째, 사회과 교과서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을 제시한 연구는 다수임에도 불구하고, 연구 결과를 교과서 개발과 연구에 반영하고 평가하는 후속 연구는 부재하다. 셋째, 사회과 수업에 활용되는 교과용 도서 중에서 사회 교과서에 관한 연구 비중은 매우 높은 반면, 이를 지원하는 사회과 부도나 지역화 교과서 등에 대한 연구의 비중은 낮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사회과 교과서와 관련된 다양한 교육 주체의 교과서 인식과 활용 관련 연구, 각 연구에서 제안한 과제가 사회과 교과서 개선에 실제로 반영되었는가를 평가하는 후향적 방식의 교과서 연구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 KCI등재후보

        2007개정 사회과 지역교과서 쓰기에 대한 체험적 연구

        홍미화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2009 사회과교육연구 Vol.16 No.3

        This study describes and construes a development process of the regional textbooks named Regional Investigation, which is designed for the 4th grade according to the author? experience of developing textbooks. The primary goal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that the revised social studies curriculum will have on the authors and readers of the textbooks, as well as how they interpret the curriculum. And the secondary purpose is to search for better ways to design a curriculum based less on traditional, familiar research and more on practical, real-life issues and problems. This study has found out the authors of the regional textbooks have their own values of social studies and instruction, and these values exhibit many conflicts in the processes of textbook development and curriculum interpretation. Completing a textbook is a complicated process which requires active participation in voicing the authors?viewpoints. The viewpoints encompass the comprehension of social studies classes and textbook interpretation. Difficult problems have been shown from the regional textbook process of development : conformity between the textbooks and curriculum, establishing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tudies textbooks and regional textbooks, the conflict of opinions on the concepts related to the subject of social studies and the innate connection between the textbooks. 본고는 2007개정 사회과 교육과정에 따른 국정 사회교과서 연구 개발과 동시에 진행된 4학년 1학기 사회과탐구 일명 지역교과서의 개발 과정을 연구자의 교과서쓰기 체험에 비추어 수직적, 수평적으로 기술·해석한 글이다. 본 연구의 일차적 목적은 2007개정 사회과 교육과정이 교과서 저자에게 어떤 영향을 미치며 어떤 의미로 재해석되는 지를 살펴보는 데 있다. 또한 이차적 목적은 교과서쓰기 체험을 구체적으로 드러냄으로서 기존의 교육과정과 교과서 연구의 한계를 극복하고자 함에 있다. 본 연구를 통하여 지역교과서 저자들은 교과서 쓰기 과정을 통하여 자신의 교과서관, 수업관을 다양하게 드러내고 있었으며, 이 같은 관점의 차이로 저자들은 원고 집필 과정 내내 교육과정해석, 교과서에 대한 의미 이해, 지역교과서 집필 지침 설정 문제, 교과서 내용 선정 문제 등에서 많은 갈등을 표출하였다. 교과서를 쓴다는 것은 단지 지침에 따라 교과서 내용을 선정하는 문제이기보다는 사회과 교육과정 해석에서 수업 실천에 이르는 전 과정에 존재하는 개인의 관점을 공론화하여 교육과정 개발에 적극 참여하는 일, 즉 교육과정과 수업을 동시에 이해하는 과정과 깊이 관계된다. 본 과정 연구에서 밝혀진 난제는 첫째, 사회과 교육과정과 교과서의 정합성 문제, 둘째, 교과서와 지역교과서의 관계 설정 문제, 셋째, 교육과정과 교과서, 지역교과서에 나타나는 개념과 원리에 대한 저자 간의 조정과 합의 문제, 넷째, 집필진과 연구진, 심의진 등 교과서 개발진 전체의 교과서 개발과정 공유 문제, 다섯째, 각 저자의 집필 원고 내용 간의 유기적 연계 문제로 나타났다.

      • KCI등재후보

        『사회과 교과서 연구』의 동향 분석

        유종열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2006 사회과교육연구 Vol.13 No.4

        Analysis on Tendency in Research into Social Studies Textbook 》본 연구는 사회과 교과서 연구를 메타적으로 조망하고, 사회과 교과서의 연구 동향을 거시적으로 분석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두 가지의 연구 문제를 설정하고 기존 연구들을 정리하였다. 먼저, 사회과 교과서 분석 연구의 구조와 쟁점에 대한 논의를 통해 본 연구에서 수행한 분석 기준과 틀을 구안하였다. 다음으로 앞의 분석틀을 활용하여 그동안 이루어진 사회과 교과서에 대한 연구들을 종합하고 정리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교육학술정보원(RISS)와 한국교원대학교의 전자도서관, 그리고 두 개의 사회과교육학회의 홈페이지 자료실을 이용하여 253편의 논문을 분석 대상 논문으로 선정하였다. 선정된 논문들을 분석한 결과, 먼저, 분석 영역에 있어서는 내용 분석, 교재 구성 및 개발, 교재활용 및 인식, 교과서 정책과 개발에 관한 연구의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문 영역별로는 일반사회 영역이 가장 많았으며, 역사, 지리의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사회과 교과서 연구에서 다루어진 주제들에 있어서는 사회문제, 민주시민, 이데올로기 순으로 나타났다. 넷째, 비교 연구의 비율이 1995년 이후 급격히 늘어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다섯째, 연구 방법에 있어서는 양적인 연구 방법과 질적인 연구 방법을 병행한 연구가 가장 많았으며, 질적인 연구방법, 양적인 연구방법 순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학습 자료에 초점을 맞춘 연구들이 증가하고 있었다. 이러한 분석 결과는 사회과 교과서의 재구성과 재구조화, 그리고 사회과 교과서의 활용과 인식에 대한 연구가 더욱 강화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해 주는 것이며, 사회과 교과서 연구에 있어 일반적이고 거시적인 연구 문제뿐만 아니라 특수하고 미시적인 연구 문제에 대해서도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있음을 알려주는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