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Effect of GIS-integrated Lessons on Spatial Thinking Abilities and Geographical Skills

        Bo Ae Chun(전보애) 대한지리학회 2010 대한지리학회지 Vol.45 No.6

        본 연구는 GIS를 활용한 수업이 공간적 사고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담화분석방법과 사례연구를 통해서 살펴보고자 한다. 분석에 사용된 자료는 6회에 걸친 GIS활용 수업에서 학생들이 주고 받는 대화를 녹취하여 수집하였다. 개별 학생들의‘발화가 수행하는 행위’(언어학의 화행론상의 행위, 담화분석의 최소단위)를 확인하고, 이를 다시 담화의 내용을 기준으로 공간적 사고 및 지리적 기능으로 분류하였다. 담화분석을 통한 실증적 연구 결과, 학생들은 주로 저차 공간적 사고능력을 지니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그 다음으로 중간 정도의 공간적 사고능력을 보였으며, GIS를 활용한 수업에 참여하는 동안 공간적 사고를 나타내는 적절한 용어를 생성하였다. 본 연구가 진행된 것이 지리수업이 아니라 환경과 관련한 생물 수업이었음을 감안한다면, 학생들의 공간적 사고가 GIS를 활용한 수업의 결과임을 반영한다고 볼 수 있다. 이는 앞으로 학생들의 공간적 사고를 향상시키는 새로운 도구로서 GIS를 활용한 수업과 지리교육에 함의하는 바가 크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 of GIS-integrated lessons on spatial thinking abilities and geographical skills using discourse analysis along with a comparative three-case case study method. A series of curricula were designed and implemented in an 8th grade classroom for a semester. The data collected consist of the dialogue transcripts of six consecutive GIS-integrated lessons. The transcripts were analyzed to identify the moves (speech acts) used by each student and to classify discourse content of spatial thinking and geographical skills. Based on three individual case studies, a cross-case study was performed to uncover any relationship between the phenomenon and the contexts. The empirical evidence from discourse analysis demonstrated that students were able to generate appropriate terms representative of spatial thinking and geographical skills although students appeared to possess primarily lower-order spatial abilities, followed by a moderate-level of spatial abilities. Considering that the unit was implemented in a biology class rather than a geography class the result reflected the fact that the student’s spatial thinking and geographical skills were attributable to the GIS-integrated lessons. Thus, the results have a great implication for GIS-integrated lessons and geography education as an innovative tool for improving student’s spatial thinking and geographical skills.

      • KCI등재

        이미지 카드를 활용한 게이미피케이션이 학습동기에 미치는 영향

        전보애 ( Chun¸ Bo Ae ) 한국사진지리학회 2021 한국사진지리학회지 Vol.31 No.3

        본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교 통합사회 행복단원에 이미지 카드를 활용한 게이미피케이션 수업을 적용하고, 그 효과성을 검증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준실험설계로 진행하였고, 게이미피케이션 수업을 적용한 실험군과 교사의 설명으로 대신한 대조군의 학습동기 검사 사전 및 사후 비교를 통해 학습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실험군과 대조군의 학습동기 사전 및 사후검사 점수를 대응표본 t-검증을 통해 분석한 결과, 실험군의 학습동기 점수가 대조군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향상된 것을 확인하였다. 둘째, 그룹인터뷰 결과를 분석한 결과 학습동기가 높을수록 학생들의 주의력, 관련성, 자신감, 만족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게이미피케이션의 효과는 대체로 긍정적인 반응이었고, 예기치 않은 보상이나 기부/선물의 기쁨과 같은 이타주의가 학습동기의 자신감과 만족감을 높이는 요소로 관찰되었다. 이미지 카드의 효과는 긍정적인 반응과 부정적인 반응이 함께 존재했고, 비주얼 리터러시와 관련하여 교사의 적절한 피드백이 필요함을 시사하였다. The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motivation and to discover students’ responses toward both strategies in gamification and image cards on the “Happiness” unit in the 10th grader Integrated Social Studies class. This study employed a quasi-experimental research design which involved two classes, grouped into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The experimental group received image cards gamification intervention, while the control group received the teacher’s explanation session. The results showed that the experimental group’s motivation score and subcategories were improved significantly according to the paired t-test, while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the p re-and post-test of the control group. Also, the findings from the student group interviews are as follows. First, the stude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admitted that the higher the learning motivation, the greater the students’ attention, relevance, confidence, and satisfaction. Secondly, the effect of gamification was generally positive, and altruism, such as unexpected rewards or the joy of donation/gift, was observed as a factor that increases the confidence and satisfaction of learning motivation. The effect of the image card had both positive and negative responses, suggesting the need for appropriate feedback from the teacher about visual literacy.

      • KCI등재

        2015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고등학교 한국지리, 세계지리, 여행지리 교수 · 학습자료 개발 과정에 대한 논의

        전보애 ( Bo Ae Chun ),길현주 ( Hyun Joo Ghil ),김민숙 ( Minsuk Kim ),김인철 ( Incheol Kim ),범영우 ( Yeongwoo Beom ),서지연 ( Jiyeon Seo ),성정원 ( Jeongwon Seong ),오태훈 ( Tae-hun Oh ),이윤구 ( Yungu Lee ),채나미 ( Nami Chae ),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2018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Vol.26 No.2

        본 연구에서는 2015 개정 교육과정 고등학교 사회과 교수·학습자료 『한국지리, 세계지리, 여행지리』의 개발 및 검토 과정을 분석하였다. 『한국지리, 세계지리, 여행지리』는 2015 개정 지리 교육과정의 학교 현장 안착을 위한 교수·학습자료의 사례를 제시하려는 목적으로 개발되었다. 따라서 개발 및 검토 과정의 분석은 『한국지리, 세계지리, 여행지리』가 교수·학습자료로서 갖는 의미와 가능성에 대한 이해를 제고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궁극적으로는 지리교육 분야의 교수·학습자료 개발 및 운영과 관련된 의미있는 논의를 제공하리라고 기대된다. 개발과정에서는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중점 사항이자 특징이기도 한 교과역량 및 기능의 교육적 실천, 교수·학습과정과 연계된 과정중심 평가, 학생 참여에 토대한 활동 중심의 교수·학습 등을 위한 자료를 구성하는데 주안점을 두었다. 그리고 현장적합성 제고를 위해 현장적합성 검토, 교실 수업 적용 등과 같은 검토를 거쳤다. 검토결과 『한국지리, 세계지리, 여행지리』는 성취기준과 교과역량에 대한 분명한 안내를 토대로 활동 중심의 수업 실천, 과정 중심의 평가 등을 가능케 하여 궁극적으로는 교실 수업의 발전적 변화에 기여할 가능성을 가지는 교수·학습자료라고 평가받았다. 이와 더불어 활동량이나 수업 시수 조정, 지리 현상과 관련된 다양한 인문지리적·자연지리적 요인들 간의 관련성에 대한 고찰의 필요성 등과 같은 지적사항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같은 결과는 교육과정 교수·학습자료 개발 및 활용과 관련된 의미있는 시사점을 제공한다. 첫째, 교수·학습자료는 교수활동이나 학습활동에 활용되는 자료 뿐만 아니라 평가를 위한 자료까지도 아울러야 한다는 인식을 분명하게 할 필요가 있다. 둘째, 교육과정 교수·학습자료상에는 자료 자체는 물론 그것을 어떻게 활용할 것인가에 대한 안내도 충분히 제시되어야 한다. 셋째, 역량중심 교육과정 교수·학습자료가 적절히 개발 및 활용되려면 교과역량 및 기능에 대한 충분한 분석과 검토가 선행되어야 한다. 넷째, 지리 교수·학습자료는 복잡다양한 인문지리적·자연지리적 요인과 맥락에 대한 충분한 검토를 바탕으로 개발되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한국지리, 세계지리, 여행지리』는 예시적인 자료집의 성격을 갖는만큼, 2015 개정 지리 교육과정의 보다 효과적인 학교 현장 안착 및 개선을 위해서 교육과정 교수·학습자료의 개발 및 활용에 관한 후속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질 필요성을 제안해 본다. This study analyzed the development, revision, and supplemental processes involved in the creation of curriculum materials for the high school social studies of the 2015 National Revised Curriculum, Korea Geography, World Geography, and Travel Geography. Korea Geography, World Geography, and Travel Geography was created to provide the examples of curriculum materials necessary for the successful practice of the 2015 National Revised Curriculum. Therefore the results of this study possibly provide meaningful discussions about the development and use of geography curriculum materials as well as the potential of Korea Geography, World Geography, and Travel Geography. The characteristics of the 2015 National Revised Curriculum, including the adoption of the concept of competence, student-centered learning,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and assessment improvements, were emphasized in the development process. Several revisions and supplemental processes were followed to refine and enhance the quality of educational materials. These processes suggested that Korea Geography, World Geography, and Travel Geography has meaningful possibilities for contribution to the effective enhancement of South Korean geography education. Further ideas, such as considerations for optimizing the volume of contents/ activities and diverse geographic contexts, were also proposed. These results show several meaningful discussions toward the development and use of curriculum materials as follows: First, curriculum developers and teachers should recognize that the concept of curriculum and educational materials are not limited to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ies but encompass assessment processes. Second, curriculum materials ought to provide guidance as to their use in class. Third, the meaning and characteristics of the competencies should be deeply analyzed and understood before the development and use of competencybased curriculum materials. Fourth, consideration of diverse geographic factors and contexts are essential for creating geography educational materials. Additionally, Korea Geography, World Geography, and Travel Geography is a collection of geography curriculum materials for the 2015 National Revised Curriculum. Follow-up researches on the development and use of geography curriculum materials can meaningfully contribute to the successful development of the 2015 National Revised Curriculum.

      • KCI등재

        “그냥” 영토교육과 “새로운” 영토교육 - 통합적 영토교육 모형과 디지털스토리텔링맵의 구현 -

        전보애 ( Bo Ae Chun )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2016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Vol.24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첫째, 국내외 문헌연구 및 중등 교육과정 분석을 통해 영토교육의 내용을 재구성하고 그 범위와 순서를 체계적으로 연구하여 바람직한 영토교육의 모형을 제시하는 것이다. 즉, 통합적 영토교육의 모형을 제시하기 위해 일차원적인 시각을 벗어나 접근방법, 스케일(범위), 학습의 영역이라는 세 가지 측면에서 입체적인 시도를 하였다. 둘째, 최근 들어 많은 관심을 받고 있는 공간정보기술과 위치기반서비스를 지원하는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 등 다양한 ICT기술을 영토교육에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방안을 모색하고, 디지털스토리텔링맵(Digital Storytelling Map)이라는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궁극적으로는 통합적 영토교육 모형 및 디지털스토리텔링맵의 구현이 영토 및 영토교육에 대한 인식의 변화에 미친 효과성을 양적, 질적 분석을 통해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 학생들의 설문조사, 심층면접 및 관찰일지를 통한 분석결과, 학생들은 인지적 영역에 국한되거나 국토애에만 기대는 기존의 영토교육을 “그냥” 영토교육으로 인식하였고, 본 연구에서 제안한 영토교육을 “새로운” 영토교육으로, 영토를 단순한 장소가 아니라 배움터, 삶터, 발판 등과 같은 영토정체성이 체화된 형태로 받아들이고 있어 영토 및 영토교육에 대한 인식의 변화를 살필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영토정체성을 구성하는 다양한 스펙트럼을 규명하였고, 이러한 연구결과는 바람직한 영토정체성을 지닌 민주시민을 양성하는데 유용한 기초자료로 사용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wofold. First, this study will propose a model for territorial education by exploring the sequence and the scope of the national curriculum and related literatures. Based on this, an integrated model for territorial education is developed in terms of multi-dimension of scale, domain of learning, and approach to territorial education. Second purpose of this study is develop a conceptual model of digital storytelling map, which allows pupils to investigate authentic problem actively by using various geospatial technologies and ICT(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such as Location-based Services and Mobile applications. Furthermore, this research represents an attempt to test the effectiveness of the proposed territorial education model and digital storytelling map on the pupil`s territorial identity by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data analysis. Results from survey, in-depth interview, and field notes, pupils recognized the traditional territorial education which focused on memorizing knowledge or patriotism through territorial attachment as “not so hot” territorial education. On the contrary, pupils are aware of the “inventive” territorial education, which shows their changed perception about territory from simple place to “home”, “foothold”, and “stepping stone.”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e sense that it is to advance understanding of a variety of spectrum of territorial identity and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to foster citizens-to-be who stand his/her ground on a desirable attitude toward territory.

      • KCI등재

        지리적 탐구방법과 통합된 봉사학습: 지역사회중심 환경교육의 실행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전보애 ( Bo Ae Chun )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2010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Vol.18 No.3

        본 연구는 지리적 탐구방법과 지리정보시스템(GIS)을 통합한 미국의 한 봉사학습 프로그램인 EEGISC를 소개하고, 그 프로그램의 실행 효과를 평가, 분석하였다. GIS을 활용한 지역사회중심 환경교육 프로젝트에 참여하는 동안, 학생들은 수질을 조사하고, 토지이용 변화를 분석하는 등 실제 과학자들이 하는 것과 같은 연구 활동을 경험하고, 대학의 연구자 및 자기가 살고 있는 지역의 시설관리과의 전문가들과 긴밀하게 협력하고, 도시계획과정에 참여하는 기회를 가졌다. 또한, 지역사회의 여러 지원체제를 개발하고, 환경에 대한 이해를 넓힐 뿐 아니라 자신들의 목소리가 실제로 반영되는 경험을 하였다. 본 연구는 첫째, 국내에서 다소 생소한 개념인 봉사학습을 소개하고, 유사개념들과의 차이점을 비교할 뿐 아니라 국내외의 현황과 문헌검토를 통해 지리환경교육에의 접목 가능성과 필요성에 대해 고찰하였다. 둘째, EEGISC의 목표, 참여한 지역사회, 교육실무자, 교육과정 활동 등을 구체적으로 소개함으로써 향후 봉사학습을 한국의 지리환경교육에 도입할 때 도움이 될 하나의 모델로서 제시하고자 하였다. 세째, 학생들의 학습 및 프로젝트의 평가와 관련하여 다양한 시각들을 보다 심도 있게 관찰하기 위해 사용된 질적 연구방법에 대해 기술하고, 그 실증적 효과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학생들의 학습, GIS를 활용한 지리적 탐구방법, 지역사회중심 환경교육, 봉사학습에 초점을 두고 뉴욕주 앰허스트시의 중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발견한 결과를 검토하였다. Student scientists learned how they could become involved in the town planning process while participating in a project, "Environmental Education with GIS within Community (EEGISC)" to monitor water quality and analyze land use changes based on strong consortium with University and Town. By involving students in this process and developing strong community support, students deepened their understanding and respect for the environment while gaining the sense of empowerment that their voice counts. This article introduces the EEGISC project including the mission and goals, a description of the community and education providers involved, and examples of activities. It describes the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used to document diverse perspectives, issues, suggestions related to student``s learning and evaluation of the project. The article also highlights its findings from a study with local middle school students in Amherst, New York. Particular emphasis is placed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student``s investigation, their learning based on the geographic inquiry and GIS in community-based environmental education, and service-learning.

      • KCI등재

        공간정보기술을 활용한 영토교육 모형의 개발과 적용 -창의적 체험활동을 중심으로-

        전보애 ( Bo Ae Chun ) 한국사진지리학회 2014 한국사진지리학회지 Vol.24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창의학술동아리를 통한 영토교육 수업활동의 개발과 적용 과정을 기술하는 것이다. 독도를 하나의 사례로 접근하여 보다 총체적인 영토교육의 수업모델을 제시하기 위한 방법을 구안하였고, 12회차에 걸친수업활동을 개발하고 실제 교실에 적용하였다. 본 연구는 강원도의 한 고등학교 창의학술동아리 학생들을 대상으로 영토교육을 통합적인 시각에서 접근할 수 있도록 돕고, 학생들이 주도적으로 과제를 해결하는 수업활동을 개발하여 한 학기동안 학습공동체를 운영한 것을 바탕으로 하였다. 또한 본 연구는 수업활동을 통해 학생들이 경험한 학습의 성과를 영토정체성에 대한 인식의 변화라는 관점에서 실증적으로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학생들이 그린 스케치맵을 사전-사후 검사의 방법으로 비교하고, 수업활동이 끝난 후 실시한 심층 면담을 질적 연구방법을 통해 분석하고 그 결과를 논의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독도를 영토교육의 중요한 사례 지역으로 정하고, 지리교과를 중심으로 다른 교과와 연계한 범교과적 창의학술동아리라는 새로운 접근방법을 시도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공간정보기술을 활용한 프로젝트형 수업활동을 개발하였다는 점에서 향후 유사한 형태의 수업 사례를 개발하려는 학교나교사에게 유용한 지침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aims to develope an integrated model for territorial education in the creative hands-on activity focused on students`` club activities and to apply geospatial technology as an alternative method to teach territory. The present study is based on a semester-long program which is designed to help a high school students’ club in Gangwon province approach to territorial issues and Dokdo education in a wholistic way. This study also intends to determine its effectiveness by applying a developed curriculum to a real classroom and to discuss the results in terms of qualitative data analysis by comparing students’ pre- and post-sketch maps and in-depth interviews.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e sense that it sets Dokdo as an exemplary study area and integrates geography with other subjects as a form of creative hands-on activities. In the course of this study, the recent emphasis on geospatial technology in geography education can serve as a momentum to open new horizons in the territorial education. In particular, a proposed model of territorial education can be expected to enhance pupil``s understanding of territorial identity.

      • KCI등재

        중학생의 영토정체성에 관한 연구 : 스케치맵에 나타난 영토, 국경, 이웃한 나라에 대한 인식을 바탕으로

        전보애(Bo Ae Chun) 대한지리학회 2012 대한지리학회지 Vol.47 No.6

        본 연구는 탈영토화 시대의 영토교육을 위한 기초자료로써 학생들의 영토 인식을 이해하고 진단하는 데 목적이 있다. 학생들이 그린 스케치맵을 통해 영토의 형태와 국경, 지리적 위치, 그리고 국경을 마주하고 있는 국가들에 대한 인식이 어떻게 나타나는 지 알아 보았다. 또한, 북한과 DMZ, 독도에 대한 인식을 통해 다른 국가나 우리나라에 대한 가치, 태도, 감정이 간접적으로 어떻게 영토지도에 표현되었는지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기존의 연구들과 달리 스케치맵과 사후 인터뷰를 통한 정성적인 분석방법을 채택하였다. 스케치맵 방식은 학생들이 영토에 대한 자신의 생각을 자유롭게 표현하도록 함으로써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는 방식보다 영토정체성에 대한 맥락과 담론을 보다 풍부하게 제공한다. 이를 통해 67개의 코드와 626개의 인용구를 포함한 코드리스트를 추출하였다. 정성적 분석에서 도출한 변인들 간의 상관관계나 학생들의 성적과의 비교 분석을 위해 SPSS를 이용한 정량적인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를 토대로 지리교육의 영역에서 바람직한 영토교육의 모형과 교수-학습 자료의 개발을 위한 논의를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and better understand student’s perception of territory in the deterritorialized world. Students’ sketch maps were analyzed to investigate the way of which they recognized the form of national territory, border, geographic location, and neighboring countries. In addition, students’ values, attitudes, and affection for their homeland and other countries were observed through the awareness of North Korea, DMZ, and Dok-do island. Scrutinizing students’ sketch maps and follow-up interviews provided much more in-depth context for understanding students’ narratives about territorial identity than did the analysis of structured surveys since they can freely draw and sketch their cognition. A qualitative data analysis builded a code list with 67 codes generated from 626 quotations. These data were exported to CSV format to elicit and evaluate differential variances of territorial identity along with student’s Social Studies score and Grade Point Average for inferential statistics and quantitative data analysis using SPSS. Based on the results of data analysis and discussion, some suggestions to build a model of territorial education and to develop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in the domain of geography education were provided.

      • KCI우수등재

        Integrating GIS with Geographic and Environmental Education into K-12

        Bo Ae Chun(전보애),Ilyoung Hong(홍일영) 대한지리학회 2007 대한지리학회지 Vol.42 No.2

        지리학은 오랫동안 자연과학과 인문과학을 연결하는 역할을 수행해왔기에 학문 간의 통합적 시각으로서의 특징을 갖는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지리학의 통합학문으로서의 역할에 기초하여 환경교육에 접근하는 통합교육과정의 효과를 먼저 고찰하고자 한다. 이를 바탕으로, “에잇틴마일 크릭의 환경 연구”라는 제목으로 8학년을 위한 일곱 차례의 90분간 수업을 위한 수업 안을 구성하였다. GIS는 지리환경교육을 보다 학습자 중심의 교육으로, 보다 적극적인 학습이 이루어지게 하고, 또한 우리가 살고 있는 삶을 중심으로 하여 실생활과 밀접한 학습이 가능하도록 하는 중요한 역할을 감당할 것으로 기대되며, 이를 통해 지리학을 중심으로 하는 다학문간의 통합적 시각을 강화하고 활성화할 것이다. Geography has played a role of serving as a bridge between the natural and social sciences for long time and can be an interdisciplinary framework. In this research, the effectiveness of an interdisciplinary approach centering on a geographical perspective in environmental education is presented. On this basis, a syllabus for seven 90-minute classes for the 8th grade is established under the topic of “Studying the Environment of Eighteenmile Creek.” This interdisciplinary framework will be strengthened and vitalized through GIS, which plays an important role to make the geographic and environmental education more student-centered, active, and relevant to the world where we now live.

      • KCI등재

        지리교과서의 내용 구성 방식에 따른 지명 사용의 비교 분석

        전보애 ( Bo Ae Chun ),윤옥경 ( Ok Kyong Yoon )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2014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Vol.22 No.2

        이 연구는 지명에 대한 학습이 단순한 지식전달과 사실적 정보의 나열에 불과하다는 비판을 극복하고, 대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지역적 접근에서 주제적 접근으로 변화되고 있는 교육과정에 따라 기술된 교과서에서 ‘제주’ 단원을 비교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 지명이 교과서의 맥락에서 어떻게 사용되는지 알아보기 위해 본문 텍스트 뿐 아니라 지도나 탐구활동에 사용된 지명에 대해 질적 분석을 도입하였다. 분석 결과, 지명은 지역지리적 서술방식의 교과서에서는 지리학적 지명이 많이 사용되었고, ‘다름’과 ‘특별함’을 서술하는 내용과 관련하여 주로 언급되었다. 주제적 접근방식의 교과서에서는 행정지명이 많이 사용되었고 본문보다 지도, 탐구활동 자료에서 지명이 상대적으로 많이 발견되었다. 본 연구는 지역적 접근, 주제적 접근에서의 지명사용에 관한 이분법적 사고를 극복하고, 지명을 맥락적 사고의 매개체로 활용하기 위한 아이디어와 함의를 도출할 필요를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possible solution to overcome the criticisms levelled at the learning of geographical names, which has long been stigmatized as conveying simple knowledge or practicing rote memory. In this study, a comparative method is used to analyze the description of place name ‘Jeju’ in the actual textbooks that were published accordingly by each national curriculum amendment, where the thematic approach has been substituted for regional approach recently. We explored the difference of the way of describing place names in the junior high school geography textbooks. In particular, three sections of the text, maps, and course activities were analyzed in consideration of the context. Results show that in the regional approach textbook geographical names are much more used than other types of place names and described to emphasize ‘difference’ and ‘specialty’. On the other hand, administrative place names are more often used and place names are much more exposed in maps and activity materials than text in thematic approach textbook. The findings and implication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 need for overcoming the dichotomy of regional approach and thematic approach in relation to geographical names and utilizing place names as media of contextual thinking arise.

      • KCI등재후보

        지리교육에서 코티칭(coteaching)의 모형 개발 및 적용

        전보애 ( Bo Ae Chun ) 한국지리학회 2015 한국지리학회지 Vol.4 No.2

        본 연구의 목적은 Shulman의 교수내용지식(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PCK) 이론을 바탕으로 지리교육에 적용할 코티칭 모형을 개발하고, 실제로 시행한 결과를 실증적으로 분석하는 것이다. 코티칭에 참여한 두 명의 지리과 교사(한 명의 내국인 교원과 한 명의 미국 국적의 외국인 교원으로 구성)는 한 학기 동안 서울 소재 한 국제고등학교의 국제계열 전문교과인 “세계 문제” 수업을 함께 가르쳤다. 두 교사가 학내전산망의 메신저(Computer-Mediated Communication)를 통해 주고받은 대화내용을 질적 연구방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정성적 데이터에서 떠오른 주요 주제들은 (a) 활발하고 적극적인 의사소통, (b) 지속적인 반성적 사고와 피드백을 통해 일반적 교육과정지식의 맥락화, (c) 협의와 반성적 사고의 결과로 교사의 특정 지역에 대한 내용지식과 특수한 상황에 꼭 맞는 교육과정지식의 형성으로 수업을 설계하고, 상호작용을 통한 의사결정을 내리고, 학생들의 학업성취를 평가함, 그리고 (d) 코티칭의 협업 과정에 대한 열정 등으로 나타났다. The primary focus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coteaching model for geography education on the basis of Shulman’s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and to apply it to a specialized subject, “Global Issues” in a global high school in Seoul. After a semester-long implementation, the discourse between two co-teachers through computer-mediated communication were collected, and analyzed by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The themes that emerged from data included (a) vigorous and active communication, (b) continuous reflection and feedback for contextualizing general pedagogical knowledge, (c) resultant content knowledge of specific region and context-specific pedagogical knowledge to plan instruction, make interactive decisions during lessons, and evaluate outcomes, and (d) full of enthusiasm for “working together” coteaching experie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