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학문 목적 한국어 작문 교육을 위한 학습자 텍스트 구조 분석 연구 -논증형 텍스트를 중심으로-

        안정호 ( Jung Ho Ahn ) 한국작문학회 2012 작문연구 Vol.0 No.15

        본고에서는 중급 학습자들의 논증형 작문 텍스트를 분석하여 현재 한국어 학습자들의 작문 능력의 현황을 알아보고 한국어 교육에서의 작문 교육이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해 논하였다. 최근 적극적인 외국인 유학생 유치정책으로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들이 급증하는 상황에서 대학 수학을 성공적으로 이끌어가기 위한 쓰기 교육의 중요성은 날로 커지고 있으나 작문교육에 대한 연구나 교수법 개발은 다른 영역에 비해서 미비한 상황이다. 또 현장에서도 수업과 평가가 일관되게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본고에서는 한국어 숙달도 기준 중급에 해당하는 3급 학습자들이 논 증형 주제인 ‘텔레비전의 장점과 단점, 바람직한 텔레비전 시청 방법’라는 주제로 쓴 텍스트를 툴민(St. Toulmin)의 논증형 주제 전개 모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먼저 형식적 문단 구성 능력을 살펴보았는데 전체 학습자 중에서 34%에 해당하는 17명의 학습자가 문단에 대한 개념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상 학습자들은 모두 자국에서 고등학교 이상의 학력을 가지고 유학을 왔지만 약 34% 정도의 학생들은 문단 나누기의 개념조차 정립되어 있지 않았다. 다음으로 논증적 주제 전개 능력에 대해서 알아보았는데 논증형 주제 전개 모형에서 필수적으로 드러나야 하는 결론(테제), 논거, 추론규칙이 모두 드러나 있는 글이 전체 50편 중에서 7편으로 나타났으며 추론규칙만 결여되어 있는 글이 9편, 결론이 결여되어 있는 글이 12편 결론을 포함하여 추론규칙까지 결여되어 있는 글이 11편, 전체적인 흐름을 파악할 수 없어서 논증형 주제 전개 모형으로 분석이 불가능한 글이 11편으로 나타났다. 대학 수학을 목적으로 공부하는 학습자들 중 필수 요소를 갖추어 작문을 한 학습자들이 전체의 약 14%에 불과했다. 현실적으로 학문 목적의 한국어 학습자가 늘어나면서 한국어 교육에서 작문 교육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지만 대학 수학을 위한 기본적인 작문 능력을 갖추지 못한 학습자들이 많다. 그러한 학습자들이 대학교에 입학한 후에 성공적으로 학업을 지속해 나가기 위해서는 한국어 작문 능력은 필수적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한국어 학습자들의 작문 능력 배양을 위한 현장에서의 노력은 지속되어야 할 것이다. 특히 텍스트 유형에 따른 이상적인 주제 전개 방법 및 필수 요소의 구성 모형이 나온다면 조금 더 효과적인 교수-학습 방법이 마련될 것으로 보인다. 작문평가 전문성은 현실적인 요구가 매우 큼에도 불구하고 이를 높일 수 있는 방안에 대한 논의는 충분하지 못했다. 이에 따라 이 글에서는 국어교사의 작문평가 전문성 신장 방안을 주요 주제로 논의하였다. 논의의 토대를 마련하기 위하여 작문평가의 문제적 국면을 국어교사 양성의 국면, 작문평가 실행의 국면, 작문 평가의 경험적 국면으로 설정하여 다루고, 이를 토대로 하여 국어교사 평가전문성의 신장 방안 두 가지를 검토하였다. 하나는 국어교사의 개별적 특성에 기반을 둔 것이고, 다른 하나는 평가 도구 및 평가 환경 개선에 기반을 둔 것이다. 전자에 속하는 방안으로는 채점의 엄격성 유지 훈련, 작문평가 효능감의 신장, 평가 과정 점검 질문의 개발 및 적용, 평가 경험의 확대를 제안하였으며, 후자에 속하는 방안으로는 평가 기준의 상세화 및 평가 척도의 적정화, 평가 예시문의 선정 및 활용, 국어교사 협의회의 운영, 작문평가 반성 전략의 활동을 제안하였다. 이러한 방법들은 국어교사의 작문평가 전문성을 기르는 데 효과적일 것으로 예상된다.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s argumentative essays of intermediate-level Korean learners to find out the current writing competence of Korean learners and to discuss the approach composition education should take in learning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In recent years, due to the increase of Korean learners for academic purposes, the importance of composition education to successfully fulfill college-level requirements has become greater than before. However, the field of composition education still lacks relevant studies and proper teaching methods compared to the other fields of education in learning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To achieve the objectives of the study, the participants were given a writing task requiring them to write an argumentative composition on ‘pros and cons of television and desirable ways to watch television``. Then, the compositions were analyzed based on the model for argumentative theme development developed by Toulmin. First, the paper examined learners` ability in organizing paragraphs and the analysis showed that approximately 34 percent of students failed to understand paragraph structures in essay writing. Although the participants had all completed high school-level education in their home countries, 34 percent of the learners did not have an understanding of paragraph structures. Next, the study investigated learners` ability to develop an argument in argumentative writing employing the three components of argumentative writing; conclusion, grounds for an argument, and rule of inference. The results showed that only 7 out of 50 essays had all three components. 9 essays were missing rules of inference, 12 essays did not have a conclusion, 11 essays lacked both a conclusion and rules of inference, and 11 essays were not possible to analyze using the model. Only 14 percent of the participants had the ability to write an essay making use of all three components of argumentative writing. With the increase of Korean learners for academic purposes, the importance of composition education has grown. Yet, the results clearly suggest the need for approaches in composition instruction in the educational field to foster academic learners with the academic-level writing proficiency. Especially, it was found that a more effective teaching method will be developed by applying the way for theme development of different text types to Korean composition education.

      • KCI등재

        한국어 글쓰기를 위한 동서양 작문사의 비교연구

        배수찬 ( Su Chan Bae ) 한국작문학회 2013 작문연구 Vol.0 No.18

        이 글은 한국어의 언어존재론적 문제를 기반으로 하여 작문의 역사를 살펴보고, 서양문화와 접촉하는 가운데서 바르게 한국어로 글쓰는 문제를 다룬 원론적 연구다. 한국어는 본래 어휘부의 상당 부분을 한자어로 구성하고 있는데다가 서양문화와 접촉한 이후 상당수의 개념어휘들이 서양고전어에 뿌리를 두게 되었고, 이로 인해 한자로 표기되어야 하지만 근원은 서양어이고, 실제로는 한글로 적는 상당한 국적불명의 어휘를 보유하게 되었다. 필자는 이러한 문제가 주요 개념어의 어원사전을 새롭게 씀으로써 해결될 수 있다고 보고, 한국어학자와 서양고전문헌학자들의 협력이 필요함을 밝혔다. 또한 아리스토텔레스의 전승과 번역사를 중심으로 서유럽 작문사의 발달 과정을 살펴본 뒤, 한국의 작문사와 비교함으로써 한국에 특수한 사정을 밝혔다. 한국은 중세 내내 중국문화의 막강한 영향 하에서 훈고주석학의 발달에 따른 엄밀한 문헌전통을 갖고 있었으나, 동시에 자국어에 대한 존중의식이 부족했다. 오늘날 한국어 글쓰기가 제대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서양어의 자국어 번역이 엄밀한 기준에 입각해 이루어져야 하고, 이를 지원하기 위해 개념 번역사에 대한 합당한 이해를 바탕으로 자연스러운 우리말 어휘가 확충돼야 한다고 보았다. In this thesis I tried to study the history of writing in Korea in respect of the lingual-ontological problem in Korea, and to make clear how to write in Korean righteously in contact with western culture. To say nothing of the fact that a considerable part of Korean language consists of Chinese characters, large portion of Korean terminologies has become rooted in western classical language: Greek and Latin. So Korean have come to maintain a great number of unclear words which must be transcribed in Chinese character, but whose origin is Greek or Latin, and written in Korean alphabet. I suggest we can overcome this problem by newly composing etymology dictionary of primary concept terms, in cooperation of Korean language scholars and western classical philologists. And I make bright Korean special case of writing history, comparing it with the western one focusing on the transmission and translation of Aristotle. Chinese culture had been dominant in medieval Korea, so Korea has had a strict literature tradition resulting from the development of exegetical studies, but it lacked the esteem in national oral language and its alphabet. To make today`s Korean writing properly, we must translate western literature into Korean according to a distinct and rigid standard. To support this, fluent Korean vocabulary must be increased using appropriate understanding of translation history of academical terms.

      • KCI등재

        작문 연구의 방향과 전망 -대학 작문에서 인지적 연구의 필요성과 방향-

        정희모 ( Hee Mo Chong ) 한국작문학회 2013 작문연구 Vol.0 No.18

        이 논문의 목표는 대학 작문 연구의 최근 경향을 분석하고 바람직한연구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 것이다. 대학 작문 연구는 초기에 대학 교실현장의 작문 교육을 위해 시작되었으며, 언어적 방법과 인지적 방법이 중심을 이루었다. 당시 유행했던 언어적 방법으로는 ‘문장의 생성수사학’, ‘모방훈련’, ‘문장결합교수법’ 등이 있다. 이 방법들은 주로 핵심적 문장을 확장하여 텍스트를 작성하거나 규범적 문장을 모방하는 것으로 지금에서 보면 텍스트를 작성하기 위한 초보적인 방법이었다. 인지적 방법은 쓰기과정에서 필자의 사고 과정을 탐색하고자 한 방법으로, 쓰기를 문제 해결 과정으로 보았다. 쓰기 과정을 계획하기, 작성하기, 교정하기로 나누어 각 단계에서 작가가 인지 활동을 통해 문제를 풀어나가는 과정을 살펴보고자 했다. 그렇지만 쓰기 과정에 대한 정확한 인지 활동을 자세히이해하기는 어려웠다. 이들 방법들은 1980년대 이후 사회적 관점과 포스트모더니즘의 대두와 함께 차츰 사라졌다. 학문 경향을 반형식주의, 반행동주의, 반경험주의 사조가 주도함에 따라 언어적 방법이나 인지적 방법은 더 이상 주요한 연구방법이 되지 못 했다. 이와 함께 언어적 방법과 인지적 방법은 글쓰기를 너무 단순하고 고정적인 과정으로 보아 연구에 있어 큰 발전이 있기 힘들었다. 이후 대학 작문 연구에서는 비판적 문화 연구와 같은 사회적 관점이 주된 연구 경향이 되었다. 이 논문에서는 한국의 대학 작문 연구에 있어 인지 연구가 무엇보다 필요하다는 관점을 취한다. 작문 연구에서 사회적 관점은 언어가 생성되고 교류되는 환경을 분석하는 데 도움을 주었으나 작문 교육에는 별다른 도움을 주지 못했다. 인지 연구는 표상차원(문장 수준), 텍스트 차원(텍스트수준), 독자·필자 차원(맥락 수준)에서 폭넓게 필자가 글을 쓰는 사고 과정을 추적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작문 교육에 무엇이 필요한지, 어떤 교육방법을 써야 할지 판단할 수가 있다. 여기서 이전처럼 작문 과정을 단순하고 고정적인 것으로 보지 않고, 매우 복잡하고 폭넓은 과정으로 인식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 논문에서 제안하고 있는 인지적 방법은 텍스트생성에 관한 인지 연구, 문장 연결에 관한 인지 연구, 텍스트 주제와 구성에 관한 연구, 담화 공동체와 장르 인식이 텍스트 생산에 미치는 연구등이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trend of college writing research and to show the desirable research of college writing. In the beginning of college writing research, it has been used mainly linguistic methods and cognitive methods. For example, Linguistic methods include Generative rhetoric of sentence, Imitation, and the sentence-combining. In cognitive methods, writing is regarded as a problem-solving process, and it is made up of planning, translating and reviewing. The problem of Linguistic methods and Cognitive methods is that writing process is considered to be fixed and uniformed. Those two methods disappeared as post-modernism and social perspective emerged in the 1980s. The advent of anti-formation, anti-behaviorism and anti-empiricism caused to weaken Linguistic methods and cognitive methods. After the 1980s, critical cultural studies and social perspective became main research trends in writing research. In this study, college writing research needs cognitive research more than anything. In writing education, cognitive research can figure the thinking process of writer through the representation dimension, test dimension and writer-reader dimension. Through that, we will know what is needed in writing education and how to use teaching method.

      • KCI등재

        기획주제:핵심 의사소통 역량 강화를 위한 대학 교양교육 발전 방안; 이공계 글쓰기 교육의 과제와 전망 ­카이스트 사례를 중심으로-

        시정곤 ( Chung Kon Shi ) 한국작문학회 2014 작문연구 Vol.0 No.21

        이 글의 목적은 카이스트(KAIST)의 글쓰기 교육 사례를 중심으로 대학의 이공계에서 글쓰기 교육의 과제는 무엇인지를 검토해 보고, 향후 발전 방향에 대해 전망과 제언을 덧붙이는 것이다. 카이스트 글쓰기 교육의 역사와 현황에 대해 간략히 정리했다. 글쓰기 교육의 변천과정은 크게 네 가지 시기로 나누어 볼 수 있는데, 먼저 교양국어의 시기로, 카이스트 설립 당시였던 1986년부터 1994년까지의 시기로 교양국어로서 국어(2학점)와 작문(2학점)으로 운영되었다. 두 번째 시기는 1995년부터 2004년까지인데, 글쓰기 중심으로 교육 모델을 전환했다. 세 번째는 2004년부터 2005년까지의 시기로, 과정 중심의 글쓰기 교육모델이 수립되었다. 이에 걸맞는 교재 『글쓰기 여행』(토막글에서 통글까지)이 편찬되었다. 네 번째 시기는 2006년부터 현재까지로 수준별 글쓰기 수업과 논술졸업인증제 실시가 특징이다. 카이스트 논술 프로그램은 크게 레벨테스트, 수준별 교육, 개인 상담 프로그램 및 평가로 구성되어 있으며, 평가에 의해 3단계로 수준을 나누어 교육하고, 일대일 개인별 상담을 의무적으로 시행하고 있다. 또한 학기말에 교육능력 향상도를 측정하기 위해 평가를 실시하여 프로그램에 반영한다. 정규교과 이외에 다양한 글쓰기 프로젝트를 병행하고, 전공과목과의 연계프로그램을 통해 입체적인 글쓰기 교육이 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공계 글쓰기의 과제와 제언에 대해 총 일곱 가지로 나누어 문제점과 필자의 생각을 덧붙였다. 먼저, 글쓰기 교육의 목적과 관련해서는 이공계 대학생을 위해서 어떤 글쓰기가 필요한지를 정하기 위해 체계적인 수요 조사가 선행되어야 한다는 점, 이와 더불어 학생들의 수준을 객관적으로 파악하기 위해 표준화된 평가 시스템이 시급하다는 점을 언급했다. 글쓰기 교육의 목표와 관련해서는 현재의 피상적인 교육 목표보다는 현실적인 상황에 맞게 글쓰기 교육의 달성 목표를 더 구체적이고 확실하게 조정할 필요가 있다는 점을 강조했다. 이공계 글쓰기 교육의 내용에 대해서도 특화된 글쓰기 교재의 실효성에 대해 언급했다. 글쓰기 교육의 방법에 대해서는 이공계 학생에게 글쓰기를 효과적으로 가르치기 위해서 현재 사용되고 있는 여러 방법 이외에도 수준별 교육과 글쓰기 연계 프로그램을 적극 활용할 필요가 있다는 점을 언급했다. 또한 효과적인 글쓰기 교육을 위해서는 제반 여건이 조성되는 것이 필수적이며, 교수자의 자세와 열정이 필요하다는 점을 강조했다. 마지막으로 교수자가 글쓰기 교육의 주체가 되어 교육의 정책 수립과 결정에 적극 참여해야 한다는 점을 말했다. The goal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the problems of education of writing in college of natural sciences and engineering on the basis on KAIST and propose some comments for a better education. First, I summarized the history and present conditions of education of writing in KAIST. I suggested the four periods on the history: korean language as liberal arts(1986-1994), education focused on writing(1995-2004), writing education focused on procedure(2004-2005), level oriented writing education(2006-present). Writing program of KAIST is composed of level test, level-oriented writing education, personal writing counseling program and evaluation system. KAIST works on diverse programs for a systematic writing education such as some connected activities. This paper proposed seven problems and comments on present in college of natural sciences and engineering. 1) we must first study on demand for students to establish the goal of education and investigate the effectiveness of research field-oriented writing education. 2) we need an objective evaluation system of writing to know the level of students correctly. 3) we must set a realistic goal rather than a idealistic goal to suit. 4) the differentiated writing text books for college students of natural sciences and engineering seem to be not valid. 5) we need to introduce the diverse methods of writing education such as level oriented writing education, connected activities, and on/off-line parallel method. 6) A better conditions is needed to achieve an effective result of writing education such as a reasonable size of class, well-trained experts and so on. 7) we need to take a active part in policy of writing education to achieve a change.

      • KCI등재후보

        외국인의 한국어 작문 과정에 대한 연구 -프로토콜 분석 내용을 중심으로-

        김성숙 ( Sung Sook Kim ) 한국작문학회 2008 작문연구 Vol.0 No.7

        한국어 작문학에서 간과하고 있는 개념어의 유용성을 환기하고 외국인 학습자의 한국어 작문 과정을 분석하여 기존 플라워·헤이즈 모델을 보완하고자 한 것이 본고의 목적이다. 사고 구술 실험 결과 본고는 모국어의 사고를 한국어로 번역하는 외국인 필자의 글쓰기 과정을 분석하여 헤이즈·플라워(1980) 모델의 공백부분을 보완하였고, 작성하기와 재고하기 사이에 장기기억의 수사적 지식으로부터 이어지는 화살표를 추가하였다. 또한 한국어 작문 과정의 나선형적 원리를 ‘환-하-다’의 비유적 동사로 개념화하였다. 초보 필자는 먼저 한국어라는 문식성의 원리를 깨우쳐 자신의 장기기억에 저장된 언어 지식을 탐색해 ‘환’기시켜야 하고, 중급 필자는 여러번의 연습을 거쳐 한국어 작문에 익숙해지도록 과제를 수행, 내용을 문어적 표현으로 재조직‘하’여야 하며, 고급 필자는 자신의 작문 실력을 유지·향상시키기 위해 새로 익힌 수사적 전략을 적용하여 자신의 글쓰기 능력을 ‘다’시 갱신하는 작업을 끊임없이 수행하여야 한다. 이 원리는 개별 텍스트의 구성 원리로도 적용할 수 있다. 한국어 작문의 개별텍스트는 일반적으로 서론에서 주제와 관련된 논의를 ‘환’기함으로써 독자의 관심을 유도하고, 본론에서는 주된 논의를 수행‘하’며, 결론에서 ‘다’시 한 번 해당 주제를 환기하고 향후의 진전된 논의를 남겨두는 열린 구조를 지향한다. The ultimate goal of this paper is complementing the blank of the writing model by Hayes & Flower(1980) and presenting a new frameworks of Korean Composition by analysing the protocol research recording. In the model, Planning has generating, organizing, and goal setting process; Reviewing has reading and editing process, but Translating does not have any sub-process. According to the result of our protocol research, this paper propose three sub-process of Searching, Reorganizing, and Rhetoric strategy to fill the Translating process. We also propose to add another arrow between the Translating and the Reviewing process in that model. Therefore the previous model has to be revised as the [FIGURE 2] in this paper. The frameworks as like the conceptual word ``Hwan-Ha-Da``, which means ``bright``, show us the development process of the composition skill. And this frameworks can also explain the role of the each constitute part of the text.

      • KCI등재

        개별논문 : 20세기 초 서양인의 한국어 글쓰기 연구 -한국어 교수,학습 자료 생성 전략으로서 글쓰기 양상을 중심으로-

        고예진 ( Ye Jin Ko ) 한국작문학회 2014 작문연구 Vol.0 No.20

        본고는 20세기 초 한국어 교재에 나타나는 서양인의 한국어 글쓰기 양상을 고찰하였다. 한국어 교수학습 자료 생성 전략으로서 수행되었던 서양인의 글쓰기 활동 양상을 고찰한 것이다. 20세기 초 서양인들의 한국어 글쓰기 활동은 크게 3단계로 나타났다. 첫 번째 단계는 ``문장 쓰기 활동`` 이었다. 문장 쓰기는 번역,대체 수준의 초보적 문장 쓰기와 문법에 초점을 두거나 내용에 초점을 두어 문장을 쓰는 발전적 문장쓰기로 구분할 수 있다. 두 번째 단계는 ``덧붙여 쓰기``와 ``다시 쓰기`` 활동이었다. ``덧붙여 쓰기``는 어휘나 구 혹은 문장을 덧붙여 쓰는 활동으로 19세기 말부터 수행되었다. ``다시 쓰기``는 20세기에 이르러 수행된 활동으로 ``주어진 속담을 읽고 그 속담의 뜻을 한국어로 다시 쓰기``, ``한국민담을 듣고 한국어로 다시 쓰기``를 들수 있다. 이 단계의 글쓰기는 한국어를 듣거나 읽은 후 자신이 이해한 바를 재생산하는 것이다. 세 번째 단계는 ``긴 글쓰기`` 활동이었다. 즉, 완결된 텍스트를 생산해내는 글쓰기 단계이다. 한국 종교, 결혼 등 한국 문화에 대한 설명문이나 대화체 글을 쓰거나 문법 항목의 형태,통사적 특성이 잘 드러나도록 이야기를 쓰는 글쓰기 활동이다. 이 단계의 자료는 19세기 말부터 누적된 서양인의 한국어 교재와 한국어 학습이 20세기 초에 이르러 비교적 높은 수준에 이르렀음을 잘 보여준다. 19세기 말부터 본격적으로 한국어 학습을 시도했던 서양인들은, 20세기 초에 접어들면서 한국어 학습 자료를 생성하는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한국어 글쓰기 활동을 추적하여 고찰함으로써 외국인 학습자의 한국어 글쓰기 수행에 대한 역사적 자료로서의 가치를 재발견할 수 있었다. This study has analyzed the patterns of writing in Korean language by western people presented in Korean language textbooks published in the early 20th century. As one of the strategies to make good teaching method guidelines for Korean language, this study analyzed the writing patterns in Korean language by westerners. The first step in Korean writing was ``sentence writing``. There were translation, substitution, grammar-based sentence writing, meaning-based sentence writing. The second step was ``expanding writing`` and ``re-writing``. The case in ``re-writing`` is ``Read the proverb and write the meaning again`` or ``Listen to a Korean folk-tale and write it down in Korean language.`` ``expanding writing`` is writing in addition with word or phrase. On this stage, students were supposed to listen to or read Korean language texts and recreated what they comprehended in Korean. The third stage was ``writing a long text.`` In other words, it was ``writing a complete text freely.`` Western people were supposed to write an explanatory note or dialogue script about Korean cultures such as religion or marriage. Also, they wrote texts that show structural and syntactic characteristics of grammatical features. Materials of this stage reflect that textbooks and teaching system of Korean language for western people which have been developed and accumulated from the 19th century have finally reached quite a high level. Westerners who tried studying Korean language in earnest starting from the late 19th century naturally started writing in Korean while making study materials of Korean language from the beginning of the 20th century. The researcher of this study could found historic data and values about westerners` Korean language composition by tracing texts written by western people in the past.

      • KCI등재후보

        외국인의 한국어 작문 과정에 대한 연구 -프로토콜 분석 내용을 중심으로-

        김성숙 한국작문학회 2008 작문연구 Vol.0 No.7

        The ultimate goal of this paper is complementing the blank of the writing model by Hayes & Flower(1980) and presenting a new frameworks of Korean Composition by analysing the protocol research recording. In the model, Planning has generating, organizing, and goal setting process; Reviewing has reading and editing process, but Translating does not have any sub-process. According to the result of our protocol research, this paper propose three sub-process of Searching, Reorganizing, and Rhetoric strategy to fill the Translating process. We also propose to add another arrow between the Translating and the Reviewing process in that model. Therefore the previous model has to be revised as the [FIGURE 2] in this paper. The frameworks as like the conceptual word ‘Hwan-Ha-Da’, which means ‘bright’, show us the development process of the composition skill. And this frameworks can also explain the role of the each constitute part of the text. 한국어 작문학에서 간과하고 있는 개념어의 유용성을 환기하고 외국인 학습자의 한국어 작문 과정을 분석하여 기존 플라워·헤이즈 모델을 보완하고자 한 것이 본고의 목적이다. 사고 구술 실험 결과 본고는 모국어의 사고를 한국어로 번역하는 외국인 필자의 글쓰기 과정을 분석하여 헤이즈·플라워(1980) 모델의 공백 부분을 보완하였고, 작성하기와 재고하기 사이에 장기기억의 수사적 지식으로부터 이어지는 화살표를 추가하였다. 또한 한국어 작문 과정의 나선형적 원리를 ‘환-하-다’의 비유적 동사로 개념화하였다. 초보 필자는 먼저 한국어라는 문식성의 원리를 깨우쳐 자신의 장기기억에 저장된 언어 지식을 탐색해 ‘환’기시켜야 하고, 중급 필자는 여러 번의 연습을 거쳐 한국어 작문에 익숙해지도록 과제를 수행, 내용을 문어적 표현으로 재조직‘하’여야 하며, 고급 필자는 자신의 작문 실력을 유지·향상시키기 위해 새로 익힌 수사적 전략을 적용하여 자신의 글쓰기 능력을 ‘다’시 갱신하는 작업을 끊임없이 수행하여야 한다. 이 원리는 개별 텍스트의 구성 원리로도 적용할 수 있다. 한국어 작문의 개별 텍스트는 일반적으로 서론에서 주제와 관련된 논의를 ‘환’기함으로써 독자의 관심을 유도하고, 본론에서는 주된 논의를 수행‘하’며, 결론에서 ‘다’

      • KCI등재

        Sheffield 대학교 한국어 학습자의 작문 특성 분석

        조숙연 ( Cho Sukyeon ),박영민 ( Park Youngmin ) 한국작문학회 2018 작문연구 Vol.0 No.38

        이 글은 Sheffield 대학교 한국어 3학년 학습자들이 작성한 한국어 작문을 분석하여 그 특성을 파악해 보는 데 목적이 있다. 이 분석을 위해 수집한 글은 16편이었으며, 남학생이 작성한 글 5편, 여학생이 작성한 11편이었다. 한국어 학습자들이 쓴 글의 주제는 ‘나의 인생’이었다. 학생들이 제출한 글의 유사도를 파악하기 위해 TF-IDF를 적용해 본 결과, 유사도가 높은 글은 전혀 발견되지 않았다. 성별에 따른 분석 결과, 남학생들은 일반 명사, 동사의 사용이 많았고, 여학생의 형용사, 일반 부사의 사용이 많았다. 개념 및 행동 중심의 언어를 구사하는 남학생들의 언어적 특성이 한국어 작문에도 나타났다. 남학생들에게는 일반 부사에 관심을 기울여 지도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수준에 따른 분석에서, 상 수준의 학생 글에서는 일반 명사, 동사, 형용사의 사용이 더 많았으나 일반 부사는 반대였다. 이는 한국어 작문을 채점할 문장의 세밀한 표현과 관련된 요소의 비중이 낮기 때문인 것으로 보이므로, 이후에는 고려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을 듯하다. This article aims to analyse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language writing by third-year Korean language students at the University of Sheffield, UK. This analysis is based on a sample of 5 essays by male students and 11 by female students on the subject of “My Life.” To determine the level of similarity between the essays, text feature extraction (TF-IDF) was applied, but no two essays were found to have a high level of similarity. Analysis according to gender revealed that male students tended to use more nouns and verbs, while female students used more adjectives and adverbs. Male students also tended to use more vocabulary focused on concepts and actions. It appears that there is a need to encourage male students to pay more attention to adverbs. Analysis according to level of ability revealed that the use of nouns, verbs, and adjectives increased at higher levels, while the use of adverbs decreased. This appears to be due to the marking criteria attaching little weight to detailed expression, a point that should be considered in future.

      • KCI등재

        중등 작문교육에 대한 국제비교 연구 (Ⅰ) - 한국과 미국의 작문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

        김주환,박혜영,장은섭,천해주 한국작문학회 2019 작문연구 Vol.0 No.4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secondary school writing curriculum in Korea to those of U.S. Especially this study focuses on State of Virginia, Michigan and New York. The results discovered are as follows : 1) Domains of English and Language arts as subjects in U.S. are classified from the communication-centered viewpoint. For Korea, however, domains of Language arts are classified from the academic-centered viewpoint, so to barely combine with communication domains. 2) In Korea, writing curriculum is mainly composed of nature, principle and attitude of writing. However, those of U.S. were more systemized in the sequence of teaching and learning contents by text genre and research/writing. 4) Scope and sequence of writing curriculum in U.S. are systematically intertwined 5) And the curriculum in U.S. is more adequate to integrate contents and standards in each domains. For U.S., the goals that students should achieve in graduation year are very clear and systematically organized. Korean writing curriculum needs to clarify standards on focusing writing abilities students should be acquired at graduation year. 이 연구에서는 미국의 버지니아주, 미시간주, 뉴욕주의 작문 교육과정과 우리나라 작문 교육과정을 비교해 보았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첫째, 미국은 의사소통 중심으로 하위 영역이 구분되어 있으나 한국은 학문 중심으로 영역이 구분되어 의사소통 영역과 문학, 문법이 분리되어 있다. 둘째, 미국은 교육내용이 텍스트의 유형과 목적, 지식 구성과 표현을 위한 연구 등 실제적 내용으로 체계화되어 있으나 우리나라는 본질-원리-태도라는 체계에다 텍스트 유형, 쓰기 전략 등이 배치되어 혼란스럽다. 셋째, 미국은 지식 습득을 위한 연구 활동이 쓰기 영역의 중요한 성취기준으로 반영되어 있으나 한국에는 해당 성취기준이 없다. 넷째, 미국은 핵심 성취기준을 반복·심화하는 방식으로 교육내용을 위계화하고 있으나 한국은 작문에 대한 지식, 기능, 태도를 학년별로 나열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어 성취기준 간의 연속성이 확보되지 못하고 있다. 다섯째, 미국은 영역 간, 영역 내 성취기준 간의 통합을 강조하여 서로 잘 통합할 수 있도록 편성되어 있으나 한국은 영역별 성취기준들이 독립되어 있어 통합이 어렵게 되어 있다. 미국의 경우 최종 학년도에 학생들이 도달해야 할 작문능력을 중심으로 교육과정을 상세화하는 방식으로 교육과정을 편성하였다. 이처럼 한국의 작문 교육과정 또한 학생들이 습득해야 할 작문능력이 무엇인지를 명확히 하고 이를 바탕으로 학년별 성취기준을 상세화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미국의 작문 교수·학습 실태 조사 연구 - 한국의 작문 교수·학습 실태와 비교를 중심으로

        김주환 ( Kim Joo Hwan ),이순영 ( Lee Soon Young ),장봉기 ( Jang Bong Gee ),박소희 ( Park Sohee ) 한국작문학회 2021 작문연구 Vol.- No.49

        이 연구에서는 미국의 중·고등학교 영어, 과학, 사회 교사 283명을 대상으로 작문 교수학습 실태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미국 교사들은 예비교사 시기보다는 교사가 된 이후 쓰기 지도에 대한 교육을 더 많이 받고 개인적 노력도 더 기울이고 있었다. 둘째, 미국 교사들은 한국 교사에 비해 필자로서의 자기 인식이 높을 뿐만 아니라 실제 글쓰기 지도를 더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미국 교사들은 교육청의 평가 방향을 적극적으로 반영하여 작문 지도 계획을 세우는 경향을 보였다. 넷째, 미국 교사들이 자주 사용하는 쓰기 지도 방법은 ‘고쳐쓰기/편집하기’, ‘직접교수법’, ‘모델 보여주고 따라 쓰기’, ‘협력적 글쓰기’, ‘요약해서 쓰기’, 등이었다. 다섯째, 미국에서 가장 자주 수행되는 쓰기 활동 유형은 ‘한 단락으로 답안 쓰기 숙제’, ‘설득하는 글쓰기’, ‘연구 보고서’, ‘읽기 자료에 대한 요약문’, ‘읽기 자료에 대한 반응’, ‘3단 글쓰기’ 등이었다. 여섯째, 미국의 중등 교실에서는 논증적, 설명적 글쓰기는 자주 수행되나 서사적 글쓰기는 가끔 수행되었다. 일곱째, 미국에서는 서술형 문항 시험과 요약문 쓰기의 비중이 높고 논술형 문항 시험이나 포트폴리오 제작의 비중은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작문 교육의 개선을 위해서는 우선 선택형 위주의 평가를 서술형, 논술형 위주로 전환할 필요가 있으며, 작문 지도가 모든 교사들이 갖추어야 할 기본 소양이라는 인식 아래 작문 지도 교육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또한 모든 교과에서 교과 작문과 관련된 성취기준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surveyed 283 middle and high school English, science, and social studies teachers in the U. S. about teaching writing. The major results are as follows. American teachers received more formal education on writing instruction and put greater individual effort into it after becoming in-service teachers. They had higher self-awareness as writers than Korean teachers and put more personal effort into writing instruction. They also actively incorporated writing assessment guidelines issued by their states’ education department into their instructional plans and frequently used “revising/editing,” “direct teaching method,” and “imitating a model of good writing,” as instructional methods. Regarding types of activities, “short-answer writing assignments,” “persuasive essays” and “research papers” were often used. Argumentative and informative/explanatory writings were frequently practiced, but not for narrative writing. Finally, “short answer questions” and “a summary of what students read” were more weighted than “essay writing” and “portfolios.” It is necessary to shift from selective evaluation and focus on narrative and essay types. Further, since writing instruction is a basic skill that all teachers should have, it is important to strengthen writing education for teachers and to provide standards for disciplinary writ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