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사회수요 맞춤형 인재양성을 위한 기술교육분야 교원양성대학의 역할과 과제

        전미애 한국기술교육학회 2016 한국기술교육학회지 Vol.16 No.1

        This research aimed for aiding technology education teacher training college for cultivating talented individuals customized by social demand in respond to social demand and change of work situation. In this study, examined necessity of training talented individuals customized by social demand depending on social change and explored the role and task of technology education teacher training college. Functions which technology education teacher training college should enhance were examined from the point of view of basic, additional and extended ones through exploratory analysis and suggested the role and task of technology education teacher training college. The role and task of technology education teacher training college for cultivating talented individuals customized by social demand are as follows. Firstly, education procedures need to be changed into focusing on ability of achievement in order for substantial basic function and to be reorganized to train teachers with great field adaptability, and to be developed for NCS(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Secondly, it needs to diversity students’ careers through activating systems of double major and sub-major with diverse training courses for talented individuals in order for the additional functions. Thirdly, systems of IPP(Industry Professional Practice) in conjunction with local firms and partnership with local society needs to be strengthened in order for the extended function. 이 연구는 사회적 요구와 직업상황 변화에 대응하여, 기술교육분야 교원양성대학의 사회수요 맞춤형 인재양성을 조력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이 연구에서는 사회변화에 따른 사회수요 맞춤형 인재양성의 필요성을 살펴보고, 기술교육분야 교원양성대학의 역할과 과제를 탐색하였다. 탐색적 분석을 통하여 교원양성대학이 강화해야 할 기능을 기본기능, 부가기능, 확장기능의 관점에서 살펴보고, 기술교육분야 교원양성대학의 역할과 과제를 제시하였다. 사회수요 맞춤형 인재양성을 위한 기술교육분야 교원양성대학의 역할과 과제는다음과 같다. 첫째, 기본기능 내실화를 위해서 교육과정을 수행능력 중심 교육과정으로 전환하여 현장 적응력이 높은 교사를 양성하는 체제로 개편하고, NCS 기반교육과정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둘째, 부가기능 강화를 위해서 복수전공과 부전공제도 활성화 및 다양한 인력양성 프로그램을 통해서 학생들의 진로를 다양화 시킬필요가 있다. 셋째, 확장기능 강화를 위해서 지역기업과 연계한 IPP 제도 시행, 지역사회와 파트너 십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노인의 소득원별 소득비중이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전미애,김정현 한국노인복지학회 2017 노인복지연구 Vol.72 No.1

        본 연구는 노년기 소득원별 소득비중이 노인의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으며 자기결정이론(self-determination theory)을 이론적 근거로서 제시하였다. 자기결정이론에서 제시하는 기본적 심리적 욕구인 자율성(autonomy), 유능감(competence), 관계성(relatedness) 충족은 노후 소득원별 소득 비중에 따라 영향을 받을 것이며 이는 노인의 행복감에도 영향을 미칠 것이라 예측된다. 고령화연구패널조사(KLoSA) 5차년도(2014년) 자료 중 성인자녀와 동거하지 않는 65세 이상 노인 3,276명을 대상으로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소득비중은 가구소득액대비 공적연금 비중, 사적이전 비중, 자기소득 비중으로 구분하여 정의하되 공적연금 비중은기초연금과 기초생활급여는 급여의 성격이 다르므로 포함하지 않고 국민연금과 특수직역연금만을 고려하여 공적연금의 비중을 사용하였다. 통제변수로는 연령, 성별, 교육수준, 배우자유무, 건강상태, 기초생활급여 여부, 가구소득액, 공적연금액, 사적이전액, 자기소득액을 포함하였다. 분석 결과, 공적연금과 사적이전 소득 비중이 높을수록 행복감이 증가한 반면, 자기소득 비중은 높아질수록 노인의 행복감이 저하되었다. 또한 가구총소득과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배우자가 있는 경우와 기초생활급여를 받지 않는 경우, 그리고 건강상태가 좋을수록노인의 행복감은 높아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끝으로 본 연구에 대한 이론적 및 실천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its proportions of different sources of old age income in the annual family income on older people's happiness based on the Self-determination theory. We applied the multiple regression model to the sample of 3,276 individuals older than 65 and living separately from their offsprings from the 5th wave (2014) of 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ing (KLoSA). The different income sources were categorized as the ratio of public transfer, private transfer, and self-earned in the annual family income; the ratio of public transfer income were considered as social insurance excluding basic pension, and basic livelihood security payment due to the differences in the characteristic features of public transfer. We controlled for age, gender, education level, marital status, subjective health, annual family income, basic livelihood security payment, and income by the different income sources. The results showed that higher proportions of social insurance and private transfer increased the happiness of older persons. On the contrary, a higher the proportion of self-earned income decreased the happiness of older persons.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higher annual family income and better health status, having spouse, higher level of education, not receiving basic livelihood security payment increased the happiness of older persons. Lastly,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were suggested for this study.

      • KCI등재

        도농지역 독거노인 특성과 우울 영향 요인의 변화 연구

        전미애,김정현 동의대학교 지방자치연구소 2021 공공정책연구 Vol.38 No.1

        This study investigated whether and how the characteristics of the elderly living alone in urban and rural areas and factors affecting depression were changed over the past 10 years (2008-2017). Data drawn from the two waves of the National Survey of Living Conditions and Welfare Needs in 2008 and 2017 (N=2,575 and N=2,259 respectively) were analyzed separately. Using the statistical package SPSS25, mean comparison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were implemented. The results confirmed that the levels of depression and the frequency of adult-child visitation decreased in 2017 while the level of participation in social activities increased compared to in 2008. According to the regression analyses, the frequency of adult-child visitation, the number of social activities, had affect on the level of depression regardless of region and time. The satisfaction of the residential environment had affect on the level of depression in urban and rural areas in 2017 only. However, usage of Gyeongnodang (senior citizen club in Korea) and proximity to administrative facilities in 2017 affected the level of depression of the elderly living in rural area only. Further suggestions were discussed based on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 KCI등재

        특성화 고등학교 프로그램 연구동향

        전미애 한국기술교육학회 2015 한국기술교육학회지 Vol.15 No.1

        이 연구의 목적은 특성화고등학교를 대상으로 개발 및 실천이 진행되고 있는 프로그램 관련 연구동향을 분석하여, 향후 특성화고등학교 프로그램 연구방향을 설정하는데 조력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이 연구에서는 2014년 11월 현재로부터 최근 10년(2005년 ~ 2014년)간 발표된 학위논문 64편, 학술지논문 22편을 제목표기, 연구유형, 연구주제, 연구대상, 프로그램개발과정, 프로그램 내용, 프로그램 목적으로 분류하여 연구동향을 분석하였다. 연구동향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제목표기에 있어서 2014년 11월 현재까지 특성화고등학교를 여전히 전문계 고등학교로 표기하는 연구논문이 많이 있었고, 연구유형은 실험연구가 가장 많았다. 연구주제는 상담관련내용이 가장 많았으며, 연구대상은 부적응학생과 공업계고등학교 학생이 가장 많았다. 프로그램 개발과정에 있어서는 ‘프로그램 개발과정 없이 기존 프로그램을 재구성하여 실시하고 효과를 검증’한 것이 대부분이었으며, 프로그램 내용은 진로분야가 가장 많았고, 부적응완화를 목적으로 하는 연구가 가장 많이 이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특성화고등학교 현장에서 교육과정자율화에 대비하고, 학생들의 교과영역과 정의적 특성 영역의 능력향상을 위한 후속연구를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research trends on programs of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s, currently whose development and practice are in progress to establish direction of its programs in the future. Data for this study were collected from the latest 64 dissertations and 22 journal articles published for the last 10 years, from 2005 till now (Nov. 2014). The research trends were analyzed by classifying the data into how the title of study was addressed regarding the term of ‘a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 time of publication, participants of study, type of study, theme of study, subject area of study, development process of program, activity area of program, frequency of program performance, and program operation hour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ings: First, the title of study has still been addressed as ‘a professional high school’ instead of ‘a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 in a number of studies. In addition, participants of the study were mostly maladjusted students and technical high school ones. The most frequently adopted type of study was an experimental type research; the research theme covered most was counseling related one; the subject area studied most was regarding career. Also, method of developing programs was mainly through conducting and verifying the existing programs by reconstruction without program development process. Based 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a follow-up study is suggest to prepare curriculum autonomy and to enhance students’ performance in subject area and affective characteristics area.

      • KCI등재후보

        특성화고 학습된 무기력 학생들의 방과 후 일상 활동 연구

        전미애,임세영 대한공업교육학회 2012 대한공업교육학회지 Vol.37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what kind of activities by specialized highschool students who have a sense of learned helplessness do after school, and then to inquire if there would be any of differences between their school activities and after school activities. The students in J specialized highschool for vocational education, located in D city participated in the program of improving learning motivation for students with learned helplessness. We selected 15 out of them as the subjects who were judged to be suitable for this study through ‘Convenience sampling'. The research methods of this study is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by observation and in-depth interviews. The results are as in the following. First, daily activities after school of the specialized highschool students with learned helplessness can be divided into 3 groups; leisure activities, learning activities, and sustenance activities. Most of the students spend a lot of time doing leisure activities such as playing with a computer, watching TV, doing something with their friend, and killing time. Secondly, the character of daily activities after school of the specialized high school students with learned helplessness is different from that of the students’ school activities connected with their daily activities after school. Based on the results we need to consider the character of the students’ daily activities after school so as to help the students with learned helplessness, especially in specialized school. 본 연구는 특성화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학습된 무기력 성향 학생들이, 방과 후에 어떤 형태의 일상 활동을 하고 있는지를 살펴보고, 학생들의 학습된 무기력 성향이 방과 후 일상 활동에서도 동일하게 나타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D시의 J특성화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고등학생으로, 학습된 무기력학생 대상 학습동기 향상 프로그램에 참여한 학생 중, 본 연구에 적합하다고 판단되는 학생 15명을 연구자가 임의 표집법(convenience sampling)에 의거하여 연구대상자로 선정하였다. 연구방법은 관찰과 심층면접을 활용한 질적연구 방법으로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특성화 고등학교 학습된 무기력 성향 학생들의 방과 후 일상 활동은 여가활동, 학습활동, 생활유지 활동으로 구분할 수 있고, 대부분의 학생들이 여가 활동(컴퓨터 게임, TV 시청, 친구와 어울려 돌아다니기, 하는 일 없이 빈둥거리기)에 많은 시간을 투자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특성화 고등학교 학습된 무기력 성향 학생들의 학교 밖 일상 활동은 학교생활과는 다른 형태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학교에서는 무기력 성향을 보이던 학생들이 방과 후 일상 활동에서는 학교에서와는 다른 모습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나, 학교 현장에서의 무기력 성향이 학교 밖 일상 활동까지 연결되지 않는 것으로 보여진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특성화 고등학교에 많이 존재하는 학습된 무기력 성향 학생들을 조력하기 위해서는, 학생들의 방과 후 일상 활동 특성에 대해서도 고려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기초연금 도입은 한국 노인의 경제활동 참여에 영향을 미쳤는가?

        전미애,김정현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2020 사회복지정책 Vol.47 No.3

        This study examined how the labor force participation of elderly changed after the introduction of the basic pension, introduced in 2014 to support stable income and life stability for the elderly. Data from two waves of the 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eing (KLoSA) in 2012 and 2016 were analyzed. Based on the model of labor-leisure choice, we examined 1) the changes in the rate of labor force participation of the Basic Pension Beneficiaries compared to non-beneficiaries between 2012 and 2016, 2) the characteristics of the group of beneficiaries who continue to participate in (or discontinue) labor force participation even after the introduction of the Basic Pension, and 3) the factors affecting the working status of the elderly in 2016. The results confirmed that the rate of labor force participation of the elderly decreased between the two periods across the groups. However, whether of not to participate labor force in 2016 was related to other variables (e.g. age, health status, residence area, living with adult-children, private and public transfer income) rather the Basic Pension benefit. Practical implications are suggested based on the results. 노인에게 안정적인 소득과 생활안정을 지원하기 위하여 2014년부터 도입된 기초연금제도는 한국 노인의 소득수준과 소득구성에 변화를 가져왔다. 본 연구에서는 고령화연구패널조사 4차(2012 년) 및 6차(2016년) 자료를 분석하여 ‘노동-여가 선택 모형’을 근거로 기초연금 도입 후 노인의경제활동 참여가 변화하였는지, 기초연금 수급자 중 기초연금 도입 후에도 경제활동에 지속적으로 참여하는(또는 중단한) 집단의 특성은 무엇인지, 기초연금 수급집단의 경제활동 참여에 영향을미치는 요인은 무엇인지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기초연금 도입 전후 기초노령연금과 기초연금수급여부에 따라 구분한 3집단(수급-수급집단, 비수급-수급집단, 수급-수급집단) 모두에서 경제활동 참여율은 낮아진 것으로 보고되었으나 이는 기초연금으로 인한 영향보다는 다른 요인(예: 연령, 건강, 거주지역, 자녀동거 여부, 사적이전총액, 공적연금총액 등)에 의한 것으로 해석된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기초연금 개선을 위한 정책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 KCI등재
      • 남해안 홍합과 (Mytilidae) 3종의 intersex

        전미애,주선미,박지선,박진영,이연규,이정식 한국발생생물학회 2011 한국발생생물학회 학술발표대회 Vol.30 No.-

        환경요인의 위해성 평가방법은 기본적인 위해성 평가의 접근방법 결정에 필요한 위험성 확인 (hazard identification), 노출평가 (exposure assessment), 용량-반응 평가 (dose-response assessment) 및 위해도 결정 (risk characterization)의 주요 4단계이다. Biomarker 가운데 생식생물학적 지표들은 독성물질에 의한 장기적이고 지속적인 영향을 평가하는데 중요하게 이용되는 항목이다. 이매패류들은 주로 여과섭식에 의해 먹이를 섭취하며, 오염물질의 체내 축적은 용이하지만 체내에서의 해독과 체외방출이 낮기 때문에 해양 저질과 수질의 오염상태를 알아보기 위한 지표종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수질오염원 가운데 하나인 내분비계장애물질 (endocrine disrupting chemicals: EDCs)은 androgenic effector나 estrogenic effector로서 수서동물의 생식관련 내분비계를 교란시켜 성의 표현이나 기능을 변화시킨다. 본 연구는 한국 남해안 연안의 생태 건강도를 알아보기 위한 과정 중에 일부지역에서 홍합과 이매패류에서 intersex 현상이 확인되어 이를 보고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 사용된 이매패류는 홍합과 (Mytilidae)의 지중해담치, Mytilus galloprovincialis, 진주담치, Mytilus edulis와 굵은줄격판담치, Septifer virgatus이다. 지중해담치는 여수 신월동 (SH=47.10mm)과 돌산 연안 (SH=63.88mm), 진주담치는 여수 신월동 (SH=48.27mm)과 서근도 (SH=49.81mm), 굵은줄격판담치는 지마도 (SH=40.56mm), 역만도 (SH=44.60mm)와 숨은여 (SH=50.05mm)에서 채집하였다. 채집한 시료는 측정형질을 계측한 후 해부하여 생식소가 포함된 내장낭 부위를 적출하여 Bouin's 용액으로 고정하고, 파라핀 절편법으로 4~6 ㎛ 두께로 연속 절편하여 조직표본을 제작한 후 Mayer's hematoxylin-eosin (H-E) 염색을 실시하여 광학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성비와 intersex는 생식소 표본을 관찰하여 구분하였다. Intersex는 개체당 평균 1 cm2 크기의 조직표본 5~10개를 대상으로 관찰하였고, 반대 성의 생식세포가 관찰되는 경우만을 포함하였다. 지중해담치의 성비 (♀:♂)와 intersex 현상은 여수 신월동 연안에서 1:1.12와 25% (n=9/36), 돌산 연안에서는 1:1.07과 23.66% (n=22/93)가 나타났고, 진주담치는 여수 신월동 연안에서 1:0.96과 23.53% (n=12/51), 서근도에서는 1:3과 8.33% (n=1/12)가 나타났으나, 굵은줄격판담치에서 성비는 지마도에서 1:0.86, 역만도에서 1:1.69, 숨은여에서 1:1.5가 나타났고, intersex 현상은 발견되지 않았다. 조직학적인 측면에서 intersex 현상은 반대 성의 생식세포들이 생식세포형성소낭 내부와 소낭 사이에서 단독 또는 무리지어 나타나는 형태와 생식소 외부에 다른 체 조직이 형성되어 이곳에 반대 성의 생식세포들이 발달된 두 가지 형태였다. 이성생식세포 발현 현상이 관찰된 난소에서는 변성된 난모세포들이 확인되거나 소화선의 구조적 이상을 보였다.

      • KCI등재

        사회자원이 노인의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개인자원의 차이에 따른 네 집단 비교

        전미애 연세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2019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Vol.60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ocial resources (public support resources and social relations resources) on the happiness according to individual resources (health and economic status). Four group categories according to the health and economic status were compared (Poor-Not healthy, Poor-Healthy, Not poor-Not healthy, Not poor-Healthy). This study examined how public support resources (public pension, basic pension) and social relations resources (relationship with their children, relations with their friends) affect the happiness of the elderly.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on 3,322 elderly people aged 65 and over who were not living with their children in the 6th wave (2016) of 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ing (KLoSA). Results showed that as the total amount of public pension was increased, the happiness increased in all four groups and the basic pension status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the happiness of the elderly in all four groups.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social relations resources, happiness increased as the frequency of meeting with children and friend-relative neighbors increased in the two groups with economic needs. In the Not poor-Not healthy group, only the frequency of child contact showe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happiness of the elderly. In the Not poor-healthy group, only the contact with friend-relative neighbor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happiness of the elderly. This study confirmed that the effects of social relational resources on the elderly could be different according to health and economic status. Finally, implications of this study and practical suggestions are included. 본 연구는 노인의 개인자원(건강과 경제수준)에 따라 사회자원(공적 지원자원과 사회적 관계자 원)이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건강과 경제수준에 따라 네 집단(빈곤⋅병약, 빈곤⋅건 강, 비빈곤⋅병약, 비빈곤⋅건강)으로 구분한 후 집단별로 공적 지원자원(공적연금, 기초연금)과 사회적 관계자원(자녀와의 관계, 친구이웃과의 관계)이 노인의 행복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검증하였다. 고령화연구패널조사(KLoSA) 6차년도(2016년) 자료 중 65세 이상이며 자녀와 동거하지 않는 노인 3,322명을 대상으로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공적 지원자원 중 공적연금 총액이 많을수록 네 집단 모두에서 노인의 행복감은 증가하였고, 반대로 기초연금 수급여 부는 네 집단 모두에서 노인의 행복감에 유의미한 영향을 나타내지 않았다. 한편, 사회적 관계자원의 경우, 건강 여부와 관계없이 빈곤한 두 집단(빈곤⋅병약, 빈곤⋅건강)에서는 자녀와의 만남과 친구친척이웃과의 만남 빈도가 증가할수록 행복감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나 두 유형의 관계자원 모두가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와 달리 비빈곤⋅병약집단에서는 자녀와의 만남빈도만이, 그리고 비빈곤⋅건강집단에서는 친구친척이웃과의 만남빈도만이 노인의 행복감에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빈곤하지 않은 집단의 경우 노인의 건강 유무에 따라 행복감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사회적 관계자원 유형이 서로 다름을 알 수 있었다. 끝으로 본 연구의 함의 및 실천적 제언을 포함하였다.

      • KCI등재

        북한 민속무용 ‘농악무’의 고찰

        전미애 한국무용연구학회 2022 한국무용연구 Vol.40 No.3

        연구목적: 이 연구는 남북한 통일 준비를 위한 일환으로 북한 문화예술을 이해하고향후 그들과 함께 공존 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데 있다. 연구방법: 농악에 대한이해와 함께 북한 ‘농악무’를 고찰하였다. 결과: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농악무악기와 소품 구성이 남한과 같은 형식이다. 둘째, 농악무 과정에서 타악기 연주자들의특수한 기량을 보였다. 셋째, 농악무과정이 규격화된 무대 위의 예술 보다는 일반 북한주민들과 함께 어울리며 공유하였다. 넷째, 장끼동작 등의 용어와 내용이 남한과 동일하게 사용되었다. 다섯째, 고유한 우리민족 장단을 변형시키지 않고 보존하고 있었으며 평민 복에 삼색 띠를 두른 의상도 남한과 크게 다르지 않았다. 결론: 후속 연구는 중국 조선족의 농악무와 비교분석하여 원형에 대한 이론적 근거를 제시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