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등학교 통합교육현장에서의 장애학생 진로교육 실태 및 통합학급 교사의 인식

        강옥려 ( Kang Ockryeo ),손일지 ( Son Ilji ) 서울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원 2021 한국초등교육 Vol.32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통합학급에서의 장애학생의 진로교육의 실태를 일반학생의 진로교육 실태와 비교하여 알아보고, 장애학생의 진로교육을 담당하는 통합학급 교사의 진로교육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여 통합된 초등학교 장애학생의 효과적인 진로교육 방안을 모색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있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서울시와 경기도 소재 초등학교 교사 120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하여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빈도분석, 교차분석, t-검증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초등학교 통합학급에서의 장애학생 진로교육의 실태는 일반학생에 비해 잘 이루어지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장애학생은 일반학생의 경우보다 목표 수립 여부 및 교내시설 및 교외 지역사회기관 이용 비율, 지역사회와의 협력 비율이 낮았다. 진로교육 시 활용 인사로는 일반학생의 경우 동학년 교사 또는 진로담당교사를, 장애학생의 경우에는 특수교사를 비중 있게 활용하였다. 둘째, 초등학교 통합학급 교사의 일반학생과 장애학생에 대한 진로교육의 인식은 비슷한 수준을 보였으나 필요성 및 효과, 운영영역에서 장애학생의 경우 일반학생보다 인식이 낮은 편이었다. 특히 통합학급 내에서의 진로교육의 필요성과 진로교육이 통합학급 교사의 책임인지에 대하여 장애학생과 일반학생을 다르게 인식하였으며, 장애학생의 경우 더 낮은 인식을 보여주었다. 운영에 있어서는 장애학생의 경우 통합학급 교사는 본인 학교와 학급에서 일반학생의 경우보다 잘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연구결과를 종합해 볼 때, 통합교육현장에서 초등학교 장애학생의 진로교육은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고 있으므로 통합학급 교사를 대상으로 지속적인 교육을 통한 전문성 신장과 행·재정적인 지원, 특수교사 및 진로담당교사와의 협력, 가정 및 지역사회 협조 등 지원체제 및 여건을 마련하여 초등학교 단계에 맞는 장애학생 진로교육의 내실화를 기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basic data to find effective career education plan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general elementary schools by examining the current status and perceptions of inclusive classroom teachers for career education of students with and without disabilities in inclusive settings of elementary school. To accomplish the purpose, data were collected by surveying 120 inclusive classroom teachers of elementary school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an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frequency analysis, cross-tabulation analysis, and t-test.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current status of career education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inclusive settings of elementary schools was not as good as that of students without disabilities. Second, most perceptions of career education for students with and without disabilities of inclusive classroom teachers in elementary school showed similar level, but especially in the necessity, effectiveness, and operation category, the perceptions of inclusive classroom teachers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of students without disabilities. In particular, the perception of the need for career education in inclusive classroom and the responsibility of career education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differed from those of students without disabilities, and was lower than those of students without disabilities. In the case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the inclusive classroom teachers judged to be less successful than students without disabilities in their schools and classrooms. In conclusion, since the career education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elementary schools is not being smoothly conducted in the inclusive settings,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career education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accordance with the elementary school level by establishing support systems and conditions such as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support, collaboration with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career teachers, and cooperation with families and local communities.

      • KCI등재

        중국 초등학교 인공지능(AI) 교육과정과 교과서 분석

        남미주 ( Nam¸ Mijoo ),김정효 ( Kim¸ Junghyo ),황은경 ( Hwang¸ Eunkyoung ),( Jin¸ Chunlan ) 서울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원 2021 한국초등교육 Vol.32 No.3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초등 AI 교육과정과 교과서 개발을 위한 탐색으로 해외 주요 국가의 AI 교육과정 특징을 살펴보고, 기초교육에서부터 AI 교육을 실행하고 있는 중국의 초등 AI 교육과정과 교과서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첫째, 해외 주요 국가들의 AI 정책 및 교육과정과 대비하여 중국 교육과정의 특징을 알아보고 둘째, 중국 초등 AI 교과서인 화동사범대학출판사의 초등과정 교과서 3권과 허난인민출판사의 초등과정 교과서 12권을 선정하여 내용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를 종합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해외 주요 국가 AI 교육과정의 특징은 영국은 AI에 대한 직접적인 언급은 없으나 알고리즘과 프로그래밍 언어를 바탕으로 AI의 기본구조에 대한 이해를 돕도록 하고 있었으며, 유럽연합과 미국은 AI에 대한 기초지식 및 프로그래밍, 그리고 AI 기술에 대해 다루고 있었으며 또한, AI가 사회에 미치는 다양한 영향, 윤리적인 측면을 강조하고 있었다. 이에 비해 중국 초등 AI 교육과정의 특징은 프로그래밍 및 알고리즘에 대해서 다루며 피지컬 컴퓨팅을 통해 기계와 프로그래밍의 원리를 학습하도록 하고 있으나 AI 기술에 대한 직접적인 내용은 담고 있지 않았으며, AI 기술로 인해 초래될 수 있는 부정적인 사회적 영향에 대한 내용도 포함하고 있지 않았다. 둘째, 중국 초등 AI 교과서를 분석한 결과, 1) 2종 교과서 모두 프로그래밍 중심적이고 학년별 계열성이 명확하게 보였으나. 정서적이고 윤리적인 내용은 미흡하였다. 2) 각 출판사별로 보면, 화동사범대학출판사 교과서의 경우 학습 주제에 있어서 AI 편리성과 유용성에 대해 강조하고 있었으며, 허난인민출판사 교과서의 경우 학습 도구로 게임을 활용하는 점에서 학습자 친화적 성격을 나타내고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초등 AI 교육과정과 교과서 개발에 있어서 초등교육의 목적과 아동 발달단계에 부합하는 AI 교육과 과학기술에 대한 문해력 배양의 필요성을 시사점으로 도출하였고, 초등 AI 교육에 있어서 윤리교육의 실행과 쟁점들에 대하여 지속적인 연구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AI curricula in major countries and analyze China’s AI curricula and textbooks for elementary education, which implements AI education from basic education, in a way to develop elementary AI curricula for the academic year 2022 in Korea. For this purpose, first, we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Chinese curricula compared to AI policies and curricula of the developed countries. Second, we analyzed China’s elementary school textbooks―three published by East China Normal University Press and 12 by Henan People’s Publishing House. This study achieved a meaningful result in two aspects. First, AI curricula of the leading countries in education are categorized into UK and others. UK does not directly cover AI technology itself but helps students understand the basic structure of AI based on algorithms and programming languages. On the other hand, other countries deal with the basic knowledge and programming of AI and AI technology and emphasiz the technology’s social impact and ethical aspects. In contrast, China’s AI curricula focuses on programming and algorithms, helping students learn physical computing to understand machinery and programming principles. However, they cover neither the technology itself nor its potential adverse effects on society. Second, the Chinese AI textbooks published by the two publishers focus on programming and clearly show level differences by grade. However, all of them have insufficient content for the emotional and ethical aspects of the technology. When comparing textbook content by publisher, East China Normal University Press emphasizes the convenience and usefulness of AI as a learning topic, whereas Henan People’s Publishing House is more student-friendly, using games as one of the learning tools. In conclusion, this study implies the need for developi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literacy on AI education and science technology appropriate for the purpose of elementary education and the development stages of children. It also suggests a constant need for research on the implementation of ethical education and ensuing issues concerning AI education for elementary students.

      • KCI등재

        AI 교육에 대한 초등 교사의 이해와 인식

        이수영 ( Lee Soo-young ) 서울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원 2020 한국초등교육 Vol.31 No.특별호

        본 연구의 목적은 AI 교육에 대한 초등교사들의 인식과 이해도를 살펴봄으로써 향후 초등학교에서의 AI 교육과정의 목표와 내용 설정, 그리고 이를 위한 교사 연수의 내용을 구성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수도권에 재직 중인 초등교사 229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 조사를 실시하고, 응답 결과에 대한 빈도 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 교사들은 AI 기술에 대해 전반적으로 긍정적인 태도를 보이고 있으며, AI 기술 도입으로 인해 학교 교육이 여러 측면에서 변화될 것이라는 예측을 하고 있으나, AI 기술에 대한 이해는 제한적임을 알 수 있다. 둘째, 초등 교사들이 인식하고 있는 AI 교육은 ‘AI 시대에 필요한 기본 역량을 가르치는 것’이라는 응답이 가장 높았고, AI 소양 교육 관련 내용에 대한 응답이 AI 활용 교육에 대한 응답보다 높게 나타났다. 셋째, AI 교육에 필요한 초등 교사의 역량으로 AI 시대의 윤리문제, 사회에 미치는 긍정적, 부정적 영향에 대한 이해, AI 시대에 요구되는 핵심 역량, AI 기술을 적용한 일상생활 사례 등에 대한 요구가 높았다. 넷째, 관련하여 초등 교사들의 AI 관련 연수에 대한 관심과 참여 의지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AI 관련 연수 내용 중요구도가 높은 것은 AI 기술을 활용한 교수·학습 도구 안내, 수업 사례, 윤리문제, AI 기술에 의해 변화될 학교 환경 등이 있었고, 요구도가 낮은 연수 내용으로는 AI 기술 자체에 대한 정보, 코딩과 프로그래밍 실습, 빅데이터 활용 실습 등이 있었다. 다섯째, 학교 교육 중 AI 기술이 활용 가능한 영역에 대한 질문에 학습자의 관심과 특성에 따른 개별 맞춤형 콘텐츠 제공에 대한 기대를 가장 많이 나타냈다. 마지막으로 초등 교사들의 AI 교육에 대한 수동적 탐색자, 초보자로서의 관심도는 높은 편이지만 적극적 수용자로서의 관심은 아직 높지 않은 편이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초등학교에서의 AI 교육은 AI 소양 교육과 활용 교육을 모두 포함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data for establishing the goals and contents of AI curriculum in elementary school and developing teacher professional development for the future by examining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ception and understanding of AI education. The results of the online survey conducted on 229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the metropolitan area and the frequency analysis of the respons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elementary teachers showed a positive attitude toward AI technology in general, and predicted that school education would be changed in many ways due to the introduction of AI technology, but the understanding of AI technology was somewhat limited. Second, AI education recognized by elementary school teachers showed the highest response to 'teaching the basic competencies required for the AI era', and the response to AI literacy education content was higher than the response to AI utilization education. Third, as elementary teacher's competency required for AI education, there were high demands on ethical issues in the AI era, understanding of the positive and negative effects on society, core competencies required in the AI era, and daily life examples using AI technology. Fourth, it was found that elementary teachers had high interest in and participation in AI-related professional development. Fifth, the expectations about the provision of individual customized contents according to the interests and characteristics of the learners showed the most in answer to the question about the area where AI technology can be usedin the school. Lastly, the elementary teacher's interest in AI education as a passive explorer and a novice was high, but the interest as an active adopter was still limited. Based on these results, it seems necessary to organize AI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s to include both AI literacy and utilization education.

      • KCI등재

        초등교육의 변화에 대응하는 교육행정의 역할과 과제

        김용 서울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원 2022 한국초등교육 Vol.33 No.2

        This study analyzed the changes in primary education at the school level since 1995. Over the past quarter-century, the number of students per class has decreased considerably, and in this respect, teaching conditions have significantly improved. Moreover, the previous study of elementary school work has been centered on curriculum implementation; however, practices of teaching and evaluation have significantly changed. Teaching oriented toward knowledge transfers has changed, being replaced by a teaching- and learning-centered approach that focuses on experience and discussion. Performance appraisal is the most common form of student appraisal, replacing paper-and-pencil appraisal. As teaching and evaluations have changed, various teaching- and learning-related activities, such as field experiences and training activities have been increasingly conducted in schools, and new activities, such as after-school and child care, educational informatization, and school violence have been enacted in schools. Furthermore, the number of educational support personnel has considerably increased as the work of schools has diversified. A general social trend toward heterogeneity and stratification of faculty and staff has been observed. Many of these changes in elementary schools and primary education pose novel challenges. In the context of growing inequality in education, it has become necessary to pay attention to the impacts of new types of evaluation, such as generalized, experience-oriented, discussion-oriented classes, and process-oriented evaluation related to social class. The social stratification and fragmentation of the faculty and staff suggest restructuring the faculty structure and their work. New tasks are constantly being added to schools, and many of these must be carried out in cooperation with the local community. However, many teachers are working to promote the “essence of education,” resisting the transformation of schools into schools that function within their community. This is an important factor of tension inherent in primary education today. 이 연구는 1995년 이후 학교 수준에서 이루어진 초등교육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지난 사반세기 동안 학급당 학생 수는 상당히 많이 줄었으며, 이 점에서 수업 여건은 크게 개선되었다. 한편, 종래 초등학교의 일은 교과 지도에 치우쳐 있었으나, 수업과 평가의 내실은 의미있게 변화되었다. 교과서를 매개로 한 지식 전달형 수업은 체험과 토론 중심 수업으로 변화했고, 지필평가 대신 수행평가가 학생 평가의 대종을 이루고 있다. 수업과 평가가 바뀌면서 현장 체험이나 수련활동 등 수업과 유관한 각종 활동이 학교에서 이루어지고, 방과후학교와 돌봄, 교육정보화와 학교폭력 등 활동이 학교로 들어왔다. 한편, 학교의 일이 다양해지면서 교육 지원 인력이 상당히 증가하였다. 교직원 사회의 이질화와 계층화의 경향이 나타나고 있다. 초등학교, 그리고 초등교육의 변화는 새로운 과제를 제기하고 있다. 교육 불평등이 심화하는 상황에서 이제는 보편화한 체험 중심, 토론 중심 수업, 그리고 과정 중심 평가 등 새로운 평가가 사회 계층에 미치는 영향에 주목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 이와 함께, 초등교육에서도 에듀테크가 중요해지고교육행정의 정보화, 데이터 기반 교육행정체제 구축 등이 중요한 과제가 된다. 교직원 사회의 계층화와 파편화는 교직원 구조 및 일의 재구조화를 과제로 제안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학교에는 새로운 일이 계속 부가되고 있으며, 그 일 중 상당 부분은 지역과 연계 협력하면서 추진해야 한다. 그러나, 교직사회는 ‘교육의 본질’을 고수하고자 하며, 학교를 지역 속의 학교로 변화시키는 데 저항하기도 한다. 이것이 현 시기 초등교육에 내재하는 중요한 긴장 요소이다.

      • KCI등재

        초등영어교사의 정체성 발전을 위한 교사교육 모형 개발 및 적용

        안경자 서울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원 2018 한국초등교육 Vol.29 No.1

        This study aims to develop a teacher education model for the identity development of primary English teachers. It also examines the effects of the model on the teachers’ professional development when it was applied in a teacher education course. In addition, the teachers’ perceptions of English teacher identities and the factors that affect their identities were investigated. The participants were 18 graduate students registered in a class on second language teacher education taught by the researcher. Pre- and post-survey responses, autobiographic essays, and reflective journals were collected and qualitatively analyzed using content analysis.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ly, the application of the teacher education model helped the participants to understand the theory, practice, and research in English teacher education as well as to reflect on and develop their identities as English teachers. Also, the teacher education course facilitated the teachers’ awareness of primary English teachers’ role identities and field-based communication between teachers. Thus, the teacher education course provided the teachers with various professional development opportunities. Secondly, the teachers realized English teacher identities existed distinct from homeroom teacher identities and indicated that their English teacher identities changed and developed in their relationships with students, other teachers, and administrators within the context the teachers were located. Thirdly, the teachers revealed the identities of nonnative English teachers, teacher learners, teacher researchers, and English users as well as of primary English teachers. Lastly, the teachers’ professional identities were affected by factors connected with the teachers’ personal backgrounds (English and English instructional skills), institutions (whether they taught English as English subject teachers or as homeroom teachers, teachers’ relationships and co-teaching with native English teachers, learners’ proficiency levels and responses to teachers’ instruction, working conditions of the schools where the teachers were employed), teacher education programs they had participated in (programs in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intensive English teacher training programs, other teacher education programs), and the macro-structure (national English curriculum and English educational policies). Important implications for teachers, teacher educators, and policy makers regarding English teacher education, development of English teacher identities, and English teachers’ professional development are discussed. 본 연구는 초등영어교사들의 정체성 발전을 위한 교사교육 강좌를 개발하여 적용한 효과를 고찰하고, 초등영어교사들의 정체성에 대한 인식 및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조사했다. 모형이 적용된 강좌를 수강하는 초등교사 18명을 대상으로 사전 설문조사 및 자서전적 에세이, 1, 2차 성찰일지 및 사후 설문조사로 수집된 자료를 질적으로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영어 교사교육 모형을적용한 결과 교사들은 초등영어 교사교육의 이론, 실제 및 연구에 대한 인식을 고양하게 되었고, 초등영어교사 정체성을 성찰하고 발전시키게 되었다. 또한 초등영어교사 역할 정체성을 명시화하게 되었고, 초등영어교사들의 현장 기반 소통이 향상되었다. 이처럼 교사교육 모형이 적용되면서 초등영어교사들은 전문성 신장의 기회를 가졌다. 둘째, 교사들은 초등영어교사 정체성이 교사들이 처한 맥락 안에서 학생, 교사, 관리자와의 관계 속에서 확립되며 변하고 발전되는 것으로 인식하고, 담임교사 정체성과는 구별해 인식했다. 셋째, 교사들은 초등영어교사 정체성 이외에도 비원어민 영어교사, 교사학습자, 교사연구자, 영어사용자의 정체성도 드러냈다. 넷째, 초등영어교사 정체성에 영향을 미친 요인은개인적 배경요인(교사의 영어능력 및 영어교수능력), 근무 학교(영어전담교사 여부, 원어민 교사 및 원어민 교사와의 협력수업, 학습자 수준 및 반응, 근무 학교 맥락), 교사교육 프로그램(대학원 프로그램, 심화연수 등 직무연수) 및 국가의 거시적 맥락(국가교육과정 및 영어교육정책)인 것으로 나타났다. 본연구결과는 영어 교사교육, 영어교사의 정체성 형성과 발달 및 전문성 신장과 관련해 교사, 교사교육가 및 정책입안자에게 중요한 시사점을 던져주고 있다.

      • KCI등재

        초등학교 표준 교육 활성화 방안 연구

        김종우 서울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원 2018 한국초등교육 Vol.29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trategy development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standard hands-on activity education. The method of this study was literature review. This study was conducted by literature review of standard, standard education and practical arts education.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 basic materials development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standard hands-on activity education. 2) The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standard hands-on activity education. 3) The implementation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standard hands-on activity education. 4) The in-service teacher education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standard hands-on activity education. 5) The middle and long term strategy developmemt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standard hands-on activity education. Finally,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provided the basic data that develops the elementary teacher’s standard education in-service training. And this will contribute for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 to promote his specialities of standard education. Furtherm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hands-on activity programs for elementary student’s standard education. Based on this result, ①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legal basis to support education to cultivate standard literacy in general education of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② In order to practice standard education,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cooperation system between standard related organizations and educational institutions. ③ In the era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standard education portal site to provide integrated information on standards and standard education, and to establish a system in which all human and material resources related to standard education can be integrated online. ④ It is necessary to train standard education experts and to educate experts on school visits for standard education practice of schools. 표준의 정의와 미래 사회에서 표준의 중요성 및 교육 철학의 흐름은 우리 나라의 초등 교육에서 표 준 교육에 대한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므로 초등학생들이 우리의 일상 생활과 산업에서 표준과 표준화의 중요성을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표준 교육의 활성화가 반드시 필요할 것이라는 교육 적 확신이 반드시 필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인 초등학교 표준 체험 교육 방안 연구를 위해 문제인식, 문헌연구, 방안제시 단계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문제인식 단계에서는 우리 생활에서 표준의 중요성을 기반하여 초등 교육에 있어 표준 체험 교육을 활용한 표준 교육 활성화의 필요성을 인식하였으며, 문 헌연구 단계에서는 표준과 표준 교육 관련 문헌 및 선행연구 고찰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방안 제시 단 계에서는 관련 문헌 분석을 토대로 표준 체험 교육을 활성화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초등학교 표준 교육 활성화 방안은 크게 ① 초등 표준 교육을 위한 기초 자료 개발, ② 초등 표준 교육 교원 및 전문가 양성, ③ 초등 표준 교육 실행, ④ 교육 현장 표준 교육 지원, ⑤초등학교 중·장기 표준 교육 활성화 방안의 다섯 가지로 제시하였다. 이에 기초한 제언으로 ① 초·중·고등학교의 일반 교육에서 표준 소양을 함양하는 교육을 지원할 수 있는 법적 근거를 마련할 필요가 있다. ② 표준 교육 실천을 위해서는 표준 관련 기관과 교육 관련 기관의 협조 체제 구축이 필요할 것이다. ③ 4차 산업혁 명 시대에 표준과 표준 교육에 관한 통합적인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표준 교육 포털 사이트를 구축하 여 표준 교육에 관한 모든 인적, 물적 자원이 온라인에서 통합될 수 있는 체제의 구축이 필요하다. ④ 학교의 표준 교육 실천을 위해 표준 교육 전문가의 양성과 전문가의 학교 방문 교육이 필요하다.

      • KCI등재

        그림책 관련 초등교육 연구 동향 및 그림책 활용 양상 연구

        이순아 ( Lee Soonah ),임성만 ( Lim Sungman ) 서울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원 2021 한국초등교육 Vol.32 No.1

        초등교육 현장에서 그림책은 학년에 상관없이 널리 활용되고 있고 그림책 관련 연구들이 2000년대 이후 꾸준히 발표되고 있으나, 초등교육을 다룬 국내 그림책 연구 동향을 파악하고 종합한 연구는 찾아보기 어렵다. 유·초 연계교육과 독서교육이 강조된 2015개정 교육과정이 시행되고 있는 이 시점에서 국내 학술지에 발표된 연구를 중심으로 초등교육에서 그림책이 어떻게 접근되고 활용되고 있는지 그림책 활용 양상과 연구 동향을 살펴보고 초등 수업에서 보다 효과적으로 그림책을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하거나 초등학교 교육현장과 관련된 그림책에 대한 국내 학술지 연구 99편을 7가지 대범주와 43개의 코드로 구성된 분석기준에 근거하여 내러티브 리뷰방식으로 고찰하고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지난 20여년간 초등교육에서 국내 그림책 연구들은 꾸준하게 명맥을 유지하며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나, 유아교육분야에 비해 상대적으로 연구가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둘째, 연구대상이 초등 전학년에 고르게 분포되어 있어 그림책은 학년 구분 없이 유용하게 활용 가능한 교육매체임을 확인하였다. 셋째, 그림책은 일반 수업활동 자료 및 매체이자 아동의 사회정서 발달을 지원하는 상담 및 치료 도구로서 활용 측면이 확대되었다. 넷째, 언어 및 문학교육에서 그림책의 활용도가 높았고, 교육과정 연계성을 실제적으로 고려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적었다. 다섯째, 초등현장에서 서사그림책 위주 활용 경향성이 높았으며, 교수·학습적 자료 유용성과 이야기 주제적합성 측면의 접근과 활용이 두드러졌다. 이를 토대로 초등교육에서 보다 다양한 장르의 그림책을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해서 그림책이 가진 다표상성과 상호작용성에 주목한 접근이 필요함을 논의하였다. 또한, 그림책을 사회 및 과학교과 영역으로 확대·적용하고 창의력, 상상력, 문제해결력 등과 같은 미래역량 발달을 위한 그림책의 초등교육적 활용 방안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research trend of elementary picture book studies and explore how to use picture books more effectively in elementary teaching. We analyzed 99 research articles published between 1998 and 2019 in domestic academic journals, using narrative review methods. The analysis criteria were research types, approaches to picture books, picture book genres, developmental areas, research participants, and connection to the elementary curriculum. Regarding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trend of elementary picture book research, first, the elementary picture book research increased for the past 20 years. However, the number of research is still not abundant compared to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field. Second, the research participants were distributed across all grades, which meant that picture books would be helpful educational media. Third, picture books have been used as available teaching materials and as counseling and healing tools for helping children’s social and emotional development. Forth, picture books’ utility tended to be higher in particular, in the language education areas such as Korean and English subjects and less connected to the elementary curriculum. Lastly, story picture books tended to be the most used in the elementary education field. They were selected based on the story topics or specific characteristics as language learning materials such as easy vocabulary, simple sentences, or repetitive expressions. To expand practical uses of picture books in elementary teaching contexts, the approach to picture books focused on their multimodality and intertextuality will be needed. Presenting foreign teaching cases, we suggest that picture books should be used in more various subjects such as social studies, history, or science. They would also be useful to increase elementary students’ imagination, creativity, and problem-solving abilities.

      • KCI등재

        지속가능한 식생활교육을 위한 초등학교 학년군별 교육 내용 개발

        이은주,김정원 서울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원 2019 한국초등교육 Vol.30 No.3

        In response to the need to transition to a global sustainable diet educ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educational contents for each grade group according to the goal of sustainable diet education and content system, and to provide a basis for sustainable diet education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According to the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composed of the grade group, the educational contents were divided into the elementary lower grades, the middle grades, and the upper grades. After testing the validity through 11 expert groups, the validity of the whole research and development process and contents were verified to five experts with more than doctorate degree. In addition, 40 elementary school teachers were verified to be suitable for the field and finally corrected or supplemented. The results obtained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In line with the changing trend of sustainable diet education, the contents for grade group of sustainable diet education were developed. Specific activities and learning contents were presented as the middle and small areas under the 3 large areas of 'diet life for health (food choice, food intake, diet management)', 'dietary life for the community (dietary etiquette, traditional food culture)', 'dietary life for the global environment(food system, eco-friendly dietary life, dietary life experience)'. In the case of lower grades or middle grades, it was suggested that the activity contents are simple in order to be understood at the grade level. In the case of the upper grades, the contents were deepened. This study provided the basis for sustainable diet education to be used in elementary school education, and the developed sustainable diet education contents could contribute to raise elementary school students’ food literacy to understand food system, society, economy and environment. This study is limited to the development of education contents for elementary school sustainable diet education grade group, therefore, it would be necessary to implement the results to elementary schools and verify its effectiveness. 전 세계적인 지속가능한 식생활교육으로의 전환 요구에 발맞춰 본 연구는 지속가능한 식생활교육 목표 및 내용체계에 맞는 학년군별 교육 내용을 개발하여 초등학생에게 지속가능한 식생활교육을 실 시할 수 있는 기초를 마련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학년군으로 구성된 초등교육과정에 따라 교육대상을 초등 저학년, 중학년, 고학년으로 구분하여 학습 내용 선정 원리에 따라 학년군별 교육 내용을 개발하 였고, 11명의 전문가 집단을 통해 타당도 검증을 1차로 실시한 후 박사학위 이상 전문가 5인에게 전 체적인 연구개발 과정 및 교육 내용에 대해 2차로 타당도를 검증 받았다. 또한 40명의 초등교사에게 현장적합성을 검증받았으며 최종적으로 수정·보완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현재 지속가능한 식생활교육으로 변화하고 있는 경향에 발맞추어 지속가능한 식생활교육 학년군별 교 육 내용을 구체화하였다. 기존의 건강 중심의 식생활교육에 사회적, 경제적인 측면을 포함한 지속가능 성 개념을 도입하였고, 세 개 대 영역을 중·소 영역으로 세분하여 ‘건강을 위한 식생활’(식품선택, 식품 섭취, 식생활관리), ‘지역사회를 위한 식생활’(식사예절, 전통식문화, 지역농산물), ‘지구환경을 위한 식 생활’(푸드시스템, 환경친화적식생활, 식생활체험)에 구체적인 교육 내용을 제시하였다. 저학년이나 중 학년의 경우 학년 수준에서 이해하기 쉽도록 활동내용이 간단한 경우 묶어서 제시하였고, 고학년의 경 우 심화된 내용을 제시하였다. 이를 통해 지속가능한 식생활교육이 초등교육현장에 활용될 수 있는 기 초를 제공하였으며 개발된 초등학교 지속가능한 식생활교육 학년군별 교육 내용은 푸드시스템의 이해 및 사회, 경제, 환경까지 생각하는 식생활 관련 역량을 키울 수 있도록 하였다. 이 연구는 초등학교 지 속가능한 식생활교육 학년군별 교육 내용 개발에 국한되었다는 제한점을 가지고 있으므로 앞으로 초 등 현장에 직접 적용하고 그 효과성을 검증하여야 할 과제가 남아 있다.

      • KCI등재

        예비초등교사의 창의력 향상을 위한 팀 기반 학습의 적용 방안 연구

        남정권,이수영 서울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원 2017 한국초등교육 Vol.28 No.특별호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applicability of Team-Based Learning(TBL) model to improve creativity in the elementary education by analyzing the artifacts of implemented TBL lessons and interviews with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the lessons. TBL model found to be an effectiv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to improve creativity of elementary students as well as pre-service teachers. We applied a formative research method that employs iterative processes of the development – implementation – evaluation - revision cycle as follow. First, we selected the existing TBL model. Second, we designed a case in point related to the theory, and implemented the case. Third, we revised the case after collecting and analyzing formative data. As a result, we found the total course period (5 weeks) was too short to make visible changes in creativity. However, TBL showed a potential to be an alternative teaching-learning method in elementary education which is more learner-centered and provides creative learning environment. In order to successfully implement TBL in elementary classrooms, teachers should be an expert on the TBL model as well as the contents. Also, it is critical to chose appropriate topics for TBL. In addition, teachers should be aware of elementary students’ work-load before and during TBL lessons.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교육에서 예비초등교사의 창의력 향상을 위한 팀 기반 학습(Team Based Learning)의 적용 방안에 관한 연구이다. 기존의 팀 기반 학습에 관한 연구는 협력학습에 기반을 둔프로젝트학습이나 상호작용에 관련된 연구이거나, 웹 기반학습 환경 또는 컴퓨터 활용 교육의 수업방법이 주류를 이루었다. 또한, 연구 대상자의 경우, 초등 학생이나 공업계고등학교 사례에 관련된 수업이었으며, 대학생의 경우 글쓰기 교육과 관련된 연구가 진행되어 예비초등교사 교육과 관련된 팀 기반학습 연구는 매우 미미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학습자의 창의력 조기 발굴을 위해 초등교육에서 팀 기반 학습을 적용한 연구가 필요함을 인식하고, 초등학교 예비교사인 교육대학교 학생들을대상으로 초등교육에서 예비초등교사의 창의력 향상을 위한 팀 기반 학습 적용 방안을 모색하게 되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2016년 11월 교육대학교 초등학교 현장실습을 경험한 2~3학년 예비교사 20 명을 대상으로 교육공학 수업시간에 매주 2시간씩 5주간 팀 기반 학습 모형을 적용하였다. 본 연구에사용된 팀 기반 학습 모형은 사전 계획 단계, 선행 학습 단계, 준비도 확인 단계, 개념적용 문제해결단계인 4단계를 단계별로 구체화하여 수업시간에 적용하였으며, 역진행 수업(Flipped learning)과는차별화된 개인과 팀별 사전 점검 및 개념적용 문제해결 과정을 통한 심층적 접근을 통해 학습자의 창의력 향상 방안을 도출하였다. 이러한 팀 기반 학습의 실천적 학습 지향 연구는 초등학교 교실에서 활용되는 다양한 교육 방법과 수업 모형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동료의 수업을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분석하는 과정을 통해 예비초등교사간 다양한 아이디어와 발산적 사고를 자극하여 창의력 향상에 도움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초등학생용 자원순환교육 교재의 개발 및 적용

        이성희,이상원 서울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원 2019 한국초등교육 Vol.30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ivenes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pro-environmental attitude through developing resource circulation education textbooks by elementary school grade group for spreading resource circulation in elementary school field. For this, previous literature researches related to resource circulation, core competencies and teaching materials, and a demand analysis for resource circulation education textbooks were conducted. Through such basic researches, the goals and contents of resource circulation education based on elementary core competencies was structured, and the analysis framework for resource circulation education was developed. The analysis framework for resource circulation education applied the 6R stages of Rethink, Reduce, Reuse, Repair, Recycle, and Upcycle. By using this analysis framework, the contents of elementary resource circulation education according to the achievement criteria of the 2015 revised curriculum are analyzed based on focusing on moral, social, mathematics, science, and practical arts subjects. And then, A textbook was developed to provide a systematic and balanced resource circulation education at school fields. As result of analyzing the effectiveness of the revised textbooks through expert review, the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class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pro-environmental attitude for resource circulation, and also improved their interest in the environment and a willingness to practice. Therefore, it seems that the textbooks developed in this study can be used in curriculum, creative experiential activities and after-school activities to spread the resource circulation education in the school field. Based on this study, further research should be conducted to develop various textbooks linked to resource circulation education that are appropriate for student`s level considering the school and the grade so that the education for resource circulation education should be spread in the school field. 본 연구는 초등학교 현장에 자원순환을 확산하기 위하여 초등학교 학년군별 자원순환교육 교재를 개발하여 초등학생의 환경친화적 태도에 대한 효과성을 분석한 연구이다. 이를 위해 자원순환, 핵심역 량 및 교재화와 관련된 문헌 연구와 초등학생 및 초등교사를 대상으로 자원순환교육에 대한 요구도 분 석을 실시하였다. 이러한 기초연구를 바탕으로 초등핵심역량을 기반으로 한 자원순환교육의 목표와 내 용을 구조화하였다. 2015 개정교육과정에서 제시된 환경교육 교과역량을 바탕으로 하여, 자원순환 내 용을 예방, 감량화, 재사용, 수리와 수선, 재활용의 5R 단계를 적용하되, 재사용과 다른 개념으로 새사 용으로 부각되는 Upcycling에 대한 자원순환교육의 관심과 가치를 고려하여 Upcycling 영역을 추가 하였다. 이와 같은 자원순환교육 분석틀을 바탕으로 2015 개정교육과정의 성취기준에 따른 초등 ‘자 원순환’ 교육 내용을 도덕, 사회, 수학, 과학, 실과, 미술 교과 중심으로 분석하여, 학교현장에서 체계 적이고 균형있는 자원순환교육을 할 수 있도록 교재를 개발하였다. 전문가 검토를 통하여 수정된 교재 에 대한 효과성을 분석한 결과, 수업에 참여한 학생들은 자원순환사회를 위한 환경친화적 태도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자원순환뿐만 아니라 환경 전반에 대해 관심과 실천의지를 갖게 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개발된 교재는 학교 현장에서 자원순환교육의 확산을 위해 교과 및 창의적 체험활동 및 방과 활동에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본 연구를 기초로 학교급 및 학년군을 고려하여 학생 수준에 적합한 자원순환교육과 관련한 다양한 교재들이 개발되어 학교현장에 서 자원순환교육이 확산이 될 수 있도록 후속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