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고등학생의 관용성 분석과 관용교육 개선에 관한 연구

        길현주 ( Hyun Joo Ghil ) 한국사회과교육학회 2007 시민교육연구 Vol.39 No.2

        본 연구는 관용교육의 인지 중심 접근과 정서 중심 접근을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관용인지와 관용정서가 관용적 행동경향성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을 실증적으로 밝히고자 한다. 또한 연령에 따라 학습자의 인지능력과 정서능력이 다르다는 발달론적 논의에 기초하여 연령집단별로 관용판단력과 관용정서가 관용적 행동경향성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 분석하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중ㆍ고등학생 528명을 대상으로 설문하고 통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첫째, 관용정서와 관용판단력은 관용적 행동경향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변수로 나타났고 관용정서가 관용적 행동경향성에 미치는 영향력이 상대적으로 큰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관용지식이해는 관용적 행동경향성을 설명하고 예측하는 유의미한 변수가 아닌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연령에 따라 관용판단력과 관용정서가 관용적 행동경향성에 미치는 영향이 달라, 중학생의 경우 관용정서가 관용적 행동경향성을 설명하는 유의미한 변수로 확인되었고, 고등학생의 경우 관용정서와 관용판단력 모두 관용적 행동경향성을 설명하는 변수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갖는다고 할 수 있다. 첫째, 관용지식이해에 머무르는 교육을 통해서는 관용적으로 행동하려는 경향을 가진 학습자를 양성하기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이는 현재 사회과 관용교육의 방향이 시급히 선회되어야 할 것을 촉구한다. 둘째, 중학생의 경우 정서 위주의 교육과 체험 위주의 관용교육을, 고등학생의 경우 관용정서 교육과 더불어 활발한 토론을 통해 관용판단력을 제고하는 교육을 실시해야 할 것이다. There have been theoretical arguments for the approaches of tolerance education in social studies education fields, besides the argument that tolerance is an important virtue in a pluralistic society. It was fairly discussed that the insistence such as ``cognition-centered approach for tolerance education is needed`` or ``affection-oriented is required.`` But enough research has not been conducted to prove these arguments experientially. Also, such theoretical insistences are criticized that they categorize students into the same group without any consideration for various background variables. In this case, I suggest for intensifying the arguing level through two kinds of research questions and low rank hypothesis on current tolerance education. First, research question 1 is ``What influences tolerant cognition and tolerant affection will give to tolerant behaving tendency?`` Second, research question 2 is ``Will tolerant judgment and affection which affect tolerant behaving tendency be different according to age group?`` To certify research questions above, I surveyed 556 students in 2nd grade of middle and high school. In the result of research question 1, tolerant judgment and affection affects tolerant behaving tendency meaningfully. But the difference of level for tolerant knowledge comprehension doesn`t influence on tolerant behaving tendency. In the result of research question 2, it is proved that the effect of tolerant judgment and tolerant affection influencing tolerant behaving tendency differs by the age. In case of middle school students group, tolerant affection shows meaningful relations with tolerant behaving tendency except tolerant judgment. However, in case of high school students group, both tolerant judgment and affection appeared to be variable factors that explain tolerant behaving tendency.

      • KCI등재

        2004년~2008년 국가수준 사회과 학업성취도 평가 성취수준별 대표문항 분석 연구

        길현주 ( Ghil Hyun Joo ),박가나 ( Ga Na Park ) 한국사회과교육학회 2010 시민교육연구 Vol.42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ability of student in achievement levels. For this purpose, we analyzed the questions of social studies in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in 2004~2008. Specifically, in achievement levels we confirmed differences depending on the behavior area and examined differences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materials like degrees of complexity and familiarity.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behavior area in achievement levels. Second, we recognized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materials in achievement levels. In familiarity of materials, high degree of familiarity is related to basic level. In the complexity of materials, basic level is related to simple materials, but in excellent level, there are many items that have materials of high degree of complexity. Implications are as follows: 1. The characteristics of questions should be analyzed more closely through specified analytical framework. 2.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variety of materials in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3. Items should be developed to response on hierarchical thinking. 4. In social studies class, we need to facilitate students to interpret meanings of materials that are complicated and unfamiliar.

      • KCI등재

        사회과 정의적 영역 교육에 대한 비판적 고찰: 2007 개정 사회과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길현주 ( Hyun Joo Ghil ) 한국사회과교육학회 2011 시민교육연구 Vol.43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at specific ways in affective domain education through analysing on 2007 revision curriculum. As a consequence of social studies curriculum analysis, there are affective words like sense of community, respect of human rights, tolerance etc. And In describing aims, it has a balance in knowledge, skills and attitude education. We can`t find contiunity and sequence in affective domain contents. In learning activites, it was recommanded case activities and experience activities. But they was differently used in primary schools and secondary schools. On evaluating, it is inclined to evaluate behavior or internalization in primary schools but it has a tendency in evaluating according to hierarchy of cognitive domain. I suggest, First, affective domain contents are extracted in relation I and others, I and society. Second it is different from contiunity and sequence in cognitive domain education. We build contiunity and sequence in affective domain education like from reciving to behaving according to Hauenstein. Third, we need to adopt perspectives of evaluation, assessment in affective domain education.

      • KCI등재

        사회과 교사들의 교육과정 재구성 경험에 관한 이해 -혁신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길현주 ( Hyun Joo Ghil ),박가나 ( Ga Na Park ) 한국사회과교육학회 2015 시민교육연구 Vol.47 No.1

        본 연구의 목적은 현재 교사들이 실천하고 있는 교육과정 재구성의 경험을 통해 교육과정 재구성이 교사들에게 어떤 의미를 가지는지를 이해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교육과정 재구성을 적극적으로 실천하고 있는 교사 2명을 목적 표집하였고, 그들이 작성한 반성적 수업 글쓰기, 교육과정 재구성 글쓰기, 초점 집단 면담, 수업 관찰을 통해 교육과정 재구성의 특징과 의미를 드러내고자 하였다. 우리가 본 두 교사의 교육과정 재구성은 교사가 가진 신념과 가치관이 그들의 수업과 관련된 요소들을 주체적으로 해석하고 이해하는 과정에 자연스럽게 녹아드는 과정이었다. 두교사는 교육과정 재구성의 과정에 자신의 가치관을 녹이는 것 뿐 아니라 자신의 학교가 속한 지역사회, 교과의 목표와 본질, 교사로서의 정체성 그리고 학생들의 배움에 대한 고민을 통해 수업을 설계하고 실행하고, 다시 재설계하고 있었다. 이러한 교육과정 재구성은 동료 교사들과의 협력 과정 속에서 이루어지고 있었으며, 교육과정을 재구성하면서 겪는 여러 가지 불안과 어려움을 극복할 수 있는 바탕 역시 동료 교사들로부터 찾고 있었다. 두 교사는 교사 공동체를 통해 집단 지성을 발휘하고 있었으며, 이러한 집단 지성은 개인들의 총합으로서가 아닌 집단 자체가 가지는 힘으로 기능하고 있었다. 두 교사의 경험을 통해 볼 때, 교육과정 재구성은 교사의 가치와 신념이 녹아드는 교사 교육과정의 탄생, 가르치고 배우는 본질을 탐구해가는 집단 지성의 탄생이라는 점에서 그 의미를 갖는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gain an understanding of the meaning of curriculum reconstruction from two social studies teachers`` experience. For this purpose, we selected two cases of social studies teacher that they actively practised curriculum reconstruction in the middle school. Employing various methods including focus group interviews, observations, and collections of teachers`` essay about instruction and curriculum reconstruction, this study tried to show the characteristic and the meaning of two teachers`` reconstruction of curriculum. We found that two teachers`` curriculum reconstruction was characterized as a co-work with their colleague. They replaned their own curriculum according to their belief and values. They set up and gave shape to an educational plan and practised curriculum reconstruction through in-deep considerations about their community, the nature of the curriculum, identity as a teacher. Teachers`` collaboration also would help resolve some of their anxiety and difficulties which they felt during develop their own curriculum. They initiatively interpreted and understood textbooks, students, and standards of accomplishment with their own educational belief. This study interpreted that the experience which two teachers gained by reconstructing of curriculum was characterized that as an opportunity for development and that deepening their understanding of students and teachingprofession and as a process in collective intelligence with their colleague.

      • KCI등재

        2015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고등학교 한국지리, 세계지리, 여행지리 교수 · 학습자료 개발 과정에 대한 논의

        전보애 ( Bo Ae Chun ),길현주 ( Hyun Joo Ghil ),김민숙 ( Minsuk Kim ),김인철 ( Incheol Kim ),범영우 ( Yeongwoo Beom ),서지연 ( Jiyeon Seo ),성정원 ( Jeongwon Seong ),오태훈 ( Tae-hun Oh ),이윤구 ( Yungu Lee ),채나미 ( Nami Chae ),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2018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Vol.26 No.2

        본 연구에서는 2015 개정 교육과정 고등학교 사회과 교수·학습자료 『한국지리, 세계지리, 여행지리』의 개발 및 검토 과정을 분석하였다. 『한국지리, 세계지리, 여행지리』는 2015 개정 지리 교육과정의 학교 현장 안착을 위한 교수·학습자료의 사례를 제시하려는 목적으로 개발되었다. 따라서 개발 및 검토 과정의 분석은 『한국지리, 세계지리, 여행지리』가 교수·학습자료로서 갖는 의미와 가능성에 대한 이해를 제고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궁극적으로는 지리교육 분야의 교수·학습자료 개발 및 운영과 관련된 의미있는 논의를 제공하리라고 기대된다. 개발과정에서는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중점 사항이자 특징이기도 한 교과역량 및 기능의 교육적 실천, 교수·학습과정과 연계된 과정중심 평가, 학생 참여에 토대한 활동 중심의 교수·학습 등을 위한 자료를 구성하는데 주안점을 두었다. 그리고 현장적합성 제고를 위해 현장적합성 검토, 교실 수업 적용 등과 같은 검토를 거쳤다. 검토결과 『한국지리, 세계지리, 여행지리』는 성취기준과 교과역량에 대한 분명한 안내를 토대로 활동 중심의 수업 실천, 과정 중심의 평가 등을 가능케 하여 궁극적으로는 교실 수업의 발전적 변화에 기여할 가능성을 가지는 교수·학습자료라고 평가받았다. 이와 더불어 활동량이나 수업 시수 조정, 지리 현상과 관련된 다양한 인문지리적·자연지리적 요인들 간의 관련성에 대한 고찰의 필요성 등과 같은 지적사항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같은 결과는 교육과정 교수·학습자료 개발 및 활용과 관련된 의미있는 시사점을 제공한다. 첫째, 교수·학습자료는 교수활동이나 학습활동에 활용되는 자료 뿐만 아니라 평가를 위한 자료까지도 아울러야 한다는 인식을 분명하게 할 필요가 있다. 둘째, 교육과정 교수·학습자료상에는 자료 자체는 물론 그것을 어떻게 활용할 것인가에 대한 안내도 충분히 제시되어야 한다. 셋째, 역량중심 교육과정 교수·학습자료가 적절히 개발 및 활용되려면 교과역량 및 기능에 대한 충분한 분석과 검토가 선행되어야 한다. 넷째, 지리 교수·학습자료는 복잡다양한 인문지리적·자연지리적 요인과 맥락에 대한 충분한 검토를 바탕으로 개발되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한국지리, 세계지리, 여행지리』는 예시적인 자료집의 성격을 갖는만큼, 2015 개정 지리 교육과정의 보다 효과적인 학교 현장 안착 및 개선을 위해서 교육과정 교수·학습자료의 개발 및 활용에 관한 후속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질 필요성을 제안해 본다. This study analyzed the development, revision, and supplemental processes involved in the creation of curriculum materials for the high school social studies of the 2015 National Revised Curriculum, Korea Geography, World Geography, and Travel Geography. Korea Geography, World Geography, and Travel Geography was created to provide the examples of curriculum materials necessary for the successful practice of the 2015 National Revised Curriculum. Therefore the results of this study possibly provide meaningful discussions about the development and use of geography curriculum materials as well as the potential of Korea Geography, World Geography, and Travel Geography. The characteristics of the 2015 National Revised Curriculum, including the adoption of the concept of competence, student-centered learning,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and assessment improvements, were emphasized in the development process. Several revisions and supplemental processes were followed to refine and enhance the quality of educational materials. These processes suggested that Korea Geography, World Geography, and Travel Geography has meaningful possibilities for contribution to the effective enhancement of South Korean geography education. Further ideas, such as considerations for optimizing the volume of contents/ activities and diverse geographic contexts, were also proposed. These results show several meaningful discussions toward the development and use of curriculum materials as follows: First, curriculum developers and teachers should recognize that the concept of curriculum and educational materials are not limited to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ies but encompass assessment processes. Second, curriculum materials ought to provide guidance as to their use in class. Third, the meaning and characteristics of the competencies should be deeply analyzed and understood before the development and use of competencybased curriculum materials. Fourth, consideration of diverse geographic factors and contexts are essential for creating geography educational materials. Additionally, Korea Geography, World Geography, and Travel Geography is a collection of geography curriculum materials for the 2015 National Revised Curriculum. Follow-up researches on the development and use of geography curriculum materials can meaningfully contribute to the successful development of the 2015 National Revised Curriculum.

      • KCI등재

        교사들의 반성적 글쓰기를 통해 본 배움중심수업의 특징과 의미

        남미자 ( Mi Ja Nam ),길현주 ( Hyun Joo Ghil ),오춘옥 ( Chun Ock Oh ),노시구 ( Si Ku Roh ) 한국사회과교육학회 2014 시민교육연구 Vol.46 No.1

        본 연구의 목적은 배움중심수업을 실천하는 교사들의 반성적 글쓰기를 통해 배움중심수업의 특징과 의미를 이해하는 것이다. 경기도 교육청에서는 학교혁신의 방향으로 수업혁신을 꼽았고, 수업혁신의 청사진을 배움중심수업으로 구체화하고 있다. 그러나 배움중심수업은 특정한 수업 방법이나 일정한 매뉴얼을 가진 수업이 아니기 때문에 현장의 교사들이 배움중심 수업을 개념적으로 또는 실천적으로 이해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는 상황이다. 본 연구에서는 배움중심수업을 실천하고 있는 초.중.고등학교 교사 39명의 반성적 글쓰기 자료, 수업관찰, 초점집단면담 자료를 분석하여 배움중심수업의 특징과 의미를 드러내었다. 배움중심수업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배움중심수업 실천교사들은 교실을 역동적 공간이라고 이해하고 있었다. 교사가 수업을 설계하나 교사의 수업 의도와 설계 그대로 학생들이 배움을 경험하지 않고 있으며, 학생들은 자신들의 방식대로 배움을 스스로 만들어가고 있었다. 둘째, 교사들은 수업에서 교과서나 학습 내용을 가르치기 앞서 관계성에 주목하고 있었다. 학생들에게 배움이 일어나기 위해서는 교사와 학생간의 관계, 학생과 학생간의 신뢰와 협력의 관계가 선행되어야 하며, 교사들은 수업에서 이러한 관계를 만들기 위해서 수업 밖에서 교사와 교사 간의 신뢰와 협력을 경험해야 함을 강조하고 있었다. 즉 수업 내의 관계성은 수업 밖의 관계성에 기반하고 있음을 이야기하고 있었다. 셋째, 배움중심수업 실천 교사들은 배움이 수업 시간에 하는 학습 활동으로 끝나지 않고, 학생들의 구체적이고 일상적인 삶으로 이어지길 바라고 있었다. 배움중심수업에서의 배움은 교과서에 갇혀있지 않고 학생들의 구체적인 삶과 연결되어 지속적으로 새롭게 탄생하고 있었으며, 교사들은 수업에 대한 성찰을 통해 자신의 삶을 성찰하게 되었고, 이를 바탕으로 교사도 함께 성장하고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교사, 학부모, 학생들이 배움중심수업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고, 특히 수업혁신과 관련한 실천적 실마리를 얻을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feature and meaning of Learning Oriented Class through teachers` reflective writing. Gyeonggi 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 push forward to reform class for school reform and the key point of reforming class is the Learning Oriented Class. But Teachers have difficulties in practicing Learning Oriented Class because it is not the method of teaching or manual. This study conducts a qualitative study, adopting reflective writing, on 39 teachers at primary schools, middle schools and high schools. As a result of these analyses, following have appeared as key findings. First, the teacher recognized classroom as dynamic space of unpredictability. Second, teachers pay attention to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The confidential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students and students must be preceded to students` learning. The such confidential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is based on the relationship of the outside class. Third, teachers recognized learning not activities in a classroom but activities in students` daily life. Therefore learning is not tied up knowledge of school subject, but newly borned as connecting students` life. Also teachers are growing by introspecting their life. Through this study teachers can find the clue to improve their class and we expect that teachers, parents, and students can understand the Learning Oriented Clas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