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특수교육지원센터의 발전 방안 탐색 : 센터 전담교사와 학교현장 특수교사를 대상으로 한 핵심집단면담 연구

        최재완 이화여자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2010 특수교육 Vol.9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management for improvement of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s. To establish this purpose, the focus group interview of 10 staffs of 8 centers and 10 special education teachers of schools in Seoul, Gyeonggi-do and Incheon was applied to this study. As a result of detailed qualitative analysis of interview, two categories, to establish the basis of center and to make the cooperation system were found. The four sub categories of to establish the basis of center were (1) to expand the publicity about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s, (2) to find out the support needs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of schools, (3) to strengthen the capabilities of staffs and teachers of centers, (4) to establish the efficient administrative system of centers. The two sub categories of to make the cooperation system of centers were (1) to expand the cooperation system with special education teachers, (2) to use local resources and cooperate with relevant institutions and professionals. To improve the management of centers more efficiently, the following efforts will be needed. First, the publicity about centers will be needed. Second, the system to support students with disabilities of various Inclusion settings through the lifetime will be needed. Third, the experienced special education teachers will be needed to be stationed in the centers. Fourth,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s should use local resources and cooperate with institutions and professionals of community. Fifth, the school inspectors should admit the autonomy of centers and support more actively. Last, the special education teachers should be cooperative with centers. 본 연구에서는 특수교육지원센터의 발전 방안에 대한 센터 전담교사와 현장 특수교사의 의견을 알아보기 위해 서울, 경기 및 인천지역 8개 특수교육지원센터의 전담교사 10명과 센터 운영에 협력한 경험이 있는 학교현장의 특수교사 10명을 대상으로 핵심집단 면담을 실시했다. 면담자료를 질적분석한 결과, 이들의 의견은 ‘특수교육지원센터의 기반 확립’과 ‘협력체제 마련’이라는 두 개의 범주로 정리되었다. ‘특수교육지원센터의 기반 확립’과 관련된 하위주제는 (1)센터기능과 역할 홍보, (2)특수교사들의 지원요구 파악, (3)센터 내 전담교사의 역량 강화, (4)센터의 체계적인 행정체제 확립이었고, ‘협력체제 마련’과 관련된 하위주제는 (1)전담교사와 특수교사의 협력, (2)지역자원 활용 및 전문가들과의 협력체제 마련으로 확인되었다. 특수교육지원센터의 발전을 위해 다음과 같은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첫째, 특수교육지원센터의 기능 및 역할에 대한 홍보를 확대해야 한다. 둘째, 센터는 다양한 통합환경에 배치된 장애학생을 지원할 수 있는 체제를 갖추어야 한다. 셋째, 센터에는 유경력 특수교사가 전담교사로 배치되어야 한다. 넷째, 센터는 지역 자원을 적극 활용하고, 지역 내 전문가들과의 협력체제를 마련해야 한다. 다섯째, 장학사는 특수교육지원센터의 자율성을 인정하되, 센터의 운영에 적극 협력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현장의 특수교사들은 특수교육지원센터의 운영에 보다 협력적인 자세를 가져야 할 것이다.

      • KCI등재

        특수교육지원센터의 운영 실태 및 개선방안

        강경숙,최세민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2009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Vol.52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more efficient way to manage of local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s. To establish this purpose, this study analyzed documents related to the legislation, policies, and management status of domestic/foreign countries, surveyed the support teachers in charge of local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 and parents of the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interviewed the support teachers through visiting the centers. For the current status and problems, firstly there were lack of spaces, personnel, and facilities even though the centers have to be set at every 182 offices of education in nationwide by laws. Second, in the aspect of roles and functions of centers, the diagnosis/evaluation and placement has relatively done well, but the interagency collaboration, information management, in-service training, and life-long education haven't accomplished. Third, there were over load of staffs, lack of facilities for the problems of management. And the staffs' request were to gather parents' opinions and to strength the support service for the parents. Next, in order to operate the center more efficient, the following efforts will be needed: the foundation space has not to be placed only in offices of education and school, but the places easy to access; service equipment needed to be improved to provide quality services for students and parents; the qualification of the support teachers need to be upgraded from temporary to regular position; the link-services with community has to be strengthened because the accommodation of centers is limited to offer services to users richly. 본 연구는 특수교육지원센터의 운영 실태와 문제점을 알아보고 바람직한 운영방안을 마련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방법은 문헌고찰과 설문조사 및 심층면담을 병행하였으며, 본 연구를 통해 나타난 결과를 요약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특수교육지원센터 운영실태 및 요구와 관련하여 첫째, 특수교육지원센터는 대부분 수요자의 요구를 고려하지 않고 지역 교육청 중심으로 설치되어 있으며, 적정 공간이 확보되어 있지 않은 곳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특수교육지원센터의 기능과 모형이 다양하지 못하고, 현재 수행하고 있는 업무 또한 특수교육활동지원이나 진단평가 및 배치 중심으로 이루고 있으며 관련기관의 협력과 정보관리, 연수 그리고 장애인 평생교육 등은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특수교육지원센터의 운영상 문제점으로는 전담인력과 운영책임자의 과도한 업무부담, 시설설비 부족, 특수교육 지원센터 설치시 부모의 의견수렴부족 그리고 장애학생 부모에 대한 지원서비스 부족 등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특수교육지원센터의 효율적안 운영 방안은 첫째, 특수교육지원센터 설치시 수요자의 의견수렴, 설치 장소의 다양화 및 적정 공간 확보를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둘째, 특수교육지원센터의 기능과 역할수행을 위한 다양한 모형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셋째, 특수교육지원센터 근무자의 자질과 전문성제고를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넷째, 지원센터의 시설설비확보를 위한 기준마련과 행정 및 재정적인 지원이 필요하다. 다섯째, 장애학생 부모지원서비스 강화와 지역사회기관과의 연계강화가 필요하다.

      • 특수교육지원센터의 역할에 대한 특수학급 교사의 인식 연구

        손영미,김영한,장희대 大邱大學校 師範大學 附設 敎育硏究所 2010 學校敎育硏究 Vol.5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raw the role and the function of the Support Center for Special Education through analysing the domestic and international references and the special education method for the handicapped and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performing the role of the Support Center for Special Education by studying how different teachers' understandings the role of the Support Center for Special Education are, who directly communicate with it, by the background factors such as their experience, the working areas, the classes of the schools, their academic backgrounds. For this study, I conducted the survey composed of 30 sub-elements under 3 types of the function of the diagnosis test of the special education targets, the function of the informative support of the special education and the training, and the function of teaching activities of the special education. The results through the specific analysis are as follow. First, in the teachers' understanding of functions of Support Center for Special Education by their teaching experience, the teachers who have less 5 years of teaching experience thinks the function of diagnosis and assessment test importantly. Second, there are no notable differences of the teachers' understanding the functions of Support Center for Special Education by their working areas. However, in case of teachers working at schools in Metropolitan cities, they think the function of diagnosis and assessment and the support function of teaching activities importantly while the teachers in Eup or Myeon areas think the function of the informative support and training importantly. Therefore, it seems to be necessary to reflect the teachers' needs and the characteristics on Support Center for Special Education by each area. Third, according to the classes of the schools, teachers working at elementary schools think the function of diagnosis and assesment, the function of the informative support and training and the function of supporting teaching activities more importantly compared to the ones at middle or high schools. Therefore, it is necessary that Support Center for Special Education support differently by the class of the school. Last, in the study of teachers' understanding the functions of Support Center for Special Education by their academic backgrounds, the teachers who finish their undergraduate schools think the function of diagnosis and assessment, the function of the informative support and training more importantly than the ones who finish their graduate schools 본 연구에서는 특수교육지원센터의 역할을 분명히 하기 위하여 역할 요인에 대한 특수학급 교사들의 인식을 살펴보고, 그 요인에 대한 인식이 특수학급 교사들의 주요 배경 변인인 특수교육경력, 근무지역, 학교급별, 최종학력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파악하는데 그 연구 목적이 있다. 본 연구 목적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특수교육지원센터의 역할에 대한 특수학급 교사의 인식이 특수교육경력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알 아본다. 둘째, 특수교육지원센터의 역할에 대한 인식이 근무 학교의 지역별로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살펴본 다. 셋째, 특수학급 교사들이 특수교육지원센터의 역할에 대한 인식이 학교급별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알아 본다. 넷째, 특수교육지원센터의 역할에 대한 인식이 특수학급 교사의 최종학력에 따라 차이가 살펴본다. 본 연구의 대상은 대구, 울산, 충북, 충남, 경북 등에 소재하고 있는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의 특 수학급을 담당하는 교사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학교당 1학급에서 4학급까지 특수학급이 설치되어 있는 관계로 전체 112개교를 임의적으로 선정하여 해당 학교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지법을 사용하였다. 그리 고 최종수거된 108부의 설문지를 가지고 결과를 분석하였는데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특수교육경력에 따른 특수학급 담당교사의 특수교육지원센터의 기능에 관한 인식에서는 진단 및 평가기능에 대하여 특수교육경력이 5년 이하인 교사들이 그 기능을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다. 둘째, 근무지역에 따른 특수학급 담당교사의 특수교육지원센터의 기능에 관해서는 지역별로 큰 차이점이 없으나 광역시의 학교에 근무하는 교사들의 경우, 진단 및 평가기능, 교수활동 지원기능을 중요하게 인식 하고 있으며 읍면지역의 학교에 근무하는 교사들은 정보지원 및 연수기능에 대하여 중요하고 인식하고 있다. 셋째, 학교급에 따라서는 초등학교에 근무하는 교사들이 중학교, 고등학교에 근무하는 교사에 비 해 진단 및 평가기능, 정보지원 및 연수기능, 교수활동 지원기능을 중요하게 인식한다. 넷째, 학력에 따 른 특수학급 담당교사의 특수교육지원센터의 기능에 관한 인식에서는 대학교를 졸업한 교사들이 대학원을 졸업한 교사들보다 진단 및 평가기능, 정보지원 및 연수기능에 대한 중요하게 인식한다.

      • KCI등재

        특수교육지원센터 역할의 중요도와 실행도 차이 분석

        권택환,신재한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2008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Vol.51 No.3

        First, the review of previous studies home and abroad helped to categorize the functions and roles of a support center for special education into seven areas, which include support for in-service training and promotion, support for professionals, support for easiness and usefulness, support for connections and cooperations, support for physical environments, support for online environments and support for educational programs. Secondly, the importance and implementation of the support center's roles were tested according to the areas and items.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all the 28 items of seven areas with importance getting higher scores than implementation. And finally, there are several practice strategies to narrow the gap between the importance and implementation of the support center's roles as they were perceived by the manager in charge of the support center. They include supplementing such functions as in-service training for teachers and promotions, helping the professionals of special education increase their professionalism, expanding the pool of professionals, and maintaining close connections and cooperations among the community, special classes, and inclusive classes. 본 연구에서는 특수교육지원센터 역할과 기능을 국내·외 선행 문헌 분석을 통해 도출한 후에, 우리나라 특수교육지원센터를 실제로 담당하고 있는 운영자가 인식하는 특수교육지원센터 역할의 중요도와 실행도를 분석하여 특수교육지원센터 역할의 중요도-실행도 차이를 검증함으로써 중요도와 실행도의 격차를 최대한 줄일 수 있는 실천 전략을 탐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국내·외 선행 문헌 연구를 통해서 최종적으로 도출된 특수교육지원센터의 기능과 역할은 연수 및 홍보 지원, 전문 인력 지원, 용이성 및 유용성 지원, 연계 및 협조 지원, 물리적 환경 지원, on-line 환경 지원, 교육 프로그램 지원 등 7개 영역으로 구분할 수 있다. 둘째, 특수교육지원센터 역할에 대해 각 영역별과 항목별로 중요도와 실행도 차이를 검증한 결과, 7개 영역과 28개 항목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 중요도가 실행도에 비해 높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셋째, 특수교육지원센터를 실제로 담당하고 있는 운영자가 인식하는 특수교육지원센터 역할의 중요도와 실행도 간의 격차를 줄일 수 있는 실천 전략으로는 특수교육지원센터의 역할 중에서 교원 연수 및 특수교육지원센터 홍보 기능을 보완하고, 특수교육 전문 인력의 전문성 향상 및 전문 인력을 증대시켜야 하며, 지역사회 및 특수학급, 통합학급 등과 긴밀한 연계·협조가 반드시 필요하다.

      • KCI등재

        경기도 특수교육 업무 담당 장학사와 특수교육지원센터 전문인력을 통해 살펴본 특수교육지원센터 운영 개선 방안 연구

        강은영 ( Kang Eun-young ),최나리 ( Choi Na-ri ),강경숙 ( Kang Kyung-suk ),김주영 ( Kim Ju-yeong )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21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60 No.2

        본 연구의 목적은 특수교육 업무 담당 장학사와 특수교육지원센터 전문인력을 중심으로 특수교육지원센터 제도·인력·직무 관련 영역별 운영 측면에 초점을 맞추어 특수교육지원센터 관련 쟁점을 분석하고, 이에 대한 개선 방안을 도출하고자 하는 데에 있다. 이를 위해 특수교육을 전공한 특수교육 업무 담당 장학사 2명, 비전공 특수교육 업무 담당 장학사 3명, 특수교육지원센터 팀장 4명, 기간제 교사로 계약직 센터 전문인력 2명으로 총 11명과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특수교육지원센터 운영과 관련된 쟁점은 제도적·행정적 영역, 조직·인력 영역, 그리고 업무(직무) 영역별로 각 5가지씩 중분류로 크게 유목화되었으며, 각각의 영역별 쟁점에 대한 개선 방안으로서 의미 단위는 15가지로 도출되었다. 제도 및 행정 부분에서는 센터 특성을 고려하지 않은 직접지원 확대의 재고, 지역사회 자원 연계 및 활용을 위한 원스톱 지원으로의 전환, 안정적이고 효율적인 운영을 위한 사전 교육 및 연수가 제안되었고, 조직 및 인력에서는 신규인력 배치 문제, 특수교육지원센터장에 일반장학사 배치 문제, 행정주무관 배치의 당위성에 따른 조치, 팀장 중심 조직체계의 한계성 극복, 경력교사의 부재와 특수교육지원센터의 고립 해소방안이 제안되었다. 업무 영역으로는 업무분장의 효율화를 꾀하고, 팀장에 대한 직급을 부여하는 것도 필요하고, 전반적으로 행정업무 처리보다 특수교육지원에 집중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점이 부각되었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특수교육지원센터의 운영 개선을 위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investigating the issues of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s focusing on its system, personnel, and duty and provide recommendation for improvement through school supervisors for special education and personnel of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s’ perspectives. For this purpose, a total of 11 people: 2 school supervisors for special education, 3 school supervisors for general education, 4 team managers, 2 non-tenured track personnel of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 were focus group interviewed. As a result, 5 upper categories were founded and 14 subcategories for improvements were suggested. In the system and administration part, the expansion of direct support not taking into account the characteristics of the center was reconsidered, conversion to one-stop support for linking and utilizing local community resources, and prior education and training for stable and efficient operation were proposed. The issue of the assignment of new personnel, the assignment of general scholarships to the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 head, measures according to the legitimacy of the assignment of administrative officers, overcoming the limitations of the team leader-centered organizational system, the absence of experienced teachers, and measures to resolve the isolation of the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 were proposed. In the area of work, it was emphasized that it was necessary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division of duties, to assign a position to the team leader, and to focus on supporting special education rather than handling administrative work overall.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recommendations for improving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s operations were provided.

      • KCI등재

        특수교육지원센터에 근무하는 유아특수교사의 역할과 지원 요구

        박소영,윤송하,유장순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2022 유아특수교육연구 Vol.22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oles, difficulties, points of reward, and support needs of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teachers working in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s through their experiences and perception. For the research method, Focus Group Interview(FGI) was conducted with 6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teachers who had more than 2 years of work experience in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 As a result of the study, 5 categories and 23 sub-themes were derived. In the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 the duties and roles of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teachers were diagnosis and evaluation, itinerant education, therapy support, infant class operation, in-service training program operation, etc. They felt the reward of working in the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 was positive and rewarding in the center's administrative work, and infant class operation support. The difficulties were to complaints, conducting diagnostic evaluations, appropriate placement according th children’s educational needs, counseling with parents, lack of understanding of work due to lack of work and field experience. The improvement related to the work of the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 required division of work, systematic training support, and a balanced teacher arrangement. Needs for support related to the work of the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 included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support and placement of a special education supervisor for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role of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teachers working in the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 and improvement measures were discussed to strengthen their professionalism. 이 연구의 목적은 특수교육지원센터에서 근무하고 있는 유아특수교사의 경험과 인식을 통하여 역할과 지원 요구를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방법은 특수지원센터에서 2년 이상 근무 경험이 있는 유아특수교사 6명을 대상으로 초점집단 면담(FGI)을 실시하여 지속적 비교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5개의 범주와 23개의 하위주제가 도출되었다. 특수교육지원센터에서 근무하는 유아특수교사의 업무 및 역할은 진단․평가, 순회교육, 치료지원, 영아학급 운영, 연수 및 프로그램 운영 등이었다. 특수교육지원센터 업무에서의 보람은 행정업무, 연수프로그램 운영, 통합학급 지원, 영아학급 운영에서 긍정적이며 보람된 업무라고 느끼고 있었다. 특수교육지원센터 업무상 어려움으로는 민원 대응, 진단․평가 실시, 유아의 교육적 요구에 따른 적절한 배치, 학부모와의 상담, 저 경력으로 인한 업무 이해 부족 및 현장경험 부족이었다. 특수교육지원센터 업무 관련 개선사항은 업무 분담, 체계적인 연수 지원, 균형 잡힌 교사 배치가 필요하다고 하였다. 특수교육지원센터 업무 관련 지원 요구로는 장애 영․유아와 유아특수교사에 대한 행․재정적 지원, 유아특수교육 전공 장학사 배치에 대한 요구가 있었다. 특수교육지원센터에 근무하는 유아특수교사들의 역할과 그에 따른 전문성을 강화하기 위해 개선 방안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 KCI등재

        도서지역 특수교육지원센터 홈페이지 내용 분석 - 전라남도를 중심으로 -

        김미경 ( Kim Mi-keyoung ),오숙현 ( Oh Sook-hyun ) 한국도서학회 2016 韓國島嶼硏究 Vol.28 No.4

        본 연구에서는 도서지역이 많은 전라남도 특수교육지원센터 홈페이지의 내용을 특수학급현황, 시설, 인력, 프로그램, 주요메뉴 등을 기준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전라남도 22개 시군지역 교육청에있는 특수교육지원센터 홈페이지를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라남도 각 지역 특수교육지원센터 홈페이지에 제시된 특수학급현황은 각 학교급인유치원, 초등학교, 중등학교별로 학급 수, 학생 수, 실무사 수 등이 제시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요건을 충족하는 지역 특수교육지원센터는 곡성군, 여수시, 장성군, 화순군 등 네 곳으로 나타났다. 반면 강진군, 함평군 등 두 곳은 이러한 내용이 전혀 제시되어 있지 않았고 나머지16곳 특수교육지원센터 홈페이지에서는 이러한 내용이 부분적으로 제시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전라남도 각 지역 특수교육지원센터 홈페이지에 제시된 시설현황의 경우, 관련 내용이 전혀 제시되지 않은 곳이 11곳으로 나타났다. 관련 내용이 제시된 나머지 11곳 센터의 경우 교사실 9곳, 상담실 9곳, 진단평가실 4곳, 방과후 교육실 2곳, 감각통합 치료실 7곳, 언어치료실 6곳, 제과제빵실 3곳, 샤워실 2곳, 기타 시설로는 직업전환실 2곳, 가정생활지원실 1곳, 자료실 1곳, 탕비실 1곳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시설은 특수교육지원센터가 기능과 역할을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물리적 환경의 문제라고 할 수 있다. 셋째, 전남 소재 22개 특수교육지원센터 중 인력현황 내용이 제시되지 않은 곳은 강진군, 담양군, 목포시, 해남군, 화순군 등 5곳으로 나타났다. 인력 현황 관련내용이 나타난 17곳 센터의 경우 센터장은 16곳, 장학사는 12곳, 특수교사는 4곳, 순회 특수교사는 15곳, 순회 전담강사는 15곳, 치료사는 13곳, 기타 인력으로는 부센터장 3곳, 연수상담홍보지원 1곳으로 나타났다. 넷째, 전라남도 특수교육지원센터에서 운영하는 학기 중 프로그램의 경우 프로그램을 제시하지 않은 곳은 8곳으로 나타났다. 나머지 14곳의 특수교육지원센터의 경우 특기ㆍ적성교육은 9곳, 치료지원은 7곳, 성교육은 7곳, 직업ㆍ전환교육은 7곳이며 학기 중 프로그램 기타 내용으로는 일상생활체험 1곳, 장애도서대여 1곳, 가족지원 프로그램 1곳, 현장체험학습은 2곳에서 제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22곳의 특수교육지원센터에서 방학 중 프로그램이 제시되지 않은 곳은 3곳으로 나타났다. 나머지 19곳의 특수교육지원센터의 경우에는 특기ㆍ적성교육은 19곳, 치료지원은 10곳, 직업ㆍ전환 교육은 6곳으로 나타났고 방학 중 프로그램 기타 내용으로는 생태체험은 2곳, 역사탐방은 1곳에서 제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특수교육지원센터 홈페이지에 나타난 프로그램이 구체적이지 못하고 다양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난 점은 향후 개선되어야 할 점으로 파악된다. 다섯째, 전라남도 특수교육지원센터 홈페이지에 제시된 주요 메뉴 내용의 경우 센터소개의 하위메뉴인 `소개`는 20곳, `운영목적`은 15곳, `시설현황`은 7곳, `조직도`는 11곳, `오시는 길`은 11곳 제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주요활동의 하위메뉴인 `선정배치`는 10곳, `순회교육`은 4곳, `치료지원`은 5곳 제시하고 있었다. 특수학급현황은 14곳, 알림마당은 10곳, 자료마당은 15곳, 상담실은 14곳, 갤러리는 16곳, 관련 사이트는 12곳 제시하고 있으며 기타 메뉴 내용으로 특수교육관련법규 1곳, 장애이해교육 1곳, 법률정보 1곳, 학습자료 1곳, 연수자료1곳, 진학정보 1곳, 특수교육연구회 1곳, 개인정보처리방침 1곳을 제시하고 있었다. 이와 같이 특수교육지원센터 홈페이지의 내용이 미흡한 것으로 나타난 점은 앞으로 특수교육지원센터홈페이지를 보다 활발히 홍보하여 활용할 수 있도록 보완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This study is intended to analyze the contents of the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 websites based on the current situation of special classes, facilities, manpower, programs and main categories. The analysis was based on 22 local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s of the Jeollanam-do Education Office. The result is as follows. First, in terms of special classes presented on the websites of local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s, the present number of classes, students and staffs of each school system (kindergarten,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needs to be presented. The local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s that met these requirements were Gokseong-gun, Yeosu-si, Jangseong-gun and Hwasun-gun. However, Gangjin-gun and Hampyeong-gun did not present these contents at all, and in the rest of 16 cities` websites, these contents were only presented partly. Second, in terms of the current situation of facilities, 11 cities did not present the relevant contents. The rest 11 cities had 9 teachers` rooms, 9 counseling centers, 4 diagnosis evaluation rooms, 2 after-school education rooms, 7 sensory integration therapy rooms, 6 language treatment rooms, 3 bakery rooms and 2 shower rooms along with 2 career transition rooms, 1 home life support room, 1 reference room and 1 tea room. Since these facilities are important information, local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s should present them, if they wish to perform their functions and roles efficiently. Third, among 22 local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s in Jeollanam-do, the cities that did not present the current situation of manpower were Gangjin-gun, Damyang-gun, Mokpo-si and Hwasun-gun. The rest 17 cities presented that the current situation of manpower had 16 center directors, 12 school commissioners, 4 special instructors, 15 traveling special instructors, 15 traveling exclusive instructors and 13 therapists along with 3 vice center directors and 1 training counseling PR support personnel. Fourth, regarding programs thaelocal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s operated during semesters, 8 centers did not present programs. In the case of the other 14 centers, there were 9 centers that had special ability aptitude education, 7 therapeutic support, 7 sex education and 7 career transition education along with 1 daily life experience, 1 book rental for the handicapped, 1 family support program and 2 field experience education. Meanwhile, there were 3 centers that did not present programs during vacations. In the case of the rest 19 centers, there were 19 centers that had special ability aptitude education, 10 therapeutic support and 6 career transition education along with 2 ecological experience and 1 history exploration. The fact that the programs presented were not detailed shows that these websites need future improvement. Fifth, regarding main menus presented in the Jeollanam-do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 there were 20 centers that had `Introduction`, 15 `Purpose of operation`, 7 `Current situation of facilities`, 11 `Organization map` and 11 `Directions`, which were the sub-category of center introduction. In addition, the sub-category of major activities contained 10 `Selection arrangement`, 4 `Traveling education` and 5 `therapeutic support`. There were 14 centers that had the current situation of special classes, 10 notice board, 15 data section, 14 counseling section, 16 gallery and 12 related sites along with other menus including 1 special education related laws, 1 disability understanding education, 1 legal information, 1 learning material, 1 training data, 1 school admission guide, 1 special education research committee and 1 personal information handling policy. As shown above, the websites of local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s lack sufficient contents, which implies that they should compensate the insufficient parts of websites by PR, so that the websites can be better utilized.

      • KCI등재

        특수교육지원센터 보조공학 실태 및 요구 탐색을 통한 관련 서비스 개선 방안에 대한 연구

        김영걸 ( Kim Young-gull ),우이구 ( Woo Yi-goo )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17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56 No.3

        보조공학은 특수교육 관련 서비스 중 기본적인 서비스로서 장애아동의 기능적인 활동 증진을 위해서 반드시 고려되어야 한다. 그래서 보조공학 기기와 서비스 관련 제반 업무를 시도교육청 특수교육지원센터에서 담당하고 있으며, 이를 위한 인적, 물적 지원이 지속적으로 국가차원에서 이루어 지고 있다. 하지만 특수교육현장에서는 보조공학 관련 실제 요구를 특수교육지원센터에서 제공받는데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다. 이러한 배경으로 본 연구는 각 시도교육청의 특수교육지원센터 중 보조공학 관련 업무를 지속적으로 실시하고 있는 17개 특수교육지원센터를 목적 표집하여 보조공학 실태를 조사하였고 보조공학 관련 서비스를 질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현실적 방안을 제시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특수교육지원센터의 보조공학 실태를 조사한 결과 보조공학 업무 공간, 보조공학 관련 서류는 대부분 갖추고 있었으나 보조공학 전문가와 관련 정보제공 정책을 몇몇 특수교육지원센터에서는 가지지 못하고 있었다. 각 특수교육지원센터마다 보조공학 관련 예산, 보유기기 유형과 수는 각기 다른 양상을 나타냈었다. 둘째, 효과적인 교육지원을 위해 특수교육지원센터에서의 보조공학 관련 업무를 담당해야 할 하는 당위성은 아주 높았으며, 보조공학을 체계적으로 운영하고 적절하게 관련 업무를 진행하기 위하여 보조공학 전문가가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으며, 보조공학 관련 예상의 편성 및 집행 필요성도 높게 생각하고 있었다. 셋째, 특수교육대상자들에게 효과적으로 보조공학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실제적인 방안을 다양한 보조공학기기를 지원 환경 조성 측면, 전문성이 확보된 보조공학서비스 제공 체제 측면, 실제적인 보조공학 교육 및 프로그램 운영 측면, 국가수준의 보조공학 관리 체계 측면에 대하여 제안하였다. Assistive technology is the basic services among special education related services and must be considered for promoting functional activities of student with disabilities. Therefore,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 is in charge of all tasks related to assistive technology devices and services, and human and material support for this is continuously being carried out at the national level. However, in the field of special education, it is difficult to receive the actual needs related to assistive technology at the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 In this study surveyed the 17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s that are continuously performing the assistive technology related tasks among the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s of each 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 and investigated the actual condition of assistive technology.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the survey on the assistive technology of the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 most of the documents related to the assistive technology work space and the assistive technology were provided, but the assistive technology specialist and the information providing policy were not provided. For each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 the AT budget, the type of equipment and number of devices were different. Second, there was a high degree of need for assistive technology related work at the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 for effective educational support. It was recognized that an AT specialist was needed to systematically operate assistive technology and to carry out related tasks appropriately. Also, the need for budgeting and execution of AT budget was high. Third, in order to appropriately provide assistive technology to students with disabilities, it is necessary to support a variety of assistive technology devices, to provide professionalized assistive technology services, and to provide actual assistive technology education and programs.

      • KCI등재

        특수교육지원센터의 특수교육관련서비스에 대한 장애유아부모의 인식도와 요구도 조사

        유현숙 ( Hyeon Suk Yoo ),김인숙 ( In Suk Kim ) 미래유아교육학회 2013 미래유아교육학회지 Vol.20 No.2

        본 연구는 특수교육지원센터의 특수교육관련서비스에 대한 장애를 가진 유아부모의 인식과 요구를 알아보기 위하여 전라북도에 거주하고 있는 장애를 가진 유아부모 181명에게 설문조사한 후 분석한 결과이다. 특수교육지원센터의 인식에 비해 이용이 현저히 낮은 결과를 보인 것으로 장애를 가진 유아의 부모의 특수교육지원센터의 특수교육관련서비스에 대한 보다 정확한 이해를 위해 지속적인 교육과 행·재정적 지원과 다양한 홍보가 우선되어야 하며 장애를 가진 유아부모가 기대하는 특수교육관련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특수교육지원센터의 역할이 법적인 보완을 통해 전 생애에 걸쳐 체계적인 특수교육지원기관으로 거듭나 장애를 가진 유아를 위한 교육지원 체계구축이 절실하다. 또한 장애를 가진 유아의 보상뿐 아니라 그 가정의 정상화를 지원할 수 잇도록 가족지원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지원하는 것이 필요하며 특수교육관련서비스 제공을 위한 전문적인 인력배치와 부족한 인력에 대한 지역사회를 중심으로 한 의료, 치료 등의 전문 인력과의 연계확충에 심각한 고려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This study is the research which searches for the awareness and needs for the Special Education related services of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 which the parents who have children with disabilities have. For the purpose, 181 parents of the children with disabilities who live in Jeollabukdo Province were interviewed and the consequence was analysed. To provide with Special Education related services of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 correct information for the disabled which is in the special education law must be given to the parents through various advertisement of the schools which the children with disabilities attend. Also, administrative or financial support is needed so that several education centers to which the children belong may advertise variously. To provide with Special Education related services that the parents expect,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 should be reborn as the systematic one and it should give systematic services which are appropriate for the life cycle of the children with disabilities. Also, to be reborn, the complement of the current legal affairs is needed. It is needed that the Special Education related services of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 should be the ones that not only compensate the children with disabilities but also support the families` normalization. To get the Special Education related services of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 it is seriously needed that we should plot professional personnel and match the lack of it to the medical professional personnel of the local community.

      • KCI등재

        특수교육지원센터의 정서·행동장애 아동 교육 지원 실태 분석 및 개선 방안

        이은정,신순자,정윤우,김봉세 국립특수교육원 2013 특수교육연구 Vol.20 No.1

        본 연구에서는 특수교육지원센터의 정서·행동장애 아동을 위한 교육 지원 영역의 지원 실태에 대한 인식과 지원 영역의 관계를 분석하고, 효과적 지원방안을 탐색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본 연구의 대상은 180명의 특수교육교사, 통합교육교사, 특수교육지원센터 교사, 정서·행동장애 아동 부모이다. 본 연구는 조사연구를 통해 연구문제를 해결하였으며,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특수교육지원센터의 정서·행동장애 아동에 대한 영역별 교육 지원 실태에 대해 가족영역을 제외하고는 지원의 수준이 보통이라고 인식하였다. 특수교육교사, 특수교육지원센터의 교사는 특수교육지원센터의 지원이 대체적으로 잘 이루어지고 있다고 인식하고 있었으나, 통합교육교사, 학부모는 지원이 부족하다고 인식하였다. 둘째, 특수교육지원센터의 정서·행동장애 아동에 대한 행동지원영역, 학습지원영역, 가족지원영역은 모두 유의미한 상관을 나타내었으며, 특히 행동지원영역과 학습지원영역에 높은 상관을 나타내었다. 이는 특수교육지원센터의 장애 아동에 대한 교육 지원이 장애 영역 전반에 걸쳐 공통적인 영역으로 지원되어야 하지만, 각 장애 특성에 적합한 차별화된 지원 내용으로 나누어 수요자의 다양한 요구에 적합한 교육지원이 이루어져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특수교육지원센터에서는 정서·행동장애 아동에 대한 특수교육 및 통합교육 현장의 다양한 요구를 수용하고 상호 의견을 교환하여, 정서·행동장애 아동의 특성에 적합한 지원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In this study, we have put the purpose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egion and support awareness of the realities of the support of area educational support for children with children with Emotional behavioral disorders support center special education, to explore the plan effective support. The subjects of this study, special education teachers, 180 people integrated education teacher,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s, teachers, emotional behavior are the parent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As a result of this study, First, Supporting Situation-specific training for the area of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s, children with emotional behavioral disorders in the family, except for the area of the level of support is usually recognized. Support of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s, special education teachers, teachers of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s have been generally well recognized, but, integrated education teachers, parents, and was perceived to be a lack of support. Second, Behavior support for areas of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s, children with emotional behavioral disorders, learning support area, family support areas were all significantly correlated, particularly behavioral support area and highly correlated to the area of learning support. This means that support for education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in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s across disability areas that are common to the area should be supported, but should be divided into content suitable for the characteristics of each disability support differentiated consumer's diverse needs and appropriate public education supportshould. Emotional behavior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to cater to the various needs special education and integrated education of the scene in the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s, and interact Emotional and Behavioral characteristic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the right support will need to be mad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