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휴대폰을 이용한 자기점검중재가 발달장애 대학생의 과제수행 및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 대학 교양영어 수업 중심으로 -

        유장순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2011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Vol.54 No.1

        본 연구의 목적은 휴대폰을 이용한 자기점검중재가 발달장애 대학생의 과제수행 및 학업성취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밝히는데 있었다. 연구 대상자는 발달장애 대학생 3명에게 대상자간 중다기초선설계를 사용하여 학습준비에 필요한 과제수행 후 휴대폰으로 그 결과를 교수자에게 보고하는 자기점검훈련을 실시하였다. 연구는 기초선, 중재, 유지의 단계로 거치며 진행되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대상자 모두 휴대폰을 이용한 자기점검중재는 과제수행율을 향상시켰다. 둘째, 휴대폰을 이용한 자기점검중재는 발달장애 대학생의학업성취율을 향상시켰다. 셋째 휴대폰을 이용한 자기점중재가 종료된 후에도 지속적으로유지되었다. 본 연구 결과는 자신의 과제를 스스로 관리하고 점검할 수 있도록 하는 자기점검전략이 대학 교육활동에서도 발달장애 대학생들의 과제수행 및 학업성취도를 증가시키고유지시키기 위한 학습중재 프로그램으로써 유용하게 활용될 가능성을 제시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elf-monitoring using cellular phone on task execution & academic performance in English lessons for university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order. The multiple baseline design across subjects was used to examine the intervention and maintenance. Three students were trained to learn how to monitor themselves utilizing self-recording and reporting strategies to their English teacher with using cellular phone after accomplishing assigned home-tasks. Maintenance was implemented 3 times in 10 weeks after fading the intervent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through self-monitoring techniques using cellular phone are as follows: 1) The level of task execution for English lessons was upgraded. 2) English academic performance was elevated. 3) These upgraded task performance were maintained highly during maintenance period. Based on the results mentioned above, This study implies that Self-monitoring has positive effects which helps the university student with developmental disorder become active and independent participants for their own behavior change in English Instruction.

      • KCI등재

        특수학교 교사의 자유학기제 예술・체육활동 인식과 개선방안 연구

        유장순,김대룡,양은아,김정모,김지연 한국스포츠학회 2019 한국스포츠학회지 Vol.17 No.2

        이 연구의 목적은 특수학교 자유학기제 예술・체육활동 운영에 대한 특수교사들의 인식과 개선방안을 분석하기 위한 것이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특수학교 교사를 모집단으로 설정한 후 각 학교에서 3명의 특수교사를 표본 표출하는 할당표본표집법을 사용하였다. 최종적으로 308명의 설문조사 자료를 통계분석에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통 계패키지 프로그램 SPSS 22.0 ver. 을 사용하여 기술통계분석과 t-test, One-Way ANOVA분석을 통해 연구문제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특수학교 교사가 인지한 자유학기제 예술・체육활동에 대한 인식 문항에서는 대체적으로 낮은 인식 수준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개선방안에서는 ‘활동과 관련된 환경구축’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 셋째, 특수학교 교사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인식 및 개선방안 차이분석에서는 성별에 따라 개선방안에서는 통계적인 차이가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특수학교 교사는 자유학기의 예술・체육 활동이 학생, 교사, 학교에 미치는 효과가 낮다고 인식하고 있었으며, 특수교사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는 인식과 개선방안의 차이는 대부분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e the awareness and improvement plan of arts and sports activities in the free semester system as perceived by special school teachers. To achieve the research purpose, special school teachers were set as the population and the quota sampling method was used, where three special teachers were sampled from each school.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questionnaire data of 208 participants. Data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SPSS 22.0 ver., and the research question was analysed through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d One-Way ANOVA. The following results were found upon analysis. First, in the question regarding the awareness of free semester system arts and sports activities as perceived by special school teachers, the level of awareness was generally low. Secondly, regarding improvement plans,‘construction of environment related to the activities’was the highest. Third, upon analysing the difference in perception and improvement plan according to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special school teacher, statistical difference in improvement plans was found according to gender. In conclusion, it is perceived that the effect of arts and sport activities perceived by the special school teacher on students, teachers and the school is low, and there is little difference between the awareness and improvement plan according to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special teachers.

      • KCI등재후보

        특수학교의 미술교과 시간에 일반학생과의 협동학습이 자폐성 장애학생의 사회적 기술에 미치는 영향

        유장순 한국특수아동학회 2007 특수아동교육연구 Vol.9 No.2

        본 연구는 일반학생과의 협동학습이 자폐성 장애학생의 사회적 기술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았다. 연구대상은 특수학교의 4학년인 자폐성 장애학생 4명과 일반학생 5,6학년으로 구성된 48명으로, 연구는 약 8개월 동안 이루어졌다. 연구 대상 학생의 사회적 기술의 변화 정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Walker-McConnell 검사를 사전사후에 걸쳐 실시하였으며, 수업일지를 작성하고 담임교사의 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연구대상자에 따라 다른 결과를 보였지만 일반학생과의 협동학습은 자폐성 장애학생의 사회적 기술 발달에 많은 영향을 미쳤다. 첫째, 자폐성 장애학생은 교사들이 선호하는 사회적 행동에서 매우 긍정적인 결과를 가져왔는데, 특히 자신의 감정을 통제하고, 상황에서 동료와의 협력하는 태도가 많이 향상되었다. 둘째, 또래가 선호하는 사회적 행동에도 변화가 있었는데, 일반학생과의 계속적인 관계를 유지하길 원했으며, 의사소통 시 상대방의 눈을 맞추는 행동과 언어표현 능력이 매우 향상되었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학교적응력도 향상되었는데 학습 과제의 참여도가 높아지고 독립심이 매우 향상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through cooperative practices with students without disabilities in art subjects in a special school, was to investigate effects of cooperatives learning on social skill of students with Autistic Disorders. Subjects in this study were 4 students with autistic disorder who were four-grade students in a special school, and 48 students without disabilities who were fifth or sixth grade students in a general school. Over eight-months period, Data was gathered from periodic teacher's interviews and through observation records on classes. This study was also carried out on pre- and post-test by means of Walker-McConnell Test in order to identify the accomplishment of social skill for these subject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 First, the application of the strategy of cooperation learning was effective about social skill of students with autistic disorder in which their teacher intervene and urge the process. In details, they controlled their emotion by themselves and also improved beneficial interaction with their peers. Second, there was positive effects on social skill preferred by peers in which students with autistic disorder wanted to continue relationship with them and they stare at their partner to communicate positively. Finally,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students with autistic disorder had positive effects on social behaviors and school adjustments, showing higher participation in academic subjects and higher improvement of self-support.

      • KCI등재

        통합 상황에서 장애 대학생 교육에 대한 교수의 경험 및 인식

        유장순,유은정 한국특수아동학회 2019 특수아동교육연구 Vol.21 No.3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current status and perception about the teaching·learning for the college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to suggest the improvement consideration. Method: The participants were 5 professors who had ever taught the college students with a various of disabilities. The method was a qualitative study by Focus Group Interviews. Data were collected by Interviews and transcribed in MS word program, the amount was 20 pages and additional 4 pages of A4 paper. Data were analysed to categorize primary open coding and constant comparison method. It was summarized to 3 categories and 8 themes. Results: First, professors have ambivalent experience of inclusive education at college. Second, the students with disabilities were inattention at class and the professors had to be interested in their attitudes. And they were required to get reading /writing, communications, IT utility and social skills. Third, social and cultural support were required to effective inclusion at college. As well, they suggested that information of the students with disabilities should share to all of the professors and the criterion of entrance / inclusion for the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should be prepared. Conclusion: Based on the results, the implications and improvement consideration were discussed.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4년제 대학의 통합 교육 상황에서 장애 대학생 교수 학습 현황을 교수들의 경험 및 인식을 통해 확인하고, 그에 따른 지원 및 개선 방안을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방법: 연구 방법은 대학에서 다양한 장애 유형의 대학생을 가르친 경험이 있는 교수 5명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여 초점집단 면담(FGI)을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는 질적 연구였다. 수집된 자료는 MS 워드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전사하였으며 A4 용지 20쪽 분량이었고, 면담 후 연구 참여자로 부터 받은 추가 서면 자료는 4쪽 분량이었다. 자료 분석은 기초적인 개방적 부호화 과정을 토대로 지속적인 자료 비교 방법(constant comparison method)을 거쳐 범주화하였다. 그 결과 3개 영역에 8개의 주제로 요약되었다. 연구결과: 첫째, 교수들은 통합 교육에 대해 양가적인 인식을 경험하였다. 둘째, 장애대학생들은 수업시간에 잘 집중하지 못하고 교수들이 지속적으로 관심을 가져야 하며 읽고 쓰기 기술, 의사소통 기술, IT활용기술, 긍정적인 동료관계 및 사회성 기술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셋째, 교수 학습지원 개선방안으로는 사회 및 심리적지지 환경 마련, 장애학생에 대한 사전 정보제공, 장애학생 입학 및 통합 기준이 마련되어야 한다고 제안하였다. 결론: 이상의 결과를 선행연구와 비교하고 통합 상황에서 장애 대학생들의 효율적인 교수학습지원을 위한 방안을 논의에서 다루었다.

      • KCI등재후보

        초등학교 통합학급에서 협력교수 실행에 관한 협력교사들의 인식 분석

        유장순 한국특수아동학회 2006 특수아동교육연구 Vol.8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through co-teaching practices in inclusive classrooms, was to investigate how to alter co-teacher's attitudes and beliefs regarding co-teaching, what environmental and interpersonal factors facilitate co-teaching, and what are the benefits and limitations of co-teaching. The study site was an urban elementary school serving grades 2 and 3, with a total student body of 73, 7 of whom had identified disabilities. Three co-teachers participated within the classrooms. Over an eight-month period, data was gathered from periodic interviews and questionnaires with participants in this program, from classroom observations and journal writings made by the co-teachers.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Co-teachers have changed their attitudes and beliefs about co-teaching implementation through the forming stage, the storming stage and the norming stage respectively. 2. Consistent communications and peer collaboration between co-teachers proved to be an important aspect in the success of co-teaching. In addition, having appropriate time to prepare, plan and evaluate was of equal importance and Obtaining the Principal's permission and assistance for co-teaching facilitated the overall co-teaching performance, due to the fact that changes are required in school culture, and assistance is needed from the school administration. 3. There were clear benefits mentioned for both the students and the teachers through co-teaching practices. 4. Limitations of the co-teaching approach included the difficulty of routine adjustments in shifting from isolation to cooperation, loss of autonomy, lack of time to co-teach, perceived imbalance of workload and placement of the student with disabilities. Consequently, this study suggests significant potential for building up a cooperative professional practice through the use of co-teaching in inclusive classrooms. Study findings indicate that co-teaching can be considered a potentially valuable tool in the educational reform movement for full inclusion. 본 연구는 장애학생이 통합된 학급에서 협력교수에 대한 협력교사들의 태도 변화 과정, 협력교수를 촉진하는 요인, 협력교수의 장점과 문제점을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 대상은 통합학급의 초등학교 2, 3학년 각각 1학급의 협력교사인 일반교사 2명, 특수교사 1명이었다. 자료 수집은 8개월 동안 참여관찰, 심층면담, 교사일지를 통해 이루어졌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협력교수에 대한 교사들의 태도는 의욕 단계, 갈등단계, 적응단계로 변화하였다. 둘째, 협력교수를 촉진하는 요인은 협력교사간의 지속적인 의사소통 및 동등한 동료관계 유지, 협력교수의 계획과 준비, 시간 확보, 학교장의 지원이었다. 셋째, 협력교수는 장애학생 뿐만 아니라 교사들에게도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넷째, 협력교수의 문제점은 장애학생이 통합된 학급의 학생 수 과다, 제한된 협력교수 실행, 협력교사들의 협력교수에 대한 지식 및 경험 부족, 장애 정도를 고려하지 않은 장애학생의 편중된 배치 등이었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학교현장에서 실시한 사례로, 연구의 결과는 협력교수의 계획 및 실행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며 우리나라 특수학급 운영 및 특수교육지원 체제에 구체적인 방향을 제시한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 KCI등재

        자긍심과 자아탄력성 증진 집단상담이 초등학생의 비행 성향에 미치는 영향

        유장순,이철원 한국교정복지학회 2014 교정복지연구 Vol.- No.32

        본 연구는 아동의 비행 성향이 자긍심과 자아탄력성과 관련이 있는지를 검증하고 이를 증진시키기 위한 집단 상담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시내 초등학교 5-6학년 109명이었다. 실험집단의 아동은 남자 31명, 여자 23명이었다. 통제집 단은 남자 30명, 여자 25명이었다. 연구에 사용된 도구는 자아존중감 점수, 자아탄력성 척도 점수, 비행척도 점수를 사용하였다. 자긍심 증진 프 로그램은 Palomares(1991)가 개발한 자아존중감 증진을 위한 활동 프로그램을 조원성(1996)이 번안하여 수정 한 프로그램을 기초로 연구자가 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자긍심과 자아탄력성 및 비행 성향 간에는 유의한 부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비행 성향에 대한 예언력은 자아탄력성만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자긍심과 자아탄력성을 증진시키고자 하는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비행 성향을 감소시키는데 효과적 임을 확인해 주었다. 비행 성향이 비행 행동으로 발전하기 전에 예방적인 차원에서 이러한 집단상담 프로그램 을 실시한다면 학교 폭력이나 학교 부적응 아동에게 매우 유용할 것임을 시사해 주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s among the self-esteem, ego resilience and delinquent tendencies of primary school students. The summarie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First,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among the self- esteem, ego resilience and delinquent tendencies. Second, the results of multiple regression shows that ego resilience has significant explanability(R2=14%) for the delinquent tendencies, but self-esteem did not achieve the significant level. The results of post scores of ego resilience reached the significant level((R2=8%) of prediction to delinquent tendencies after finishing the group counseling program. Third, there were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 of group by periods in the variable of self-esteem after finishing program. Fourth, the interaction effect of group by periods in ego resilience revealed significant. The score of experimental group varied significantly between pre and post periods, t(53)=-15.00, p<.001. Fifth, the interaction effect of group by periods in delinquent tendencies shows significant level, t(53)=8.40, p<.001. It suggested that the group counseling program would be effective to prevent the acting out of children's delinquent tendencies in school and home environments.

      • KCI등재후보

        통합교육을 위한 특수교사의 직전교육 방향 탐색

        유장순 한국특수아동학회 2007 특수아동교육연구 Vol.9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make a search for effective directions on the course of special pre-educators, including areas which should be emphasized on pre-education. this study was accomplished through in-depth interview with 9 special educators who have had lots of field experiences on the inclusive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s. Results of this study show as follows. First, It is very important for pre-educators to know how to cooperate with other teachers and how to acquire skills related to cooperation. Second, theoretical knowledge and executional methods of co-teaching. Third, concrete planning of instruction and instructive behavior method. Fourth, It is necessary to have lots of knowledge about general education curriculum in order to prepare for efficient IEP and substantial teaching-modification. Fifth, capabilities to evaluate and diagnosis disabilities in order to plan effective teaching model. Sixth, It is necessary to have opportunities of teaching practice in general elementary school(special class). Finally, It is also very important to be endowed with capabilities to superintend persons related to the inclusive education.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특수학급에서 통합교육 경험이 있는 특수교사 9명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실시하여 특수교사의 직전교육에서 반드시 강조되어야 할 영역을 파악하여 예비 특수교사교육의 방향을 탐색하는데 있다. 통합교육을 위한 특수교사 직전교육에 대한 특수교사의 심층 면담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특수교사 직전교육에서 협력방법 및 기술이 중요한 영역으로 언급되었으며, 둘째, 협력교수의 이론적 지식과 실행 방법, 셋째 수업설계 및 교과 지도, 넷째, 교수적 수정 및 개별화교육계획을 위한 일반교육과정의 지식, 다섯째, 교수계획을 위한 진단 및 평가 능력 여섯째, 일반학교(특수학급)에서의 교육실습, 마지막으로 인적자원 관리 능력이 필요하다고 제시하였다.

      • KCI등재

        발달장애 대학생의 생활스트레스 해소를 위한 스포츠 및 문화예술 활동 중재 탐색

        유장순 한국스포츠인류학회 2024 스포츠인류학연구 Vol.19 No.4

        본 연구의 목적은 발달장애 대학생이 대학 생활에서 경험하는 스트레스의유형을 알아보고, 이를 토대로 발달장애 대학생들이 스트레스를 극복할 수있도록 돕는 스포츠 및 문화예술 활동 프로그램의 방향성을 모색하는 데 있다. 연구 방법은 스트레스와 발달장애, 스포츠 및 문화예술 활동 관련 문헌조사 및 분석을 통해 연구 결과를 도출했다. 첫째, 발달장애 대학생의 특징및 개인적 성향에 기인한 스트레스로 방해행동, 공격행동, 자해행동 등이 나타난다. 둘째, 발달장애 대학생의 스트레스의 근원이 되는 신체적, 기능적 약점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조기 개입을 통한 맞춤형 스포츠 프로그램 운영, 융합적 지원 등이 필요하다. 셋째, 발달장애 대학생의 심미적 요인에 기반한스트레스 해소를 위해서는 맞춤형 문화예술 활동 프로그램 적용과 함께 프로그램의 다양성, 접근성, 그리고 친숙성을 확보하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연구 결과를 근거로 발달장애 대학생이 대학 생활에서 겪을 수 있는 스트레스 해소 방안을 스포츠 및 문화예술 활동 프로그램을 통해 모색하고자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types of stress that college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DD) may experience in college life, and based on this, to explore the direction of customized sports and cultural art activity programs that can help college students with DD overcome stress.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stress caused by the characteristic and personal tendencies of college students with DD causes disruptive behavior, aggressive behavior, self-injurious behavior, and non-participatory behavior. Second, in order to overcome stresses for college students with DD, it was found that it was necessary to operate customized sports programs through early intervention, provide integrated support, and maintain continuity. Third, in order to relieve stress based on aesthetic factors of college students with DD, application of customized cultural art activity programs, securing diversity of programs, and accessibility and familiarity of programs are requir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