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골프 특성화 고등학교의 조성을 위한 계획 연구 -여주특성화고등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박훈,김혜미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9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9 No.7

        Observations of increased developments of specialized high schools show that vocational specialized high schools started at a number of 1 in 1998 and have increased to 154 in 2008 and after 2012, all vocational high schools were integrated as specialized high schools. By establishment type, with vocational specialized high schools, 80 were public schools, making up approximately 60% of all vocational specialized high schools and with alternative schools, 21 were private schools, accounting for an overwhelmingly high number. Along with such change characteristics of educational environments, interest in sports is also increasing and in particular, a preference of golf is continuously increasing within national interest. This study observes the current statuses of golf-specialized high schools, presents programs applicable to golf-specialized high schools, and attempts to observe possibilities from planning aspects for the establishment of golf-specialized high schools. In particular, it observed commercialization methods and planned significance through the development process of specialized high schools in Yeoju, and approaches are needed that take into consideration facility plans that take external users into consideration, facility accessibility and availability within schools, and future expandability of additional facilities and this study has significance as a design study. 특성화고등학교의 증가추이를 보았을 때 전문계 특성화고는 1998년 1개 학교로 출발하여 2008년 154개로 증가하였으며, 2012년 이후 모든 전문계고가 특성화고로 통합되었다. 설립유형별로는 전문계 특성화고의 경우 국공립이 80여개로 전문계 특성화고의 약 60%를 차지하였고 대안계 특성화고는 사립이 21개 교로 압도적으로 높은 수치를 차지하였다. 이와 같은 교육환경의 변화 특성과 함께 스포츠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골프 등에 대한 관심은 국민적 관심속에서 지속적으로 선호도가 높아지고 있다. 본 연구를 통해 골프특성화고등학교의 현황을 살펴보고, 골프특성화고등학교에서 적용가능한 프로그램을 제시하며, 이를 통해 골프 특성화 고등학교 설립을 위한 계획적 측면에서의 가능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특히 여주특성화 고등학교의 조성과정을 통해 사업화 방안의 절차와 계획적 의의를 살펴보았으며, 외부이용자들까지 고려하는 시설계획과, 학교 내에서의 시설 접근성, 이용성, 그리고 향후 추가적인 시설의 확장 가능성 등을 고려하는 접근이 필요하며, 본 연구는 설계형 연구로서 의의를 갖는다.

      • KCI등재

        마이스터고와 특성화고 학생들의 직업가치관과 진로성숙도 비교 분석

        맹희주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2014 교과교육학연구 Vol.18 No.3

        본 연구는 직업 선택 시 고려되어 직업가치관과 진로성숙도가 마이스터고와 특성화고 학생들 간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 이를 통해 직업전문교육기관으로 특성화고 학생들을 위한 효율적인 진로지도 방법을 고찰해 보았다. 연구 결과 첫째, 마이스터고 학생들의 진학 동기는 취업, 적성, 부모님의 권유 등의 순으로 높은 동기를 보였으나, 특성화고 학생들은 취업, 대학진학, 성적순으로 진학 동기가 높았다. 특성화고 학생들의 대학진학에 대한 계획과 이를 위한 특성화고로의 진학 동기가 여전히 남아 있기는 하지만, 취업으로 변화되는 경향성을 보이는 것 같아 매우 고무적인 결과로 시사되었다. 둘째, 마이스터 고 학생들은 내, 외적 직업가치관 중 외적 직업가치관인 발전성에 가장 가치를 두고 있었으나 반면 특성화고 학생들은 내적 집업가치관인 자율성에 가장 높은 가치를 도고 잇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진로성숙도면에서는 마이스터고 학생들이 특성화고 학생들보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진로성숙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특성화 고등학교 학생들의 정보 활용 능력을 높여 줄 필요가 있으며, 전공관련 직업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 제공과 사전 직업 체험의 기회가 주어져야 할 것으로 분석되었다. This study examines the differences in occupational values and course maturity between Meister high school students and specialized high school students; thereby, it has considered an efficient method of career guidance for specialized high school students as a goal of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institutions. First, the entering motivation of Meister high school students is highly by ranking on employment, aptitude, and parental suggestion; while the entering motivation of specialized high school students is highly placed on employment, university entrance, and middle school grades. Although the specialized high school students who have the plan for entering university and the motivation for going to specialized high school have still remained, a change tendency in employment seems to be a very encouraging. Second, Meister high school students seem to put most value on the possibility of future growth from external occupational values among internal-external vocational values; whereas specialized high school students tend to set the highest value on the autonomy of their internal occupational values. Third, career maturity rate of Meister high school students is significantally higher than specialized high school students. It is suggested, therefore, that there is a necessity to increase the utilization ability of information for specialized high school students and provide opportunities for pre-job experience and specific job information related to the students' majors.

      • KCI등재

        공업계열 특성화고 및 마이스터고 학생의 기술적 문제해결성향 분석

        김민웅,조한진,위선복,김태훈 한국기술교육학회 2016 한국기술교육학회지 Vol.16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technological problem solving tendency of the students in the industrial specialized high school and meister high school and the specific goals of this study are follows. Firstly, technological problem solving tendency of the students in the industrial specialized high schools is to be analyzed. Secondly, technological problem solving tendency of the students in the meister high schools is to be analyzed. Thirdly, the differences in technological problem solving tendency of the students in the industrial specialized high schools and meister high schools is to be compared and analyzed. To achieve the above-mentioned goals, a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500 students of the specialized high school and 500 students of the Meister high school, which amounted to a total of 1000 students. 390 questionnaires of the specialized high school and 388 questionnaires of the Meister high school were finally used through the adaptation of the PSI-TECH survey tool of Wu, Custer and Dyrenfurt(1996).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Most of the students in the specialized high schools and meister high schools were found to consider themselves as inefficient problem-solvers with their low-leveled technological problem solving tendency. The results of investigating the areal technological problem solving tendency showed that the students in the industrial specialized high schools and meister high schools were medium in the area of self-control recognition and low in the areas of problem-solving confidence and approach-avoidance tendency. In addition, the students in the industrial specialized high schools were found to have the technological problem solving tendency which was higher than that of the students in the meister high schools and there were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areas of problem-solving confidence and approach-avoidance tendency. 이 연구의 목적은 공업계열 특성화고 및 마이스터고 학생의 기술적 문제해결성향에 대해 분석하는 것이며, 구체적인 연구 목표는 다음과 같다. 첫째, 특성화고 학생의 기술적 문제해결성향에 대해 분석한다. 둘째, 마이스터고 학생의 기술적 문제해결성향에 대해 분석한다. 셋째, 특성화고 및 마이스터고 학생의 기술적 문제해결성향 차이를 분석한다. 이를 위해 Wu, Custer와 Dyrenfurt(1996)의 PSI-TECH 설문도구를 번안하여 특성화고, 마이스터고 각각 500명씩 총 1000명의 학생에게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고, 최종적으로 특성화고 390부, 마이스터고 388부의 설문지를 활용하였다. 연구 결과 특성화고와 마이스터고 학생의 경우, 낮은 수준의 기술적 문제해결성향이 나타남에 따라 대부분 자신을 비효율적 문제해결자라 인식하고 있음을 알 수있다. 영역별 기술적 문제해결성향을 살펴보면 특성화고와 마이스터고 학생 모두 자아통제 인식도는 중간, 문제 해결 자신감과 접근-회피 성향은 낮은 수준인 것으로나타났다. 또한 특성화고 학생이 마이스터고 학생에 비해 더 높은 수준의 기술적 문제해결성향을 보였고, 문제 해결 자신감, 접근-회피 성향 영역에서 유의미한 차이가나타났다.

      • KCI등재

        특성화고등학교 교사의 변화몰입과 교사효능감, 학교풍토 및 학교장 변혁적 리더십의 인과적 관계

        조성웅,나승일 한국농·산업교육학회 2011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Vol.43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a causal relationship among teachers's commitment to change, efficacy, school climate, and principal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in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s.The population for this study was teachers in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s. However, random sampling method could not be applicable because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s have been done since 1998 and changing circumstances in the school is different for each school. Therefore, this study was restricted to the target population as teachers who working in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s which recent changing. Especially, target population was set as the teachers working in the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s involved in 'the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s foster program by government departments.' The data were collected by mail survey. A Total of 366 out of 450 questionnaires were returned, of which 343 were used for analysis after data cleaning. Both descriptive and inferential statistics were employed for data analysis. To estimate parameters of proposed research model, covariance structure analysis were used. All data analysis was accomplished using the SPSS 18.0 and Amos 18.0 version. An alpha level of 5% was established prior for determining significa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causal model of this study is suitable to empirical analysis on research variables. second, teachers' efficacy, school climate, and principal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in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s have direct effect on teachers' commitment to change. Third, principal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in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s has indirect effect on teachers' commitment to change with partial mediation effect of school climate. However, teachers' efficacy has now indirect effect on it. Forth, school climate of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s has indirect effect on teachers' commitment to change with the medication effect of teachers' efficacy. 이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특성화고등학교 교사의 변화몰입과 교사효능감, 학교풍토 및 학교장 변혁적 리더십 간의 인과적 관계를 구명하는데 있었다. 이 연구의 모집단은 2010년 학교 체제가 개편 중에 있는 특성화고등학교에 재직하고 있는 전체 교사이다. 단, 이미 학교체제 개편이 완성된 특성화고등학교의 교사들의 변화몰입을 측정하는데 제한이 있을 수 있기 때문에 정부부처 특성화고등학교 육성 사업에 참여한 84개교(농림수산식품부 19개교 제외)에 재직하고 있는 교사를 목표모집단으로 설정하였으며, 최종적으로 343명의 자료가 최종분석에 사용되었다. 자료 분석은 Windows SPSS 18.0과 AMOS 18.0을 활용하여 구조방정식모형으로 분석하였으며, 추리통계 결과에 대한 통계적 유의성은 .05를 기준으로 판단되었다. 이 연구의 결론으로는 첫째, 학교장 변혁적 리더십이 교사효능감 및 학교풍토를 통해 교사의 변화몰입에 대한 직·간접적인 인과관계는 학교장 변혁적 리더십과 교사효능감의 관계를 제외한 모든 인과관계가 확인되었다. 둘째, 특성화고등학교의 교사효능감, 학교풍토 및 학교장 변혁적 리더십은 교사의 변화몰입에 직접적인 정적 영향을 미친다. 셋째, 특성화고등학교장 변혁적 리더십은 학교풍토를 매개하여 교사의 변화몰입에 간접적인 정적 영향을 미치나 교사효능감을 매개하여 변화몰입에 간접적인 정적 영향을 미치지 않고, 학교풍토는 교사효능감을 매개로 하여 변화몰입에 간접적인 정적 영향을 미친다.

      • KCI등재

        임업 계열 특성화 고등학교 교육과정 운영에 관한 교사의 경험 분석 연구

        정세명(Jeong, Semyong),신경희(Shin, Kyunghee) 한국열린교육학회 2018 열린교육연구 Vol.26 No.3

        본 연구는 특성화 고등학교 교육과정 운영과정에 관한 교사들의 경험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의 대상인 임업계열 특성화 고등학교는 전문적인 산림산업 인력을 양성하기 위해 신설된 특성화고등학교이다. 정부는 여러 산업분야에 특화된 전문 기능인을 양성한다는 목표 아래 지속적으로 특성화고등학교를 육성해왔다. 그러나 다양한 산업 현장에 맞게 조정된 전국의 특성화 고등학교들이 원래 교육정책의 계획대로 전문 기능인들을 양성해낼 수 있는 역량을 갖추고 있는지는 여전히 의문시되고 있다. 본 연구는 임업 특성화 고등학교 정책의 성공 여부는 행위주체인 교사에게 달려 있다고 가정하고, 그들이 학교 현장에서 겪는 경험이 분석하기 위해 단위학교 교사들을 대상으로 개별 면담을 실시하였다. 전공교사2 명, 산학교사2명, 학급 담임 교과교사3명이 면담에 참여하였다. 면담 분석 결과 교사들은 임업전공교사 부족, 임업 관련 실습시설 부족, 임업 전공교재 부족, 불명확한 진로지도를 포함한 문제점을 교육과정 실행의 구조적 제한점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그러나 연구 참여자들은 스스로 열정과 의지를 가지고 이런 문제점들을 보완하여 특화된 교육과정을 운영해나가고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정부는 교사를 교육정책 실행과정에서 주체로 인식하고 그들이 전문가로서 가지는 가치판단을 교육정책과정에서 적극적으로 반영해야 한다는 시사점을 얻을 수 있었다. A forestry specialized high school is one of the specialized high schools which have been developed as part of recent education policies to improve the vocational high school curriculum in Korea. Assuming that existing vocational high schools have trained simple low skilled workforce, the government has continuously fostered specialized high schools with the goal of nurturing a new highly skilled labor force. As a result, the number of specialized high schools has been radically increased and their types have been diverse. However, it is still questionable whether specialized high schools nationwide can implement the curriculum which has been planned in order to nurture specialized professionals who are able to adapt to new changes in the industrial field. The goal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the experiences of teachers in the forestry specialized high school. As this study pursued the goal, the research defined teachers as active agents who can bring actual success to the current specialized high school policy of the government. This study also tried to find out the difference between idealism and reality of the policy by listening to the teachers who have actually implemented the curriculum.

      • KCI등재

        상업계 특성화고등학교에 대한 요구 분석 - 서울특별시를 중심으로 -

        한광식,강경종,김기홍,김종우,김기용 한국상업교육학회 2009 상업교육연구 Vol.23 No.1

        이 연구의 목적은 서울특별시 상업계 고등학교 교사, 학생, 학부모의 상업계 특성화고등학교에 대한 요구 및 서울특별시교육청의 특성화 방향에 대한 요구를 분석하는데 있었다. 연구 모집단은 서울특별시 41개 상업계 고등학교에 소속된 교사, 학생, 학부모이며, 유의표집방법을 활용하여 학교별로 교사, 학생, 학부모 각 25명씩 1,025명씩을 표집 하였다. 조사도구는 특성화고등학교 운영 진단, 특성화고등학교에 대한 요구, 서울특별시 특성화 방향에 대한 요구, 인적사항을 묻는 교사, 학생, 학부모용 설문지가 사용되었다. 자료 수집은 1,025부 중 교사 864부(84.3%), 학생 947부(92.4%), 학부모 899부(87.7%)가 회수되어, 전체 회수율은 88.1%이었으며, 자료 분석은 평균, 표준편차, 빈도, 백분율 등의 기술통계 방법이 활용되었다. 이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서울특별시교육청에서는 특성화고등학교 운영 성과 및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 특성화고등학교에 대한 주기적인 성과평가를 할 필요가 있다. 둘째, 서울특별시교육청에서는 특성화고등학교 운영상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서 특성화분야로의 교육과정 자율화와 교재개발에 대한 지원을 실시할 필요가 있다. 셋째, 서울특별시교육청에서는 상업계 고등학교 구성원인 교사, 학생, 학부모의 요구에 부합하도록 향후 특성화고등학교 확대를 추진할 필요가 있다. 넷째, 서울특별시교육청과 단위 학교에서는 소규모, 단일형 특성화를 탈피해서 복합형 특성화 혹은 프로그램 중심 특성화를 추진할 필요가 있다. 다섯째, 단위 상업계 고등학교에서는 서울특별시 및 인근 지역의 전략산업에 부합하도록 특성화 분야를 선정하고, 특성화 분야로의 취업과 진학을 동시에 추구하는 교육을 실시할 필요가 있다. 여섯째, 향후 특성화고등학교 추진을 위해서는 단위 학교에서 관련 사업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예산을 확보할 필요가 있다. 일곱째, 서울특별시교육청의 특성화고등학교 선정기준에 대한 변경이 요구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needs about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s of commercial high school teachers, students and parents in Seoul. The subjects for the study were 1,025 teachers, students and parents who were taking in commercial high schools in Seoul. A survey questionnaire was developed by the researchers, which consisted of the diagnosis of present condition about specialized commercial high school, need of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 and need of provincial educational authorities in Seoul. The response percentage was 88.1%. The descriptive statistics were employed. All data analysis was accomplished using the SPSS 15.0 statistics package.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Seoul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needs to conduct performance evaluation of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 Second, the office should empower the schools to make their curriculum and support them to text development. Third, the office needs to increase the number of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s. Forth, the office and each school need to consider the school-within-school model or program-based specialization. Fifth, each school needs to select the specialized area related with regional industries and pursuit of employment and academic career at the same time. Sixth, each school should try to make the budget by applying for the programs supporting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 Seventh, Seoul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should revise the selecting criteria about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

      • KCI등재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의 자아정체감이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박나정,임나영,이창훈 한국기술교육학회 2017 한국기술교육학회지 Vol.17 No.2

        This study examined ego identity and self-efficacy in career decision-making among specialized technical high school students with the aim of proposing preliminary data to suggest ways to improve self-efficacy in career decision-making through establishing proper ego identity. The specific research questions were set as; first, to define the ego identity status in relation to the students’ personal characteristics among specialized technical high school students; second, to describe the status of self-efficacy in career decision-making related to the students’ personal characteristics among specialized technical high school students; and last, to examine the influence of ego identity on self-efficacy in career decision-making among specialized technical high school students. To accomplish such research objectives, the assessment survey was developed after reviewing the theoretical literature on specialized technical high school students’ background, ego identity, and self-efficacy in career decision-making. The survey was comprised of 43 items including personal characteristics (6 items), ego identity (13 items), and self-efficacy in career decision-making (24 items). A total of 990 students from industrial specialized high schools across the country completed the survey, and the responses from 775 students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es after excluding the surveys with unanswered items or untrustworthy responses. Results were as follows: For differences in ego identity in relation to motives of entering specialized technical high school, the group that entered the school because of aptitude and interest and those who entered the school considering the promising prospect of technicians had higher ego identity compared to those who entered the school for economic independence. The group with higher levels of school adaptation and satisfaction showed higher ego identity than those with lower levels of school adaptation and satisfaction. For differences in self-efficacy in career decision-making related to motives of entering the specialized technical high school, the group that entered the school considering promising prospect of technicians had higher level of self-efficacy in career decision-making than those who entered the school for economic independence and those who entered the school for opportunity for special admissions to college. With regard to differences in self-efficacy in career decision-making related to school adaptation and satisfaction, the group that adapted to school very well showed higher level of self-efficacy in career decision-making than those who did not. For differences in self-efficacy in career decision-making related to post-graduation plans, the groups that had plans such as getting a job or going to college had higher level of self-efficacy in career decision-making compared to those without plans. Furthermore, for the influence of ego identity on self-efficacy in career decision-making, the results showed that ego identity had positive associations with all the sub-factors of self-efficacy in career decision-making, and all correlations and coefficients of determination showed a robust statistical significance. Therefore, to enhance self-efficacy in career decision-making, education that could help students better adapt to school, increase satisfaction with the school, and create positive ego identity must precede. 이 연구는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의 자아정체감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대해 알아봄으로써 바람직한 자아정체감의 형성을 통해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수준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구체적인 연구문제로는 첫째,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의 개인특성에 따른 자아정체감 수준은 어떠한가, 둘째,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의 개인특성에 따른 진로결장 자기효능감의 수준은 어떠한가, 셋째,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의 자아정체감이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로 설정하여 구명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의 개인특성, 자아정체감,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관련된 이론적 배경을 고찰하여 검사도구를 제작하였다. 설문지는 개인특성(3문항), 자아정체감(13문항), 진로결정 자기효능감(24문항)으로 총 40문항으로 구성하였으며, 전국 공업계열 특성화고등학교 학생 99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무응답이나 불성실한 응답의 설문지를 제외한 775부를 최종 분석에 활용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기술인에 대한 미래 전망을 고려하여 특성화고등학교에 진학한 집단과 학교 적응 및 만족도가 높은 집단이 그렇지 않은 집단에 비해 자아정체감 및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수준이 높게 나타났다. 또한 자아정체감이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주는 정적인 영향과 상관관계, 설명력 모두 높은 통계값을 기록하였다. 따라서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질적 향상을 위해서는 학생의 학교 적응 및 만족도를 높이고 긍정적인 자아정체감을 형성할 수 있는 교육이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특성화고와 마이스터고 선취업 후진학 관련 연구 동향 분석

        김현수,유기웅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22 敎育問題硏究 Vol.35 No.4

        This study seeks to explore research trends related to the Work First-then to College System for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 and Meister High School graduates through analysis of academic papers published in Korea. For this study, 57 papers related to Work First-then to College System learning at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 and Meister High School among papers published in domestic journals including research for subjects, methods, and variables were analyz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first, research in the field of the Work First-then to College System at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 and Meister High School has been steadily published since 2017.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Work First-then to College System were being conducted in academic journals related to lifelong ability and vocational education. Third, the research subjects were mainly conducted on learners, and among them, the most studies were conducted on the Work First-then to College System students. Fourth,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research topic, the research related to the Work First-then to College System was found to be the most frequent. Fifth, looking at the results of the complementary analysis according to the research method, quantitative research was found to be far more frequent than qualitative research in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 and Meister High School. Sixth, as a result of analysis of related variables, social support, individual characteristics, and corporate characteristics were the most frequent. Finally, based on the results derived from this study, research directions related to the Work First-then to College System at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 and Meister High School were presented in the future. 본 연구는 국내에서 발간된 학술 논문 분석을 통하여 특성화고와 마이스터고 졸업생의 선취업 후진학 관련 연구 동향을 탐색하였다. 나아가 직업교육 분야 연구의 흐름을 이해하고 탐색 과정에서 도출된 결과의 해석을 통해 우리나라 직업교육이 나아갈 방향에 대한 연구 과제를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2012년부터 2021년까지 국내 학술지에 게재된 논문 중 특성화고와 마이스터고 선취업 후진학 관련 논문 57편을 대상으로 연구연도, 게재학술지, 연구대상, 연구주제, 연구방법, 관련변인을 분석의 틀로 내용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는 첫째, 특성화고와 마이스터고 선취업 후진학 분야의 연구는 2017년부터 꾸준히 발표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평생능력개발과 직업교육 관련 학술지 등에서 선취업 후진학 연구가 진행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연구 대상은 주로 학습자를 대상으로 이루어 졌고 그 가운데 선취업한 대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연구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연구 주제를 분석한 결과 선취업 후진학 정책에 관련된 연구가 가장 많은 빈도로 나타났다. 다섯째, 연구 방법에 따른 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특성화고와 마이스터고 선취업 후진학 관련 연구는 양적연구가 질적연구보다는 월등히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관련 변인 분석 결과로 사회적지지, 개인특성, 기업특성이 가장 많은 빈도를 나타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서 도출된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특성화고와 마이스터고 선취업 후진학 관련 연구 방향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의 학교폭력성향 감소를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박금녀,유형근,조용선 한국상담학회 2014 상담학연구 Vol.15 No.1

        This study is aimed to design and apply a group counseling program to reduce school violence among specialized high school students and to test which effect it has on school violence tendency. For these purpose, this study is intended to answer the following questions: Firstly, how will the group counseling program for specialized high school students be constructed to reduce school violence?; Secondly, does the group counseling program is effective in reducing school violence among the specialized high school students? The study subjects were 3rd-grade students who had school violence tendency higher than one standard deviation from the mean of pre-violence tendency test in B specialized high school located in Chungcheongbuk-do. The group counseling program to reduce school violence was based on the counseling program model developed by Park In-U (1995). This program consisted of total 12 sessions and was administered twice per week on after school. The test instrument was the modified school violence scale developed by Do Gie-Bong(2007) appropriately for specialized high school students under the supervision of the advisor of the present thesis. The study results from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ly,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change of school violence tendency between the control group and the experimental group who participated in this group counseling program. In the sub-scales of the school violence scale, the changes in aggression, impulsivity, attitude toward use of violence and self-esteem among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nts significantly differed from the control group. Based on the study findings, the suggestions for the future studies are as follows: Firstly, since this program is a group counseling program for the specialized high school students with high school violence tendency, it is required to administer counseling by combining it with individual counseling program in order to facilitate their participation. 이 연구의 목적은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을 대상으로 학교폭력성향 감소를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구안하고 적용하여 학교폭력성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하는데 있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의 학교폭력성향 감소를 위한 프로그램은 어떻게 구성되어야 하는가? 둘째, 특성화고등학생의 학교폭력성향 감소를 위한 프로그램은 특성화고등학생의 학교폭력성향 감소에 효과가 있는가? 충북 소재 B특성화고등학교 3학년 학생들에게 학교폭력성향 검사를 실시하여 전체 평균보다 1 표준편차 이상 높은 점수를 가진 학교폭력성향이 높은 학생을 대상으로 연구를 실시하였다. 학교폭력성향 감소를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박인우(1995)의 상담프로그램 개발 모형을 바탕으로 총 12회기로 구안하였으며 1주에 2회씩 방과 후 시간을 활용하여 실시하였다. 검사도구는 도기봉(2007)이 개발한 학교폭력성향 척도를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학교폭력성향 감소를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의 학교폭력성향의 변화가 통제집단의 변화와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폭력성향의 하위 영역별 분석 결과에서도 실험집단의 공격성, 충동성, 폭력사용에 대한 태도, 자아존중감 영역에서의 변화가 통제집단의 변화와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을 대상으로 학교폭력성향 감소를 위한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효과를 검증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KCI등재

        부산지역 중학교 교사의 특성화고등학교 인식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이광빈(Gwang-Bin Lee),박종운(Jong-Woon Park),황미영(Mi-Young Hwang) 한국직업교육학회 2023 職業 敎育 硏究 Vol.42 No.1

        본 연구의 목적은 부산지역 중학교 교사들이 인식하는 특성화고등학교의 인식을 연구하여, 여러 가지 어려운 상황에 있는 특성화고등학교에 미래 발전 방향과 빠르게 변화하고 있는 사회에서 미래지향적인 인재를 육성하고자 함에 보탬이 되고자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부산지역 중학교 교사 7명을 대상으로 질적연구를 시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인터뷰 참여 교사들의 일반적인 영역, 교사 시각에서의 특성화고등학교의 이미지, 교사가 바라보는 학생 시각에서의 특성화고등학교의 이미지, 특성화고등학교 진학 학생의 특성, 특성화고등학교 교육정책에 대한 의견, 전문가가 생각하는 특성화고등학교의 장점과 단점, 전문가가 생각하는 특성화고등학교에 필요한 개선점의 7가지 영역으로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인터뷰 내용을 전사하여 이를 네트워크 분석을 실시하였고, 빈도수와 중심성을 상위 단어를 바탕으로 주제별・하위요인별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첫째, 특성화고등학교에 대한 인식개선이 필요성, 둘째, 기초학력 부족 학생을 위한 지원과 대책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tudy the perception of specialized high schools recognized by middle school teachers in Busan and to help foster future-oriented talents in the direction of future development and rapidly changing society in various difficult situations. Therefore, in this study, a qualitative study was conducted on 7 middle school teachers in Busan. In this study, the interview was conducted in seven areas: general areas of interview participants, image of specialized high school from teacher's perspective, image of specialized high school from teacher's perspective, student's opinion, opinion on specialized high school education policy, and improvement needed for specialized high school. The interview contents were transcribed and network analysis was conducted, and the frequency and centrality were analyzed by subject and sub-factor based on the upper words. Through this, first, the necessity of improving awareness of specialized high schools, and second, the necessity of support and countermeasures for students with insufficient basic education was propo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