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C형 간염에 의한 간경변 환자에서 간암 표지자로서 혈청 알파태아단백의 유용성: 간암 발생 이외에 알파태아단백 상승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 분석

        김경아 ( Kyung Ah Kim ),이준성 ( June Sung Lee ),정은숙 ( Eun Sook Jung ),김종연 ( Jong Yeon Kim ),배원기 ( Won Ki Bae ),김남훈 ( Nam Hoon Kim ),문영수 ( Young Soo Moon ) 대한소화기학회 2006 대한소화기학회지 Vol.48 No.5

        목적: 혈청 알파태아단백은 만성 간질환자에서 간암 진단을 위한 표지자로 널리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검사의 민감도가 낮고, 간세포 손상이 심할 경우 특이도가 낮아지며 만성 간질환의 원인에 따라 진단 의의가 달라질 수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B형간염과 연관된 간암이 가장 많아 혈청 알파태아단백에 대한 연구는 대부분 B형간염과 연관된 간질환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번 연구에서는 만성 C형간염에 의한 간경변 환자들을 대상으로 간암 발생 이외에 혈청 알파태아단백 상승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인자들을 분석하여 이들 인자들에 따른 간암 진단을 위한 혈청 알파태아단백의 예민도와 특이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C형 간염에 의한 간암 환자와 간경변 환자의 의무기록을 후향으로 분석하였다. 간경변 환자는 혈청 알파태아단백이 측정된 후 6개월 이상 추적되어 간암 발생을 배제할 수 있는 예들로 한정하였다. 결과: 55명의 간암 환자와 62명의 간경변 환자를 분석하였다. 알파태아단백 20 ng/㎖를 기준으로 간암 진단에 대한 민감도 72.7%, 특이도 59.7%였다. 알파태아 단백 100 ng/㎖를 기준으로 할 때 민감도 47.3%, 특이도 92.5%였다. 간경변군에서 혈청 AST 값이 혈청 알파태아단백과 연관성을 보여 AST 값에 따라 분석하였다. AST가 정상의 2배 이하인 군에서는 알파태아단백 100 ng/㎖ 이상에서 특이도 100%였고 AST가 정상의 2배 초과한 군에서는 알파태아단백 100, 200 ng/㎖ 이상에서 특이도가 각각 85%, 95%였다. 결론: 만성 C형간염에 의한 간경변 환자에서 AST 값이 혈청 알파태아단백과 연관성이 있었다. AST가 정상의 2배 이하인 경우에는 혈청 알파태아단백 100 ng/㎖ 이상일 때 간암을 확진할 수 있었으나, AST가 2배 초과한 경우에는 혈청 알파태아단백의 특이도는 감소하였다. Background/Aims: Serum α-fetoprotein (AFP) is frequently used for the diagnosis of hepatocellular carcinoma (HCC). Most available data concerning AFP came from studies of patients with chronic hepatitis B or mixed etiologies. Studies concerning the diagnostic value of AFP for HCV-related liver cirrhosis (LC) are limited. We evaluated the factors influencing AFP elevation in the absence of HCC and analyzed the diagnostic value of serum AFP in HCC surveillance of HCV-related LC patients. Methods: We enrolled 55 patients of HCV-related LC with HCC and 62 patients without HCC as a case-control study were analyzed. The sensitivity and specificity were calculated and the clinical and biochemical factors influencing serum AFP levels. Results: The sensitivities and specificities of serum AFP for the detection of HCC in HCV-related LC were 72.7% and 59.7% for AFP≥20 ng/㎖, and 47.3% and 92.5% for AFP≥100ng/㎖, respectively. Elevated serum AST was independently associated with elevated serum AFP level in HCV-related LC. In cases of AST≤2×upper limit of normal (ULN), the specificity of AFP≥100 ng/㎖ for the diagnosis of HCC was 100%. However, in case of AST>2×ULN, the specificity was 85.0% for AFP≥100 ng/㎖ and 95.0% for AFP≥200 ng/㎖. Conclusions: Serum AST levels influence serum AFP level in HCV-related LC. In cases of AST≤2×ULN, AFP greater than 100 ng/㎖ highly indicates HCC in HCV-related LC, but not in case of AST>2×ULN. (Korean J Gastroenterol2006;48:321-326)

      • KCI등재

        초음파를 이용한 간 섬유화 스캔 검사의 융합 탄성도 측정 평가

        김민정,한만석,장재욱 한국융합학회 2017 한국융합학회논문지 Vol.8 No.5

        본 연구는 만성 B형 바이러스성 감염 환자의 간 기능 혈액 검사 수치와 간 섬유화 스캔 검사(FibroScan®) 의 비교 분석을 통한 간 섬유화 스캔 검사의 임상적, 기기적 융합 유용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2015년 7월 1일부터 2016년 2월 28일까지 대전시 B내과에 내원한 만성 B형 바이러스성 감염 환자 75명의 간 섬유화 스캔 검사 결과와 간 기능 혈액검사 수치를 분석 하고 ROC곡선을 작성하였다. 알라닌 아미노전이요소, 아스파르테이트 아미노전이요 소 수치가 각각 0.572, 0.502로 섬유화 수치와 가장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p<0.000). 감마지티피, 총 빌리루빈, 알칼리성 인산분해효소 수치도 비교적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으나 알파태아단백과 총 단백정량은 통계적으로 유 의하지 않았다. 또한 알부민(-0.449)과 혈소판치(-0.373)도 섬유화 수치와 상관관계가 없었다(p<0.000). 간 섬유화 정도가 높은 등급일수록 ROC 곡선의 정확도가 증가하였으며 F4의 간 경변 단계에서 가장 큰 AUROC값을 나타냈 다. 따라서 간 섬유화 스캔 검사는 만성 간질환 환자의 간 기능 수치인 알라닌 아미노전이요소, 아스파르테이트 아 미노전이요소 수치와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여 간의 염증 검사 및 만성 간질환 진단에 매우 유용한 것으로 판단된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evaluate the clinical and the instrument of convergence utility of transient elastography (FibroScan®:electromagnetic wave) in diagnosing and treating liver ailments through a comparison and an analysis between liver function blood test and transient elastography (FibroScan®) in patients with chronic hepatitis B virus infection. Of all the patients with chronic hepatitis B virus infection who visited clinic B in Daejeon City between July 1, 2015, and February 28, 2016, 75 who underwent a FibroScan® test were selected for this study. Their laboratory and liver function test results were compared for a correlation analysis before constructing an ROC (Receiver Operation Characteristic) curve. Aspartate aminotransferase (AST) and alanine aminotransferase (ALT) levels were 0.572 and 0.502, respectively, and showed highest correlation with fibrosis score, with statistical significance (p<0.000). Gamma glutamyltranspeptidase, total bilirubin, and alkaline phosphatase levels also showed relatively significant correlations in this order of sequence, while -fetoprotein and total protein levels did not show any statistically significant values. Albumin (−0.449) and platelet levels (−0.373) showed negative correlations with each other and no correlation with fibrosis score (p < 0.000). As liver fibrosis worsened, the accuracy of the ROC curve increased. At the F4 stage, which is the cirrhotic stage, the largest area under the curve was observed .FibroScan®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the ALT (serum glutamic pyruvic transaminase) and AST (serum glutamic oxaloacetic transaminase) levels in the liver function test, which is a routine test for patients with chronic liver ailments. This implies that fibrosis correlates with liver inflammation severity.

      • KCI등재

        로마 상속법상 태아의 보호

        이철우(Lee, Cheol-woo) 한국법사학회 2021 法史學硏究 Vol.64 No.-

        로마법상 태아는 그의 이익이 문제되는 경우에는 이미 출생한 사람으로 의제되었는데 그 대표적 예가 상속이다. 로마 시민법상 무유언상속의 경우 피상속인의 사망시에 아직 태어나지 않은 家內유복자(postumus suus)는 살아서 출생할 것을 전제로 이미 가내상속인(heres suus)으로 간주되었다. 법정관법상 1순위 상속군인 ‘자식’ (liberi)에는 가내상속인뿐만 아니라 父權免除된 자식이 포함되는데, 피상속인의 사망시에 ‘자식’에 해당하는 태아가 있을 경우 이 태아에게 유산권 보전을 위한 私押留(missio ventris in possessionem)가 부여되었다. 유언상속의 경우, 상속인지정할 수 있는 가내유복자의 범위가 점차 확대되었다. 손자녀인 유복자에 대해서도 상속인지정이 행해졌고, 손자녀 유복자가 조부인 피상속인의 사후에 태어난 경우뿐만 아니라 아버지가 먼저 사망하고 조부의 생전에 태어난 경우에도, 또 아버지가 부권면제 등으로 조부의 가부장권에서 이탈한 경우에도 유복 손자녀를 상속인지정할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가외유복자(postumus alienus)는 시민법상의 상속인으로 지정할 수 없었고 법정관법상의 유산권(bonorum possessio)만 부여받을 수 있었는데, 유스티니아누스 시대에 이르러 상속인지정이 허용되었다. 근친의 상속에 대한 기대를 보호하기 위해서 가내유복자가 될 태아를 명시적으로 상속제외하지 않고 간과할 경우 태아가 살아서 출생하면 유언이 무효로 되어 무유언 상속이 개시되었다. 딸이 태어날 경우에도 동일하였다. 유언에서 태아가 조건부로 상속제외되어서 상속제외가 불확실할 경우에는 법정관이 출생전 태아에게 사압류를 허여하였다. 간과된 ‘자식’ (liberi)이 태아인 경우에도 법정관이 反유언유산권을 부여하였으며, 또 가내유복자뿐만 아니라 혈족인 유복자도 부당하게 상속제외되거나 간과되었을 경우에 背倫遺言의 소를 제기할 수 있었다. 법정관은 태아의 출생 전 부양과 장래의 권리 획득을 도와주기 위해 보좌인(curator)을 선임할 수 있었다. 로마법에서 출생하기 전의 태아에게 장래의 권리보전을 위해 인정된 제도, 즉 태아의 유산권 보전을 위한 사압류 제도와 보좌인 선임 제도 등은 우리 민법의 경우에 법해석이나 입법을 통해 출생 전 태아의 재산관리에 관한 구체적 방법을 보완해 나가는 데 참고가 될 수 있을 것이다. In Roman law, the child in his(or her) mother’s womb, called nasciturus later, is regarded as if already born, as far as his interests are concerned. And we can see the most important example in succession. In intestate succession at Roman civil law, the child in womb who shall be postumus suus if born alive later, at the death of the de cuius(the deceased) is regarded as heres suus as if already born. Praetor gave the ‘missio ventris in possessionem’ to the child in womb who belongs to ‘liberi’ at ius honorarium. In succession upon testament, the scope of postumus suus who can be instituted as heres gradually went broader. For example, sons and daughters at first and later also grandsons and - daughters could be instituted, etc. But postumus alienus could not be instituted as heres at civil law, but could be given only bonorum possessio at ius honorarium, and Justinian ultimately allowed it to be instituted as heres. When a tastator fails to disinherit his child in womb, who would be postumus suus, in express terms(nominatim), and passes him over, if the postumus suus born alive later, the will becomes void and intestate succession begins whatever the sex of the postumus may be(‘adgnatione postumi rumpitur testamentum’). If the child in womb is disinherited with some conditions so that there remains possibility for the child to be real successor as postmus suus, praetor gives the child in womb the missio ventris in possessionem. When the child in womb who belongs to ‘liberi’ is passed over, if born alive after, praetor would give him bonorum possessio contra tabulas on application. Not only postmus suus, but also postmus cognatus, when unjustly disinherited or passed over, can bring querela inofficiosi testamenti. Praetor can appoint a curator ventris to defend the interest of a child yet unborn. The institutions in Roman law to preserve the future interest of the child in womb, missio ventris in possessionem and curator ventris for example, would be helpful to supplement the positive way for administrating the future assets of the child yet unborn in Korea by way of interpreting or amending the Civil Law.

      • SCOPUSKCI등재

        춘계학술대회 : 포스터발표 ; C형 간염에 의한 간경변증 환자에서 간암 표지자로서의 혈청 알파태아단백

        김경아,박경일,정은숙,이준성,양전호,문영수 대한간학회 2005 Clinical and Molecular Hepatology(대한간학회지) Vol.11 No.3(S)

        배경: 혈청 알파 태아 단백은 만성 간질환자에서 간암 진단을 위한 표지자로 널리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검사의 민감도가 낮고, 간세포 손상이 심할 경우 특이도가 낮아지며 만성 간질환의 원인에 따라 진단적 의의가 달라질 수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B형 간염과 연관된 간암이 가장 많아 혈청 알파태아단백에 대한 연구는 대부분 B형 간염과 연관된 간질환을 대상으로 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C형 간염의 의한 간경변증 환자에서 혈청 알파태아단백의 간암 표지자로서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조선시대 분묘유적에서 확인된 태아 뼈 사례

        우은진,전채린 대한체질인류학회 2019 해부·생물인류학 (Anat Biol Anthropol) Vol.32 No.2

        In this study, the case of the burial of a couple with their perinatal child in a cemetery from the Joseon period (Eunpyeong site) of South Korea was examined. In archaeological populations, high mortality rates of young females are often associated with problems related to pregnancy and childbirth. However, discoveries of pregnant women and fetal skeletons are very rare in archaeological research. Here, we report the case of a burial of a pregnant female and her perinatal child from a Joseon period cemetery site. The gestational age of fetus was estimated to be between 8.5 months and 9.5 months based on the cranial size and long bone length. The pregnant female under study appears to have died with fetal remains in utero. An examination of this case did not provide evidence that stress of obstetrical event was the direct cause of death. The rare case presented here makes a valuable contribution to the literature on pregnancy and obstetrical issues in past populations. 태아 뼈에 대한 분석은 고인구학적, 고병리학적 관점에서 중요한 정보를 제공할 뿐 아니라 옛 집단의 매장 관습에 대해서도 알 수 있게 한다. 과거사회 임신과 출산으로 인한 여성의 사망률은 매우 높았던 것으로 추정되고 그 결과는 실제 고고학 집단의 인구 구성과 사망률 분석에서도 나타난다. 하지만 임신과 출산으로 인한 사망의 결과 즉 임신한 여성과 태아의 뼈를 고고유적에서 확인하기는 매우 어렵다. 지금까지 국내 고고유적에서 발굴된 사람 뼈 집 단 가운데에서도 태아 뼈 사례가 보고된 적은 거의 없기 때문에 이 연구에서는 조선시대 분묘유적에서 출토된 태아 뼈를 분석하여 보고하고자 하였다. 임신한 여성과 태아의 뼈에 남은 스트레스의 흔적은 과거 사람들의 삶의 수준을 복원하는 데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이 연구에서 검토한 태아 개체는 8.5개월에서 9.5개월 사이의 태아로 추정되며 비교적 출산이 임박한 시점에 여성 개 체와 함께 매장된 것으로 보아 조산으로 인해 산모와 태아가 함께 사망하였을 가능성을 고려해 볼 수 있다. 하지만 산 과적 문제가 산모와 태아 사망의 직접적인 원인이 아니고 사고나 질병이 사망의 원인일 가능성도 배제할 수는 없다. 이 연구는 우리나라 고고유적에서 지금까지 거의 출토된 바 없는 태아 뼈를 분석한 사례연구로 유일하지만 향후 태아를 비롯한 출산 전후의 아이 뼈 사례들이 지속적으로 축적되어 과거사회 인구학적 패턴과 병리적 양상을 좀더 구체적으로 규명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산전에 발견된 태아 복강내 석회화의 임상경과

        김정훈 ( Jung Hoon Kim ),고선영 ( Sun Young Ko ),김경아 ( Kyung Ah Kim ),이연경 ( Yeon Kyung Lee ),신손문 ( Son Moon Shin ),한병희 ( Byung Hee Han ) 대한주산의학회 2009 Perinatology Vol.20 No.4

        목적: 최근 초음파 장비 및 기술의 발달로 태아의 복강내 석회화의 발견이 많아지고 있어, 산전초음파에서 복강내 석회화를 보인 환아들의 임상경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2003년 1월 1일부터 2008년 12월 31일까지 관동대학교 의과대학 제일병원에서 산전관리를 받은 산모 및 출생아 중, 산전 초음파에서 태아 복강내 석회화를 보인 47례와 출생아 38례를 대상으로, 의무기록의 후향적 고찰을 통해 간 이외의 복강내 석회화와 간 석회화로 분류하였고, 각각 석회화 소견만 보였던 단순형과 석회화 이외의 다른 소견을 동반한 복합형으로 나누어 이들의 임상경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47례의 대상자는 간 이외의 복강내 석회화 31례, 간 석회화 12례, 그리고 기타 4례였으며, 이중 추적 대상 소실 7례, 임신중절과 자궁내 태아사망 각 1례씩 제외한 38명의 환아가 출생하였다. 간 이외의 복강내 석회화를 보인 태변성 복막염 31례는 단순형이 64.5%, 복합형이 35.5%였으며, 이중 단순 태변성 복막염 1례, 복합 태변성 복막염 1례에서 출생 후 수술적 치료가 필요하였으나 모두 건강한 상태이다. 간 석회화 12례는 단순형이 75%, 복합형이 25%였으며, 출생 후 모두 양호한 경과를 보였고 치료가 필요한 경우는 없었다. 결론: 태아 복강내 석회화는 산전 초음파에서 비교적 흔하게 발견되는 소견으로서, 그 임상경과가 양호한 지환이지만, 출생 후 조속한 외과적 처치의 가능성이 있으므로 출생 전후의 꾸준한 추적관찰이 요구된다. Purpose: Recently, with the improvement of techniques for antenatal ultrasonography, fetal intra-abdominal calcifications have been increasingly detected. These findings are important because they can signify meconium peritonitis, intrauterine infection, or thromboembolism in hepatic or portal vein. So, we studied clinical course of fetuses and infants with intraabdominal calcifications prenat-ally and postnatally. Methods: We analyzed retrospectively medical records of 47 mothers and their 38 children diagnosed with fetal intraabdominal calcifications at Cheil General Hospital & Women`s Health Care Center, Kwandong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from January 2003 to December 2008. Fetal in-traabdominal calcifications were divided into the two groups, `extrahepatic-intraabdominal calcifications` and `hepatic calcifications`, and assorted again into `simple type` and `complicated type` respectively. And their clinical course and outcome were compared. Results: Among 47 pregnant women with intraabdominal calcifications, 31 fetuses were suspected of meconium peritonitis, 12 revealed hepatic calcifications, and 4 had other calcifications. Seven pregnant women had lost to follow up, while 2 were intrauterine fetal demise and artificial termination of pregnancy, respectively. Thirty-eight babies were born and postnatal ultrasonography was done for 31 cases. The group of meconium peritonitis was divided into simple type (64.5%) and complicated type (35.5%). Among them, surgical treatments were needed for 2 infants, one had simple type and the other had complicated meconium peritonitis, respectively. The group of hepatic calcifications was divided into simple type (75%) and complicated type (25%). None of them needed any treatment and they showed good clinical course. Conclusion: Fetal intraabdominal calcifications are relatively frequent and benign disease with good clinical outcome. However, because of need for neonatal surgely, periodic and steady follow-up by ultrasonography is needed prenatally and postnatal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