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단일기관에서 이중 질량 분석법(tandem mass spectrometry technology)을 이용한 선천성 대사이상 검사의 위양성율에 대한 연구

        김현수,신손문,고선영,이연경,박성원,Kim, Hyunsoo,Shin, Son Moon,Ko, Sun Young,Lee, Yeon Kyung,Park, Sung Won 대한유전성대사질환학회 2016 대한유전성대사질환학회지 Vol.16 No.1

        TMS가 확산되고 검사가 많아짐에 따라 위양성 건수도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2012년 1월 1일부터 2014년 12월 31일까지 단일 기관에서 출생한 신생아를 대상으로 시행한 TMS의 위양성율을 조사하고 관련된 요인들을 분석하였다. 총 검사 대상자 중 남아는 8,942명(51.7%), 여아는 8,350명(48.3%)이었고, 평균 제태연령은 $38.6{\pm}1.7$주 였다. 평균 출생 체중은 $3,155.6{\pm}502.4g$, 평균 출생 신장은 $49.1{\pm}2.9cm$, 평균 체질량지수는 $13.0{\pm}3.8kg/m^2$ 이었다. 질식 분만은 9,713 (56.2%)건, 제왕절개는 7,579 (43.8%)건이었다. 평균 검사 시행일은 $2.8{\pm}1.1$일이었다. 위양성을 포함하여 TMS에서 양성으로 확인된 224명은 전체 대상자의 1.3%였다. 다중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통해 분석한 결과 27주 이하의 초미숙아에서 위양성으로 나타날 odds ratio가 6.957 (95% CI: 1.273-38.008), 1,000 g 이하의 극저체중아에서 5.616 (95% CI: 1.134-27.820)로 나타났다. 위양성 대상자들 중에서는 지방산 대사이상 질환(fatty acid oxidation dis-orders)이 104명(47%), 아미노산 이상질환(amino-acidopathy)가 75명(34%), 유기산 이상 질환(organic aciduria)가 43명(19%)이었다. 전국적인 자료를 모아 평가한다면 국내 발생률에 대한 정확한 평가 및 접근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한다. Objective: Newborn screening leads to improved treatment and disease outcomes, but false-positive newborn screening results may impact include parental stress and anxiety, perception of child as unhealthy, parent-child relationship dysfunction, and increased infant hospitalization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of the false positive rates and the causative factors of false positive results in Tandem Mass Spectrometry (TMS) in single center. Methods: Records were reviewed for all 18,872 subjects who were born in Cheill General Hospital, during January 1st, 2012 to December 31st, 2014. 17,292 neonates (91.62%) were tested for tandem mass screening almost in 2-5th day of life. Newborn babies whose first results were abnormal had been tested repeatedly by same methods in 7-14 day. If the results were abnormal again, further evaluation was performed. TMS analysis included data for the 43 disorders screened for using TMS broken down into three categories: fatty acid oxidation disorders, organic acidurias, and aminoacidopathies. The impact of several factors on increased false positive rates was analyzed using a multivariate analysis: time from birth to sample collection, birth weight, birth height, BMI, gender, gestational age, delivery type. Results: Males of the subjects were 8942 (51.7%), female 8350 (48.3%), the mean gestational age was $38.6{\pm}1.7$ weeks, the average birth weight $3,155.6{\pm}502.4g$, the average birth height $49.1{\pm}2.9cm$, and the average BMI $13.0{\pm}3.8(kg/m^2)$. Vaginal delivery cases were 9713 (56.2%), caesarean section 7,579 (43.8%). The average date of the inspection was $2.8{\pm}1.1$ days. 224 cases were identified as TMS positive. All the subjects were false positive (222/17,292, 1.30%) except 2 cases (1 male; benign phenylketonuria and 1 female; Short chain acyl-CoA dehydrogenase deficiency). The false positive rates were 0.61% in fatty acid oxidation disorders, 0.25% in organic acidurias, and 0.45% in aminoacidopathies. In our study, the date of inspection got late, the false positive rates got higher. Because almost the cases of late test date were in treatment in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so their test date was affected by their medical conditions. False positive rate was higher in extreme immaturity${\leq}27$ weeks than newborns of gestational age >27 weeks [OR=6.957 (CI=1.273-38.008), p<0.025] and extremely low birth weight<1,000 g than newborns of birthweight ${\geq}1,000g$ [OR=5.616 (CI=1.134-27.820), p<0.035]. Conclusion: False positive rate of TMS was 1.30% in Cheil General Hospital. Lower gestational age and birth weight impacted on increased false positive rates. Better understanding of factors that influence the reporting of screening tests, and the ability to modify these important factors, may improve the screening process and reduce the need for retesting. of screening tests, and the ability to modify these important factors, may improve the screening process and reduce the need for retesting.

      • SCOPUSKCI등재

        소아 환자를 진료하는 의사들의 영아기 영양에 대한 상담 실태 조사

        도은정,이은실,신손문,Doe, Eun Jung,Lee, Eun Sil,Shin, Son Moon 대한소아청소년과학회 2002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CEP) Vol.45 No.11

        목 적 : 이 연구는 소아과 진료를 표방하는 1차 의료 기관의 의사를 대상으로 영아기의 영양에 대한 설문 조사를 통해 이들이 영아기 영양에 대하여 얼마나 바르게 상담을 해 주고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시행하였다. 방 법: 2000년 7월부터 8월까지 대구광역시에서 개원을 하고 있거나 봉직하고 있는 소아과 전문의(1군)와 소아과를 진료과목으로 표방하고 있는 비 소아과 전문의 또는 일반의(2군)를 대상으로 영아기 영양에 관한 육아 상담 내용을 미리 작성한 객관식 10문제를 이용하여 방문조사 하였다. 조사에 참여한 의사는 267명으로 소아과 전문의가 101명, 비 소아과 전문의 또는 일반의가 166명이었다. 비 소아과 전문의는 내과 63명, 일반외과 21명, 산부인과 20명, 가정의학과 16명, 이비인후과 7명, 정신과, 흉부외과, 신경과 전문의가 각각 1명이었다. 전문의 자격이 없는 일반의는 36명이었다. 결 과 : 100점 만점으로 평가한 결과 1군의 점수는 $73.0{\pm}15.8$점, 2군은 $45.1{\pm}18.4$점으로 두 군간에 의미 있는 차이가 있었다(P<0.05). 비소아과 전문의 중 전문 과목에 따른 점수는 내과 전문의가 $46.5{\pm}20.2$, 산부인과 전문의 $44.5{\pm}20.6$, 일반외과 전문의 $40.5{\pm}15.6$, 가정의학과 전문의 $56.3{\pm}16.9$, 이비인후과 전문의 $47.1{\pm}15.0$, 이었고 일반의 $45.3{\pm}16.3$ 점이었으며 타과 전문의와 일반의사 간의 점수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다. 각 질문 항목에는 모유 수유 권장 기간, 모유 수유 중에 무른 변을 보이는 경우, 모유 수유시에 나타나는 황달의 대처 요령, 이유식의 시작 시기, 시판 이유식을 먹이는 형태, 식물성 분유에 대한 지도 방침, 선식에 대한 지도 방침에 대한 질문에 대한 대답이 1군과 2군 사이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결 론 : 본 조사 결과 소아과 전문의들에 비해 타과 전문의들이나 일반의들은 영아기의 영양에 대해 부적절하게 상담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소아과 전문의들에 대한 지속적인 교육과 함께, 타과 전문의에 의한 부적절한 상담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대처하는 방안을 강구해야 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Purpose : Through a survey undertaken among doctors practicing pediatric patients in primary medical facilities on nutrition during infancy, the present study was done to determine whether these doctors were giving appropriate advice on infant nutrition. Methods : We visited pediatric specialists(group one) and non-pediatric specialists or general practitioners(group two) who were practicing in Daegu to ask them to fill out a questionaire on infant nutrition. Results : When 10 points were given to each question for a total of 100 points, the results of the evaluation showed that the score in group one was $73.0{\pm}15.8$ points and $45.1{\pm}18.4$ points in group two, showing a significant difference. No statistical difference was seen in the scores between non-pediatric specialists and general practitioners. Each answer to each question on the feeding period of breast milk, on loose stools during breast milk feeding, methods to deal with jaundice during breast milk feeding, choice of commercial baby food, criteria on directing soy milk, and criteria of guiding infant cereal was different between group one and two. Conclusion : The results of the present investigation showed that specialists in other fields or general practitioners were giving inappropriate advice on nutrition during the infant stage compared with pediatric specialists; thus, we need to confirm methods to prevent inappropriate consultations by specialists of other fields, together with continued education of pediatric specialists.

      • KCI등재후보

        반복적 부동화 스트레스가 흰쥐 신장의 말초성 benzodiazepine 수용체에 미치는 영향

        박용훈,문한구,신손문,이은주,이은실,하정희,Park Yong Hoon,Moon Han Ku,Shin Son Moon,Lee Eun Ju,Lee Eun Sil,Ha Jeoung-Hee 대한소아신장학회 1999 Childhood kidney diseases Vol.3 No.1

        목 적 : 스트레스 유발 고혈압을 일으키는데 말초성 benzodiazepine수용체가 중요한 역할을 하리라 추정되어 왔다. 반복적 부동화 스트레스에 의한 신장의 말초성 benzodiazepine수용체의 변화 양상을 Sprague-Dawley rats와 boderline hypertensive rats의 두 실험동물군에서 비교, 관찰하여 고혈압을 유발하는데 신장의 말초성 benzodiazepine 수용체의 병태생리학적 기능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Benzodiazepine수용체의 변화 양상은 방사성 동위원소를 사용한 수용체 결합 반응으로 검색하였으며 elevated plus maze검사로 각 실험동물의 불안도를 측정하여 각 군간의 결과를 비교, 관찰하였다. 방 법 : 불안도를 보기 위하여 측정한 plus-maze performance에서 percent open crosses는 Sprague-Dawley rats ($34.7{\pm}2.2$)에 비해 boderline hypertensive rats ($16.2{\pm}1.7$)가 유의하게 낮았고(P<0.05), percent time in open도 Sprague-Dawley rats ($22.5{\pm}1.0$)에 비해 boderline hypertensive rats ($12.1{\pm}1.2$)가 유의하게 낮아 불안도가 높은 상태임을 나타내었다(P<0.05). 스트레스를 주지 않은 Sprague-Dawley rats의 신장 말초성 benzodiazepine수용체의 수(Bmax: $5.5{\pm}0.6$pmol/mg protein)에 비하여 boderline hypertensive rats의 수용체의 수($3.1{\pm}0.7$pmol/mg protein)는 유의하게 낮았다(P<0.05). 하루 2시간씩 14일간 부동화 스트레스를 부하하였을 때, Sprague-Dawley rats와 boderline hypertensive rats에서 신장의 말초성 benzodiazepine 수용체의 수($7.4{\pm}0.7$ 및 $5.9{\pm}1.2$ pmol/mg protein)는 스트레스를 주지 않았을 때보다 증가하였으며(P<0.05), 스트레스에 노출된 boderline hypertensive rats는 스트레스에 노출된 Sprague-Dawley rats에 비하여 신장 말초성 benzodiazepine수용체의 수가 여전히 낮은 수준임을 관찰할 수 있었다(P<0.05). 결 론 : 이상의 결과로부터 신장의 말초성 benzodiazepine수용체는 스트레스 조절작용을 매개하며, 본 수용체의 수적 감소는 스트레스에 의한 고혈압 발생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생각되었다. Purpose : Several modulatory factors for renal peripheral benzodiazepine receptor (PBR) has been reported, but their physiological significance remains elusive. Tissue-specific, stress-induced down-regulation of renal PBR coupled with the pharmacological stimulation of these effects by angiotensin II suggested that physiological significance of renal PBR may be related to the pathophysiology of stress-induced hypertension. The boderline hypertensive rat (BHR) has been used extensively to study the interaction of environmental factors, such as stress and blood pressure. The BHR is the first-generation progeny of a cross between the spontaneously hypertensive rat and the control Wistar-Kyoto rat. The pathogenesis of stress induced hypertension in this model is not demonstrated well. Methods In this study, BHR (male, 150-200 g) and Sprague-Dawley (SD, male, 150-200 g) rats were treated by repeated immobilization to induce anxiety. We used plus-maze performance to observe the level of anxiety by measuring percent open crosses and percent time in open. Results : Percent open crosses and percent time in open in BHR were lower than in SD rats (P<0.05). Receptor densities of renal PBR in BHRs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of SDs (P<0.05). We also observed that the renal PBR was upregulated in the repeatedly stressed (immobilization, 2 hours daily, for 2 weeks) rats, both in the BHR and SD. However, the density of renal PBR in the stressed BHR was still lower than that of stressed SD. Renal PBR has been suggested to be an important organs which Is responsible for the production of cholesterol-derived products during stress. Conrlusion : From these results, it can be summarized that the lowed density of renal PBR may be involved in the pathogeneis of stress-induced hypertension.

      • KCI등재후보

        허혈성 저산소증으로 유도한 신경 세포 소실시의 치상회 태상 섬유의 발아 유무에 대한 관찰

        문한구(Han-Ku Moon),이은실(Eun Sil Lee),신손문(Son Moon Shin),박용훈(Yong Hoon Park) 대한소아신경학회 1998 대한소아신경학회지 Vol.6 No.1

        목 적 : 측두엽 간질의 실험 동물이나 환자에서 흔히 관찰되는 해마 태상 섬유 발아는 해마에서의 세포 소실이 중요한 요인이며 세포 소실의 정도가 심할수록 발아의 정도는 증가한다고 알려져 있지만 미성숙 뇌를 허혈성 저산소증에 노출시켜 해마의 세포 소실을 유도하여도 태상 섬유 발아는 관찰할 수 없었다는 보고가 있다. 그러나 미성숙 뇌의 경우 여러 가지 손상에 대한 신경계의 변화는 성숙 뇌에서의 반응과 일치하지 않는 경우가 많다. 본 연구는 인간에 있어서 사춘기에 속하는 생후 4-5주 연령 및 성인기에 해당하는 생후 2개월 연령의 횐 쥐들을 허혈성 저산소증에 노출시켜 해마의 세포 손상을 유발한 후 해마 태상 섬유 발아 가 유도되는지 여부를 알고자 시행되었다. 방 법 : 생후 4-5주 및 2개월 연령의 Sprague-Dawley를 우측 경동맥 결찰 후 8%의 저농도 산소에 각각 90분, 50분동안 노출시켜 허혈성 저산소증을 유발한 뒤 2주 경과 후까지 생존한 생후 4-5주 연령군 (대조군 4마리, 실험군 5마리)과 2개월 연령군 (대조군 4마리, 실험 군 6마리) 횐 쥐의 뇌 조직을 추출하여 일부는 H & I 염색을 시행하여 해마내의 세포 손상을 확인하고 일부는 냉동절편 후 중금속 염색법인 Timm 염색을 시행하여 태상 섬유 발아 여부를 관찰하여 각 군의 대조군과 비교하였다. 결 과 : 4-5 주 및 2 개월 연령군에서 허혈성 저산소군의 H & I 염색한 해마에서 다양한 정도의 문 세포, 추체 세포들의 허혈성 저산소증에 의한 변화가 관찰되었다. 그러나 Timm 염색을 시행한 허혈성 저산소군(4-5 주 연령군 5례, 2개월 연령군 6례)의 우측 해마의 과립 세포 상부층의 Timm 염색 정도는 대조군과 비교하여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 론 : 연소 및 성숙 횐 쥐를 허혈성 저산소증에 노출시켜 해마의 세포 손상을 유발한 후 태상 섬유 발아가 유도되는 지를 관찰하였으나 대조군에 비해 유의한 차이를 찾을 수 없었다 이를 미루어 보아 해마의 발아는 단순히 세포 소실에 의한 2차적인 현상이 아닌 다른 요인이 관여할 것으로 추정된다. Purpose : Reorganization of mossy fiber terminals in the supragranular layer of the dentate has been found in hippocampi of human epileptics and animal models by Timm staining. Many studies have provided evidence that mossy fiber sprouting is strongly associated with neuronal loss. But the question of whether cell loss is necessary for stimulation of mossy fiber sprouting is remained to be answered. In this present study, we evaluated whether hippocampal mossy fiber sprouting is induced in damaged hippo- campus of the rats exposed to hypoxic-ischemic insults in juvenile and adult period. Methods : At ages of f-5 weeks and 2 months, the experimental rats were received procedure of right carotid artery unilateral ligation under anesthesia. After 3 hours of the recovery period, they were placed in an airtight 2000m1 chamber and exposed to a 8% oxygen-92% nitrogen mixture delivered at 5 liter/min for 90 minutes(juvenile) and 50 minutes(adult). After the recovery period, The animals were returned to cages and housed controls. 2 weeks later, rats of the control and hypoxic-ischemia group were tonesthetised and then perfused with sodium sulfide solution and fixed. 40 # m(for Timm stain) and 5#m(for H & I stain) coronary brain sections were obtained, stained with Timm method and H & I stain for the observation of the neuronal loss and supragranular Timm granules in the hippocampi. Results : Light microscopic examination of the brains from hypoxic-ischemic animals demonstrated ischemic changes of variable degrees in the hippocampal hilar and pyramidal cell layers. No supragranular mossy fiber sprouting were found in hippocampi of juvenile and adult rats with hypoxic-ischemic damages. Conclusion : These results implicated that hippocampal mossy fiber sprouting is not induced in the experimental hypoxic-ischemic encephalopathy of juvenile and adult rats, although cellular loss is found in hippocampus. Neuronal loss might be not necessary for the development of mossy fiber sprouting.

      • KCI등재후보

        Tethered cord 증후군에서 비뇨기계 증상 및 검사 소견

        정태성,김은정,이은실,신손문,문한구,박용훈,Jung Tae-Sung,Kim Eun-Jung,Lee Eun-Sil,Shin Son-Moon,Moon Han-Ku,Park Yong-Hoon 대한소아신장학회 1997 Childhood kidney diseases Vol.1 No.2

        목적 : Tethered cord 증후군은 척수내 지방종이나 종사의 섬유대 등에 의해 척수 원추가 천골에 부착, 견인됨으로 하지의 신경 결함이나 족부의 변형을 일으키는 질환군으로 척추 유합부전증의 경우에서 흔히 나타난다. 신경학적 소견 외에 빈뇨, 요실금, 유뇨증, 급뇨, 배뇨 감각 장애 등의 비뇨기계 증상도 높은 빈도로 나타난다고 하며 수술적 치료의 예후는 조기에 진단될수록 양호하다고 알려져 있다. 그러나 tethered cord 증후군에서 나타나는 비뇨기계 증상 및 소견에 관하여 체계적으로 보고된 것이 많지 않다. 저자들은 tethered cord 증후군에서의 비뇨기계 증상을 여러 특징을 파악하여 tethered cord 증후군 환자에서의 조기 진단 및 치료 방침 설정에 도움을 얻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 1991년 11월부터 1997년 7월까지 5년 9개월간 영남 대학 병원에서 tethered cord 증후군으로 진단받은 소아 환자 9례를 대상으로 연령 및 성별분포, 비뇨기계 이상에 관한 증상 및 비정상 검사소견의 여부와 수술 후 경과에 대하여 의무 기록을 조사하는 후향적 연구로 조사하였다. 결 과: 1) 대상 환아 9례의 연령 분포로는 0-2세가 5례, 2-6세가 1례. 6-10세가 3례였으며 남아가 2례, 여아는 1례였다. 2) 요실금, 빈뇨, 유뇨증, 급뇨, 배뇨 감각 장애 등의 비뇨기계 증상을 가진 경우가 6례였으며, 비뇨기계의 방사선학적 검사에서 신경성 방광을 보인 경우가 5례, 수신증과 수뇨관증이 동반된 경우가 3례, 방광-요관 역류를 보인 경우가 3례였다. 3) 요동력학적 검사는 3례에서 시행되었으며 3례 모두에서 이상 소견이 발견되었다. 4) 진단시 비뇨기계 증상 및 이상 검사 소견을 가진 7례 중 5례에서 detethering이 행해졌으나 증상의 호전은 1례에서만 관찰되었다. 결론 : Tethered cord 증후군에서 비뇨기계의 증상 및 비정상 검사 소견이 동반되는 경우가 흔하며 비뇨기계의 이상을 시사하는 증상이 없는 경우에도 검사상 이상이 발견되는 경우가 적지 않다. Tethered cord 증후군 환아의 평가는 신경학적 이상 유무는 물론이고 비뇨기계의 이상 여부에 대한 평가도 필히 포함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 Tethered cord syndrome is characterized by progressive motor and sensory disturbances in lower extremities, foot deformities caused by a pathologic fixation of spinal cord resulting in excessive stretching of the spinal cord. It is also frequently associated with urological symptoms include urinary frequency, incontinence, enuresis, urgency and recurrent urinary tract infection. Because there is few report in the literature about urological manifestations of theterd cord syndrome, we conducted a retrospective study on the patients diagnosed as tethered cord syndrome to delineate the characteristics of urologic manifestations in tethered cord syndrome and to establish the policy to evaluate patients who is suspected of tethered cord syndrome. Method : A retrospective study was conducted by reviewing the medical records of nine patients who was diagnosed as tethered cord syndrome from November 1991 to July 1996 in Yeungnam University Hospital. Result : 1) The age distribution of nine patients was as follows; 5 patients were under 2 years, 1 case from 2 to 6 years and 3 cases from 6 to 10 years. 2) Of 9 patients 6 had voiding frequency, urinary incontinence, enuresis, urgency and loss of micturation sense. Radiologic urodynamic studies revealed neurogenic bladder in 5 patients, hydronephrosis and hydroureter in 3, vesicoureteral reflux in 3. 3) Of 6 patients with urological abnormal manifestations 4 underwent spinal cord surgery (detethering). In spite of surgical intervention, the urological manifestations improved in only one patient. Conclusion : Urological abnormalities were common in tethered cord syndrome. Abnormal laboratory findings including urodynamic study were found even before the onset of urological symptoms. We have to concern tethered cord syndrome as one of common causes of voiding frequency and enuresis and to evaluate urological abnormalities as thetered cord syndrome is diagnosed.

      • KCI등재

        UNICEF/WHO 개발 아기에게 친근한 병원 만들기 운동(BFHI)의 효과 연구

        김경아 ( Kyung Ah Kim ),신손문 ( Son Moon Shin ),이근 ( Keun Lee ) 대한주산의학회 2005 Perinatology Vol.16 No.1

        목적 : 유니세프한국위원회는 모유수유를 권장하는 병원을 BFH로 지정하고 ``성공적인 모유수유를 위한 의료요원 교육``을 추진해 왔다. 지난 11년간 임명해 온 24개 BFH를 재평가하여 그 수행 정도와 문제점을 파악하여 앞으로의 모유수유 권장사업의 방향을 재정비하고자 한다. 또한 의료요원 교육을 실시하여, 모유수유에 대한 지식 및 태도에 어떤 변화가 있었는지 조사, 분석하고자 한다. 방법 : 아기에게 친근한 병원(BFH)을 사업군, non-BFH를 대조군으로 수유형태와 모유수유를 촉진하기 위한 병원의 지원 및 정책을 비교하였다. 모유수유 교육에 참가한 의료원들의 일반적 사항 및 교육에 대한 만족도, 교육의 개선점 등을 파악하였다. 결과 : 전적인 모유수유율은 BFH에서 높았고(p=0.026) 한번이라도 분유를 먹은 아기의 비율은 non-BFH에서 높았다(p=0.017). 자체평가점수도 BFH는 평균 41.3점, non-BFH는 31.5점이었다(p=0.001). 모유수유율은 BFH로 임명당시에 52.65%, 2001년 재평가시에 47.62%로 병원의 모유수유 정책 및 지원이 현상 유지의 정도였다. 모유수유 교육은, 교육에 대한 만족도는 높았고, 개선점으로 실습과 병원견학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많았다. 모유수유에 대한 지식 변화는 교육 전 평균 9.24점이었던 반면, 교육 1개월 후 12.00점, 교육 3~6개월 후 12.19점으로 교육후의 지식점수가 높았다(p=0.000). 결론 : 모유수유의 증진을 위해 BFHI에 대한 홍보 및 적극적인 활동이 필요하며 BFH 임명 평가방법의 미비점들을 정비하고 정확도와 신뢰도가 보장되는 평가 도구를 개발해야 한다. 의료요원 교육은 보건소와 의료기관의 업무가 다르므로 대상자를 분리하는 등 개선작업을 추진해야 하고, 교육 후 적절한 시점에 지식 및 태도의 변화에 대한 재평가를 실시하여 구체적인 재교육의 시기 및 재교육의 방법을 모색하여야 할 것이다. Objective : In Korea, the BFHI (Baby-Friendly Hospital Initiative) committee organized in the Korean Committee for UNICEF in 1992, and continued to promote breastfeeding more than 10 years, we need reassess the designated hospitals and BFHI program. As a part of BFHI program, the committee continued to train health care personnels to carry out promotion of breastfeeding since 1994. The curriculum, contents and methods of the training course needs re-evaluation. Methods : The breastfeeding rates in the BF (Baby-Friendly) hospitals and non-BF hospitals are compared. Changes of the breastfeeding rate before and after designation in baby friendly hospitals are evaluated. The education program for the health care personnels to promote successful breastfeeding are evaluated. Results : The exclusively breastfeeding rates during hospitalization are higher in the BF hospitals than non-BF hospitals (p=0.026). The self assessment scores higher in the BF hospitals than non-BF hospitals (41.3 vs 31.5, p=0.001). Average breastfeeding rate of BF hospitals maintained 3.9 years after accredition (52.65% vs 47.62%). Education program for the health care personnels were satisfied in 82.8%. The score increased from 9.24 before the education course to 12.0 at 1 month after education (p=0.000) and remained as 12.19 at 3~6 months after education. Conclusion : This study revealed BFHI program improved breastfeeding rates and maintained high in the BF hospitals. Health care personnels who trained through education courses held by the Korean Committee for UNICEF assisted in the promotion of breastfeeding. This results can be used as a basic data for the planning of the breastfeeding promotion program in the future.

      • KCI등재

        소아 예방접종시 예진표(동의서) 사용에 관한 보호자 설문조사

        백승희,정은희,엄미령,신손문,이우길,이미나,이환종,Paik, Seung-Hi,Chung, Eun Hee,Uhm, Mie Ryung,Shin, Son Moon,Lee, Woo Gill,Lee, Mi Na,Lee, Hoan Jong 대한소아청소년과학회 2003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CEP) Vol.46 No.7

        목 적 : 소아에서 예방접종시 예방접종 예진표(동의서) 사용에 관한 보호자들의 반응과 예진표 사용의 문제점을 알아보기 위하여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 법 : 2002년 7월 1개월 동안 예방접종을 위해 삼성제일병원 소아과에 내원한 환아 2,820명 중 무작위로 추출한 112명의 보호자를 대상으로 예방접종 예진표 사용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결 과 : 설문응답자는 어머니가 90명(80.4%)으로 가장 많았고, 응답자의 연령별 분포는 30-39세가 71명(63.4%)으로 가장 많았다. 학력분포는 대졸이 61명(54.6%)으로 가장 많았고 고졸이 35명(31.3%)이었다. 자녀의 예방접종을 주로 하는 곳은 종합병원 87명(77.7%), 대학병원 13명(11.6%), 보건소 5명(4.5%), 개인의원 2명(1.8%)순이었다. 응답자 중 예진표를 처음 작성해본 사람은 42명(37.5%), 2회와 3회 이상 작성해본 사람은 각각 28명(25%)과 40명(35.7%)이었다. 예진표를 받은 후의 반응에 대해서는 73명(65.2%)이 매번 잘 읽어본다고 답했고, 형식적으로 읽어본다고 답한 경우도 16명(14.3%) 있었다. 예진표 작성에 대해서는 좋다고 대답한 경우가 62명(55.4%), 귀찮지만 필요하다고 생각한다가 40명(35.7%)으로 91.1%에서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고, 그외 그저 그렇다가 7명(6.3%), 불편하고 귀찮아서 안 했으면 한다가 3명(2.7%)이었다. 예진표 작성을 하기 싫은 이유로는 아이를 안고 예진표를 작성하는 것이 힘들다고 답한 경우가 55명 중 33명(60%)이었고, 그밖에 답해야 할 문항이 많아 읽기 귀찮다고 답한 경우가 13명(23.6%)이었다. 예진표를 읽고 이상반응의 이해에 도움이 된다고 대답한 경우는 80명(71.4%), 별로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한 경우는 10명(8.9%), 읽어도 내용을 모르거나 의사의 추가 설명이 필요하다고 대답한 경우는 21명(18.8%)이었다. 예방접종 후 나타날 수 있는 이상반응에 대한 질문 결과, 이전에 이상반응에 대해 66명(58.9%)은 막연히 알고 있었다고 하였고 43명(38.4%)은 잘 몰랐다고 하였으며, 이상반응에 대한 보호자의 질문에, 걱정이 되지만 예방접종을 하겠다고 대답한 경우가 105명(93.8%)이었다. 이상반응이 생겼을 때 대처방법에 대한 질문에, 가벼운 증상이라도 병원에 연락하거나 찾아온다고 대답한 경우가 77명(68.8%), 집에서 경과를 관찰한다는 대답도 32명(28.6%)이었다. 결 론 : 보다 안전한 예방접종을 위하여 예진표 사용은 꼭 필요하지만 우리나라에서는 지금까지 예방접종시 예진표의 사용이 저조하였던 것이 사실이다. 예방접종 예진표에 대한 보호자 호응도는 좋은 편이었으나, 적절한 교육과 설명으로 그 취지를 좀 더 잘 이해시키고, 우리 실정에 맞는 예진표를 개발하여 이의 사용을 앞으로 적극 확대하여야 할 것이라 생각된다. Purpose : This study was done to evaluate the parents' or guardians' compliance of obtaining individual informed consent before vaccination and the possible problems of using informed consent. Methods : One hundred and twelve children were randomly selected among 2,820 children who visited Samsung Cheil Hospital during July 2002. A questionnaire about using informed consent of vaccination was given to all parents or guardians of these children. Results : Most of the responders were mothers(80.4%). As for the places of vaccination, 87(77.7%) persons vaccinated their children at general hospitals. In response to a request for informed consent of vaccination, 73(65.2%) complied well with requests every time. In subscribing to informed consent, 62(55.4%) were pleased, 40(35.7%) stated it was necessary despite in inconveniance. Because of dislike of subscribing to informed consent(55), 33(60%) persons stated that it was difficult to subscribe to informed consent during the inconveniant time of nursing baby. Eighty(71.4%) found it useful to read informed consent for an understanding of potential negative reactions. Being informed of potential negative reactions, 105(93.8%) stated that they would vaccinate their children despite of the potential of a worrisome negative reaction. In dealing with negative reaction, 77(68.8%) said that they would contact a hospital, 32(28.6%) said that they would care for their children at home. Eleven(9.8 %) experienced negative reactions after vaccination. Conclusion : Compliance of parents to informed consent was relatively good. Parents or guardians should receive relevant information and the aim of informed consent also should be adequately understood.

      • KCI등재후보

        출생 직후 증상이 관찰된 hemifacial spasm 1례

        문한구(Han Ku Moon),신손문(Son Moon Shin) 대한소아신경학회 1993 대한소아신경학회지 Vol.1 No.2

        Hemifacial spasm characterized by involuntary, irregular twitching of muscles innervated by the facial nerve, occurs almost exclusively in adults. In infancy and childhood, it is extremely rare. At least 10 cases of hemifacial spasm in children were reported in the English literature by 1992. We describe one young female child with symptom of hemifacial spasm starting shortly after birth. Diagnostic tests such as EEG, video EEG monitoring, brain CT and brain MRI were normal. Our patient did not respond to treatment of three months with carbamiazepine, phenobarbital, dilantin and valproic acid during infancy. The hemifacial spasm remained unchanged when she was 3 years and 2 month of age.

      • SCIESCOPUS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