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국내 음악치료 전문 학술 연구에서 사용된 측정도구의 동향 분석

        이상은,김경숙 한국음악치료학회 2015 한국음악치료학회지 Vol.17 No.1

        이 연구는 1999년에서 2014년까지 국내 음악치료 전문 학술지인 ‘한국음악치료학회지’와 ‘인 간행동과 음악연구’에 게재된 논문에서 사용된 측정 도구의 동향을 고찰함으로써 향후 음 악치료의 효과검증과 연구를 위한 도구의 선택과 적용에 대해 폭넓은 관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를 위해 두 학술지에 게재된 233편의 연구논문 중 역사 또는 철학 연구, 문헌 고찰 등을 제외한, 1인 이상의 객관적 관찰과 측정을 위해 측정도구를 사용한 실험연구 83편(69.2%), 기술연구(양적/질적) 26편(21.7%), 혼합연구 11편(9.1%), 총 120편(전 체 게재 논문의 51.5%)의 연구논문이 최종 분석 대상으로 선정 되었다. 또한 120편의 연구 는 연구유형, 측정도구 개발유형, 평가영역, 그리고 개발유형에 따른 평가영역에 대해 범주 화하여 분석되었다. 그 결과, 총 120편의 연구에서 173개의 측정도구가 사용되었으며, 220 회의 측정도구 사용빈도가 나타났다. 연구 유형 중 가장 많은 사용빈도를 나타낸 유형으로 는 집단실험연구로서 149회(67.7%)의 사용횟수를 나타내었으며 개발유형에서는 71(41.0%) 개의 국내 개발 측정도구가 사용된 것으로 나타났다. 평가 영역에 대한 분석 결과 음악적 영역을 측정하는 도구는 13개인 반면 161개의 도구가 비음악적 영역을 측정한 것으로 나타 났으며, 비음악적 영역 중 심리정서 영역에서 사용된 측정 도구가 73개(42.1%)로서 다른 영 역들의 측정도구보다 월등히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근거중심임상이 강조되고 있는 최근 경향에 비추어 볼 때 음악치료에서 객관적인 측정과 데이터 수집은 매우 중요한 일이다. 이 연구의 결과, 국내 음악치료 연구에서도 치료 효과 검증을 위해 대상자와 목적 영역에 맞는 다양한 측정도구가 사용되어 온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뇌선호도 측정도구들에 대한 탐색적 연구 -BPI, HMI, SQM, 그리고 SOLAT를 중심으로-

        김은숙,신현정 한국자료분석학회 2008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10 No.5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brain preference indicators, specifically, BPI, HMI, SQM and SOLAT in psychometric perspectives. We analyzed what brain preference indicators were about and how they were utilized in various studies focusing on test content area, subject characteristics, sources of tests, reliability and validity information and item scale with content analysis technique. We performed item analysis statistically to confirm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tests using Cronbach's analysis, split-half reliability, correlation analysis for internal consistency, content validity, convergent validity and factor analysis. The results were following: the reliability was not high enough for the individual attribute measurement and the validity was very low resulting in very poor psychometric qualities of four brain preference indicators. On the basis of these results and other psychometric studies, we discussed the direction of developing future brain function measurement with four aspects : measurement considering 1) the principle of the multilevel brain activation with multidimensional psychological concepts, 2) the rigorous psychometric procedures, 3) the different cultural factors and 4) the contribution of human understanding as well as the brain study. 본 연구는 뇌선호도 측정도구를 활용한 연구들의 현황을 파악하고, 심리측정 이론적 측면에서 뇌선호도 측정도구는 무엇을 어떻게 측정하고 있는지를 살펴봄으로써 뇌선호도 측정도구의 개발과 활용을 위한 경험적이고 이론적인 근거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뇌선호도 측정도구의 적용 사례를 이론적 배경, 연구방법, 측정도구 출처 및 개발여부, 참가자 특성, 연구주제, 신뢰도, 타당도 제시여부의 범주에서 내용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뇌선호도 측정도구들이 무엇을 어떻게 측정하고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네 가지 뇌선호도 측정도구들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심리측정적인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그 결과 심리측정의 측면에서 뇌선호도 측정도구들의 신뢰도와 타당도가 그리 높지 않다는 것과 뇌선호도 측정도구의 활용에서 사용상의 적절성이 보장되지 않는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이러한 결과에 근거하여 신뢰롭고 타당한 뇌 인지기능 측정도구 개발과 활용의 방향성을 네 가지 측면에서 논의하여 뇌선호도 측정도구 개발을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 서울시 주거제공시설 서비스 측정도구 적합성 평가

        박정숙,임희영,이명수 서울시정신보건센터 2013 정신건강연구집 Vol.4 No.-

        ■ 연구목적:본 연구는 서울시 주거제공시설 서비스의 질적 개선을 위해 제공하는 서비스를 효과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측정도구 를 결정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표준화되고 검증된 도구를 통해 주거제공시설 서비스를 측정하고, 측정된 결과가 서비스의 효과 성과 더불어 주거제공시설 운영의 타당성을 입증하는데 기여할 것이라 기대한다. ■ 연구방법:일차적으로 서울시 주거제공시설의 사업 및 서비스에 대한 전반적인 현황 및 측정도구 활용 등 조사를 시행하였고, 이 후 주거제공시설 현장 전문가를 대상으로 의견조사를 통해 측정도구 적합성 평가를 하였다. ■ 연구결과:임상, 기능, 사회적 역할 영역별로 조사한 결과, 기능변화 영역은 모든 기관에서 평가하고 있었으며, 최소 1개에서 최 대 13개의 측정도구를 사용하고 있었다. 측정도구의 반영정도는 최소 5.4점에서 최대 8.5점으로 나타났다. 이후 진행된 측정도 구의 적합성 평가를 통해 결과적으로 이용자 개인과 가족 측면으로 분류하였고 이용자에 대해서는 6개의 측정도구를, 가족에 대 해서는 1개의 측정도구를 선정하였다. ■ 결 론:본 연구는 서울시 주거제공시설의 서비스 효과성을 입증할 수 있는 측정도구를 선정한 것에 의의가 있으며, 이는 서울 시의 주거제공시설에서 표준화된 측정도구를 동일하게 사용함으로써 서비스의 성과를 측정 및 비교할 수 있는 기틀을 마련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ssessment and outcome measure scale for improving quality of residential service in Seoul city. It was expected for us to have standardized scale to measure effectiveness of residential services, and furthermore, to help proving the effectiveness and the feasibility of the residential facility. ■ Methods : Preliminary survey was performed to identify the scales currently being used for assessment and outcome measure in residential facility as well as overall service providing situation. Main survey was conducted to the managers of the residential facility to evaluate the adequacy of the assessment and outcome measure scales. ■ Results : We defined three domains that is clinical, functional and social role. All of the residential facilities were using scales for measuring funtional changes, and the number of scales varied from 1 to 13. The degree of reflection of measurement scales was minimum 5.4 to 8.5 of 11 point scale. We conceptualized the scales for consumers and family members, and finally we choose 6 scales for consumers and 1 scale for family member through validity evaluation of the scales. ■ Conclusion : The study has the meaning of defining standardized measurement scales for the assessment of effectiveness and outcomes of residential services. This allows us to establish a framework to measure comparative analysis and evaluation of service performance.

      • KCI등재

        직무만족의 측정도구에 대한 개요와 활용방안

        이영면(Young-Myon Lee) 한국인사ㆍ조직학회 2007 인사조직연구 Vol.15 No.3

        본 논문은 그 동안 경영학, 특히 인사조직분야에서 가장 많이 활용되어 온 직무 만족에 대한 측정도구를 정려한 논문이다. 직무만족은 조직구성원의 직무에 대한 만족도를 측정하는 변수로 중요하게 안정되고 오랫동안 활용되어 왔으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직도 국내에서 공식적으로 인정받고 활용되고 있는 측정도구는 없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국내에서 수행된 직무만족도에 대한 실증연구는 외국에서 개발된 측정도구를 충분한 검토 없이 활용하고 있어서 이를 바탕으로 한 실증연구결과에 대해 신뢰성과 타당성을 인정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구체적으로 우선, 외국에서 주로 영어를 바탕으로 개발된 측정도구에 대해 충분한 타당성을 검토하기 위한 번역과정을 생략함에 따라 그 결과를 인정하기 어려운 면이 있다. 또한 원래의 측정요인이나 측정문항수를 임의로 변경함에 따라 새롭게 필요한 신뢰성이나 타당성을 확인하는 작업도 생략된 연구가 많다. 마지막으로 외국의 측정도구에 대응해 국내의 조직구성원에 대한 측정도구를 개발하려는 노력도 미흡하다고 하겠다. 본 논문에서는 그 동안 외국에서 개발되어 널리 활용되어온 직무만족에 대한 측정도구를 정려하여 제시하고 측청도구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중심으로 활용에 필요한 사전정보를 제공하였으며 이는 국내에서 측정도구를 활용하기 위한 출발점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특히 외국 측정도구의 번역, 측정요인과 측정문항수, 그리고 국내에서 측정도구를 개발해가는 과정에서 검토해야 할 사항을 구체적으로 제시하고자 하였다. Researches on job satisfaction in Korea have invariably used measures developed in Western countries, without giving serious consideration as to issues of reliability and validity of measures used in a foreign context. Such practice can lead to wrong interpretations of empirical research results on job satisfaction and its relationship with other variables. This paper first presents the current state of research on job satisfaction measures in Korea. Out of 296 researches, 31 researches measured overall job satisfaction although many of them did not provide the sources of those measures quoted. Researches done in other countries on job satisfaction in 2003 and 2004 were also surveyed, using EbscoHost. Forty-five papers out of 257 using job satisfaction measures referred the sources and questionnaires of job satisfaction. Thirty-one papers used overall measures on job satisfaction. A recent trend in using measures for overall job satisfaction in those empirical analyses was explained and summarized. The next step of this paper is to organize and present the commonly used job satisfaction measures. Some measures presented here in the appendix include only a couple of example questions because of copyrights. This, however, is an effort to improve the process of measuring job satisfaction by presenting well-known and frequently used measures on job satisfaction. Overall job satisfaction measures presented here include those developed by Hoppock (1935); Brayfield & Rothe (1951) [Job Satisfaction Index, JSI]; Bullock (1952); Weiss et al.(1967) [Minnesota Satisfaction Questionnaire, MSQ]; Taylor & Bowers (1972); Hackman & Oldham (1975); Quinn & Staines (1979); Cammann et al.(1979) [Michigan Organizational Assessment Questionnaire, MOAQ]; Vroom (1960) [Attitude towards the Job]; Warr, Cook, and Wall (1979); and Ironson et al.(1989) (Job in General, JIG). Most of facet-only job satisfaction measures are not presented here due to the limitation on space. Those measures are the next research topic for the author. Discussions on reliability and validity for each measure are collected from books and papers and presented. Some are provided by the measure developers and some by users. All of the measures presented here have shown at least the acceptable level of reliability and validity. This explains why these measures have been used for decades. However, a caution is called for when these measures are going to be used in Korean context. Although strictly facet-only job satisfaction measures had to be omitted here, facet-based overall job satisfaction measures are presented. These measures are composed of several different facets to measure the overall job satisfaction. Five facet-specific overall job satisfaction measures are presented and compared with each other. They include measures developed by Weiss et al.(1967) [Minnesota Satisfaction Questionnaire, MSQ); Smith, Kendall, & Hulin (1969) [Job Description Index, IDI]; Hackman & Oldham (1975) [Job Diagnostic Survey, IDS]; Spector (1985) [Job Satisfaction Survey, JSS]; Smith (1976) [Index of Organizational Reactions, lOR] and the Index for Organizational Health and Personnel Management (IOHPM). Comparing facet-based measures of the kind I present with facet-only measures would be good research topic, since the researches using facet-based measures are increasingly in demand. We may use existing measures in research in the Korean context. We may, however, try developing new measures on our own. When existing measures are used, the translation should be done accurately and rigorously, while issues such as reliability and validity of original measures need to be given sufficient consideration. Copyright is also an important matter to be considered. In developing new measures on our own, surveys and survey processes should be devised in such a way that respondents can feel

      • KCI등재후보

        교사들의 과학 교과교육학 지식 측정도구 개발

        박성혜 한국교원교육학회 2003 한국교원교육연구 Vol.20 No.1

        본 연구의 목적은 교사들의 과학 교과교육학 지식의 구성요인을 탐색하고, 이를 측정할 수 있는 도구를 개발하여 개발된 측정도구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사하는 것이다. 이론적 배경에 따라 측정도구의 구성요인을 7영역인 교수법지식, 표현지식, 내용지식, 평가지식, 학생지식, 교육과정지식, 환경상황지식으로 정하였으며, 각 요인을 조사할 수 있는 문항을 개발하였다. 개발한 측정도구의 타당도는 내용, 구인, 준거타당도로 검사하였고, 신뢰도는 Cronbachα와 각 영역 내 문항간 총점상관계수로 검사하였다. 내용타당도는 3명의 초등현직교사와 3명의 과학교육교육자가 각 문항이 측정하고자 하는 목적에 타당한지를 심사하였다. 구인타당도는 요인분석으로 검사하였으며, 준거타당도는 교사들의 경력 년 수와 측정도구의 구성요인들과의 상관계수로 검사하였다. 내용타당도 심사결과에 따라 문항을 수정하였고 수정한 측정도구를 서울과 인천지역에 재직한 398명의 현직교사에게 1차로 실시하였다. 실시 후 요인분석과 Cronbachα와 각 영역 내 문항간 총점상관계수를 통하여 문항을 분석하였고 그 결과에 따라 문항을 삭제 혹은 수정하였다. 수정한 측정도구를 6명의 전문가가 내용타당도를 재심사하였고 결과에 따라 다시 수정한 측정도구를 1차 연구에 참여하지 않은 서울지역에 재직한 482명의 현직교사에게 2차로 실시하였다. 마찬가지로 요인분석과 Cronbachα와 각 영역 내 문항간 총점상관계수를 통하여 문항을 분석하였고 그 결과에 따라 문항을 최종 삭제하였다. 삭제한 문항을 제외하고 요인분석과 Cronbachα와 각 영역 내 문항간 총점상관계수를 최종적으로 다시 검사하였다. 그 결과 7영역으로 구성된 최종 60문항의 측정도구는 신뢰도와 타당도가 타당하다는 결론을 내렸다. 준거타당도는 최종 측정도구의 7영역과 교사들의 경력 년 수는 각각 p값이 0.01 수준에서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개발한 측정도구를 이용하여 교사들의 과학교과교육학 지식과 관련된 많은 연구가 행하여지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아동의 사회인지 발달 측정 도구에 관한 국내 ․ 외 연구 고찰

        한유진(Han, Yoo Jin) 한국비교교육학회 2019 比較敎育硏究 Vol.29 No.6

        [연구목적] 이 연구의 목적은 아동의 사회인지발달 측정 도구에 관한 국내․외 연구를 비교하여 살펴보고 국내 아동의 사회인지 발달을 측정할 수 있는 도구를 개발하기 위한 개발 방향을 모색하는 데 있다. 〔연구방법〕연구에서 살펴본 아동의 사회인지 발달 측정 도구에 관한 연구는 국외 10편, 국내 7편, 총 17편이다. 국내․외 연구들에서 개발된 아동의 사회인지 발달 측정 도구를 분석하기 위하여 측정 도구에 대한 비교연구를 수행한 Demaray 등(1995)의 연구를 근거로 척도의 내용, 척도의 사용, 심리측정적 특성을 평가기 준으로 삼아 위 척도들을 비교하고 검토하였다. 〔연구결과〕첫째, 척도의 내용에서 국외의 사회인지발달 측정 도구들은 다양한 마음상태들을 측정 영역으로 하는 검사총집의 형태로 되어있었으며, 척도의 구성 에서 틀린믿음 과제를 기준으로 하여 단계를 구분하고 있는 반면, 국내의 도구들은 다양한 마음상태들의 포함하기 위한 노력이 시도되고 있었다. 둘째, 척도의 사용에서 국외와 국내의 측정 도구는 일대일 면접, 이야기책을 통한 질문, 양육자와 자녀의 대화 분석, 양육자의 평정 등 다양한 방법으로 사용되고 있었다. 셋째, 심리측정적 특성에서 국외의 도구들은 검사의 양호도를 위하여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한 측정도구 개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었으나 국내의 도구들은 측정 도구 개발을 위한 연구가 드물었으며, 국외의 도구를 사용하는 경우에도 타당도를 위한 노력이 많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결론〕위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국내 아동을 위한 사회인지 발달 측정 도구 개발을 위한 노력이 이루어지기를 제언하였다. 〔Purpose〕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and explore the tools used to measure child s social-cognitive development in Korea and abroad, and to explore the direction of development for children in Korea. 〔Methods〕The study on the social cognitive development measurement of children found in the study included 16 overseas, seven domestic, and 23 Based on studies by Demaray et al. (1995) who conducted comparative studies on the scales, the contents of the scales, the use of the scales, and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scales were compared and reviewed. 〔Results〕First, in the content of the first paragraph, social awareness measuring tools outside of the country are divided into stages based on false belief tasks in the composition of the scale in the form of a general inspection set of various states of mind as the measuring area, while domestic tools were trying to include various states of mind. Second, in the use of scales, foreign and domestic measurement tools were being used in a variety of ways, including one-on-one interviews, questions through storybooks, analysis of conversations between caregivers and their children, and parent’s equanimity. Third, there was an active study on developing measuring tools that verified feasibility and reliability for the safety of inspection, but domestic tools were rarely studied for developing measuring tools, and there was not much effort for feasibility even when using tools outside of the country. 〔Conclusion〕It suggested that various social or developmental measurement tools for children in Korea are included, and that efforts will be made to ensure the validity of the inspection will be made.

      • KCI등재

        학습전이 측정 동향 및 측정도구 신뢰도 일반화 분석: 1996년~2013년 국내 학술지에 게재된 논문을 대상으로

        신은경 ( Eun Kyung Shin ) 한국인력개발학회 2014 HRD연구 Vol.16 No.4

        본 연구에서는 기업 및 조직에서 학습전이를 측정한 국내 학술지 게재 논문을 수집·분석하여 학습전이 측정도구에 대한 국내 연구 동향 분석 및 신뢰도 일반화 검증(Reliability Generalization)을 실시하는 것을 연구목적으로 설정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 5개 학술DB에서 논문검색을 실시하고 여과 작업을 거쳐 99편의 논문이 분석에 활용되었다. 99편의 논문 분석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첫째, 학습전이 측정도구는 HRD 분야를 비롯하여 경영학, 관광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으며, 학습전이 측정 시기는 프로그램이 종료된 후 약 2.7개월부터 측정이 이루어졌고, 최근으로 올수록 측정기간이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습전이 측정도구로는 Rouiller와 Goldstein(1993)의 도구 또는 이를 기반으로 수정·보완된 도구가 가장 많이 사용되었다. 국내 연구에서는 이도형(1995; 1996)에 의해 개발된 도구들이 지속적으로 활용되고 있으며, 최근에 와서는 자체 개발된 도구를 사용하는 경우도 증가하고 있다. 척도 유형은 Likert 5점 척도를 가장 많이 활용하고 있으며, 측정값의 평균은 대략 3.7정도이고 대부분의 연구물에서 5점 척도를 사용한다는 점에서 중간 정도의 평균으로 해석되었다. 셋째, 학습전이 측정도구의 신뢰도 평균은 .864로 비교적 안정적이었으나 많은 연구자들이 신뢰도에 대한 정보를 충분히 제공하지 않고 있는 상황이었다. 넷째, 학습전이 측정도구는 척도 유형, 측정값 평균, 측정도구의 종류에 의해 신뢰도가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분석결과를 토대로 관련 논의와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Learning transfer has been a popular research topic in HRD as a linkage of education and performance. In spite of th importance of learning transfer, researchers indicated the limits of self-reported questionnaire for measuring learning transfer. Also researchers discussed and suggested some alternatives: such as multi-time measurement, multi-person measurement and so on. But these alternatives also were kinds of self-reported questionnaire. In these situation, one of best ways is to find reliable tools and factors which influence on the reliability of tools. In this aspe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research trends of measurement of learning transfer and test the reliability generalization of tools for learning transfer. Data were collected from 99 articles published 1996-2013 on Korean journals. These articles were searches using 5 academic DBs in Korea. From analyses of the data, the findings were followings. 1) Rouiller & Goldstein(1993) and Lee(1995; 1996)`s questionnaires were the most frequently used in the articles independently of the academic areas(management, tourism, education and so on). Recently, the utilization of self-developed questionnaires by authors of articles was increased. 2) The average time for measuring learning transfer from the end of training was 2.7 months. And the duration for measurement was shortened until now. 3) The reliability(such as Cronbach`s α coefficient) was stable over .8. On the other hands, type of scale(5, 7, 9 Likert scales), the means of learning transfer, and the kind of questionnaires(Rouiller & Goldstein(1993), Holton & Bates(1998), Lee(1995; 1996) etc.) had influenced on the reliability. Based on these analyses, suggestions and indications were discussed.

      • 스포츠윤리성 측정도구 개발 및 타당성 검증

        이제헌 ( Lee¸ Jehun ) 국민대학교 스포츠윤리연구소 2021 스포츠와 윤리 Vol.1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운동선수를 대상으로 스포츠윤리성 측정도구를 개발하여 그 타당성을 검증하는 데 있다. 도구개발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한 양적 연구로서 대상은 서울·경기지역 프로스포츠에 포함된 골프, 농구, 배구, 야구, 축구 5개 종목 고등학교 1학년~3학년을 편의표집으로 선정하였다. 1차 조사 110명, 2차 조사 410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부적합 문항을 제외 후 최종 분석 자료로 활용하였다. 측정도구는 Rest의 도덕성 4구성요소와 스포츠 가치판단 측정도구(HBVCI-16)를 참조하여 개발하였다. 자료처리는 IBM for SPSS 23.0과 AMOS 21.0을 사용하였으며, 주성분분석, 확인적요인분석, 빈도분석, 차이검증, 신뢰도분석,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결과는 기존에 많은 선행연구들에서 사용된 용어인‘도덕성’을 스포츠와 관련된 윤리적인 특성을 고려하여‘스포츠윤리성’이라고 규정하고, 스포츠윤리성의 구성요소를 스포츠윤리 감수성, 판단력, 동기화, 품성화로 변경하였다. 각 구성요소별 측정요인으로 감수성의 측정요인은 상하관계지각과 수평관계지각, 판단력의 측정요인은 가치판단, 동기화의 측정요인은 순수성과 진실성 그리고 품성화의 경우 규칙준수와 공정성으로 측정요인을 선정하였다. 선정된 구성요소별 측정요인의 타당성 및 신뢰도검증을 위해 주성분요인분석을 실시하였고, 적합도 미달 문항을 삭제하였다. 이후 2차 주성분 요인분석 결과 KMO 표본 적합성 검정지수가 .686 으로 나와 각 요인들이 매우 적합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Bartlett 의 단위행렬 검증 통계량이 4911.846 으로 나와 p<.001 수준에서 통계적으로 단위행렬이 아님을 확인하여 요인분석에 적합함을 알 수 있다. 주성분분석 신뢰도의 경우, 신뢰도 계수는 .792~.941 로 나타나 요인 간 신뢰도가 높은 수준임을 확인하였다. 둘째, 확인적요인분석을 통한 집중타당도와 판별타당도 검증을 실시하였고, 측정모델 적합도 기준에 부합되는 결과가 나타났다. 측정도구의 신뢰도는 .792~.941 로 Cronbach's α 값이 0.7 이상으로 모두 나타나 신뢰성을 입증하였다. 현재 국내에는 스포츠선수들의 윤리성을 측정할 수 있는 도구가 명확하게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측정도구를 바탕으로 지속적인 수정·보완을 통해 도구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높여야 한다. 또한, 측정을 통해 얻은 결과는 개인·집단 윤리성의 높낮이가 아닌 하나의 결핍요소로 해석해야 하며, 이를 토대로 대상별 맞춤식 스포츠윤리교육 프로그램 자료로 활용되길 바란다. This study aimed to develop an instrument for measuring athletes' sports ethics and examine its validity and reliability. This quantitative study developed and sought to verify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a measurement tool specifically designed for sports ethics. The participants recruited for this study were first to third-year high school student-athletes in the Seoul and Gyeonggi-do providence. These students participated in five professional sports, including golf, basketball, volleyball, baseball, and soccer. 110 people participated in the first survey, and 410 people were surveyed in the second survey. Survey results that were found unsuitable were excluded from the final analysis. The development of the sport ethics-measuring tool required the four components of Rest's morality and Hahm-Bellar Values choice Inventory-16(HBVCI-16) to be modified, supplemented, and developed further. Data processing was performed using IBM SPSS 23.0 and AMOS 21.0. These programs were used to perform component analysis, positive factor analysis, frequency analysis, difference verification, reliability analysis, and correlation analysis. The term' moral character', found in many previous studies, is based on ethical characteristics related to sport and define as sport ethics. This study proposes new methods of measuring sports ethics based on sports ethics sensitivity, sports ethics judgment, sports ethics motivation, and sports ethics characterization. Measuring elements of sport ethics requires the following factors to be considered when analyzing each component. First, sport ethics sensitivity needs to be analyzed with top and bottom perceptions, horizontal relationship perception, and sports ethics judgment. Second, sports ethics' motivation was measured with purity and sincerity, while compliance and fairness of the rules were the measuring factors for sport ethics characterization. To verify each selected component's measurement factors' validity and reliability, a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was performed, and the questions of nonconformity were deleted. Subsequently, the main component factor analysis showed that the KMO sample conformity test index was .686, confirming each factors' suitability. Bartlett's unit row verification statistic is 4911.846, p<.001, showing its suitability for factor analysis. The principal component analysis's reliability was shown as .792 to .941, confirming that the reliability between factors was high. Finally, the concentration and determination of the titration were verified through the final analysis of the factors. The results were found to meet the criteria for conformity of measurement models. The measuring tool's reliability was .792 to .941, and Cronbach's α value was 0.7 or higher, proving its reliability. In Korea, the research itself is meaningful as no tools have been developed to measure sports players' ethical standards. Future sports ethics measurement tools need to be modified or supplemented in the research phase to enhance reliability and validity. Finally, the measurement results should be interpreted as a deficiency factor, not a high level of individual or group ethics. Based on this, it is hoped that the results will be used as data for targeting sports ethics education programs.

      • KCI등재

        학교 혁신문화 측정도구 개발 및 타당화 : 인천광역시 초·중등학교를 중심으로

        이미숙(Lee, Misook),박주형(Park Ju-Hyoung),김종민(Kim, Chong Min),임현정(Lim, Hyunjung) 한국교육행정학회 2017 敎育行政學硏究 Vol.35 No.1

        연구의 목적은 학교 혁신문화 측정도구를 개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문헌 분석과 전문가 및 현장교사 검토 협의, 연구진 협의를 통해 학교 혁신문화 측정 도구의 모형을 개발하였다. 구체적으로 인천광역시교육청에서 추진하고 있는 ‘2016 학교혁신 종합계획’과 ‘행복배움학교 추진계획’을 근간으로 하여 선행연구 자료, 전문가 집단의 의견, 연구진 협의를 통해 4대 측 정 영역과 13개 하위요소 그리고 각 요소를 대표할 수 있는 세부지표로 구성하였다. 측정도 구 초안에 대하여 델파이 방식으로 1차 의견을 수렴하고, 이를 반영하여 2차 의견을 수렴하 여 측정도구를 개발하였다. 측정도구의 구인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하여 행복배움학교 준비교, 1년차 학교, 2년차 학교, 그리고 일반학교의 구성비를 고려하여 표집한 초∙중∙고 총 45교의 교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문항의 신뢰도와 타당 도를 분석하였고, second-order 모형(4대 영역과 13 하위요소)으로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 였다. 그 결과 4대 영역과 13개 하위요소로 구성된 본 연구의 측정도구 모형은 적합한 것으로 나 타났다. 또한 표준 적재치, Cronbach's  , 개념 신뢰도, 평균분산추출지수, 상관계수와 평균분 산추출지수 제곱근 분석결과, 학교 혁신문화 측정도구는 신뢰도와 타당도를 확보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개발한 측정도구의 현장 타당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행복배움학교와 일반학 교의 측정 결과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 1) 행복배움학교와 일반학교, 2) 행복배움학교 준비교, 1년차교, 2년차교, 그리고 일반교 사이의 각 영역별, 하위요소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났으며 이를 통해 개발된 측정도구가 학교 혁신문화를 측정하는 유용한 도구로 사용될 수 있음이 드러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 instrument to measure school innovation culture. For this, we developed a measurement model of school innovation culture through literature analysis, consultation with experts and field teachers, and discussion with researchers. Based on the ‘2016 School Innovation Comprehensive Plan’ and the ‘Happy Learning School Promotion Plan’, which are being promoted by the Incheon Metropolitan City Office of Education, we developed an instrument to measure 4 domains, 13 sub-domains, and a detailed index of school innovation culture. The first and second draft of the instrument was reviewed by Delphi method. To verify the validity of the instrument, we collected data on teachers at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which were sampled considering the composition ratio of happiness learning schools, first year schools, second year schools, and general schools. We analyzed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instrument and conducte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FA) with the second-order model. As a result, the developed instrument which consists of 4 domains and 13 sub -domains was found to be appropriate in the construct validity. In order to confirm the applicable validity of the developed instrument, we compared the results of happy learning schools and general schools. As a result,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each domain and sub-domain of general schools, happiness learning preparation schools, first year schools, and second year schools.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the developed instrument would be as a useful scale to measure school innovation culture.

      • KCI등재

        조형도예표현력 측정도구 개발연구

        이진복,정선영 한국조형교육학회 2014 造形敎育 Vol.0 No.5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measurement instrument of ceramic art expression ability and to apply in education after organizing an objective evaluation tool and verifying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it. The research questions for the current study are: what is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measurement instrument for ceramic art expression ability developed through this study? The subjects samples collected were expert ceramists and graduate school students. The study method should be followed the following procedure in order. In the final solution, it was formed th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of the ten questionnaires and one cause about the ceramic art expression ability. In the analysis result, the suitability of the final matrix with the ceramic art expression ability was inappropriately shown the value of x2. However, the other suitability which was except the value of x2 was satisfied the suitability index requirement. Therefore, it is not reasonable to choose a measurement of ceramic art expression ability form a matrix of the ten questionnaires. Also, the ten questionnaires were shown to be very reliable, so it secured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by measurement instrument. The main research was done with that was developed by ceramic art expression ability to secure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measurement instrument. This was for objective and public confidence. This is the first standard of measurement developed as an educational tool specific to the field of industrial arts. Therefore,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a theory of quantitative measurement which will contribute greatly to the art education filed, which at the present time is dominated by subjective evaluation. 본 연구의 목적은 조형도예표현력 측정도구를 개발하고, 개발된 도구의 타당도와 신뢰도 검증을 바탕으로 객관적인 평가도구를 구성하여 미술교육에 적용하기 위함이다. 본 연구의 쟁점은 조형도예표현력 측정도구의 타당도와 신뢰도에 대한 것이다. 연구대상은 10년 이상 경력의 도예전문가, 교육전문가 및 대학원생이었으며, 조형도예표현력 측정구인을 도출한 결과에 따라 단계별 조형도예표현력 측정문항을 개발, 측정도구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최종적으로 구성된 조형도예표현력 측정도구는 1요인 10문항으로 구성되었으며 확인적 요인분석결과 모형의 적합도는 χ2의 값을 제외한 모든 적합도 지수들이 기준치를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산출된 적합도 지수들을 종합 평가해보면 χ2의 값이 부적합하여도, 1 요인 10문항의 모형을 조형도예표현력 측정도구로 채택하는데 무리가 없었다. 또한 신뢰도도매우 높아 측정도구로서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확보하였다. 본 연구는 조형도예작품의 평가가객관적이고 공신력 있게 행해질 수 있도록 타당도와 신뢰도를 확보한 측정도구를 개발하였다. 특히 공예영역의 특수성을 바탕으로 일반 미술교육 평가도구와 차별화한 표준화된 도예표현력 측정도구를 최초로 개발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는 주관적 평가가 주를 이루고 있는 미술교육 현 상황에서 정량적인 지표를 사용한 객관적인 평가를 가능하게 함으로써 평가의 신뢰성을 확보하여, 미술교육이론 및 실제에 크게 기여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