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숙명여대 음악치료대학원과 한국음악치료학회 20년사

        최병철 한국음악치료학회 2017 한국음악치료학회지 Vol.19 No.1

        이 연구는 한국의 음악치료 교육이 어떻게 숙명여대에서 시작하게 되었으며 한국음악치료학회가 국내 최초로 결성되고 발전해 온 지난 20년의 역사를 기록하고 보존하기 위한 것이다. 음악치료가 국내에 자리 잡게 된 1990년대의 역사적 내용들을 음악치료대학원과 학회의 결성, 학술대회, 학회지, 자격제도와 보수교육, 대내외 활동들(직업홍보, 음악치료홍보, 대외 활동, 지역 활동, 숙명음악치료센터활동)을 1부에 정리하였고, 2부에서는 한국음악치료의 발전과 조망으로 특히 4가지 내용을 주목하고 관련 내용들을 소개하였다. 한국음악치료는 (1) 음악치료 특강 15주 과정을 통해 기반을 다질 수 있었다; (2) 초기에서부터 다양한 치료적 모델들을 발전시켜 올 수 있었다; (3) 음악치료사 취업에 적극적인 지원과 관심을 가졌다; (4) 출발에서부터 개척자 정신이었다. 한편 한국음악치료 발전의 역사에서 여전히 고려되어야 할 몇 가지 문제들도 지적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escribe and document how Korean music therapy has developed during its twenty year history. An account of its origin beginning in the 1990s—along with historical reports such as conferences, centers, publishing journals, certifications and continuing education system, and activities in and outside community—will be given. In particular, four unique aspects to the development of Korean music therapy will be explored. (1) The biannual special 15-week lecture series on music therapy that was open to the general public in Korea had an important role in promoting awareness of the field; in the past 20 years, over 13,000 people have attended these lectures. (2) Korea readily adapted already well-established music therapy models from the beginning and rigorously focused on the development of these training programs (e.g. GIM, N-R Improvisation, and Vocal Psychotherapy). (3) There was a strong emphasis on providing a music therapy job market; Sookmyung music therapy centers were opened right after the first graduate music therapists matriculated from the program and provided opportunities for career advancement. (4) People have kept the pioneer spirit from the beginning. Beyond the offerings of music therapy to the general public, there has also been an emphasis on using music therapy for outreach of specific populations endemic to Korea, such as North Korean refugees. Finally, this paper will discuss some of the ongoing issues and barriers to the development of a unified certification system for music therapists in Korea—in particular the dissonance between hospital internship periods and the academic calendar for students in music therapy programs.

      • KCI등재

        「한국음악치료학회지」연구 동향 : 성과와 과제

        김경숙,이상은 한국음악치료학회 2016 한국음악치료학회지 Vol.18 No.2

        이 연구는 음악치료 영역의 대표 학술지인 「한국음악치료학회」의 창간호부터 현재까지 게재된 논문들을 분석하여 음악치료 연구의 성과와 동향을 알아보고 향후 학회지의 발전 과제를 알아보기 위함이 목적이다. 이를 위해 1999년부터 2016년 8월까지 한국음악치료학회의 학회지에 게재된 총 158편의 논문에 대해 연구 발행 현황, 연구자, 연구 유형, 연구 내용, 연구 대상, 연구 방법, 데이터 분석 방법, 참고문헌 등에 따라 내용 분석 후 자료를 빈도와 교차분석으로 통계 처리 하였다. 그 결과, 창간호부터 최근에 이르기까지 꾸준히 고른 분포를 보이며 논문이 출간되는 경향을 보이고 있으며 대부분의 연구가 수도권에 있는 국내대학 소속의 연구자들에 의해 시행된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적으로 양적 연구가 질적 연구 보다 압도적으로 많이 시행되었으며 이러한 경향은 연도별 변화 없이 지속되었다. 연구 내용 면에서는 효과연구, 음악특성 연구, 치료 과정 연구와 특정주제/개관연구, 지각/태도 연구, 그리고 직무 관련 연구 순으로 게재 빈도가 높았다. 성인 대상 연구가 가장 높은 빈도로 게재되었으며 그중에서도 음악치료사(학생)를 포함한 비장애 성인대상이 주를 이루는 것으로 보고되었고, 정서영역과 인식도나 선호도 등을 다룬 기타영역 연구가 다른 영역의 연구들 보다 더 많이 게재 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데이터 처리 방법에 대한 분석 결과, 양적 연구에서는 변량분석이 가장 많이 사용되었고 질적 연구에서는 현상학적 분석이 가장 높은 빈도를 나타냈다. 연구자 소속기관에 따른 연구 내용이나 연구 대상에 대한 교차분석 결과 모두 기관에 따라 영향을 받는 것으로 보고되었으며 연구 내용도 연구 대상이나 연구 방법, 혹은 연구 영역에 따라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 「한국음악치료학회」는 창간 이후로 꾸준히 발전하며 한국 음악치료분야의 전문성을 강화하는데 필수적인 학문적 공헌에 앞장 서 왔음을 알 수 있다. 앞으로는 그간의 성과를 바탕으로 보다 음악치료 정체성에 적합한 대상과 내용을 다루는 연구들을 더욱 활성화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analyse the research accomplishments and trends within the Korean Journal of Music Therapy from the first to current issue, and to understand the subjects of development for future issues of the journal. For this data gathered from 158 publications listed in journal issues from 1999 to August of 2016 were statistically processed through cross analysis. Types of data gathered for the study include: publication status, researcher, research type, topic, subject, research method, data analysis method and reference. Results show that number of publications are distributed equally among the journal issues and that most of the researches are conducted at universities in the metropolitan area. Overall the frequency of quantitative researches were greatly prevalent over qualitative researches but there were no specific trends within the annual publications. In decreasing order, effectiveness, musical aptitude and attitude, treatment process, research review, recognition/attitude, and vocational behaviors categories were the most frequently published topics. Adults were the most common research subjects, especially non-handicapped adults including music therapists and music therapy major students. Researches in areas concerning emotion, preference and awareness were shown to be more prevalent than researches from other areas of study. In the analysis of data processing methods, for quantitative studies variance analysis was most commonly used while phenomenological analysis was most common for qualitative studies. The results of kai-square test showed that both research contents and methods were dependant upon the research institution and that research contents were also dependant upon the subject, method, or area of study. This study shows that the Korean Journal of Music Therapy has been leading the scholastic contribution to the music therapy in Korea since its creation. For the further growth, future studies should concern subjects and contents appropriate to the identity of music therapy.

      • KCI등재

        재창조 음악치료 참여 척도 개발 및 타당화

        김영신 한국음악치료학회 2024 한국음악치료학회지 Vol.26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재창조 음악치료 활동을 수행하는 클라이언트의 참여 수준과 양상을 신뢰할 수 있고 타당하게 평가할 수 있는 재창조 음악치료 참여 척도(Recreative Music Therapy Participation Scale: RMTPS)를 개발하고 타당화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기존 이론과 관련 문헌 검토 및 음악치료 전문가의 심층 면접과 내용타당도 자문 등을 거쳐 예비문항을 작성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음악치료사를 대상으로 예비조사와 본조사를 실시하였다. 406명을 대상으로 수행한 예비조사에서는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해 5개 요인, 27개 문항을 추출하였고, 324명을 대상으로 한 본조사에서는 확인적 요인분석을 이용하여 ‘음악적 참여 행동’, ‘음악 향유’, ‘음악 교류’, ‘음악 기술’, ‘음악 구조 인지’의 5개 요인, 20개 문항을 확정하였다. 20개 문항에 대한 척도 분석 결과, 우수한 모형 적합과 선택된 5개 요인에 대하여 신뢰성과 타당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재창조 음악치료 활동에 참여하면서 발생하는 음악적 성과를 체계적으로 평가하고 신뢰할 수 있는 타당한 도구를 국내 최초로 개발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본 연구 결과는 치료 개입 및 평가에 대한 임상적 정보 제공과 증거기반 음악치료 연구를 위해 유용하게 사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validate the Recreative Music Therapy Participation Scale(RMTPS), a reliable and valid measure for assessing the level and patterns of participation in recreative music therapy activities performed by clients. The preliminary items were generated through a review of existing theories and relevant literature followed by in-depth interviews with experienced music therapists and the content validity consultation of music therapy professionals. In the preliminary survey, which involved 406 participant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identified 5 factors and 27 items. In the main survey with 324 participant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as employed to finalize 5 factors and 20 items related to ‘musical participation behavior’, ‘music enjoyment’, ‘musical interaction’, ‘music skills’, and ‘music structure recognition.’ The results confirmed excellent model fit and reliability, as well as validity for the selected 5 factors. This study is significant as the first in Korea to develop a reliable and valid tool for systematically evaluating musical outcomes arising from participatory activities in recreative music therap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valuable for providing clinical information for interventions and evaluations, as well as contributing to evidence-based music therapy research.

      • KCI등재

        음악치료 전공생과 음악치료사의 연구활동 현황 및 연구와 연구역량 그리고 발전방안에 대한 인식 조사

        황은영 한국음악치료학회 2024 한국음악치료학회지 Vol.26 No.2

        본 연구는 음악치료 전공생과 음악치료사를 대상으로 연구활동 현황, 연구와 연구역량, 그리고 발전 방안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여 향후 연구자를 위한 훈련과 교육, 그리고 음악치료 분야의 발전과 전문성 향상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하는 목적이 있다. 2주 동안 설문조사를 진행하여 음악치료 전공생 47명, 음악치료사 102명, 총 149개의 자료가 분석되었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음악치료 전공생과 음악치료사 사이에 가입한 학회 수, 학회 발표 경험 등 연구활동에서 차이가 있었다. 둘째, 음악치료 전공생과 음악치료사는 모두 음악치료 발전을 위해 연구는 중요하다고 인식하였지만 현실적으로 연구가 임상이나 학업에 도움이 된다는 인식에는 차이를 보였다. 연구역량에 대한 인식에도 전반적으로 음악치료사들이 연구에 대한 이론적 ․ 수행적 역량에 높은 인식을 보였다. 마지막으로, 음악치료 전공생과 음악치료사 모두 연구 발전을 위해 연구 관련 교육이 학위과정에 필요하다고 하였으며, 음악치료 전공생은 연구 경험의 제공과 같은 제도적 지원이, 음악치료사들은 연구 인센티브와 같은 외적 지원이 필요하다고 응답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음악치료의 전문성을 위해 연구가 강조되고 있는 현시점에서 연구를 위한 교육과 훈련, 그리고 연구 활성화를 위한 제도 및 지원 마련을 위한 기초정보를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rvey music therapy students and music therapists about their perceptions of research activities, research and researcher’s competences, and ways to develop them, and to use them as a basis for training and education for future researchers and for the development and professional improvement of the music therapy field. The survey was conducted for two weeks, and 149 data from 47 music therapy students and 102 music therapists were analyzed.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differences in research activities between music therapy students and music therapists, such as the number of conferences they joined and their experience in presenting at conferences. Second, both music therapy students and music therapists recognized that research is important for the development of music therapy, but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ir perceptions of whether research actually helps them in their clinical or academic work. In terms of perceptions of researchers’ competences, music therapists were generally more confident in their theoretical and practical competence in research. Finally, both music therapy students and music therapists reported that research-related education is necessary in their degree programs to develop research, and music therapy students reported institutional support, such as the provision of research experiences, and music therapists reported external support, such as research incentives.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significant in that they provide basic information for the development of research education and training, as well as systems and supports to promote research, at a time when research is being emphasized for the music therapy profession.

      • KCI등재

        음악치료사의 정서지능이 치료적 동맹에 미치는 영향에서 발달수준의 매개 효과

        김봄(Kim, Bom),문지영(Moon, Ji Young) 한국음악치료학회 2021 한국음악치료학회지 Vol.23 No.1

        본 연구는 음악치료사의 정서지능, 치료적 동맹, 발달수준 간의 관계를 알아보고, 음악치료사의 정서지능이 치료적 동맹에 미치는 영향에서 발달수준의 매개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임상에서 활동하고 있는 음악치료사 22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2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음악치료사의 정서지능, 치료적 동맹, 발달수준 간의 상관관계 분석 결과, 모두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둘째, 음악치료사의 정서지능, 발달수준, 치료적 동맹 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세 변인들이 모두 각각의 변인들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음악치료사의 정서지능이 치료적 동맹에 미치는 영향에서 발달수준의 매개 효과 검증 결과, 발달수준 전체와 하위요인 모두 유의한 부분 매개 효과를 보였으며, 특히 ‘음악치료기술’ 하위요인이 가장 높은 매개 효과를 나타냈다. 본 연구는 음악치료사의 정서지능, 치료적 동맹, 발달수준의 관계를 살펴보고, 정서지능과 치료적 동맹의 관계에서 발달수준의 매개 효과를 검증하여 음악치료사의 정서지능에 관련된 기초자료를 제시하였으며, 치료적 동맹을 위해 음악치료사의 정서지능과 발달수준을 탐구하고 개발해야 할 필요성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music therapists’ emotional intelligence, therapeutic alliance, and the mediating effect of development level on this relationship. A total of 224 clinically active music therapists participated in the survey, an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SPSS 22.0.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significant correlations were found among emotional intelligence, development level, and therapeutic alliance. Second, emotional intelligence, development level, and therapeutic alliance had significant effects on each other. Third, each subdimension of development level had a significant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intelligence and therapeutic alliance with the sub-dimension ‘music therapy skills & techniques’ having the strongest effect.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intelligence, therapeutic alliance, and development level, this study presented relevant data regarding emotional intelligence of music therapists. The study findings suggest the need to further examine the effects of music therapists’ emotional intelligence and development level on their therapeutic alliance.

      • KCI등재

        음악대학생의 음악치료에 대한 인식과 진로 선택 관련 연구

        안소윤,김은주 한국음악치료학회 2018 한국음악치료학회지 Vol.20 No.2

        이 연구의 목적은 음악대학생들의 음악치료에 대한 인식과 그들의 진로선택과의 관련성을 조사 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 경기 지역 음악대학과 전문대학 총 62개교에 재학 중인 음악 대학생이었으며, 수집된 자료는 빈도분석, 상관분석, t-검정, 교차분석 및 탐색적 요인분석을 사 용하여 SPSS 21.0 프로그램으로 통계처리 하였다. 결과는, 첫째, 총 460명의 응답자 중 음악치 료에 대해 들어 본 적이 있다고 한 응답자는 95%(437명)였고, 음악치료를 알게 된 경로는 지인 을 통해 알게 되었다는 응답이 26.7%(117명)로 가장 많았다. 둘째, 음악대학생들은 음악치료사 직업에 대해서 Likert 5점 척도에 평균 3.72점으로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음악치료사는 보람된 일을 하는 직업이고, 클라이언트를 생각하는 마음이 가장 중요하다고 응답하였으나, 병 원이나 기관에서 인정받는 전문직이라는 인식은 낮았다. 셋째, 음악대학생의 음악치료 이해 및 효과에 대한 인식, 음악치료사 직업에 대한 인식 간의 관련성은 모두 정적인 상관관계가 유의미 하게 나타났다. 넷째, 음악치료 진로 선택 의향과 관련해서 91.1%의 음악대학생들이 음악전공 과 음악치료 전공은 긍정적인 관련성이 있다고 인식하고 있었으나, 음악치료대학원 진학 의향에 대해서는 42.2%가 ‘잘 모르겠다.’라고 응답하였다. ‘잘 모르겠다.’ 라고 응답한 이유는 ‘다른 진 로의 방향과 고민이 되어서’가 51.9%로 가장 높은 비율을 보였고, 그 다음으로 23.3%는 ‘음악 치료에 대해 잘 몰라서’를 이유로 응답했다. 결론적으로 음악대학생들의 음악관련 분야 직업 중 하나인 음악치료사에 대한 이해와 인식을 높이기 위하여 다양한 교육과 경험의 기회를 제공하 여 재능있고 사명감 있는 미래의 음악치료사의 저변 확대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how music majors perceive the practice of music therapy, examining their potential interest in music therapy as a career.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460 students enrolled across 62 colleges of music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frequenc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t-test, cross analysis and exploratory factor analysis using the SPSS 21.0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95% of the respondents had heard about music therapy and 26.7% of them answered that they had learned about music therapy through acquaintances. Second, it was shown that music majors perceived music therapy positively as a career at an average score of 3.58 on the Likert 5-point scale. The data showed that they viewed music therapy as a rewarding job, especially in the attentive care of its clientele. However, they also noted that social awareness of music therapy was low. Third, it was found that for music college students, understanding of music therapy, perception of music therapy’s effectiveness, and perception of music therapy as a career all statistically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Fourth, 91.1% of music college students’ recognized that a major in music and a major in music therapy had a positive correlation. However, 42.2% responded with, “ I do not know,” whether go into music therapy. The reason for this was that 51.9% were in situations where they were undecided about their future career, followed by 23.3% of respondents expressing a lack of knowledge about music therapy in general. In conclusion, more evidence-based research, education opportunity and publicity could promote a better understanding of music therapy for music college students as well as the public.

      • KCI등재

        음악치료사의 정체성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고명한 한국음악치료학회 2011 한국음악치료학회지 Vol.13 No.1

        이 연구는 음악치료사의 정체성이 형성되는 과정을 통하여 음악치료사로서의 발전을 꾀하려는 여러 음악치료사들과 학생들에게 음악치료에 관한 보다 깊은 이해와 더불어 음악치료사로서의 자신의 역할과 앞으로의 경험과 계획에 대한 미래지향적 성찰의 길을 제안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다섯 명의 음악치료사의 경험을 심층면담을 통해 수집하였으며, 결과는 Giorgi(2003)의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면담 내용의 분석을 통하여 77개의 의미단위들로부터 33개의 의미단위, 16개의 하위구성요소와 8개의 구성요소들이 도출되었다. 연구결과 음악치료사들은 내적 즐거움과 심미적 자기탐구로서의 과거 음악경험, 변화와 호기심의 내적욕구와 애타심에 의해 음악치료 선택, 음악과 인간관계의 치료적 관점으로의 인식변화와 치료효과의 입증필요성 인식, 음악치료의 개념혼동과 치료효능성 입증의 어려움으로 인한 정체성 혼란, 의욕저하와 시행착오로 이어지는 정체성혼란의 부정적 영향, 자기탐구와 임상적 탐구를 통한 혼란극복시도, 자기 성장과 직업정체성의 성숙, 그리고 음악치료사로서의 견고한 정체성확립의 과정을 통해 음악치료사로서의 정체성을 형성해 나가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experiences of music therapists’ identity and to suggest appropriate answer for understanding music therapy and the rolel as a music therapist. Five music therapis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and data were gathered through depth interview. Date were analyzed by using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 of Giorgi(2003). The results of the study revealed 8 domains and 16 subdomains. The results showed that through 8 domains : past-musical experience for internal pleasure and esthetic self investigation, choosing music therapy by internal need and altruism, changing attitudes regarding music therapy to therapeutic perspectives, confusion of identity due to confuse the concept of music therapy and difficulty to prove an therapeutic effectiveness, negative effect by demotivation and trial and error, attemption to self-clinical investigation, growth of self identity, and establishing strong identity, music therapist grow their identities as professional music therapists.

      • KCI등재

        임상경력에 따른 음악치료사 발달수준과 소진 및 적응유연성의 관계*

        정윤아(Jung, Yuna),김영신(Kim, Youngshin) 한국음악치료학회 2018 한국음악치료학회지 Vol.20 No.1

        이 연구는 임상 경력이 음악치료사가 지각하는 발달수준과 소진 및 적응유연성에 미치는 영향 을 고찰하고, 더 나아가 발달수준과 소진의 관계에서 적응유연성의 조절효과를 음악치료사의 경 력 수준에 따라 분석하는데 초점을 맞추었다. 이를 위하여 (사)한국음악치료학회에 등록된 음악 치료사 151명을 대상으로 예술치료사 발달수준척도, 소진척도, 적응유연성 척도를 사용하여 변 인을 측정하였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경력 수준별 음악치료사의 발달수준과 소진, 적응 유연성을 살펴본 결과, 경력 1-3년 미만 집단이 소진을 가장 높게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음악치료사의 경력이 높은 집단일수록 적응유연성이 높은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대인관 계효율성, 낙관적 태도, 분노조절의 하위변인 분석에서 5년 이상의 경력 집단의 적응유연성 점 수가 타 집단에 비해 통계적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셋째, 음악치료사가 지각하는 발달수준이 음악치료사의 소진 경험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경력 수준을 고려하지 않은 음악치료사 전체집단에서는 발달수준이 높을수록 소진을 덜 경험하며, 특히 치료관계가 잘 형성될수록 소진 이 완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음악치료사가 지각하는 발달수준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적응유연성의 조절효과를 분석한 결과, 음악치료사 전체집단에서 음악치료사가 지각하는 발달수준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을 적응유연성이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s of music therapists’ perceived professional development level and resilience on burnout according to their level of work experiences. Furthermore, this study aimed to determine the moderating effects of resilience in this relationship. 151 music therapists who registered in the Korean Music Therapy Association participated in this study and completed measures of Maslach’s Burnout Inventory, Professional Development Scales for Creative Arts Therapists, and Resilience Scales. As a result, first, music therapists of 1 〈 3 years of work experiences scored statistically highest for burnout. Secondly, results showed that the level of work experiences significantly influenced music therapists’ perceived resilience. Also, music therapists having more than 5 years of work experiences showed the highest scores in interpersonal insight and warmth, confident optimism, and skilled expressiveness compared to other groups. Thirdly, the level of music therapists’ development level significantly influenced burnout and therapeutic relationship was shown to be a significant factor to reduce their level of burnout. Finally, resilience moderated the effects of music therapists’ development level on burnout

      • KCI등재

        주간보호센터 노인들의 집단음악치료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김기쁨,김동민,정종현 한국음악치료학회 2024 한국음악치료학회지 Vol.26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주간보호센터 노인들의 집단음악치료 경험을 본질적으로 이해하고 탐구하는 데 있다. 연구 참여자들은 평균 연령 85세의 노인 8명으로 노인주간보호센터에 입소 중이며, 치매 간이검사(MMSE-K) 점수가 25점 이상인 정상인지 수준의 노인들로 구성되었다. 본 연구는 2021년 3월부터 4월까지 심층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고, Giorgi의 현상학적 분석절차에 따라 연구를 진행하였다. 그 결과, 공통적인 경험의 본질로 판단되는 15개의 하위구성요소를 추출하였으며, 최종적으로 4개의 구성요소를 도출하였다. 4개의 구성요소는 ‘집단음악치료를 참여하게 된 계기’, ‘집단 음악치료에서의 긍정적인 경험’, ‘집단음악치료에서의 어려운 경험’, ‘향후 집단음악치료에 대한 기대’로 나타났으며, 주간보호센터 노인들이 느끼는 집단음악치료의 경험은 그들의 삶에 매우 긍정적인 의미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는 주간보호센터 노인들의 집단음악치료 경험에 대해 전반적인 이해를 도왔으며, 주간보호센터 노인들에게 비대면 음악치료가 새로운 플랫폼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점을 확인한 것에 의의가 있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하여 주간보호센터 노인들의 집단음악 치료 경험에 대해 이해하고, 주간보호센터 노인들의 심리 ․ 정서적 건강 및 삶의 질 향상을 위해 음악치료를 적용하는 데 있어 참고자료가 되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undamentally understand and explore the group music therapy experiences of elderly individuals at a day care center. The participants consisted of eight elderly individuals with an average age of 85, residing in a day care center and assessed to have normal cognitive function with a Mini-Mental State Examination(MMSE-K) score of 25 or higher. Data was colle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conducted from March to April 2021, and the research was conducted following Giorgi’s phenomenological analysis procedure. As a result, 15 sub-elements deemed essential to the common experience were extracted, ultimately leading to the identification of four main components: ‘motivation to participate in group music therapy’, ‘positive experiences in group music therapy’, ‘challenges in group music therapy’, and ‘expectations for future group music therapy’. The elderly participants’ experiences of group music therapy at the day care center were analyzed to have significantly positive meanings in their lives. This study has helped to gain an overall understanding of the group music therapy experiences of the elderly at day care centers, and it is significant in highlighting the potential of remote music therapy as a new platform for these elderly individuals.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serve as a reference for applying music therapy to enhance the psychological, emotional health, and quality of life of elderly individuals at day care centers.

      • KCI등재

        2000년부터 2006년까지의 국내외 음악치료관련서적의 출판경향

        임영희 한국음악치료학회 2007 한국음악치료학회지 Vol.9 No.2

        이 연구의 목적은 2000년부터 2006년 사이에 출판된 음악치료 국외와 국내 서적의 출판경향을 조사하는 것이었다. 국외서적의 경우 아마존 홈페이지에서 ‘음악치료’ 키워드로 검색된 도서목록 중 출판언어가 영어인 출판물을 중심으로 주요출판사의 홈페이지에서의 온라인작업 및 대학 중앙도서관을 통한 오프라인 작업으로 대상 서적을 선정하였다. 국내서적의 경우 국립중앙도서관 및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의 홈페이지와 이들을 소장한 대학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의 서적 목록을 기초로 대상 서적을 선정하였다. 연구자는 연구대상 목록을 연도별 출판현황, 내용, 집필형태, 번역여부, 저자이력 등으로 범주를 나눠 분류하였으며, 각 항목을 코딩한 자료를 엑셀 2003 피벗테이블의 범주분석을 통해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국외 음악치료관련 서적은 82권, 국내 음악치료관련 서적은 35권으로 총 117권이 출판되었다. 둘째, 국내외 음악치료 관련서적의 내용은 음악치료 개론, 특정모델 또는 방법, 음악치료활동 매뉴얼, 음악치료 연구법, 의학 및 기타분야 또는 특정 클라이언트에 대한 사례 등 5가지로 분류 되었다. 총 117권 중 의학 및 기타분야 또는 특정 클라이언트의 사례를 다룬 음악치료 서적이 48권(41%)으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은 음악치료개론서 성격의 서적이 37권(32%)이었다. 셋째, 집필 형태별 출판 부수는 총 117권 중 단독집필이 75권(64%)으로 가장 많았고, 공동 집필이 40권(34%)이었으며, 기관 집필은 2권(2%)으로 가장 적었다. 넷째, 국내 서적을 번역서의 여부로 분류한 결과 35권의 서적 중 번역서가 아닌 것이 19권(54%), 번역서인 것이 16권(46%)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음악치료관련 서적을 출판한 저자의 이력으로 분류하였을 때 음악치료사에 의해 출판된 서적이 117권 중 80권(68%)으로 주류를 이루었고, 나머지 32%는 그 외 또는 미상이 13권(11%), 음악(교육・특수교육)교수 / 코디네이터 / 디렉터 등 음악관련 직종에 종사하는 저자에 의해 출판된 서적이 12권(10%), 음악치료사와 다른 분야 전문가와의 공동 저자에 의한 서적이 10권(9%), 심리 / 철학 / 사회복지 / 그 외 예술치료사에 의해 출판된 서적이 2권(2%)인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trend of music therapy publication in and out of Korea from 2000 to 2006. The data consisted of the publications on the field of music therapy publications written in English which were posted on the Internet site AMAZON in the title of Music Therapy and publications written in Korean, which were surfed through the homepage of The National Library of Korea and Korea Education & Research Information Service by using the way of on-line and off-line alternatively. Using Excel 2003 pivot table analysis, the researcher classified the whole data into 5 categories which were the annual number of issues, contents, the type of writing (co-writing or single), and status of translation and career of the author. The results were first, there were 117 publications in total, 82 publications written in English and 35 in Korean. Second, in terms of contents, they dealt mainly with the introduction of music therapy, particular models or methods, manuals of practical music therapy, the method of study on music therapy and medical applications or case studies about certain clients. The result showed that the contents like medical application or case studies about certain clients were frequently dealt 41%(48 out of 117), and then the introduction of music therapy follows(32%). Third, the number of issues through the type of writing indicated that publication authored by one person has 64%(75 out of 117) ratio in the field, comparing with 34% of co-writing(30 out of 117) and 2% of others like group-writing. Forth, in accordance with the status of translation, 54%(75 out of 117) of whole publications were not translated while 46%(16 out of 117) were translated. Finally, the career of authors who published music therapy-related books was revealed that the music therapist’s writings were dominant in the ratio of 68%(80 out of 117). Meanwhile, the rest or anonyms(11%), the writers working in music-related jobs such as music coordinators(10%), co-writers between music therapists and experts on the other subjects(9%) and others such as psychologist, philosopher, social welfare and art therapist were 2%.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