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아시아권 대도시의 정신보건 정책 비교 연구

        윤신정,임희영,김수현,박신영,이명수 서울시정신보건센터 2013 정신건강연구집 Vol.4 No.-

        ■ 연구목적:본 연구는 아시아권 대도시 간에 정신보건 정책의 특징을 비교분석하여 추후 서울시 정신보건 정책 수립에 필요한 기 초자료를 마련하기 위함이다. ■ 연구방법:아시아권 대도시 중 서울시를 비롯하여 일본 도쿄, 홍콩, 싱가포르를 선정하여 각 도시의 정신보건 관련 법률, 정책보 고서, 정책회의자료, 통계연감 및 백서 등의 자료에 대한 문헌조사를 실시하였다. ■ 연구결과:정신보건 정책의 영역을 중증정신질환자, 아동청소년 정신건강, 우울 및 불안, 자살예방, 음주 5개 영역으로 나누었을 때 서울시와 도쿄는 5개 영역에 대한 정책을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홍콩은 중증정신질환자와 음주 영역에, 싱가포르 는 중증정신질환자와 아동청소년 정신건강, 우울 및 불안에 관한 정책이 두드러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결 론:타 아시아권 대도시와 유사하게 서울시 역시 탈원화에 대한 이슈가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어 보다 적극적인 정책방 안과 더불어 아동청소년 정신건강증진을 위한 통합적인 서비스 체계 구축, 시민 스스로 정신건강증진을 위해 직장, 학교, 등 다양 한 분야에서의 프로그램 개발이 요구된다. ■ Objective: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a comparative information for developing Seoul mental health services through analysing mental health policy, systems and programs of several Asian cities. ■ Methods : We did comprehensive literature review concerning mental health Act, policies, reports, statistics and white papers of Seoul, Tokyo, Hong Kong and Singapore. ■ Results : We categorized five mental health domains that is serious mental illness, children and youth mental health, depression and anxiety, suicide prevention and alcohol problem. While city of Seoul and Tokyo covered all the domains of mental health, Hong Kong focused more onto the domains of serious mental illness and alcohol problem, and Singapore had a tendency to focus on the children and youth mental health, serious mental illness and depression and anxiety. ■ Conclusion : Deinstitutionalization was common important political issue in all the Asian cities. Building an integrated service system for child and adolescent mental health and high prevalence mental disorder such as depression, anxiety was important political issue in Asian cities.

      • 음주행태수준 및 신체·정신건강과 정신보건서비스에 관한 연구 : 서울시 공공의료기관 응급실 내원 주취자 대상으로

        이승연,이상미,박장호,이명수 서울시정신보건센터 2012 정신건강연구집 Vol.3 No.-

        ■ Objective: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a preliminary data for developing effective management system of alcohol misuse people by analyzing drinking behaviors, health status and mental health service utilization of heavy drinker visiting emergency center of public hospitals. ■ Methods : Questionnaires was done from the 154 heavy drinkers visiting emergency center of public hospitals in Seoul from May to November in 2012. We did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drinking behaviors, health status, mental health service perception and service utilization. ■ Results : 69.2% of the participants could be categorized by alcohol use disorder. Most of the participants was needed to intensive intervention for alcohol misuse. Higher risk level of drinking has correlation with lower level of health status. Mental health service perception is positively related to service needs for mental health, education level and health care status. ■ Conclusion : Even though most of heavy drinkers visiting emergency centers were alcohol use disorder group and had severe physical and/or mental health problems, their needs for mental health services was very low. Therefore, we should try to develop ER-based awareness increasing programs and proper interventions for alcohol misuse. ■ 연구목적:연구는 서울시 공공의료기관 응급실 내원 주취자를 대상으로 음주행태, 건강상태 및 정신보건 서비스 이용욕구에 관한 실태를 분석하여 효과적인 주취자 관리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 연구방법:서울시 공공의료기관 응급실 내원 주취자 154명을 대상으로 2012년 5월부터 11월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음주행태와 건강수준, 정신보건서비스에 대한 인식과 이용욕구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 연구결과:응급실 내원 주취자들 중알코올사용장애는 69.2%로 나타났으며, 주취자 대부분은 집중적인 알코올서비스 개입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고위험 음주행태를 지닌 대상일수록 건강수준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정신보건서비스 기관에 대한 인식은 정신보건서비스 이용욕구, 학력 및 의료보장형태와 정적인 상관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 결론:응급실 내원 주취자 대부분은 알코올사용장애와 같은 고위험 음주 문제와 낮은 수준의 신체·정신적 건강상태를 보이고 있는 반면 정신보건서비스에 대한 욕구는 낮게 나타났다. 따라서 응급실 내원 주취자들의 정신보건서비스에 대한 인식개선과 함께 서비스 공급을 위한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 서울시 정신건강증진모형 구축을 위한 실태조사

        김은희,김진형,임희영,김수현,박정숙,이명수 서울시정신보건센터 2012 정신건강연구집 Vol.3 No.-

        ■ Objective: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present situation of mental health promotion programs in the community mental health center and to provide the basis for new framework of mental health promotion services in the future. ■ Methods : Survey was done from the team manager of community mental health centers. We accomplished the second survey of using telephone and e-mail to improve the accuracy of data. ■ Results : 45.2% of budget was allocated to the Child & Adolescent services and 42.4% to depression & suicide prevention services. The Mean number of staff was 2.3(depression & suicide prevention), 2.1(Child & Adolescent), and 1.0(Alcohol addiction). In the alcohol addiction and child & adolescent services, the proportion of counseling and programs for high risk population was higher. The activities for primary prevention to the general population were more accomplished in the depression and suicide prevention services. ■ Conclusion : It is necessary to provide standard service guidelines and to implement evidence-based programs for mental health promotion. ■ 연구목적:본 연구는 서울시의 지역정신보건센터에서 수행하는 정신건강증진사업의 실태를 살펴봄으로써 향후 정신건강증진서비스의 새로운 모형을 구성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 연구방법:서울시 지역정신보건센터의 팀장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행하였다. 설문 후 데이터의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 전화 및 이메일을 통해 보완작업을 하였으며, SPSS 18.0을 이용하여 기술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 연구결과:서울시 지역정신보건센터에서의 정신건강증진사업 예산 중 45.2%가 아동청소년영역에 투입되고 있었고, 그 다음이 우울 및 자살예방영역 42.4%로 나타났다. 영역별 평균 수행인력은 아동청소년 2.1명, 알코올 1.0명, 우울 및 자살 2.3명, 기타 1.0명으로 나타났다. 아동청소년 및 알코올사업영역은 고위험군을 대상으로 한 상담 및 프로그램(증진사업) 비중이 높게 나타났고, 우울 및 자살사업영역은 타 사업에 비해 일반인구를 대상으로 일차예방사업을 주로 하고 있었다. ■ 결론:효과적인 정신건강증진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표준적 가이드라인 제시 및 근거에 기반한 프로그램 배포가 필요하다.

      • 지역사회서비스에 유입된 정신증 고위험군에 관한 추적 관찰 연구

        강연주,서용진,이명수,이은지,김은희,좌희선 서울시정신보건센터 2017 정신건강연구집 Vol.7 No.-

        • 연구목적 : 본 연구에서는 지역사회 기반 조기정신증 집중평가결과 정신증 고위험군으로 판단된 대상자의 정신증으로의 이환 수준, 증상 및 사회기능 수준의 변화를 조사하여 조기정신증 조기 발견 및 조기 개입 전략이 지역사회 정신보건영역에서 확산될 수 있도록 합리적 근거를 생성하고자 하였다. • 연구방법 : 2012년 1월부터 2015년 8월까지 서울시정신건강복지센터에 내소한 내담자 중 ESI(Eppendorf Schizophrenia Inventory), SIPS(Structured Interview for Prodromal Syndromes), 심층면접을 통한 종합사정평가 결과 정신증 고위험군 으로 평가된 대상자에 대하여 서비스 유입경로, 인구학적 특성, 정신증으로의 이환수준, 증상 및 사회기능 수준을 조사하였다. • 연구결과 : 조기정신증 집중평가시스템에 총 170명이 유입되어, 이 중 119명(70%)을 대상으로 ESI, SIPS를 포함하여 종합 사정평가가 이루어졌고, 그 결과 ‘정신증 고위험군’으로 평가된 경우는 24명(20%)이었다. 서비스 유입 경로는 ‘정신건강복지 센터 통한 의뢰’가 11명(46%), ‘서울시자살예방센터(1577-0199) 통한 의뢰’가 7명(29%), ‘정신의료기관 통한 의뢰’가 1명 (4%), ‘자발적문의’가 5명(21%)으로 나타났다. 서비스에 동의한 대상자들에 대해서는 지지정신치료, 인지상담, 정신건강교육, 가족 개입 등 집중적인 사례관리를 제공하였으며, 이 중 ‘약물치료가 필요하여 정신의료기관에 연계한 경우’는 11명(46%)이었 고, ‘약물치료 없이 심리사회적 개입만을 제공한 경우’는 13명(54%)이었다. 종결한 대상자의 평균 서비스 이용기간은 9.6개월로, 서비스 종결 전까지 추적관찰과정에서 정신병으로 이환된 경우는 없었다. 서비스 등록 당시와 종결시점, 그리고 현시점에서 학업 및 취업, 시험 및 취업준비 등 정기적 활동이 유지되고 있는지에 대한 조 사에서는 의미 있는 활동에 참여하는 비율이 등록시점 19명(79%)에서 종결시점 및 현시점에서 23명(96%)으로 변화되었고, 등록당시 유지하고 있는 사회적 기능수준이 서비스 종결 및 현시점에서도 지속적으로 유지되거나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 결론 : 지역사회 기반 조기정신증 조기발견 및 조기개입 활성화를 위해서는 정신건강분야 종사자 대상 조기 징후 인식을 위한 교육을 우선적으로 진행하되, 더 나아가 위태로운 상태의 청년들을 접할 수 있는 다양한 상담기관등 교육대상의 확대가 필요하 다. 더불어 광역형 프로젝트사업으로 진행하고 있는 조기정신증 조기 발견-평가-집중적인 개입시스템이 중장기적으로는 서울 시 25개구 정신건강복지센터에서 다양한 지역사회기관과의 • Objective : This study is to follow the high-risk group, which was confirmed through the communitybased intensive psychiatric assessment system, and to investigate its morbidity level to psychosis, symptoms, and changes in the social functioning levels. Those are to ultimately create the rational basis to further expand the early detection programs as well as the early intervention strategies for psychosis across the community-based mental health services. • Methods : This study evaluated the service inflow channels, demographic features, morbidity level to psychosis, symptoms, and social functioning levels of the psychiatrically high-risk group. The high-risk group was confirmed through the comprehensive assessment, such as ESI (Eppendorf Schizophrenia Inventory), SIPS (Structured Interview for Prodromal Syndromes), and in-depth interviews, among the clients, who had visited the Seoul Mental Health Center from January of 2012 to August of 2015. • Results : 170 subjects applied for the early psychiatric assessment system in total. Among them, 119 subjects (70%) were evaluated for the comprehensive assessment, such as ESI and SIPS, and 24 subjects (20%) were confirmed to be the high-risk group for psychosis. For the service inflow channels, 11 subjects (46%) were introduced through the Seoul Mental Health Center, 7 subjects (29%) through the Seoul Suicide Prevention Center (call no. at 82- 1577-0199), 1 subject (4%) through the mental health-related organization, and 5 subjects (21%) through voluntary inquiries. For the subjects, who agreed to the service contents, the intensive management services were provided, including supportive psychotherapy, cognitive counseling, mental health education, and family intervention. Among then, 11 subjects (46%) were transferred to the mental health-related organization for medication treatment, and 13 subjects (54%) were treated with psycho-social intervention without any medication. The average service duration was 9.6 months, and there was no psychiatric morbidity during the follow-up study. The participation rates in the meaningful social activities, such as study, job searching, and examination preparation, had increased 79% (19 subjects) at the point of service registration to 96% (23 subjects) at the point of service termination. Meanwhile, the social functioning level at the point of service termination had also maintained or improved compared to the social functioning level at the point of service registration. • Conclusion : For the community-based early detection and early intervention programs for psychosis, the employees in the mental health field should be preferentially trained to be able to detect early warning signs of psychosis. Further, the training programs should be expanded to various counselling agencies, to which young people in the risky group can easily access. In addition, the early detection, assessment, and intensive intervention systems, which are being conducted as the metropolitan projects, should be settled as the community-based projects by co-establishing the early detection and intervention systems with the mental health centers in 25 districts in Seoul as well as with various community organizations. To this end, it requires constant political attentions and supports.

      • 지역사회기반 제공자 관점 소비자 참여수준 조사 연구

        이명수,성혜연,최지애 서울시정신보건센터 2015 정신건강연구집 Vol.6 No.-

        ■ 연구목적 : 본 조사연구는 서울시 지역 정신보건기관에서 서비스를 기획, 수행 , 평가하는 과정에 있어 소비자 참여정도에 대한 수준을 파악하고 현항 분석을 통해 소비자 참여 수준 확대를 위한 선진화된 정신보건서비스 체계를 구축하기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기 위함임. ■ 연구방법 : 2012년 개발한 4요인(정보제공 및 수렴, 참조, 연대, 파트너쉽) 16개 문항으로 구성된 제공자 관점의 소비자 참여 수준측정 설문지를 통해 2013년부터 2015년까지 서울시 관내 정신보건기관을 대상으로 조사를 시행해 기관별 소비자 참여수준을 측정하고 연도별 변화추이를 모니터링함. ■ 연구결과 : 개발된 지표를 서울시 관내 정신보건기관에 적용한 결과 소비자 참여수준은 가장 낮은 수준의 단계인 1level은 점차 감소하는 추세임. 반면 알 권리 충족의 정보제공 차원보다 한 단계 높은 수준인 2level은 2015년 결과에서 가장 높은 비율을 나타냈고 소비자 욕구가 반영되기 시작하는 3level의 경우 2013년 14.6%, 2014년 15.7% , 2015년 18.4%로 해마다 그 비율이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 제공자와 소비자가 동등한 관계로 결정권을 행사하는 가장 높은 수준의 단계인 5level의 경우 소폭이긴 하나 해마다 그 비율이 증가하고 있음. ■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urvey study was to provide with primary data for expanding customers participation in services and establishing an advanced mental health service system through understanding the customer participation in planning,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of services of the local mental health centers in Seoul and analyzing the present condition. ■ Methods : This survey study used a questionnaire which was developed to be composed of 4 categories(provision and collection of information, reference, solidarity, partnership) with 16 questions in 2012 for measuring the level of customer participation in perspectives of providers, investigated the mental health centers in Seoul from 2013 to 2015, evaluated the level of customer participation of each center, and monitored their annual changes. ■ Results : As a result of applying the developed indicator to 140 mental health centers in Seoul, the number of centers in level 1, the lowest customer participation level, had been gradually decreasing. On the other hand, in 2014, most centers were in level 2, one level higher than the provision of information just enough to satisfy the right to know. In 2012, 14.6% of centers were in level 3, the beginning of reflection on customer’s needs. In 2013, 15.7% of centers were in level 3, and in 2014, 18.4% of centers were in level 3. This showed the ratio of level 3 had annually increased. The ratio of level 5, the highest level where providers and customers could exercise their rights to decide, had slightly increased in every year.

      • 서울시 정신질환자 자살 관련 실태에 관한 연구

        이구상,서영미,남은경,김동욱,김지은,이명수 서울시정신보건센터 2010 정신건강연구집 Vol.1 No.-

        ■ 연구목적 : 서울시 정신보건시설에 등록된 정신질환자의 자살 실태를 파악하고, 자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지역사회 정신보건기관의 역할과 향후 과제에 대해 모색해보고자 하였다. ■ 연구방법 : 2010년 6월 28일부터 2010년 9월 28일까지 서울시 소재 정신보건센터, 알코올상담센터, 사회복귀시설의 서비스를 등록하여 이용하고 있는 정신질환자를 대상으로 설문을 시행하였다. 총 106기관에 배포하여 75기관(회수율: 70.8%) 회수하였고, 최종적으로 정리된 설문지는 4,218개였다. ■ 연구결과 : 여성이 52.4%였고, 의료급여가 54.3%로 절반이상을 차지하였다. 69.5%가 동거하는 가족이 없으며, 교육수준은 고졸이 43.8%로 가장 많았다. 26.4%가 자살을 시도한 경험이 있으며, 그 중 약물에 의한 자살 시도가 34.1%로 가장 높았다. 조사대상자의 20%가 현재 자살에 대한 생각을 가지고 있으며, 이 중 24.3%는 구체적인 자살 계획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살을 구체적으로 계획하고 있는 이유로는 질환 및 장애가 29.6%로 가장 높았다. ■ 결론 : 연구 결과 서울시 소재 지역 정신보건기관의 서비스를 이용하는 정신질환자의 자살 문제가 심각한 것으로 드러났다. 이에따라 지역사회 정신보건 기관 관계자들이 자살에 대한 인식을 새롭게 하고 이에 대한 적극적인 노력이 필요하며, 자살 실태 파악을 통해 정신질환자의 자살예방을 위한 구체적인 방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stablish the standard guidelines for suicide prevention and intervention of community mental health facilities throuth analysing current suicide events. ■ Methods : Survey was performed to the enrolled patients of community mental health centers. Alcohol counseling centers and social rehabilitation facilities. The survey was done between June to September 2010. We used frequency analysis to see demographic. Psychiatric and suicidal characteristics and used cross-tabulation to correlate psychiatric features to suicidal ones. ■ Result : Females were 52.4% and medicaid patients were 54.3%. 65.9% of patients were living alone and high school graduates were most common(43.8%). 26.4% of enrolled patients have experienced suicide attempts and among them. 34.1% did attempt by druf overuse. One fifth of surveyed patients have suicide ideation currently and among them. 24.3% have plan for suicide attempt. 29.6% of patients were considering suicide because of there illness and disabilities. ■ Conclusion : We can find out the suicidal risks of mental illness patients who use community mental health services are very serious. We should prepare proper detection and intervention program for suicide of serious mental illness.

      • 초발정신질환자를 대상으로 하는 정신질환 미치료기간에 대한 연구

        유정민,안소라,조유선,이명수 서울시정신보건센터 2011 정신건강연구집 Vol.2 No.-

        ■ 연구목적 : 본 연구는 초발정신질환자의 미치료 기간(DUP, Duration of Untreated Psychosis)을 조사함으로서 조기발견 및 조기개입에 대한 정신보건서비스 효과성 평가의 기본적 지표로 삼고자 하였다. ■ 연구방법 : 서울 지역에 소재해 있는 14개 정신의료기관에서 2007년 8월부터 12월까지의 기간 동안 처음 치료를 시작한 초발정신병 환자로서 4주 이상의 약물 치료를 받은 97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DUP에 대한 설문조사와 함께 인구사회학적 특성 및 정신과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 연구결과 : 연구대상자의 DUP 평균은 840.3일로 나타났다. 이는 약 120주, 30개월, 2.5년에 해당하는 기간이다. DUP의 중앙값은 180일로 나타났으며, 최빈값은 60일로 나타났다. ■ 결론 : 2007년 서울지역의 급성기 정신의료기관에서 처음 치료를 시작한 초발정신질환자의 DUP는 다른 나라에 비해 상대적으로 긴 것으로 나타났다. ■ 주요용어 : 초발정신질환자, 미치료기간, 정신보건지표 ■ Objective : The object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DUP(Duration of Untreated Psychosis) as a basic mental health indicator for monitoring early detection and early intervention of first episode psychosis. ■ Method : We recruited 97 first episode psychosis who started treatment over 4 weeks from the 14 psychiatric hospitals which are located in Seoul city from August to December in 2007. We investigated socio-demographic information and psychiatric characteristics as well as DUP. ■ Result : The average DUP was 840.3 days compatible with 120 weeks, 30 months and 2.5 years. The median number was 180 days and the greatest in number was 60 days. ■ Conclusion : The DUP of first episode psychosis in Seoul who started first treatment in the year of 2007 was relatively longer than other western countries.

      • 지역사회 정신보건서비스에 대한 소비자 참여도 지표 개발 연구

        오정하,고정아,임희영,박정숙,이명수 서울시정신보건센터 2011 정신건강연구집 Vol.2 No.-

        ■ 연구목적 : 본 연구는 지역정신보건사업의 기획, 수행 및 평가과정에서 소비자참여를 활성화하고 모니터링하기 위한 객관적 지표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 연구방법 : 지표개발 설문문항 구성을 위하여 문헌고찰, 사전조사, 전문가 자문 과정을 진행하였다. 지표는 의사소통채널, 정책수립 및 평가단계에서의 소비자 참여, 소비자 참여지원방식, 소비자요구도 조사 및 반영 등의 4개 영역으로 구성되었으며 25개 자치구 보건소의 정신보건사업담당자를 대상으로 지표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 연구결과 : 설문 결과 1레벨 19%, 2레벨 38%, 3레벨 43%, 4레벨 0%로 나타났다. 서울시 지역정신보건서비스에서의 소비자 참여는 전반적으로 소비자 참여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참여 할 수 있는 조직이나 구조는 구성하였고 기관 차원의 소비자 활동 지원체계가 마련되어 있으나 실질적인 소비자 참여가 적극적으로는 이루어 지지 않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결론 : 선진국형 정신보건사업체계 구성을 위하여 소비자 참여 활성화를 위한 접근성 개선 및 법적, 제도적 보완작업과 함께 서비스 제공자의 인식개선이 필요하다. ■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objective indicators for promoting and monitoring consumer participation in community mental health services. ■ Method : We constructed 4 categories of indicators that is communication channel, consumer participation in policy making and evaluation, supporting mechanism for consumer participation and need assessment and reflection through literature review, pre-survey and professional consultation. We accomplished survey to the government officers for mental health services in 25 public health centers. ■ Result : The consumer participation level of 25 catchment areas are as follows ; level 1(19%), level 2(38%), level 3(43%), level4(O%). We can interpret this result that we had established the general organization and structure for consumer participation and had developed supporting system for the participation but the real active consumer participation was not activated yet. ■ Conclusion : It is essential that improvement of accessibility for the consumers to policy making and evaluation process, the complementary measures in terms of legal and systematic perspectives as well as improving awareness of service providers.

      • 서울시 자살예방지킴이 훈련 효과성 검증에 관한 연구

        이구상,고진선,김진경,윤신정,이희진,이명수 서울시정신보건센터 2014 정신건강연구집 Vol.5 No.-

        ■연구목적: 본 연구는 서울시에서 개발한 자살예방지킴이(Gatekeeper) 훈련이 자살위험 대상자를 조기발견하고 연계함에 있어서 결정적인 역할을 할 수 있는 자살에 대한 오해와 편견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2012년 서울시자살예방센터를 중심으로 개발된 서울시 자살예방지킴이 훈련 양성 과정에서 자살에 대한 오해와 편견에 대한 인식변화 여부를 검증하기 위하여 2014년 1월부터 5월까지 서울시자살예방센터와 25개 자치구 정신건강증진센터를 통해 ‘자살예방지킴이 훈련 양성 과정’을 이수한 자 4,090명을 대상으로 3시간 양성과정을 진행했으며 교육 전․후 동일한 설문을 실시했다. 이를 토대로 사전사후 변화를 검정하기 위해 SPSS 18.0을 통해 대응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자살예방지킴이 훈련을 실시하기 전과 실시한 후 ‘자살에 대한 오해’를 통해 대응표본 t검정을 실시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Objective: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 of gatekeeper training on the misconception and prejudice about suicide which play a decisive role to detect suicidal person early and establish liaison. ■Methods: From January to May, the study performs the 3 hour training for 4,090 graduates of the ‘gatekeeper training program’ in the Seoul Suicide Prevention Center and 25 local mental health centers to verify the change in misconception and prejudice about suicide during the gatekeeper training in Seoul mainly developed by the Seoul Suicide Prevention Center in 2012. Based on this, the paired samples t-test is performed through SPSS 18.0 to test the changes between before and after the gatekeeper training. ■Results: As a result of the paired samples t-test for ‘the misconception about suicide’ before and after the gatekeeper training, there i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 서울지역 정신건강증진센터 사례관리서비스 제공자 역량수준 측정

        김희정,김윤정,이연경,이인혜,조정은,서용진 서울시정신보건센터 2015 정신건강연구집 Vol.6 No.-

        ■ 연구목적 : 지역사회 실천현장에서 제공되는 사례관리서비스에 대한 confidence rate 향상을 평가하기 위해 표준화된 항목을 통한 사례관리 서비스제공자의 역량 수준을 측정하고, 궁극적으로는 사례관리 서비스의 질 향상을 도모 하고자 한다. ■ 연구방법 : 2012년 경기대학교 민소영 교수가 개발한 [한국 지역사회 정신보건실천 현장 사례관리 역량척도]를 활용하여 서울 지역 25개 정신건강증진센터 사례관리서비스 제공자 215명을 대상으로, 2015년 8월 27일부터 9월4일까지 전자우편을 통해 설문을 실시하였다. 이중 결측 값으로 제외한 1부를 제외한 214부의 설문을 SPSS 22.0으로 빈도분석, 상관관계분석,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 연구결과 : 사례관리 과정을 인테이크, 사정, 계획, 수행, 점검, 평가의 6단계로 분류 하고 수행여부, 중요도, 난이도로 나누어 각각 4점 리커트 척도로 평가한 결과, 수행여부에 대해서는 6단계 모두 평균 3점 이상(대체로 수행한다)의 높은 수행 수준을 보였으며, 그 중 인테이크와 사정 영역의 수행 수준은 95% 이상으로 나타났다. 중요도의 경우 응답자의 98%가 평균 3점 이상(약간 중요하다)으로 응답하여 사례 관리를 수행함에 있어 전 과정에 대한 중요성을 높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요도’에 따른 ‘수행 여부’ 수준을 비교한 결과 ‘중요하게 생각하는 만큼 수행을 많이 한다’는 결과를 기대 하였으나, 분석결과는 각 단계의 중요도는 평균 4.0점(“매우 중요하다”)에 집중되어 분포된 것과 달리 ‘수행 여부’는 비교적 고르게 분포되어 있음을 볼 수 있다. 난이도는 1점(“매우 쉽다”)에서 3점 이상(“약간 어렵다”)로 응답한 비율이 99% 이상으로 비교적 어렵지 않게 느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례관리 서비스제공자의 자기효능감이 수행여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자기 효능감이 높을수록 사례관리 수행의 모든 단계에서 수행 빈도가 증가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통제변수 가운데 학력, 직위, 경력이 높을수록 사례관리 수행 여부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Objective This study used standardized items and measured the competence levels of case management service providers to evaluate the improvement of confidence rate of case management service provided by community centers and to ultimately improve the quality of case management services. ■ Methods : This study used the [Competence Level of Mental Health Care Case Management in Korea Communities] developed by Min, So-Yeong of Gyeonggi University in 2012, and surveyed 215 case management service providers from 25 mental health centers in Seoul between August 27th, 2015 and September 4th, 2015 through e-mails. One service provider did not respond, so that this study used SPSS 22.0 and analyzed frequencies, correlations, and regressions of the remaining 214 survey answers.. ■ Results : This study firstly divided the case management into 6 processes : intake, assessment, planning, implementation, inspection, and evaluation. As a result of evaluating implementation, importance, and difficulty of each process with the 4-point Likert scale. the most implementations of the 6 processes scored averagely higher than 3 points(most of them were implemented). In particular, the levels of the implementations of intake and assessment were higher than 95%, which means very high. Also, 98% of respondents gave 3 or higher points(little important) for the importance, and showed that they recognized all processes very important. This study compared the ‘implementations’ of the processes by ‘importance’, and expected that ‘people implement the processes that they think important’. However, the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the importances of most processes averagely scored 4.0 points(“very important”) and the scores of ‘implementations’ were relatively evenly distributed. About 99% respondents gave 1 point(“very easy”) or 3 (“little difficult”) or higher points. This showed that they felt relatively easy.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influence of service providers’ self-efficacy on implementation, the case management service providers who had higher self-efficacies implemented all case management processes more frequently. Also, the case management service providers with higher levels of control variables including educational background, position, and work experience implemented case management processes more frequent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