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파밤나방 유충의 조직별 지방산 구성과 세포성 인지질분해효소의 역할

        김용균,이승희,서승환,김건우,Kim, Yonggyun,Lee, Seunghee,Seo, Seunghwan,Kim, Kunwoo 한국응용곤충학회 2016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55 No.2

        아이코사노이드는 탄소수 20 개의 다가불포화지방산 산화물로 구성된다. 이들 다가불포화지방산의 생합성 전구물질을 탐지하기 위해 파밤나방(Spodoptera exigua)의 서로 다른 조직으로부터 지방산을 분리하여 GC/MS로 조성을 분석하였다. 파밤나방 5령 유충에서 소화관, 지방체, 혈구 및 체벽을 분리하고, 각 조직에서 지질을 추출하여 각각 중성지질, 당지질 및 인지질로 분리하였다. 대부분의 조직은 palmitic acid (16:0), stearic acid (18:0), oleic acid (18:1), linoleic acid (18:2) 그리고 linolenic acid (18:3)를 주요 지방산으로 함유하였다. 그러나 이들 지방산의 조성은 조직과 지질 종류에 따라 상이하였다. 지방체와 혈구세포는 이들 주요 지방산 이외에 myristic acid (14:0)와 3 종류의 미동정 지방산들이 추가로 검출되었다. 서로 다른 지질 종류 가운데 인지질은 중성지질이나 당지질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linolenic acid를 지닌 반면 포화지방산의 함유량은 낮았다. 전체 불포화지방산의 조성도 조직과 지질 종류에 따라 상이하였다. 인지질은 지방체, 혈구 및 소화관에서 높은 불포화지방산 함유량을 나타냈다. 세포성 인지질분해효소인 calcium-independent phospholipase $A_2$ ($iPLA_2$)는 지방산 조성을 조절하는 데 역할을 담당하였다. 이 유전자의 RNA 간섭은 중성지질과 인지질에서 지방산 조성의 변화를 유발하였다. 본 연구는 아이코사노이드 생합성의 전구물질로 여겨지는 아라키도닉산을 검출하지 못했다. 이는 곤충에 있어서 아이코사노이드는 포유동물과는 다른 새로운 생합성 과정을 통해 형성되는 것으로 추정된다. Eicosanoids are a group of C20 oxygenated polyunsaturated fatty acids (PUFAs). To monitor biosynthetic precursors of these PUFAs, this study extracted fatty acids from different tissues of the beet armyworm, Spodoptera exigua, and assessed their compositions using GC/MS. Fifth instar larvae were dissected to isolate different tissues of gut, fat body, hemocytes, and integument. From each tissue, total lipids were extracted and fractionated into neutral lipid (NL), glycolipid (GL), and phospholipid (PL). Most tissues contained palmitic acid (16:0), stearic acid (18:0), oleic acid (18:1), linoleic acid (18:2), and linolenic acid (18:3). However, their compositions were different among tissues and lipid types. Fat body and hemocytes possessed other type of fatty acids such as myristic acid (14:0) and three unknown fatty acids. Among lipid types, PL contained relatively high levels of linolenic acid than NL and GL, while it had lower saturated fatty acids. Total unsaturated fatty acid composition was varied among tissues and lipid types. PL was rich in unsaturated fatty acids in fat body, gut, and hemocytes. There was a significant influence of calcium-independent phospholipase $A_2$ ($iPLA_2$) on maintaining fatty acid composition because RNA interference of $iPLA_2$ expression significantly modified fatty acid compositions in NL and PL. However, this study did not detect arachidonic acid, a main eicosanoid biosynthesis precursor, in all tissues. This suggests an alternative biosynthesis of eicosanoids in insects, which is distinct from the biosynthetic pathway of mammals.

      • 포화 · 불포화 지방산 함량에 따른 바이오가스 생산 성능

        김수아 ( Soo Ah Kim ),방연규 ( Yeon Gyu Pang ),김상헌 ( Sang Hun Kim ) 한국농업기계학회 2017 한국농업기계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2 No.1

        우리나라 음식물 폐기물은 수분함량 및 유기물 함량이 높기 때문에 부패와 악취, 침출수의 원인이 된다. 하지만 이를 혐기 소화 처리한다면 구성성분에 따라 60-80%가 생분해되어(한국유기성폐자원학회, 2001) 친환경적으로 처리가능하고, 혐기소화 결과물로 발생한 메탄가스를 대체에너지로 사용할 수 있어 유기물을 효과적으로 처리할 수 있다. 그러나 유기성 폐기물은 계절 및 지역에 따라 구성성분의 비가 다르며, 성분 중 지방 함량이 많을 때 바이오가스 생산이 지연되어 생산효율 감소의 주된 원인이 된다(Kafle and Kim, 2013). 전국음식물 폐기물 중 지방함량이 높은 어육류의 발생량은 3차 조사(환경부, 2008)에 비해 2배 이상 증가하였고, 향후 음식 섭취의 서구화로 인한 육류 소비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환경부, 2013). 따라서 본 연구는 지방함량이 높은 유기물의 효율적 처리를 위해 지방산 종류에 따라 포화 · 불포화 지방산을 포함하는 부산물의 혐기소화 능력 및 바이오가스 생산 성능을 구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 결과, 불포화 지방산 함량이 높은 수준인 부산물의 바이오가스는 629.96-749.14 mL/g VS 이며, 포화 지방산 함량이 높은 수준의 부산물은 560.18-715.43 mL/g VS 였다. 불포화 지방산 함량이 25.31%-46.26%로 많아질수록 초기 순응기간은 13일에서 25일로 증가하였고, 총 바이오가스 생산량의 90%가 생산되는 기간인 T90은 57일에서 72일로 증가하여 바이오가스 생산 속도가 감소한 것으로 판단된다. 포화 지방산은 함량이 24.10-48.74%로 증가할수록 초기 순응기간의 변화는 없었고, T90은 69일에서 62일로 감소하였다. 또한 불포화 지방산이 많은 유기물은 모두 바이오가스 생산 과정에서 2단계의 지연현상을 보였지만, 포화지방산은 함량이 증가하여도 1단계의 지연현상을 보였다. 이러한 차이는 두 지방산에 관여하는 미생물의 차이(Diana, 2007)와 불포화 지방산의 굴곡된 형태가 지방산과 미생물이 상호작용 방식에 악영향 미치기 때문으로 판단된다(Diana, 2013). 결론적으로, 두 지방산의 소화 방식은 차이가 있으며, 불포화 지방산 함량이 많은 유기물은 탄수화물 함량이 많은 유기물을 10% 이상 혼합하여 지연상을 감소시킬수 있다(Kim, 2017). 포화 지방산 함량이 많은 유기물은 초기 지연 현상 해결을 위한 연구가 추가적으로 요구된다.

      • KCI등재

        홀스타인 육우 송아지 채끝등심 및 꾸리육의 출하월령별 이화학적 육질 및 지방산 조성

        조수현,강근호,성필남,강선문,김영춘,최순호,문성실,박범영 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2014 농업생명과학연구 Vol.48 No.6

        본 연구의 목적은 육우 송아지 출하월령(3, 6, 9, 12개월) 조건에 따른 채끝등심(m. longissimus lumborum)과 꾸리육(m. tricep brachii)의 이화학적 육질 특성 및 지방산 조성에 미치는 특성을 비교하여 송아지고기의 상품성을 조사해 보고자 수행하였다. 채끝등심육과 꾸리육 모두 출하월령이 증가됨에 따라 수분 함량은 감소하였던(73.20~79.23%) 반면에 단백질(19.51~23.13%) 및 지방(0.76~1.99%) 함량은 증가하였다. 육색의 경우 두 부위 모두 출하월령이 증가됨에 따라 L*값(30.62~43.81)은 감소하는 반면에 a*값과 b*값은 증가하였다 (P<0.05). pH는 채끝등심육은 3개월령(5.96)이 꾸리육은 3개월(5.67) 및 6개월(5.73) 령이 다른 출하월령들 보다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미오글로빈 함량은 채끝등심과 꾸리육 모두 출하월령이 증가할수록 증가하였다(P<0.05). 전단력을 측정한 경과 채끝등심육 은 3개월령(5.94 kg)과 12개월령(4.34 kg)이 6개월(9.16kg) 및 9개월령(9.57 kg) 보다 유의적으로 낮았으며, 꾸리육은 3개월령(2.83 kg)이 9개월 (4.47 kg)령 보다 유의적으로 낮았다(P<0.05). 가열감량은 채끝육의 경우 출하월령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나 꾸리육은 다른 출하월령들 보다 12개월(28.37%)령이 낮았고 3개월(36.55%)령이 높았다(P<0.05). 한편 채끝등심과 꾸리육은 모두 12개월령이 근절길이가 길었고 보수력이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지방산 조성을 분석한 결과 채끝등심육은 3개월령에 C18:2n6, C20:1n9, 총 다가불포화지방산 (PUFA), 포화지방산에 대한 다가불포화지방산의 비율(PUFA/SFA) 및 오메가-6(ω-6) 지방산 함량이 유의적으로 높았고 12개월령에는 C16:1n7, C18:1n9, 총 단가불포화 지방산(MUFA), 총 포화지방산에 대한 총 단가불포화 지방산의 비율(MUFA/SFA) 지방산 함량이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꾸리육의 경우 3개월령에 C20:1n9 함량이 높았고 12개월령에는 C14:0, C18:1n9, 총 단가불포화지방산(MUFA) 및 총 포화지방산에 대한 총 단가불포화 지방산의 비율(MUFA/SFA) 함량이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fatty acid compositions of Holstein calves striploin (m. longissimus lumborum) and chuck tender (m. tricep brachii) from 3, 6, 9 and 12-months-old. For both the striploin and chuck tender muscles, the moisture contents (73.20~79.23%) were decreased whereas the protein (19.51~23.13%) and fat (0.76~1.99%) contents were increased as the slaughtering age increased. In meat color, L* values (30.62~43.81) were decreased whereas a* and b* values increased as the slaughtering age increased for striploin and chuck tender muscles (P<0.05) pH values were significantly higher for striploin (5.96) from 3 months old group and chuck tender (5.67) muscles from 3 and 6 months old group than those from the other age groups (P<0.05). The myoglobin content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as the slaughtering ages increased for striploin and chuck tender muscles (P<0.05). For Warner-Bratzler shear force(WBS) values of striploin muscles were significantly lower for striploin muscles from 3- (5.94kg) and 12-month old groups than those from 6- (9.16kg) and 9-months 9.57kg) old groups (P<0.05). However, the WBS values of chuck tender muscles were significantly lower for 3- (2.83kg) months old groups than 9-months (4.47kg) old groups (P<0.05). In cooking los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 for the striploin muscle, but the chuck tender muscles were significantly higher for 3 months old group and lower for 12 months old group than the other age groups (P<0.05). Both of the striploin and chuck tender muscle had longer sarcomere length and higher water holding capacity (WHC) for 12 months old age groups than those from the other groups (P<0.05). For striploin muscle, the contents of C18:2n6, C20:1n9, total contents of PUFA, PUFA/SFA and ω-6 fatty acids were significantly higher for 3-months old group; whereas the contents of C16:1n7, C18:1n9, total contents of MUFA and MUFA/SFA were significantly higher for 12-months old group than the other age groups (P<0.05), For chuck tender muscle, the contents of C20:1n9 were significantly higher for 3-months old group; whereas the contents of C14:0, C18:1n9, total contents of MUFA and MUFA/SFA were significantly higher for 12-months old group than the other age groups(P>0.05).

      • KCI등재

        ${\omega}$-3 및 ${\omega}$-6계 지방산 첨가 사료의 급여가 어린 병아리에서 면역기관 내 지방산 조성에 미치는 영향

        안병기,연제영,지규만,Ahn, Byeong-Ki,Youn, Je-Yeong,Chee, Kyu-Man 한국가금학회 2003 韓國家禽學會誌 Vol.30 No.4

        본 연구에서는 ${\omega}$-6 및 ${\omega}$-3계 지방산을 함유한 유지의 첨가비율을 달리한 실험사료를 어린 병아리에서 급여했을 때 면연 기관의 지방산조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5개의 처리구에 각 처리당 3반복을 두고 총 75수의 1일령 수평아리를 공시하였다. 옥수수유(CO)와 들깨유(PO)를 중량비로 각각 8%+0%, , 6%+2%, 4%+4%, 2%+6%, 0%+8% 수준으로 첨가한 반정제 실험 사료를 7주간 급여하였다. 실험 종료시 증체량 및 사료섭취량은 처리 간에 큰 차이가 보이지 않았으며 체중 100g당 간장 중량 및 면역 기관 중량에서도 유의한 차이가 인정되지 않았다. 면역조직 내 지방산 조성은 EPA와 AA(arachidonic acid)를 포함하여 섭취한 사료 지방산의 조성을 잘 반영하는 경향을 보였는데, 면역기관 간에 그 정도에 차이가 있었다. 들깨유의 첨가수준이 증가함에 따라 linoleie acid LA)의 비율이 점진적으로 감소하였고 반면 a-linolenic acid(LNA) 비율은 현저하게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흉선에는 .LA와 LNA의 함량이 다른 조직보다 현저히 더 많아서 섭취하는 지방산의 조성이 가장 잘 반영되었다. 비장 조직에는 HPA 및 AA 농도와 EPA/LNA, AA/LA의 비율이 다른 조직에 비해 현저히 더 높았는데 이는 비장이 LA나 LNA로부터 AA나 EPA로 전환하는 능력이 높음을 의미한다. 실험사료 급여후 2, 4주후에 조사된 anti-BSA 항체가 유의한 차이는 인정되지 않았으나 CO 8%구에 비해 PO를 첨가한 모든 구에서 더 많이 생성되는 경향이 관찰되었고 특히 PO를 6% 및 8% 첨가한 실험구에서 20~30%나 더 높아졌다. 결론적으로 섭취하는 지방산 조성에 따라 면역기관내 모든 지방산 조성이 변하였으며, 면역기관에 따라 그 반응정도가 달라지는 것이 관찰되었다. 이는 eicosanoids 합성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에 가금에서 질병에 대한 면역력 향상이라는 관점에서 앞으로 더 세밀한 연구가 필요하다. Effects of various combinations of corn oil (CO) and perilla oil (PO) as respective dietary sources of ${\omega}$-6 and ${\omega}$-3 polyunsaturated fatty acids on fatty acid profiles of immune organs were studied in young chicks. Seventy-five 1-day-old male (ISA Brown) chicks were assigned to five treatments with three replications. Semi-purified-type diets containing glucose and soybean meal as major ingredients were added with 8% CO, 6% CO+2% PO, 4% CO+4% PO, 2% CO+6% PO and 8% PO and fed for 7 week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body weight gain, feed intake and relative weights of liver and immune organs (g/100g weight) among dietary groups. Dietary fatty acid patterns were generally reflected in the fatty acid compositions of all immune organs such as spleen, thymus and bursa of Fabricius. The levels of a-linolenic acid(LNA), eicosapentaenoic acid (EPA) and docosahexaenoic acid in various immune organs increased with increasing levels of perilla oil in the diets, whilet the levels of linoleic acid (LA) and arachidonic acid (AA) decreased. Thymus appeared to have capacity to retain remarkably higher (P<0.05) levels of LA and LNA up to 37 and 22%, respectively, compared to the other organs. Thymic tissue contained ${\omega}$-3 fatty acid and ${\omega}$-6 fatty acid 10~36 times and 3~5 times higher than the other organs, respectively. Spleen tissue was specifically higher (P<0.05) in the levels of AA and EPA and the ratios of AA/LA and EPA/LNA, compared to the other organs, suggesting that the tissue might have high desaturase activity to convert LA or LNA to AA or EPA, respectively. BSA antibody production tended to increase by 18 ~ 32% with higher levels of perilla oil in diet, although the increas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conclusion, fatty acid compositions of immune organs very depending on the lipid composition of the diets and each organ appears to respond differently for its fatty acid profile to dietary lipids. Considering AA and EPA are precursors of many important eicosanoids, further studies are required to clarify the responses of the immune organs to the dietary fatty acids.

      • KCI등재

        사육방식의 차이가 거세한우의 등심내 콜티졸 수준 및 지방산조성에 미치는 영향

        하재정,오동엽,이준구,이제영,이지홍,박영식,Ha, Jae Jung,Oh, Dong Yep,Yi, Jun Koo,Lee, Jae-Young,Lee, Ji Hong,Park, Young Sik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 2015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지 Vol.26 No.3

        본 연구는 사육방식의 차이가 한우 등심내 콜티졸과 지방산함량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실시하였다. 무항생제 및 관행축산으로 생산된 한우육 1등급 등심 부위를 3종류의 브랜드별로 각각 3회씩 총 18점을 구매하여 시료로 공시하였고,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한우육 등심내 콜티졸 함량은 무항생제 처리구에서 관행사육 처리구 대비 유의적 (p=0.0176)으로 낮게 나타났으며, 포화지방산 및 불포화지방산 함량에서는 유의적 (p >0.05)인 차이를 나타내지는 않았으나, 관행사육 처리구에서는 포화지방산이, 무항생제 처리구에서는 불포화지방산이 각각 높은 경향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불포화지방산 중 n-3과 n-9 지방산을 제외한 n-6 지방산에서 유의적 (p <0.01)인 차이를 보였다. 또한, 한우 등심내 콜티졸 농도와 n-6 지방산 농도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유의적 (p=0.0014)으로 부 (-)의 상관관계가 성립되었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lucidate the effect of different rearing system on cortisol level, stress hormone, and fatty acid composition in the edible muscle tissues. These steers were reared in two different systems including antibiotic-free (ARS) and conservative system (CRS). In the M-Longissimus tissue, cortisol level was significantly lower in ARS than CRS, (p=0.0176). But, the levels of total saturated and unsaturated-fatty acids does not differ in ARS as CRS (p >0.05). However, the total saturated fatty acid levels tended to be greater in CRS and the total unsaturated fatty acid levels tended to be greater in ARS. However, the level of n-6 unsaturated fatty acid was higher in ARS than CRS (p=0.004). Especially, levels of linoleic acid (LA) and ${\gamma}$-linolenic acid (GLA)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ARS (p <0.01). Cortisol level and the n-6 fatty acid content in muscle tissue were negatively correlated (at p=0.00140.) In conclusion, ARS may produce beef with higher quality which contains lower cortisol and greater n-6 fatty acids, such as ALA and GLA.

      • 지방산 종류에 따른 바이오가스 생산

        김수아 ( Soo Ah Kim ),김상헌 ( Sang Hun Kim ) 한국농업기계학회 2017 한국농업기계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2 No.2

        런던 협약에 의거 2012년부터 가축분뇨 및 음식물류 폐기물의 해양투기가 전면 금지됨에 따라 유기성 폐기물의 효과적인 처리 방안이 요구되는 실정이다(한국과학 기술정보연구원, 2013). 혐기성 소화는 유기성 폐기물을 친환경적으로 처리할 뿐 아니라, 메탄가스의 회수를 통해 자원화가 가능하다. 그러나 유기성 폐기물은 계절 및 지역에 따라 구성성분의 비가 다르며, 이는 바이오가스 생산에 영향을 미친다(Kafle and Kim, 2013). 특히, 유기성 폐기물의 Proximate composition 중 지방 함량이 많을 때 바이오가스생산이 지연되어 생산효율이 감소된다(김민지, 2016). 지방은 구조와 결합 방식에 따라 포화지방과 불포화지방으로 나뉘고, 이들의 혐기소화에 관여하는 미생물이 각각 다르다. 지방의 대부분은 중성지방으로 구성되어있으며, 가수분해산물로 LCFA (장쇄지방산)을 생성한다. LCFA는 탄소수가 12이상인 지방산으로 메탄 균에 악영향을 미친다(Dememyer and Henderickk, 1966). Diana 등(2013)은 LCFA의 사슬길이가 더 길고, 불포화 결합이 많을수록 메탄 균에 대한 독성이 두드러졌다고 보고 한 바 있다. 본 연구 결과, 바이오가스 생산량은 포화지방산보다 불포화지방산 함량이 많을수록 높았다. 또한 불포화지방산 함량이 많아질수록 2단계의 지연현상을 보이며, 바이오가스 생산량의 90%인 T90 기간도 길어졌다. 이러한 결과는 불포화지방산의 높은 탄소 수 및 이중결합 수가 바이오가스 생산에 영향을 미쳤기 때문으로 판단된다(Rustan and Drevon, 2005; D Eryilmaz, 2016; Prins et al., 1972). 따라서 지방산 종류 및 지방산의 탄소수와 이중결합 수에 따른 바이오가스 생산성능에 대한 기초연구가 수행 중에 있다.

      • KCI등재

        한국 성인 여성의 n-3계, n-6계 지방산 섭취와 우울증상: 2014-2018년 국민건강영양조사를 이용하여

        김진아,이심열 대한임상건강증진학회 2020 Korean Journal of Health Promotion Vol.20 No.3

        Background: This study sought to investigate the association between n-3 and n-6 fatty acid intakes and depressive symptoms in Korean female adults. Methods: Subjects comprised 8,204 Korean female adults, aged over 19 years, who participated in the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from 2014-2018. Subjects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ir Patient Health Questionnaire-9 scores into a low depressive symptoms (LDS) group and a high depressive symptoms (HDS) group. Nutrient intake was evaluated using dietary data obtained through a one-day 24-hour recall. Results: Compared with the LDS group, the HDS group was associated with lower education levels, household incomes, and employment rates. The HDS group had lower intakes of n-3 and n-6 fatty acids than the LDS group. The highest quartile of adjusted total n-3 intakes had a decreased odds ratio of depressive symptoms (95% confidence interval [CI], 0.35-0.90) in those aged 65 years over. The prevalence of depressive symptoms decreased in the highest quartile of adjusted arachidonic acid intake (95% CI, 0.33-0.93) in those aged 41-64 years. The n-6:n-3 ratio was not associated with depressive symptoms. Conclusions: From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the intake of n-3 fatty acids and arachidonic acid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depressive symptoms. These findings can be used to aid the development of dietary guidelines for the improvement of public health. 연구배경: 본 연구는 한국 성인 여성을 대상으로 n-3계, n-6계 지방산 섭취와 우울증상과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법: 본 연구는 2014-2018년 국민건강영양조사에 참여한19세 이상 성인 여성 8,204명을 대상으로 하여 PHQ-9 판별기준에 따라 저우울증상군과 고우울증상군으로 분류하였다. 대상자의 에너지 및 지방산 섭취량은 국민건강영양조사의 영양조사 중 1일 24시간 회상법을 통해 얻어진 자료를활용하여 산출하였다. 결과: 본 연구 결과 고우울증상군은 저우울증상군에 비해교육수준과 소득수준이 낮고, 건강행태 요인으로 흡연율이높고, 신체활동률이 낮았다. 41-64세 연령대에서 n-3계 지방산 중 DPA와 n-6계 지방산 중 아라키돈산 섭취량이 증가할수록 우울증 유병 위험도가 감소하였고(95% CI, 0.33-0.93), 65세 이상 연령대에서 총 n-3계 지방산과 n-3계 지방산 중DHA 섭취량이 증가할수록 우울증 유병 위험도가 감소하여(95% CI, 0.35-0.90) 연령대별 차이를 보였다. n-6:n-3 비율은 우울증 유병 위험도와 관련성을 보이지 않았다. 결론: 본 연구 결과 한국 성인 여성의 n-3계 지방산과 아라키돈산의 섭취는 우울증상과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알칼리수(pH10)의 돈사 벽면 휘발성지방산류 세척효과

        우샘이 ( Saem-ee Woo ),조광곤 ( Gwanggon Jo ),서시영 ( Si Young Seo ),하태환 ( Taehwan Ha ),장유나 ( Yu Na Jang ),정민웅 ( Min Woong Jung ),곽정훈 ( Jung-hoon Kwag ),한덕우 ( Deug-woo Han ) 한국농업기계학회 2019 한국농업기계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4 No.1

        휘발성지방산은 산성 냄새물질로서, 축사시설 유래 냄새물질 중 민원을 유발하는 주요 원인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산성 물질을 용해시키는 효과를 가진 알카리수(pH10)의 살포 시 돈사벽면에 부착된 휘발성 지방산류가 제거되는 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수행을 위해 “돈사 세척제 효능 평가시스템”을 구축하였으며 총 9기의 배양시설로 구성하였다. 각 배양시설은 축산냄새물질을 휘발시키는 돈분뇨슬러리 배양조, 휘발된 냄새물질을 콘크리트 벽에 흡착시키는 장치, 공기의 흐름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장치, 콘크리트 면의 냄새물질을 흡착튜브로 포집하는 장치로 구성하였다. 알칼리수의 세척 효능 검증을 위해 평가시스템의 배양시설들(n=9)을 무처리구(무분사, n=3), 중성 세척수(pH7) 처리구(n=3), 알칼리수(pH10) 처리구(n=3)로 구분한 후 세척액을 콘크리트 벽면(30cm* 30cm)에 살포하였다(50ml, 0.5L/m2). 세척액이 다 마른 후(60분) 콘크리트 벽면의 일부(10cm*10cm)에 부착된 냄새 물질들을 플라스틱 솜으로 닦아 채집한 후 흡착튜브에 포집하였으며 휘발성지방산류의 정량 분석을 위해 TD-GC-FID를 이용하였다. 시험 수행 결과 세척제 분무 이후 콘크리트 표면의 휘발성지방산류의 농도가 현저하게 감소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중성 세척수 처리구의 경우, 분무 이후 무처리구에 비해 콘크리트 표면의 휘발성지방산류가 저감되었으며 각각의 지방산에 대해 52%(아세트산), 34%(프로피온산), 41%(이소발레르산) 저감되는 효과가 있었다. 알카리수 처리구의 경우 각 지방산 별로 49%(아세트산), 24%(이소발레르산) 저감되는 효과를 보였고, 프로피온산은 무분사구에 비해 오히려 12% 증가되는 결과를 얻었다.

      • 치료적 관점으로 보는 필수지방산과 아미노산

        주남석(Nam-Seok Joo) 대한기능의학회 2023 Journal of Korean Institute for Functional Medicin Vol.6 No.2

        지방산과 아미노산은 우리 몸에서 반드시 필요한 영양소다. 필수지방산, 특히 불포화지방산인 오메가 6 지방산과 오메가 3 지방산이 중요하며, 오메가 3 지방산의 임상적 활용이 더 크다. 오메가 3 지방산은 우리 몸의 염증개선에 도움이 되며, 특히 혈관 내의 염증 감소에 도움을 준다. 아미노산은 단백질의 원료이며 식사로 보충이 반드시 필요한 영양소다. 의학적 보충제로 메티오닌, 트립토판, 타이로신, 아르기닌, 글루타민, 타우린 등이 보조적으로 쓰일 수 있으며, 다양한 아미노산의 균형적인 섭취는 인체의 대사에 아주 중요한 역할을 하며, 필요시 적절한 보충은 환자들의 증상 개선에 일부 도움을 줄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 Fatty acids and amino acids are essential nutrients for our body. Especially, unsaturated fatty acids omega 6 and 3, are important and omega 3 fatty acids has greater clinical use. Omega 3 fatty acids help improve inflammation in our body, and reduce inflammation within blood vessels. Amino acids are the raw material for protein and are nutrients that must be supplemented though diet. Methionine, tryptophan, tyrosine, arginine, glutamine, taurine can be use as medical supplements. Balanced intake of various amino acids plays a very important role in human metabolism, and appropriate supplementation when necessary is part of improving patients’ symptoms.

      • KCI등재후보

        N-3계 지방산 섭취와 심혈관 질환 10년 위험도와의 연관성: 2012–2016년 국민건강영양조사

        강수정,김민정,김석중,박재영,안주연,최민아 대한가정의학회 2020 Korean Journal of Family Practice Vol.10 No.2

        Background: Dietary intake of n-3 fatty acids have been suggested for their protective role against cardiovascular disease. However, findings from recent studies have been inconsistent. Thus, we investigated the association between dietary intake of n-3 fatty acids and the 10-year risk of cardiovascular disease (CVD). Methods: We analyzed data from 17,390 adults who were aged 30–64 years and free of CVD using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12–2016. Dietary intake of n-3 fatty acids was calculated by using food-frequency questionnaire, and the 10 year risk of CVD was calculated by Framingham general cardiovascular disease risk score (2008) model. We analyzed the odds ratios (ORs) and 95% confidence intervals (CIs) from logistic regression to evaluate the association between dietary intake of n-3 fatty acids and the 10-year risk of CVD. Results: Logistic regression anlaysis showed that dietary intake of n-3 fatty acids was not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he 10-year risk of CVD, after adjusting for confounders (OR=0.91; 95% CI, 0.77–1.07). But higher dietary intake of n-3 fatty acids was associated with reduced the 10-year risk of CVD for the female (OR=0.74; 95% CI, 0.58–0.95). Conclusion: Our research indicated no significant association between dietary intake of n-3 fatty acids and the 10-year risk of CVD. But the inverse association was observed in the female. 연구배경: N-3계 지방산은 심혈관계 질환을 예방하는 것으로 널리 알려졌으나, 최근 이에 반하는 연구 결과들이 발표되었다. 따라서 이번 연구에서는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음식을 통한 n-3계 지방산 섭취량과 심혈관계 질환 10년 위험도간의 상관관계를 조사하였다. 방법: 본 연구는 2012–2016년 시행된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30–64세의 심뇌혈관질환을 진단받은 적 없는 성인 17,390명을 대상으로 시행하였다. 하루 n-3계 지방산 섭취량은 식품섭취빈도조사에서 산출된 값을 이용하였고, 심혈관계 질환 10년 위험도는 Framingham general CVD risk score (2008년) 공식에 의거하여 산출하였다. 하루 n-3계 지방산 섭취량과 심혈관계 질환 10년 위험도의 연관성을 확인하기 위해 복합표본 로지스틱 회귀분석으로 심혈관계 질환 위험도 교차비와 95% 신뢰구간을 구하였다. 결과: 교란변수를 교정한 복합표본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 n-3계 지방산 섭취량이 하루 1 g 미만인 군에 비해 1 g 이상인 군이 심혈관계 질환 10년 위험도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OR=0.91; 95% CI, 0.77–1.07), 여자 그룹에서는 n-3계 지방산 섭취량이 하루 1 g 미만인 군에 비해 1 g 이상인 군이 심혈관계 질환 10년 위험도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OR=0.74; 95% CI, 0.58–0.95). 결론: 음식을 통한 하루 1 g 이상의 n-3계 지방산 섭취는 전체 성인에서는 심혈관계 질환 10년 위험도에 영향을 주지 않았으나, 여성에서는 심혈관계 질환 10년 위험도를 줄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