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구한말 독일인 헤르만 산더(Hermann Sander)의 조선이미지
박재영 한국동학학회 2008 동학연구 Vol.24 No.24
필자는 타자에 대한 스테레오타입은 어떻게 형성되며, 개인과 집단에 어떠한 영향을 끼치는가에 대하여 역사적 맥락에서 탐색하는 작업을 꾸준히 수행해 오고 있으며, 그에 대한 사례연구로 개항을 전후한 시기 독일인의 한국에 대한 역사적 스테레오타입 연구에 천착하고 있다. 필자는 이미 오페르트(Ernst J. Oppert)를 비롯하여 묄렌도르프(Paul G. von Moellendorff)와 분쉬(Richard Wunsch)가 남긴 자료들을 분석하면서 그들의 조선이미지를 파악하고자 하였으며, 후속 연구의 일환으로 러일전쟁 직후 독일의 일본대사관 무관으로 파견되었던 헤르만 구스타프 테오도르 산더(Hermann Gustav Theodor Sander, 1868 - 1945)가 남긴 당시 조선에 대한 문헌기록과 사진자료의 분석을 통해 조선에 대한 이미지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필자는 분석과정에서 우리 스스로가 먼저 해결하고 넘어가야 할 중요한 사실을 발견하였다. 그것은 우리를 보는 서구인의 고정관념에 내재된 오리엔탈리즘이나 서구주심주의에 대한 비판에 앞서 우리가 스스로를 제한하고, 비하하며, 타자화하며, ‘반도적 숙명론’을 별다른 비판 없이 받아들이는 태도를 먼저 바로잡아야 한다는 점이다. 필자는 역사적 스테레오타입연구의 활성화를 통하여 역사학, 기호학, 사회심리학 등의 학제 간 공동연구가 촉진되고, 역사적 스테레오타입 연구가 집단 간의 대립과 갈등, 적대감을 해소하는데 기여함으로 역사학의 학문적 효용에 대한 하나의 해답을 제시하기를 기대한다.
Cyclodextrin 수용액중에서의 Aspirin 의 분해에 관한 연구
박재영,한세호,박종훈,김신근,우종학 한국약제학회 1972 Journal of Pharmaceutical Investigation Vol.2 No.2
It was reported that cyclodextrin has a distinctive ability to form inclusion compound with a wide variety of compounds. The authors studied the stability of acetylsalicylic acid in cyclodextrin solution. From the results of this experiment, the decomposition of Aspirin in cyclodextrin solution was progressed according to the pseudofirt order reaction and its degradation rate constant was decreased and the thermodynamic activation energy of the degradation of aspirin was accetrated with the increase of cyclodextrin. Conclusively, it was considered that cyclodextrin increased the stability of aspirin in aqueous solution by its inclusion compound formation.
박재영 한국언론학회 2005 한국언론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Vol.2005 No.-
이 논문은 국내 보도사진의 게이트키핑 관행을 구체적으로 발견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국내 보도사진의 관행은 ‘상투적 틀’이라는 큰 개념으로 수렴되었으며, 그 틀은 상황 설명적 사진, 사실전달 사진, 정답사진, 연출사진 등 네 가지로 구분됐다. 사진기자들의 의견을 종합하면, 게이트키퍼들은 지나치게 상투적인 틀에 얽매인 채 상황설명적 사진에 치중해, 보도사진의 소재는 식상하고 구도와 내용도 정형화되는 결과를 낳았다. 연출사진을 포함하는 일종의 정답사진이 만연한 것은 게이트 키퍼와 조직 내부의 묵시적 합의 및 동료 사진기자들 간의 영향관계에 기인한다. 사진기자들은 게이트키퍼들이 정보전달형 객관주의 사진에 지나치게 집착하는 관행에 반발해 사진의 주관성이 허용되고 예술성이 강조돼야 한다는 입장이다. 그런 사진이 보도사진으로서 가치가 있고 사진으로서의 완성도도 높으며 독자에게 호소력이 있을 것으로 이들은 보고 있다.
박재영,진영완 대한인간공학회 2009 대한인간공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09 No.11
본 연구는 성인 남녀에 대한 보행패턴의 차이를 규명하고자 대퇴사두근 각(Q-angle)을 측정하여 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은 B광역시 D대학교에 재학 중인 하지의 결함이 없는 정상족(normal arch)의 신체 건강한 20대 성인 남녀 30명을 선정하여 실시하였다. 피험자의 평균 신체적 특징으로는 남자 나이 20.4±1.06 years, 키 175.4±3.27㎝, 몸무게 66.9±6.35㎏, 신발사이즈 261±9.10㎜이며, 여자 나이 20.7±0.62years, 키 163.8±3.55㎝, 몸무게 55.7±4.06㎏ 그리고 신발사이즈는 242.3±5.30㎜이다. 남자의 평균 대퇴사두근각은 8.13±4.07°이었고, 여자는 17±4.49°로 나타났다. 정적인 자세에서 발의 간격을 7.5㎝(3inch)로 제한하고 고니오메타를 사용하여 대퇴사두근각(Q-angle)을 측정하였다. 그리고 독일 ZEBRIS system을 사용하여 비교분석 하였다. 그 결과는 여자가 남자보다 좁은 Step width(보간)을 나타내고 있다. 이는 대퇴사두근각(Q-angle)의 차이로 인한 것으로 판단된다.
박재영,김도경,이상원,이다희 한국도로학회 2016 한국도로학회 학술발표회 논문집 Vol.2016 No.06
교통신호는 적, 황, 녹의 개별 등화 색상으로 운전자에게 그 의미가 명확히 전달되어야 하지만 우리나 라의 4구 신호등은 등화색상의 조합을 사용하여 운전자에게 진행 및 금지 등의 상황을 전달하고 있어 직 관적인 의미 해석이 어려운 실정이다. 또한 신호를 인지하고 해석하는데 까지 소요되는 시간은 신호운영 효율성 측면에 영향을 미치며, 따라서 신호를 인지하고 해석하는 시간을 줄이고자 운전자에게 신호 등화 의 의미를 보다 직관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국제 표준(3구 신호) 신호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현재 국내에서 운영 중인 4구 신호등과 국제 표준인 3구 신호등을 동일한 기하구조의 교 차로에 현 신호기 설계기준으로 설치했을 때 교차로를 주행하는 운전자 반응의 차이가 어떻게 달라지는 가에 대한 연구와 3구 신호등을 국내 도입하고자 할 경우 어느 정도의 반복 학습이 이루어져야 현 신호체 계와 운전자 반응이 유사해지는지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실험을 진행하기 위해 시뮬레이션 프로그램 UC-winRoad을 사용하여 실제 도로환경과 유사한 환경을 구현하였고, 다양한 도로기하구조 및 신호기 종류를 피실험자가 주행할 수 있도록 시나리오를 구축하였 다. 신호기 등화방신 변경에 따른 운전자 반응을 검토하기 위해 3구 신호등에 대한 사전교육 없이 3구 신 호등과 4구 신호등이 혼재되어 있는 시나리오를 주행하게 하여 운전자 반응을 측정하였으며, 신호기 변경 의 운전자 적응을 측정하기 위해 첫 주행을 마치고 3구 신호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 후 3구와 4구 신호 등의 위치를 바꾼 동일한 경로의 주행 시나리오를 주행하게 하여 나타난 값을 통해 3구 신호등과 4구 신 호등의 운전자 반응을 비교분석하였다. 이 과정에서 3구 신호등을 지나는 운전자 반응이 4구 신호등을 지 나는 운전자 반응과 유사해질 때까지 반복 주행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는 일반적으로 이용하는 4구 신호등과 비교적 익숙하지 않은 3구 신호등을 이용할 때 운전자의 반응을 비교할 수 있는 시뮬레이션 실험을 수행함으로써, 향후 개발되는 새로운 신호운영시스템 연구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박재영 한독사회과학회 2007 한독사회과학논총 Vol.17 No.1
19세기 후반은 서양인들의 한국에 대한 이미지가 형성되기 시작한 시기이며, 당시 형성된 한국에 대한 이미지는 오늘날까지 사람들의 인식의 저변에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타자에 대한 이미지 형성에 영향을 주는 사료로서의 여행기는 이미 오래전부터 그 중요성이 인식되어 왔으며, 조선에서의 체험을 기록한 서양인들의 저작 또한 19세기 후반 조선의 사회상을 알려주는 귀중한 사료로 평가받고 있다. 본고에서는 ‘역사적 스테레오타입 연구(historische Stereotypenforschung)’의 입장에서 서세동점기 조선에 대한 독일인 오페르트와 묄렌도르프의 기록을 토대로 하여 조선에 대한 이미지(Koreabild)의 분석을 시도하였다. 이를 위하여 필자는 오페르트의 저작『폐쇄된 나라: 코리아로의 여행(Ein verschlossenes Land: Reisen nach Corea)』와 묄렌도르프 부인(Rosalie von Moellendorff)이 남긴 『傳記(P. G. von Moellendorff - Ein Lebensbild)』를 연구의 기본 텍스트(Text)로 정하였다. 조선의 문호개방과 통상을 요구했던 오페르트(Ernst J. Oppert)는 결국 남연군 묘의 도굴이라는 반인륜적이고 파렴치한 행동으로 조선의 쇄국정책을 더욱 강화하는 결과를 초래하였다. 그렇지만 독일에 돌아간 뒤 조선에 대한 지식과 경험을 기초로 쓴 그의 저작은 당시 조선의 시대적 상황과 한국개화사를 연구하는데 있어서 귀중한 사료로 평가 받고 있다. 묄렌도르프는 1882년 12월 9일(고종 19년) 조선에 도착하였고, 통리아문 내무협판, 조선 해관의 총세무사(總稅務士), 전환국(典圜局)의 총판(總辦), 의정부 참찬(參贊), 병조참판(兵曹參判)에 임명되어 고종의 최측근으로서 1885년 마지막 남은 관직인 전환국 총판직에서 물러나기까지 조선의 근대화를 위한 개혁을 주도한 인물이었다. 본고에서 필자는 위의 텍스트 분석을 통하여 1860년대와 1880년대 조선의 개항을 전후한 두 시기, 한국의 『국사』교과서에 등장할 정도로 19세기 후반 한국사에 영향을 끼쳤던 오페르트와 묄렌도르프의 조선에 대한 이미지가 어떠하였는지를 살펴보았다. The latter period of 19th century was time of making images about Korea by western people, the images of those days are influencing it till now. To the contrary, the images of westerners had been remained strongly into korean mind as like as that those people was published in history textbooks of middle or high school in Southand Northkorea. This study try to analyze the images(Koreabild) of Chosun through researching E. J. Oppert and P. G. von Moellendorff about Chosun in viewpoint of the research of historical stereotype(historische Stereotypenforschung) in times of occupancy of western countries. For this, I set the writing - 『A Forbidden Land: Voyage to the Corea(Ein verschlossenes Land: Reisen nach Corea)』and 『P. G. von Moellendorff - Ein Lebensbild)』 by his wife, Rosalie von Moellendorff, as the basic materials. The second chapter that is continued after introduction is showing the Chosun's images as natural landscape, high-society(Noblesse Oblige), peoples of Chosun parts by parts, and conclusions is tried to analyzed in all-around of stereotype regarding Chosun by Oppert and Moellendorff. But, in order to understand the whole images of the society of the latter period of 19th century, it needs to research all parts about the images of Chosun that is written by foreigners who had lived those days in this land as well as all domestic papers. Through doing so, it is possible to grasp historical stereotype in the detached way and all, also possible to fix attitudes to recognize with the view of being refracted by 'Heterostereotype' during times of unconsciousness as follows of Chosun's port to be opened, Japanese colony, separation between South- and Northko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