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도․중복장애학생의 일상생활동작 수행과 건강관련 삶의 질의 관계

        박재국,김은라,임세령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2019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Vol.62 No.1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evel of 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of stud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Method: To this end, 155 stud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attending special schools were surveyed about their daily activities and quality of life. Results: First, it was shown that stud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had some level of needing help partially, a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groups according to grade, type of disability, and level of communication. Second, the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of stud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was found to be normal, a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roups according to grade, type of disability, and level of communication. Third,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statistical correlation between the level of 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 the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of stud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Conclus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effective teaching methods for stud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such as removals, movements, meals, and toiletries were suggested. 연구목적: 본 연구는 중도․중복장애학생의 일상생활동작 수행 수준과 건강관련 삶의 질의 관계를 탐색함으로써 중도․중복장애학생의 건강관련 삶의 질 향상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이를 위하여 특수학교에 재학 중인 중도․중복장애학생의 담당 교사 155명을 대상으로 담당 학생의 일상생활동작 수행과 건강관련 삶의 질 수준에 대한 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중도․중복장애학생의 일상생활동작 수행은 부분적인 도움이 필요한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중도․중복장애학생의 학교급, 장애유형, 의사소통 수준에 따라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가 확인되었다. 둘째, 중도․중복장애학생의 건강관련 삶의 질 수준은 보통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교급과 장애유형, 의사소통 수준에 따라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가 확인되었다. 셋째, 중도․중복장애학생의 일상생활동작 수행 수준과 건강관련 삶의 질 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남으로써 일상생활동작을 독립적으로 수행할수록 건강관련 삶의 질의 수준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결론: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중도․중복장애학생의 착탈의, 이동, 식사, 용변처리에 대한 효율적인 교수를 제공함으로써 중도․중복장애학생이 건강한 삶을 영위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중도·중복장애학생 교육과정 편성·운영 실태 조사

        김은주,강영택,권택환,이인 한국특수교육학회 2013 특수교육학연구 Vol.48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organization·operation conditions of curriculum for students with severe·multiple disabilities from special school teachers and special classroom teachers.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we conducted a survey 1,751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 special schools and general school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 First, the number of students with severe·multiple disabilities attending special schools were 6,160, it was approximately 25% out of 24,661 students attending special schools in April, 2012. As 449 classrooms were separately set up and operate as classrooms for severe·multiple disabilities, coping methods for these conditions were immediately required. Therefore, education programs and support systems need to be considered for further curriculum improvement plans appropriate to students with severe·multiple disabilities. Second, as curriculum types applied to students with severe·multiple disabilities, most schools reorganized curriculum within the category of curriculum guided in national level. Therefore, the curriculum improvement plans for students with severe·multiple disabilities in the future need to include curriculum for students with severe·multiple disabilities in curriculum of national level, they need to develop various curriculums according to needs of students rather than suggestions by subject-centered curriculum. Third, the results of the organization·operation conditions of curriculum for students with severe·multiple disabilities shows the preparation of circumstances for the improvement of the organization system of the current rigid curriculum or the suggestion of a standard curriculum, the suggestion of a curriculum based on real life, the exploration on the methods for providing autonomy to schools, the provision of curriculum based on developmental areas required according to the types of disabilities, the need of education contents with various selections more than the rigid subject education contents in the present. consideration of functions and roles of basic curriculum as replaceable·alternate curriculum, the study on the development of separate curriculum for students with severe·multiple disabilities and the development and distribution of instruction·learning materials for separate curriculum. 본 연구는 특수학교 및 특수학급 교사를 대상으로 중도·중복장애학생을 위한 교육과정 편성․운영 현황을 알아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전국 156개 특수학교와 무선표집하여 응답한 특수학교(급) 교사 1,75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특수학교에 재학하고 있는 중도·중복장애학생은 6,160명으로 2012년 4월 현재 특수학교 재학생 24,661명의 25% 정도가 중도·중복장애학생으로 나타났으며, 이들 학생들을 위해 449개 학급에서 별도로 중도․중복장애 학급을 설치하여 운영하는 것으로 나타나 이들에 대한 대처 방안이 시급하게 요구되었다. 이에, 향후 추진되는 중도·중복장애학생 교육과정 개선 방안에서는 대상에 맞는 교육 프로그램 및 지원 시스템을 동시에 모색해 보아야 할 것이다. 둘째, 중도·중복장애학생들에 대한 적용 교육과정 유형으로는 대부분의 학교들이 국가 수준에서 제시하고 있는 교육과정 범주 안에서 교육과정을 재구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향후 추진되는 중도·중복장애학생 교육과정 개선 방안에서는 국가 수준 교육과정에 중도·중복장애학생 교육과정을 그 대상으로 포함시키고, 교과 교육과정 위주로 제시하기보다는 대상 학생의 요구에 맞는 다양한 교육과정 유형을 모색해 보아야 할 것이다. 셋째, 중도·중복장애학생 교육과정 편성·운영 현황에 대한 결과에서는 현재의 경직된 교육과정 편성 체제를 개선하거나 기준 교육과정을 제시하고 운영할 수 있는 제반 여건 마련, 실생활 중심의 교육과정 제시, 학교에 자율성을 줄 수 있는 방안 모색, 장애에 따라 요구하는 발달영역 중심 교육과정 제시, 현재의 획일적인 교과 교육 내용보다는 좀 더 다양하게 선택할 수 있는 교육내용 필요, 대체·대안 교육과정으로서 기본 교육과정 기능과 역할 제고, 중도․중복장애학생을 위한 별도의 교육과정 개발과 그에 따른 교수·학습 자료의 개발 및 보급 등에 대한 연구 등이 요구되었다.

      • KCI등재

        비장애또래학생과의 통합교과활동 참여가 중도중복장애학생과 비장애또래학생 간의 상호작용과 중도중복장애학생의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표윤희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2020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Vol.63 No.1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integrated subjects activity intervention with peers on the interaction and happiness of stud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Method: Sixteen stud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six special educators, twelve peers, and twelve paraprofessionals participated in the integrated subjects activity intervention with peers. They were assigned to one of the experimental or wait-list control groups. The integrated subjects activity intervention with peers was implemented for five months. Pretest-posttest control group design was applied in this study and an independent t-test was used to analyze the differences between two groups. Results: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effects on the interaction and happiness between the experimental and the control group. Conclusion: Discussions, implications and future directions of the integrated subjects activity intervention with peers on the interaction and happiness of stud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were presente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연구목적: 본 연구에서는 비장애또래학생과의 통합교과활동 참여가 중도중복장애학생의 상호작용과 행복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았다. 연구방법: 16명의 중도중복장애학생과 중도중복장애 특수학급 교사 6명, 12명의 비장애또래학생, 12명의 특수교육실무원이 비장애또래학생과의 통합교과활동에 참여하였고, 중재는 5개월에 걸쳐 진행되었다. 중재가 중도중복장애학생의 상호작용과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서 사전・사후 통제집단설계를 적용하였고, 두 독립표본 t검증을 실시하여 통계적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 중도중복장애학생의 상호작용과 행복감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어 비장애또래학생과의 통합교과활동 참여가 실험집단 중도중복장애학생의 상호작용과 행복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고 볼 수 있다. 결론: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비장또래와의 통합교과활동 참여가 중도중복장애학생에게 의미 있는 교육적 성과를 도출해 낼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 KCI등재

        중도․중복장애학생의 교육기회보장정책에 대한 특수교사의 인식과 지원요구 탐색:제5차 특수교육발전 5개년 계획(’18-’22)을 중심으로

        박경옥,송만호 한국특수교육학회 2019 특수교육학연구 Vol.54 No.2

        본 연구는 제5차 특수교육발전 5개년(2018~2022) 계획에 중도․중복장애학생을 위해 마련된 교육기회보장정책이 학교현장에서 구현되는데 어려운 점과 문제점은 무엇이고, 추후 실현 가능한 교육정책이 되기 위해서는 어떤 변화와 지원이 필요한 지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에 지체장애학교에서 중도․중복장애학생 지도를 담당하고 있는 교사 10명을 대상으로 포커스그룹 면담과 서면응답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는 지속적 비교분석법으로 분석하여 대범주 2개와 중범주 6개로 도출되었다. 그 결과 첫째, 교사들은 중도․중복장애학생에게 교육기회 보장이 효과적으로 수행되지 못하는 이유에 대해 학생의 능력과 특성을 반영한 학교 교육과정 편성․운영의 어려움과 효율적인 교육과정을 운영하기에 불충분한 교육여건을 들었다. 둘째, 교사들은 중도․중복장애학생의 효과적인 교육권 확보를 위한 정책 변화 및 지원 방향에 대해 1) 중도․중복장애학생을 위한 교육과정 편성의 방향성과 운영의 다양화; 2) 학교교육과정 편성․운영에 대한 교사의 전문성 확보; 3) 관련서비스 기관과의 협력을 제안하였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중도․중복장애학생들의 교육기회보장을 위한 지원요구와 이를 바탕으로 한 정책의 방향성과 향후 과제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veal the difficult or problematic aspects of the 5th Five-Year Plan for Special Education Development (`18-`22) for stud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and the changes needed to become a feasible educational policy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students and educational conditions of schools. Th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focus group interviews and written responses from 10 special education teachers who had teaching experiences of stud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All interview data were analyzed with a constant comparative method, and two themesand six categories were deriv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teachers said that the reason why educational opportunities rights are not effective for stud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is that the educational conditions are insufficient to operate an efficient curriculum and they are difficult to organize and implement as a school curriculum reflecting the students’ abilities and characteristics. Second, policy changes and support directions for effective education rights for stud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should include: 1) the direction of curriculum formation and the diversification of curriculum operation, 2) teachers’expertise in organizing and operating a school curriculum, and 3) cooperation with related service agencie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we discussed the support demands for the guarantee of educational opportunities for stud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the direction of the policy, and the future tasks.

      • KCI등재

        미국 중도·중복 장애학생의 삶에 관한 질적 연구

        장혜성(Chang, Hae-Song) 이화여자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2014 특수교육 Vol.13 No.3

        본 연구에서는 미국 펜실베니아주 스테이트 칼리지 학군에 소속되어 있는 공립학교 중도·중복 장애학생들의 삶의 질에 대한 연구로서 사회구성원으로서의 삶과 개별인간으로서의 삶을 파악하기 위한 현상학적 질적연구이다. 연구기간은 2013년 2월 11일부터 2014년 1월 10일까지이며 연구대상은 중도·중복 장애학생과 그와 관련된 전문인과 비장애학생을 포함한 38명이었다. 데이터 수집은 연구자 2인의 관찰과 심층면담으로 이루어졌으며 데이터 분석은 상시비교 분석방법을 사용하였다. 그 결과는 14개의 범주와 6개의 하위주제, 2개의 주제가 도출되었다. 사회구성원으로서의 삶은 ‘장애학생도 우리학교 학생이다’, ‘장애학생도 내 절친한 친구이다’, ‘장애학생도 이웃사촌이다’라는 하위주제가 도출되었고 개별인간으로서의 삶은 ‘장애학생도 혼자서 해보려고 한다’, ‘장애학생도 자신의 생각을 표현하려고 한다’, ‘장애학생도 또래들처럼 치장하고 싶어한다’라는 하위주제가 도출되었다. 본 연구는 미국 중도·중복 장애학생의 사회구성원으로서의 삶과 개별인간으로서 삶을 살펴봄으로써 한국의 중도·중복 장애학생의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한 조건들을 제시하였다는데 의의를 둘 수 있다. This is study about quality of life of public school stud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in Pennsylvania State College Area School District, and this is phenomenological research to survey their lives as personal human being and social members. Study had done from Feb. 11th, 2013 to Jan. 10th, 2014. eight persons of school stud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specialists, and students without disabilities joined the study. Data was collected by two persons observation and semi-structured interviews, and data was analyzed by constant comparative method. As study results, 14 categories, 6 sub-theme, and 2 theme came out. As life of social members, there are sub-theme such as ‘our school students,’ ‘fiend of mine’ and ‘my good neighbor.’ As life of personal human being, there are sub-theme such as ‘they let me do by themselves,’ ‘they try to show their idea,’ and ‘they want to make up themselves as much as peers do.’ Such study results have meaning to present conditions to improve life quality of stud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in Korea on the study of stud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in America.

      • KCI등재

        단일대상연구의 메타분석을 통한 중도ᆞ중복장애 학생의 의사소통 능력 향상 효과 분석 연구

        김주선 ( Kim Joo-sun )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19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58 No.2

        본 연구는 교육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실제적 중도ᆞ중복장애 학생 대상 의사소통 중재방법을 제공하기 위해, 국외의 중도ᆞ중복장애 학생 대상 의사소통 중재 단일대상연구들을 중심으로 연구의 일반적 특성, 연구 대상자 변인과 중재 특성에 따른 중재 효과크기를 살펴보았다. 우선 분석논문 선정 준거에 따라 24편의 연구가 분석대상 논문으로 선정되었으며, 각 변인을 중심으로 비중복 비율(PND)을 활용하여 효과크기를 산출하였다. 연구의 일반적 특성을 살펴보면, 중도ㆍ중복장애 학생 대상 의사소통중재연구는 1991년을 시작으로 현재까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었다. 연구 대상자의 성별과 연령에 따른 효과크기를 살펴본 결과, 평균 92%로 높은 효과크기를 보였다. 장애특성으로는 모든 대상자가 지적장애와 의사소통장애를 포함하고 있었으며 이외 1개 이상의 장애를 수반하고 있었다. 중재 변인 중 중재회기는 21회기 이상이 가장 많았으며, 독립변인의 경우 마이크로스위치가 가장 많이 활용되었다. 종속변인으로는 기능적 의사소통 영역이 가장 많았으며, 중재환경은 학교와 재활환경 등 다양하게 나타났다. 또한 중재자의 경우 연구 조교가 월등히 높게 나타났다. 중재 변인에 따른 효과크기 또한 영역별 차이는 있으나 모두 높은 효과크기를 보였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중도ᆞ중복장애 학생들의 의사소통 중재 연구를 위한 방향성 및 제안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 communication intervention method for stud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We investigated to find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tudy, the effect of participants’ variables and intervention variables on the selected communication single-case researches for stud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Based on the selection criterion, 24 researches were selected to be analyzed, and the effect size was calculated using the PND. Research on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communication intervention studies for stud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has been continuing since 1991.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effect size according to sex and age of the subjects, the average effect size was 92%. In terms of disability characteristics, all participants contained intellectual disabilities and communication disabilities and one or more other disabilities. Among the intervention variables, the intervention session was the most frequent than the 21st session. For independent variables, microswitches were most commonly used and the functional communication area was the most common dependent variable. The intervention environment was varied in school and rehabilitation environment. The effect size according to the intervention variables also showed a high effect size although there were differences according to area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future directions and proposals for communication intervention study of stud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were discussed.

      • KCI등재

        중도·중복장애 학생의 정당한 교육지원에 필요한 건강 및 안전관리 실태와 지원방향에 대한 관리자 인식

        박경옥,신윤희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2019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Vol.62 No.2

        Purpose: This study was to find out school administrators’ perceptions about health management and support of stud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for educational support. Method: Participations were 15 schools’ administrators in 19 students with physical disabilities and Data were collected by interview. Data was analyzed by qualitative coding and categorized.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that school administrators and parents of stud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have difficulties to support and manage their health and feeding, They also were lacking in human resource and facilities despite of their count-measures. The cooperation among people related should be necessary and make a detailed future plan to support. also make a policy according to the current situation. Conclusion: Therefore, we discussed about health and safe management of stud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and suggested about future directions for their health and safety. Method: Participation was 15 schools’ administrators in 19 physical disabilities and Data was collected by interview. Data was analyzed by qualitative coding and categorized. Results: The result of this study was that school administrators and parents of stud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have difficulties to support and manage their health and feeding, They also were lack of human resource and facilities despite of their count-measures. The cooperation among people related should be necessary and make a detailed future plan to support. also make a policy according to the current situation. Conclusion: Therefore, we discussed about health and safe management of stud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and suggested about future direction for their health and safety. 연구목적: 본 연구는 지체장애 특수학교의 관리자를 대상으로 지체장애를 주 장애로 하는 중도․중복장애 학생의 교육권 보장을 위해 학생이 요구하는 의료적 지원에 대해 어떤 인식을 가지고 있고 현재 학교의 지원 실태는 어떠하고, 향후 어떠한 지원이 필요한지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전국 9개 지체장애학교 중 지역 및 설립유형을 분배하여 학교관리자(교장 또는 교감)를 대상으로, 지체장애 특수학교에 재학 중인 중도․중복장애 학생의 교육권 확보를 위한 학교차원에서 건강관리 및 안전교육에 대한 실태를 파악하고 관련한 지원의 방향성에 대해 개별면담을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이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현장에서 겪고 있는 어려움은 현재의 당면한 어려움에 대해 역할과 책임에 부여되지 못한 상태에서 모두가 힘든 교육을 하고 있으며, 학생의 학습 참여를 독려하기 위한 턱없이 부족한 안전시설과 지원인력으로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음을 보고 하였다. 이를 극복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 관리자들은 건강관리 및 인권상담을 위한 협력체계가 구축되고, 지원인력의 수와 이들의 질적 수준을 고양할 수 있는 지원책이 마련되어야 하고, 현장을 고려하여 반영적인 정책지원이 이루어졌을 때 자신의 자리에서의 책무를 다할 수 있을 것이라 하였다. 결론: 국가, 학교단위, 그리고 교사 개인이 중도․중복장애 학생들의 교육활동 중 건강과 안전관리 확보 방안에 대한 쟁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연구방법: 전국 9개 지체장애학교 중 지역 및 설립유형을 분배하여 학교관리자(교장 또는 교감)를 대상으로, 지체장애 특수학교에 재학 중인 중도ㆍ중복장애 학생의 교육권 확보를 위한 학교차원에서 건강관리 및 안전교육에 대한 실태를 파악하고 관련한 지원의 방향성에 대해 개별면담을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이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현장에서 겪고 있는 어려움은 현재의 당면한 어려움에 대해 역할과 책임에 부여되지 못한 상태에서 모두가 힘든 교육을 하고 있으며, 학생의 학습 참여를 독려하기 위한 턱없이 부족한 안전시설과 지원인력으로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음을 보고 하였다. 이를 극복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 관리자들은 건강관리 및 인권상담을 위한 협력체계가 구축되고, 지원인력의 수와 이들의 질적 수준을 고양할 수 있는 지원책이 마련되어야 하고, 현장을 고려하여 반영적인 정책지원이 이루어졌을 때 자신의 자리에서의 책무를 다할 수 있을 것이라 하였다. 결론: 국가, 학교단위, 그리고 교사 개인이 중도ㆍ중복장애 학생들의 교육활동 중 건강과 안전관리 확보 방안에 대한 쟁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 KCI등재

        중도·중복장애학생 진로·직업교육이 나아갈 방향 : 학부모의 인식 및 지원 요구를 중심으로

        이미숙,양소현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2019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Vol.62 No.3

        Purpose: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parents’ perceptions and support needs on career and vocational education for stud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in order to suggest improvements in career and vocational education for stud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Method: The study used a convergent design of mixed methods. A total of 142 parents who had children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participated in the survey study, and five parents who participated in the survey also joined the focus group interview. Results: The parents of stud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felt that typical career and vocational education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exercised in practice is not appropriate in terms of students’ characteristics and needs. The parents insisted the career and vocational education for their children should focus on life skills. Additionally, they required different types of support from school, local community, and the legal system. Conclusion: Five significant implications for the field of special education were suggested based on the results. 연구목적: 중도·중복장애학생은 일반적으로 인지적 및 신체적인 어려움을 동시에 가지고 있으므로 단일 장애를 가진 특수교육대상자와는 또 다른 특수교육적인 접근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중도·중복장애 학생의 학부모를 대상으로 중도·중복장애학생의 진로·직업교육에 대한 인식 및 지원 요구를 살펴봄으로서 중도·중복장애학생의 진로·직업교육의 개선방안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본 연구에서는 조사연구와 초점집단인터뷰를 중심으로 한 수렴적 형태의 혼합연구방법을 통하여 연구 주제를 살펴보고자 하였으며, 조사연구에는 총 142명, 초점집단인터뷰에는 총 5명의 중도·중복장애학생의 학부모가 참여하였다. 연구결과: 연구 결과 중도·중복장애 학생의 학부모들은 현재의 진로·직업교육이 자녀에게 적절하지 않다는 사실을 지적하였다. 또한, 학부모들은 자녀를 위한 진로·직업교육이 일상생활 기술에 초점을 맞추어야 하고, 더 나은 진로·직업교육을 위해서는 학교, 지역사회, 법적 시스템에서의 지원이 필요하다고 언급하였다. 결론: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도출된 구체적인 다섯 가지 종합적인 시사점은 중도·중복장애학생의 특성을 반영한 적절한 진로·직업교육의 실시, 기존과는 다른 방향의 진로·직업교육 제공, 취업 이외의 졸업 후 진로 확대, 진로·직업교육에 대한 다양한 정보 제공, 그리고 중도·중복장애학생의 진로·직업교육에 대한 학부모 및 학교(교사)의 관심 증대이다.

      • KCI등재

        중도・중복장애학생의 의사소통 실태 및 몸짓상징 활용에 관한 특수교사의 지원 요구

        김정연,박은혜 한국보완대체의사소통학회 2018 보완대체의사소통연구 Vol.6 No.2

        Background and Objectives: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current state of communication for stud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and requirements of using simplified manual sign in communication for stud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Method: For these purposes, total 276 special teachers were surveyed about the real condition and the awareness of using simplified manual sign, and the needs of developing vocabulary. Results: The results revealed the necessity of communication support and the possibility of using simplified manual sign in the field. There are significant needs for developing a simplified manual sign system considering characteristics of students with moderate and multiple disabilities, a simplified manual sign vocabulary, and instructional materials and guidelines. Conclusion: In conclusion, the applicability of simplified manual sign, and the supportive measures to promote efficient communication and social interactions of stud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are suggested. 배경 및 목적: 이 연구는 중도․중복장애학생의 의사소통 실태 및 몸짓상징 활용에 관한 지원 요구를 파악하기 위해 특수교사를 대상으로 실시한 조사연구이다. 방법: 이러한 연구 목적에 따라 중도․중복장애학생의 지도 경험이 있는 276 명의 특수학교 교사를 대상으로 의사소통 실태 및 몸짓상징 활용에 관한 인식과 어휘목록의 개발 요구 정도를 조사하였다. 결과: 연구 결과 교육현장에서 중도․중복장애학생의 의사소통 지원방안의 필요성과 몸짓상징 활용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무엇보다 현장 적용을 위해서는 중도․중복장애학생의 특성을 고려한 몸짓상징 체계의 개발과 몸짓상징 어휘목록의 개발, 지도자료 및 지침서 등 교수 지원 자료의 개발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논의 및 결론: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논의에서는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중도․ 중복장애학생의 효과적인 의사소통 및 사회적 상호작용을 촉진하기 위한 몸짓상징의활용 가능성과 지원 방안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장애학’의 관점에서 본 고교학점제 업무 담당 교사의 중도중복장애 학생에 대한 인식

        류규태,박경옥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2022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Vol.65 No.2

        연구목적: 본 연구는 고교학점제 업무 담당 교사의 중도중복장애 학생에 대한 인식을 ‘장애학’적 관점으로 분석하기 위함이다. 이는 고교학점제 운영과 실행과정에서 중도중복장애 학생에 대한 긍정 또는 부정적 인식을 파악하여, 인식의 근원이 되는 관념을 확인하는 것으로, 향후 고교학점제 현장 정착에 필요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중도중복장애 학생이 재학한 일반계 고등학교에서 고교학점제 연구(선도)학교 업무를 담당했던 교사 10명을 대상으로 ‘중도중복장애 학생’에 대한 인식을 포커스 그룹 면담(Focus Group Interview)을 하였다. 연구결과: 면담 결과에 대한 분석은 ‘장애학’ 관점으로 분석될 수 있도록 질적 면담 분석법 중 하나인 지속적 비교분석법을 활용하였다. 고교학점제 업무 담당 교사의 포커스 그룹 면담 결과, ‘중도중복장애 학생’에 대한 인식은 대범주 3가지, 중범주 9개, 하위 주제 20개로 도출되었다. 대범주를 중심으로 한 업무 담당 교사의 인식은, 첫째, 손상이 있는, 건강하지 못한 학생이라는 의학적 진단에 기초한 부정적인 학생관, 둘째, 결함과 원인에만 관심을 보이는 교사로 인해 장애가 장벽이 된 현실과 이로 인해 나타나는 학습과 경험 기회의 박탈, 셋째, 다양성이 존중되는 ‘장애학’적 관점에서 정체성을 인정하고 권력과 차별에 도전하려는 담당 교사의 노력을 확인하였다. 결론: 고교학점제 설계와 실행과정에서 일반교육과정과 조화를 이룰 수 있는 ‘장애학’적 지원체계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