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보완대체의사소통(AAC)에 대한 중도장애 학생 부모의 인식 조사

        신정미,이수향 한국보완대체의사소통학회 2016 보완대체의사소통연구 Vol.4 No.2

        Background and Objectives: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erception (awareness, comprehension, expectation) of Augmentative Alternative Communication (AAC) among parents of students with severe disabilities. Method: Questionnaires were developed utilizing previous research. They were composed of questions asking for general information and about perceptions of AAC. The survey was conducted in person, by mail, or online. A total of 112 questionnaires were chosen for analysis. Results: First, regarding the questions related to the awareness level of AAC among parents of students with severe disabilities, 57 (51%) answered that they were aware of ACC, while 55 (49%) answered they were not. Second, parents were asked about their comprehension of ACC. Many parents answered negatively about AAC, saying “Yes” to statements such as ‘AAC should be applied in case of an absolute absence of verbal communication,’ and ‘AAC should be used on subjects beyond the minimum level of cognitive development.’ Third, from questions regarding the expectations of AAC, the largest number of parents pointed to the capability of communication as the expected benefit of using AAC. Most of the participants expected that AAC would be effective in communication development.The largest number of parents pointed to the basic knowledge of AAC as an essential element of the parental education. Conclusion: This study objectively showed that a number of parents were lacking understanding and information on AAC, while their children with severe disabilities, could have benefited from the use of the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parental education about AAC must be conducted more frequently. 배경 및 목적: 본 연구는 중도장애 학생 부모의 보완대체의사소통(AAC)에 대한 인식을조사하여 보완대체의사소통(AAC) 중재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방법: 설문지 개발은 AAC 인식과 관련된 국내외 선행연구들을 참고하였다. 자료 수집은 수도권과충청권에 거주하는 중도장애 학생 부모를 대상으로 모바일과 지면설문지를 통하여 112 건을 수집 분석하였다. 결과: 첫째, AAC 대한 부모 인지도에 관한 문항 중 AAC를 아는응답자는 57 명(51%), 모르는 응답자는 55 명(49%)으로 조사되었다. AAC를 알지만 사용하지 않는 이유로 구어 사용을 원해서라고 대답한 응답자가 가장 많았다. 둘째, AAC 에 대한 중도장애 학생 부모의 이해도에 관한 문항 중에서, AAC 적용을 ‘현재 구어 의사소통이 전혀 없는 경우에 적용하는 것이다.’와 ‘최소한의 인지발달이 이루어진 대상자에게 적용하는 것이다.’ 문항에 부정적으로 이해하는 응답자가 많았다. 셋째, AAC에 대한기대도 문항에서 많은 응답자가 AAC 사용이 의사소통 발달에 효과가 있을 거라고 기대하였다. 또한 가장 적절한 AAC 전문가로 ‘언어치료사’라는 대답이 많았다. AAC 안내 시제공받길 원하는 내용으로 AAC 치료 방법을 가장 많이 선택하였고, 향후 보완대체의사소통(AAC) 활성화 방안으로 다양한 부모교육 실시를 기대하였다. 논의 및 결론: 본 연구는 보완대체의사소통(AAC)이 필요한 중도장애 학생임에도 불구하고 많은 부모들이보완대체의사소통(AAC)에 대한 정보와 이해가 부족하다는 것을 객관적으로 보여주었다. 또한 부모교육의 내용 등을 제시함으로써 언어재활사가 보완대체의사소통 중재 시고려할 점 등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의사소통장애인의 지역사회 생활을 위한 보완대체의사소통 어휘목록 개발- 공공기관을 중심으로

        채수정,이희연,홍기형 한국보완대체의사소통학회 2021 보완대체의사소통연구 Vol.9 No.1

        Background and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basic resource necessary for communication in public institutions by developing an 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AAC) vocabulary list for community living for people with communication disabilities. Method: Using Google Maps platform, a list of the favorite places of people in the community was made and 12 public institutions were selected. Vocabularies appropriate to each place were developed and importance of vocabulary was presented using a 5-point Likert scale. Vocabulary validity tests were conducted two times on parents with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also on AAC experts. Results: Firstly, as a result of the vocabulary importance test, a total of 307 vocabularies were derived by selecting vocabularies with an average of 3.5 or higher. Secondly,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finally selected vocabularies, most words were nouns followed by verbs and adjectives. Discussion and Conclusion: The vocabulary list generated in this study can be used as a fundamental resource for vocabulary instruction for people with communication disabilities, including thos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t public institutions in the community. 배경 및 목적: 본 연구는 의사소통장애인의 지역사회 생활을 위한 보완대체의사소통 어휘목록을 개발하여 공공기관 방문 시 의사소통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방법: 구글(google) 맵 플랫폼의 장소 유형(place types)을 기준으로 지역사회 내에서 사람들이 즐겨 찾는 장소의 목록을 작성한 후 선별하여 12개의 공공기관을 선정하고 각 장소에 알맞은 어휘를 개발하여 어휘 중요도를 5점 척도로 제시하였고, 발달장애인의 부모와 AAC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2회의 어휘 타당도를 실시하였다. 결과: 첫째, 어휘 중요도 평정 결과 평균이 3.5이상인 어휘만을 추출하여 도출된 최종 어휘 수는 총 307개였다. 둘째, 최종적으로 선정된 어휘를 분석한 결과 명사가 대부분이었으며, 동사, 형용사의 순으로 비중을 차지하였다. 논의 및 결론: 이 연구에서 제시한 어휘목록은 추후 발달장애인을 포함한 의사소통장애인이 지역사회 내 공공기관에서 AAC를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어휘 교육 시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을 기대한다.

      • KCI등재

        GeoAAC, 위치기반 보완대체의사소통 모바일 앱

        조희,홍기형 한국보완대체의사소통학회 2020 보완대체의사소통연구 Vol.8 No.1

        Many AAC mobile applications have been developed to help people with communication disorders. However, the current AAC mobile applications are inconvenient. Users must select suitable communication boards manually for their current locations and situation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sign and develop a mobile application that automatically recommends appropriate communication boards for users’ current locations. Method: We designed an algorithm to recommend location-based communication boards. First, the algorithm finds the POI (point-of-interest) locations around the current users’ location, and then determines the location based boards of the retrieved POI locations and recommends the boards most suitable for users’ current location. Results: Based on the designed algorithm, we implemented a location-based AAC mobile application. In addition to the recommendation of location-based AAC boards, the mobile application supports the generation of customized location based boards and symbols for specific locations according to users’ needs. The mobile application also provides built-in location-based boards for the POI locations. Conclusion: In this study, we developed a location-based AAC mobile application. By using the application, users can be free from the overhead in selecting the appropriate communication board for a specific location. We expect that the application will enable more efficient interaction between people with communication disorders and others. 최근 모바일 앱과 음성합성기의 발전으로 의사소통 장애인을 도와주는 AAC 앱이 개발되어왔다. 하지만 기존의 AAC 모바일 앱은 의사소통이 필요한 장소에서 사용자가 직접 상황에 맞는 의사소통 보드를 선택해야 한다는 불편함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사용자가 직접 의사소통 보드를 찾지 않아도 사용자의 위치에서 사용할 적합한 의사소통 보드를 자동으로 추천해주는 모바일 앱을 설계 및 구현하는 것이다. 방법: 위치기반 AAC 모바일 앱의 요구사항을 파악하고, 사용자의 현재 위치에 가장 적합한 의사소통 보드를 추천하는 알고리즘을 개발하였다. 모바일 기기를 통해 사용자의 현재 위치와 사용자의 주변에 있는 장소들을 검색하고, 알고리즘에 따라 검색된 장소에 대한 위치기반 보드를 결정하고 추천한다. 결과: 가장 적합한 의사소통 보드를 추천하는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위치기반 AAC 모바일 앱(GeoAAC)을 개발하였다. GeoAAC는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특정 장소에 대한 사용자 맞춤형 위치기반 보드와 상징을 제작할 수 있는 기능도 지원한다. 논의 및 결론: 본 연구는 특정 장소에서 적합한 의사소통 보드를 직접 선택해야 하는 사용자의 어려움과 불필요한 시간 소요의 문제를 해결하였다. 또한, 사용자가 특정 장소에서 사용할 의사소통 보드를 제작하지 않아도 기본형 위치기반 보드를 제공하여 다양한 장소에서 가장 적합한 의사소통 보드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 KCI등재

        전의도적 의사소통 단계의 뇌성마비 자녀의 의사소통 발달을 위한 AAC 부모교육 효과

        고희선,최진희,박은경,박은혜 한국보완대체의사소통학회 2022 보완대체의사소통연구 Vol.10 No.2

        배경 및 목적: 전의도적 의사소통 단계 뇌성마비 장애인의 의사소통 발달을 위해 AAC 교육은 반드시 필요하며, 그들의 의사소통 주 상대자인 부모를 대상으로 한 AAC 부모교육은 뇌성마비 장애인의 의사소통 발달 촉진을 위해 필수적이다. 하지만 전의도적 의사소통 단계 뇌성마비 장애인의 부모를 대상으로 AAC 부모교육을 실행한 연구는 제한적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전의 도적 의사소통 단계 뇌성마비 장애인의 의사소통 발달을 촉진하기 위해 AAC 부모교육을 실시하고, 어머니와 자녀의 의사소통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전의도적 의사소통 단계 뇌성마비 자녀의 어머니를대상으로 부모교육을 실시하였고, 교육 전후에 사전 및 사후검사를 실시하여 결과를 분석하였다. 결과: AAC 부모교육 후, 어머니와 장애 자녀의 의사소통 행동의 사후검사 결과가 사전검사에 비해 더 높게 나타났다. 논의 및 결론: 첫째, AAC 부모교육은 어머니의의사소통 행동에 긍정적인 효과를 주었고, 장애 자녀와의 상호작용에서 자신감을 형성하는 데 영향을 미쳤다. 둘째, 어머니의 의사소통 중재 기술의 향상은 AAC 사용자인 장애 자녀의 의사소통 행동을 촉진하였다. 셋째, 다양하게 구성된 부모교육 프로그램의내용은 어머니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촉진하였고, 교육 만족도를 높였다.

      • KCI등재

        초기 의사소통자 가상 사례를 통한 보완대체의사소통(AAC) 화면 디자인에 대한 설문 조사

        나지영,이수향,이진수 한국보완대체의사소통학회 2021 보완대체의사소통연구 Vol.9 No.2

        Background and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Korean speech-language pathologists‘ (SLPs) decisions and perspectives on AAC display design for a hypothetical beginner communicator. Method: Forty six Korean SLPs with experience in AAC responded to questions regarding AAC display design when provided a compilation case study of a beginner communicator. They were asked what type of AAC display they would design for the child communicating during a music class. They selected one among 1) grid display, 2) Visual Scene Displays(VSDs), and 3) hybrid of grid display and VSDs and provided elaborated information for each. Participants’ responses were analyzed by calculating the frequency and the percentage of each. Results: A majority of Korean SLPs chose VSDs/hybrid for the specific case and communication setting (i.e., music class). Participants provided opinions on how they would design VSDs/hybrid or grid displays with specific suggestions. In particular, they suggested which components should be included in the VSD for the case. They were also asked to respond to the follow-up questions about which components should be considered important when they design a grid display for the case. The results were also compared with those from American SLPs who participated in Thistle & Wilkinson’s (2020) survey with a similar compilation case study. Conclusion: The results revealed that SLPs select different types of displays to best support different AAC users and using VSDs/hybrid may be suggested for interactive communication, in particular, for the activity-based communication settings. 배경 및 목적: 본 설문 연구는 초기 의사소통자 가상의 사례가 주어졌을 때, AAC 화면을 어떻게 디자인할지에 대한 한국 언어재활사들의 결정과 견해를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방법: AAC 임상 경험이 있는 46명의 언어재활사들은 설문에서 주어진 가상의 초기 의사소통자 사례 아동이 음악시간에 사용할 수 있는 AAC 화면으로, 1) 격자형 화면, 2) VSD, 3) 격자형과 VSD의 하이브리드 형태 중에서 선택하였다. 참여자의 응답은 각 영역별로 빈도와 백분율을 계산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대부분의 참여자들은 주어진 가상의 초기 의사소통자 사례가 음악시간에 사용할 AAC로 VSD나 하이브리드 형태의 화면을 디자인하겠다고 선택하였다. 구체적으로 참여자들은 VSD를 어떻게 구성할 것인지에 대한 의견을 제공하였다. 또한 격자형 화면의 AAC를 가상의 사례에게 제공한다면 어떻게 구상하는 것이 효과적일지에 대한 응답도 기록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본 설문 문항 개발에서 참고된 Thistle & Willinson (2020) 연구의 결과와 비교하고 그 의의를 살펴보았다. 논의 및 결론: 본 설문 연구 결과를 기반으로 살펴본다면, 한국 언어재활사들은 대상자에 따라사 다양한 AAC 화면을 고려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구체적인 맥락에서 의사소통해야 하는 경우에는 VSD나 하이브리드 형태의 AAC 화면이 임상적으로 더 선호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복합적 의사소통 요구를 지닌 장애인을 위한 의사소통 지원센터 설립의 필요성 및 지역 확산을 위한 시사점

        이혜주,박경옥 한국보완대체의사소통학회 2023 보완대체의사소통연구 Vol.11 No.1

        Background and Objectiv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understand the necessities, difficulties, and demands of the operation of the center. It aimed to draw future implications of regional expansion for the people involved and members related to the establishment of the ‘Communication Rights Promotion Support Center in S city’. Method: The participants were 4 members of the ‘Communication Rights Promotion Support Center’ in S city, and 1 member of the ‘Korea Brain Disease Human Rights Association’ who was involved in the establishment of the ‘Communication Rights Promotion Support Center’. Qualitative analysis was performed through video interviews(ZOOM) and written surveys. Results: The results of the study could be reconstructed into a total of 3 major themes and 10 central themes, and the specific details are as follows. First, it was necessary to expand the ‘Communication Rights Promotion Support Center’ to other cities and provinces so that the individuals with complex communication needs can receive communication-related services anywhere. Second, it showed that there were difficulties in establishing and operating the center due to an insufficient support system for communication with the disabled. There were also problems like lack of awareness of the right of the disabled to communicate, scarcity of competence of experts, or failure of cooperation between the disabled and related experts. Third, a fact-finding survey of the region must be entirely conducted for the successful operation of the center in the future, and an effective support system must be prepared by cooperating with the disabled rather than experts in the process. Conclusion: It needs to establish and operate a center that can play roles of improving awareness of the disabled, building a surrounding environment, and fostering experts to have an effective system for better communication rights for the disabled.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serve as basic data for this. 배경 및 목적: 본 연구는 S시 ‘의사소통권리증진지원센터’ 설립과 관련된 관계자 및 구성원을 대상으로 센터 운영의 필요성과 어려움, 요구도를 파악하여 향후 지역 확산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방법: 연구 참여자는 S시 ‘의사소통권리증진지원센터’ 설립 관련자인 S시 ‘한국뇌병변인권장애인협회’ 소속 1 명 및 센터 소속 구성원 4 명을대상으로 비대면(ZOOM) 인터뷰와 서면조사를 실시하여 질적분석을 하였다. 결과: 연구결과는 총 3 개의 대주제와 10 개의 중주제로 재구성을 할 수 있었으며, 구체적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복합적 의사소통 요구를 지닌 장애인이 어디서든 의사소통과 관련된 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의사소통권리증진지원센터’가 타 시・도에도 확산될 필요가 있다고 하였다. 둘째, 장애인 의사소통에 대한 미흡한 지원체계, 장애인 의사소통권리에 대한 인식 부족, 전문가의 역량 부족, 장애 당사자와 관련 전문가 간의 협력 부족 등으로 인해 센터설립 및 운영에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향후 성공적인 센터 운영을 위해 해당 지역의 실태조사가 전적으로 이루어 저야하며, 그 과정에서전문가 풀이 아닌 장애 당사자와 함께 협력하는 자세를 통해 효과적인 지원체계를 마련해야 한다. 논의 및 결론: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장애인의 의사소통 권리향상을 위한인식개선, 주변 환경구축, 전문가 양성 등의 역할을 담당할 수 있는 센터를 설립하고 성공적으로 운영해 나갈 수 있는 기초 자료가 되기를 희망한다.

      • KCI등재

        통합학급 차원의 AAC 중재가 일반학생의 장애인식과 자폐성장애학생의 의사소통행동에 미치는 효과

        민경심,임장현 한국보완대체의사소통학회 2019 보완대체의사소통연구 Vol.7 No.1

        Background and Objectives: Students with autism exhibit a variety of verbal shortfalls and communication challenges which leads to difficulties in learning and developing social relationships. Augmentative Alternative Communication (AAC) intervention can be utilized to support communication among students with autism. Students with disabilities should be taught how to use AAC appropriately; while their conversation partners also need to be trained on their roles and attitudes when communicating to people using AAC.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mplement AAC intervention on the entire inclusive class, and to examine the effect of AAC intervention on the cognitive ability of elementary students, and communication behavior among students with autism. Method: Inclusive class students were instructed through AAC to understand AAC. The study design used was a protest-posttest control group. In the case of students with autism, AAC intervention was offered through direct instruction. Comparison between communication behavior and school life satisfaction was done through a single case pre-posttest design. Results: Firs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erception of disability by elementary student. There was a positive impact on the general recognition of disability and the recognition of students with communication disabilities assigned to the inclusive class among the overall recognition of disability and sub-component. Second, there was an increase in the average incidences of communication behavior of the students with disability in experimental. Similarly, the student was satisfied with his school life. Conclusion: It is noteworthy that AAC intervention is effective in improving elementary student cognition of disability, communication and social integration of students with autism disabilities if it supports both the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conversation partners in the inclusive class. 배경 및 목적: 자폐성장애학생은 다양한 언어적 결함과 의사소통 문제를 보이는데 이는 학습 및 사회적 관계 형성의 어려움으로 이어진다. 자폐성장애학생의 의사소통을 지원하기 위하여 보완대체의사소통 중재를 제공할 수 있다. 자폐성장애학생들이 통합교육 환경에서 보완대체의사소통을 적용하여 의사소통하기 위해 AAC 사용자인 장애학생과 AAC를 사용하는 환경적인 측면을 지원하는 것이 필요하다. 일반학생에게는 AAC 이해교육을 통하여 대화상대자의 역할과 자세를, 장애학생에게는 AAC 사용교육을 통하여 AAC 도구와 앱, 상징어휘를 교육하는 통합학급 차원의 AAC 중재가 일반학생의 장애인식과 장애학생의 의사소통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통합학급 학생에게는 활동중심 AAC이해교육을 중재하고 실험·통제집단 사전-사후 설계로 장애인식의 유의성을 확인하였다. 자폐성장애학생에게는 직접교수를 통한 AAC 사용교육을 중재하고 단일사례 사전-사후검사 설계를 통해 의사소통행동과 학교생활만족도가 변화하였는지 관찰과 비교를 하였다. 결과: 통합학급 차원의 AAC 중재를 실시한 일반학생의 장애인식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전체적인 장애인식 및 하위영역 중 장애에 대한 보편적 인식과 장애학생의 의사소통 관련 인식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실험집단 장애학생의 의사소통행동의 평균 발생률이 증가하였으며, 학교생활 만족도가 증가하였다. 논의 및 결론: 장애학생에 대한 교육뿐만 아니라, 대화상대자 훈련을 포함한 통합학급 차원에서 AAC 중재가 이루어진다면 일반학생의 장애인 식개선과 자폐성장애학생의 의사소통 및 사회적 통합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으며, 통합학급 차원의 AAC 중재의 적용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 KCI등재

        몸짓상징 「손담」 교수가 발달장애 청소년의 의사소통행동에 미치는 영향

        최재연,박은혜 한국보완대체의사소통학회 2021 보완대체의사소통연구 Vol.9 No.1

        Background and Objective: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n communication behavior by teaching the simplified manual sign 「SON-DAM」 for adolesc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ith communication difficulties. Method: This study used a pretest-posttest group design. The 「SON-DAM」 instruction consisted of basic education on 「SON-DAM」, collaborative vocabulary selection, intervention within class, AAC partner training, and environmental arrangement. Mann-Whitney U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effect of 「SON-DAM」 instruction. Results: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rease in the frequency of communication behavior. Further analysis by forms of communication behavior showed increased frequencies in verbal communication and gestures in the experimental group. Conclusion: 「SON-DAM」 instruction within class was found to be effective in improving communication of adolesc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mplications of the result of this study was discussed in relation to the possibility of simplified manual sign 「SON-DAM」 as a communication method for adolesc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배경 및 목적: 본 연구는 의사소통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발달장애 청소년을 대상으로 몸짓상징 「손담」을 교수하여 의사소통 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았다. 방법: 본 연구는 사전-사후 검사 통제집단 설계를 사용하였다. 몸짓상징 「손담」 교수는 「손담」에 관한 기초교육, 연구자의 피드백, 어휘 선정, 중재, 대화 상대자 훈련, 중재 관련 자료 제공, 교수 방법, 물리적 환경 조성으로 구성되었다.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사후검사와 사전검사의 차이에 대해 Mann-Whitney U를 실시하였다. 결과: 실험집단의 의사소통행동의 빈도가 증가하였고,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의사소통행동의 양식 중 구어와 제스처의 빈도가 증가하였다. 논의 및 결론: 수업시간 내 「손담」 교수는 발달장애 청소년들의 의사소통 향상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적절한 의사소통 방법을 찾지 못했던 발달장애 청소년들에게 의사소통 방법으로서 몸짓상징 「손담」의 가능성을 확인하고, 국내에서 연구 개발된 몸짓상징체계의 효과를 체계적으로 검증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 KCI등재

        몸이 말이다

        김성애 한국보완대체의사소통학회 2018 보완대체의사소통연구 Vol.6 No.2

        The key words of the topic in this paper are the body, speech, and communication of people who might be different from those who are ordinary people in terms of biological conditions. This paper deals with the communication system of people with severe intellectual disabilities. The author emphasizes in the paper that “speech-oriented” communication is one of various communication systems. In many cases, people with severe disabilities might do not communite with spoken language. So what do they communicate with? The author will look for answers in the Perceptual Phenomenology. So this paper discusses what the body is, how the body acts as a language, and how it enables communication based on the Merleau-Ponty's Perceptual Phenomenology. According to Merleau-Ponty, allowing the body to meet the world and make another body will enabl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body and the world. The relationship enables constant communication and exchange of the exact contents of each other’s world. So this paper emphasizes based on Merleau-Ponty’s theory, that is “The body is Speech.” 이 논문에서 논자가 담론하고자 하는 주제는 사고의 생물학적 조건이 일반인과 다를 거라고 볼 수 있는 사람들의 몸, 말, 의사소통 등에 관한 것이어서 중증 지적장애를 가진사람들의 의사소통의 체계가 다루어진다. 논자는 이 논문에서 일반인의 “말” 중심의 의사소통은 다양한 의사소통 체계 중 하나라고 강조한다. 중증 지적장애를 가진 사람의경우 “말” 중심의 의사소통은 어렵다. 아니 그들은 그것으로 의사소통하지 않는다. 그러면 그들은 무엇으로 의사소통 하는가? 이 질문에 대해 논자는 그 해답을 지각 현상학차원에서의 몸에서 찾아보려고 한다. 그래서 이 논문은 몸이 무엇이며, 몸이 언어로서어떻게 역할하며, 또한 어떻게 의사소통을 가능하게 하는 가에 대해 담론한다. 그것을위해 메를로-퐁티의 지각현상학이 소개된다. 몸이 세계를 만나 또 다른 몸을 만들게 하는 것은 몸과 세계의 관계성을 가능하게 할 것이다. 그 관계성은 서로의 세계가 가진정확한 내용의 교류와 소통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짐을 가능하게 한다. 그래서 이 논문은“몸이 말이다”는 것을 강조한다.

      • KCI등재후보

        지적장애 특수학교 교사들의 보완대체 의사소통 적용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 학교 안 전문적 학습공동체 사례를 중심으로

        김정기,전병운 한국보완대체의사소통학회 2017 보완대체의사소통연구 Vol.5 No.2

        Background and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eachers’experiences in applying 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AAC) system for training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in special schools in a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Methods: Qualitative case study was conducted through interviews on ten teachers who had used the AAC system. Results: First, themes of ‘AAC that was put on a shelf’, ‘AAC is an intervention only for students with physical disabilities’, and ‘Suspicions as well as expectations’ were derived from ‘AAC is just a theory’. Second, themes of ‘Eclectic approaches vs. AAC’, ‘Students were already prepared’, ‘Unexpected barriers’, and ‘Efficiency, the next step’ were derived from ‘AAC, the source of trouble to teacher’. Third, themes of ‘Two sides of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ies’ and ‘A theory is just a theory’ were derived from ‘Trial and error of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Discussion and Conclusion: Implications for the direction of AAC practice by teachers in special schools for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re discussed. 배경 및 목적: 이 연구는 학교 안 전문적 학습공동체에서 보완대체 의사소통을 주제로 한 연수 내용을 학생들에게 적용한 지적장애 특수학교 교사들의 경험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법: 전문적 학습공동체 연수에 참여한 교사 중에서 학생들에게 보완대체의사소통을 실질적으로 적용한 교사 10명에게 면담을 실시하여 이를 중심으로 질적 사례연구를 하였다. 결과: 첫째,‘다만 하나의 이론에 지나지 않았던 AAC’라는 주제 아래 ‘책장에 꽂혀있던 AAC’,‘AAC는 지체장애학생을 위한 중재’, ‘기대 반 의심 반’이라는 하위 범주 도출되었다. 둘째, ‘교사에게 고민거리가 된 AAC’라는 주제 아래 ‘기존의 의사소통 방식 vs AAC’, ‘이미 준비되어 있었던 지적장애학생들’, ‘예상치 못했던 난관’, ‘이제는 효율성을 위한 단계로’라는 하위 범주가 도출되었다. 셋째, ‘전문적 학습공동체 연수의 시행착오’라는 주제 아래‘전문적 학습공동체의 두 얼굴’, ‘이론이야 들으면 다 알지’라는 하위 범주가 도출되었다. 논의 및 결론: 이 연구를 통해 보완대체 의사소통 적용 경험을 살펴봄으로써 지적장애 특수학교 교사들의 보완대체 의사소통을 중재 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는 데 그 의의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