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발달장애 청소년을 위한 자기장애 수용을 포함한 자기이해 교육: 현재 실태와 내용 타당화

        이성아,박승희 한국특수교육학회 2015 특수교육학연구 Vol.50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current status of self-understanding education for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secondary special classes and to validate the contents of a self-understanding program with acceptance of disabilities for adolesc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e respondents to the survey include 3 groups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parents and high-school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e data of a total of 334 respondents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research questions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factor analysis, and t-tests. First, almost all of the teachers answered the self-understanding education was needed, the main reason for that was to enhance students’ acceptance of disability and self-esteem. Second, from factor analysis of the responses on the components of the program content, 5 factors were derived and named. Third, the importance of each of 21 components of program content was all highly evaluated by all 3 groups. The importance scores of 5 factors and 21 components rated by the teacher group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the parent group. In conclusion, 21 components of a self-understanding program with acceptance of disability were first socially validated and those components could be directly used as a basic information for developing and implementing a proper self-understanding program for adolesc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t schools. Som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and some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and practices on the self-understanding education for adolesc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ere provided. 본 연구는 발달장애 청소년의 자기장애 수용을 포함한 자기이해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 연구로서 중고등학교 특수학급 교사를 대상으로 자기이해 교육 실행 현황 및 필요성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고, 특수교사, 학부모 및 발달장애 학생의 세 집단의 응답을 통해 자기이해 교육 내용 구성요소의 타당화를 처음으로 수행한 연구이다. 서울시 소재 특수학급이 설치된 65개 고등학교와 120개 중학교에 총 530부의 교사용․학부모용․고등학생용 질문지를 배부하여 최종 334부의 응답 자료가 통계처리 되었다. 그 결과, 자기장애 수용을 포함한 자기이해 교육에 대하여 특수교사의 대부분(98.6%)이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으나, 21.6%가 실행하고 있지 않다고 응답하여 필요성 인지 보다 그 실행은 저조한 현황을 보였다. 자기이해 교육 내용 구성요소의 중요도에 관한 특수교사 및 학부모의 응답을 요인분석한 결과 5가지 요인의 21개 문항을 추출하였다. 이 21개의 교육 내용 구성요소에 대하여 세 집단 모두 전반적으로 중요하다고 응답하였으며, 5개 요인의 중요도 응답은 학부모보다 특수교사가 유의하게 높았다. 최근 특수교육의 실제에서 장애학생 본인의 적극적 참여가 강조되고, 진로․직업․전환교육이 더욱 중요한 관심사가 되면서 발달장애 청소년이 자신의 장애를 수용하고 자기이해를 증진해야하는 필요성은 가중되는 추세이다. 이에 본 연구는 자기장애 수용을 포함한 자기이해 교육의 적합한 실행을 위해 그 교육 내용의구성요소를 처음으로 특수교사, 학부모 뿐 아니라 발달장애 학생 본인 집단을 대상으로 타당화한 의의를 지닌다. 또한 본 연구는 ‘자기장애 수용을 포함한 자기이해 교육’이라는 민감하고 중요한 주제에 대해 전문가 및 학부모 관심의 증대를 촉구하며, 자기이해 교육 프로그램 고안에 사용할 수 있는 교육 내용을 제공하는 의의와 더불어 최근 발달장애 학생의 자기이해 교육 실시의 가중된 필요성에 대한 논의와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공하였다.

      • KCI등재

        “자기 성찰적 글쓰기”의 효과적 교육 방안 연구 -대학 교양 글쓰기 교육에서 자기 성찰적 글쓰기 교육의 실제 적용 사례를 중심으로-

        강민정 ( Min Jung Kang ) 우리어문학회 2016 우리어문연구 Vol.54 No.-

        본고는 학생들의 인문 소양 능력을 향상시키며 시민 윤리 의식을 고취시키기 위하여 대학 교양 교육에서 이루어져야 할 효과적인 교육 방안을 찾아보는 데연구목적이 있다. 특히 인문적 목적성을 실천하기 위한 ‘자기 성찰적 글쓰기’교육에 주목하였다. 따라서 단국대학교의 필수 교양 수업 <사고와 표현>에서‘자기 성찰적 글쓰기’ 교육을 직접 실시했던 실제 사례를 중심으로 이것의 효과성 여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본고는 우선 자기 성찰적 글쓰기가 ‘선 성찰 후 글쓰기’라는 순차적 접근을 통해서 수업이 설계되어야만 한다고 판단하였다. 이후 1차 실습으로 학생들에게 영화 <GO>에 대한 감상문을 작성하도록 하여, 서사에 담긴타자성의 의미를 심도 있게 이해하게 함으로써 자기 성찰의 필요성을 인식하도록 만들었다. 이러한 인식으로 말미암아 학생들의 내면에는 자기 성찰을 능동적으로 수행하려는 의지가 생성되었다. 이후 학생들에게 리쾨르가 제기한 ‘자체성과 자기성의 구분’을 활용한 자기성찰의 사유 방법을 가르치고, 2차 실습으로 자신의삶을 돌이켜 보고 자체성과 자기성을 구분해 보도록 제시하였다. 이러한 과정은 학생들에게 자기표현의 의지를 생성하는 데 도움을 주었으며 이로써 표현 의지가생성된 학생들에게 적극적 자기표현을 시도할 수 있는 관련 글쓰기 방법을 지도하였다. 이때 교재 『사고와 표현』에 제시된 바 있는 ‘개념화’를 3차 실습에서 가르쳐 이를 통해 학생들이 구분되어 있던 ‘자체성과 자기성’을 통합하는 과정으로서의 변증법을 수행하도록 하였고, 이를 창의적 표현으로 개념화하도록 하였다. 3차 실습의 결과물에 경험적 사례를 덧붙이게 하여 생동감 있는 전달법을 고민하도록 하였으며 이를 성적에 반영하는 과제로 내주어 스스로 자기 성찰적 글쓰기를 완성하여 제출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처럼 세 번의 실습 및 교수 피드백을 통해 학생들은 비로소 한 편의 자기 성찰적 글쓰기를 완성하는 단계에 도달하였다. 이러한 과정은 그들을 자기 자신에 대한 이해는 물론이고 더 나아가 타자 그리고 우리에 대한 이해와 포용력을 실천적으로 모색하게 하는 서사적 경험을 수행하도록 만들어 주었다는 점에서 의미 있다. 더불어 이러한 과정 중심의 자기 성찰적 글쓰기 교육은 그간 중·고등 교육의 주입식 교육에 익숙해진 학생들에게 시간을 들여 자기 자신을 능동적으로 돌아보게 한다는 점에서 보다 능동적이고 자율적인 대학생으로 성장하는 데 도움이 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자기 성찰적 사유가 지닌 의미와 가치를 음미해볼 수 있는 기회를 선사한다는 점과 나아가 정체성이란 것은 지배이데올로기에 의해 규정되어 있는 것이 아니며 오히려 타인과의 상호 교섭을 통해 언제까지나 적극적으로 구현해나갈 수 있는 긍정의 과정임을 깨닫게 했다는 점에서 이 수업의 효과성이 입증되는 바이다. This study aims at looking up an effective education method which shall be carried out in college liberal arts educations in order to promote accomplishments in humanity capabilities of students and encouraging citizen moral consciousness. Specially, attentions were given to ‘Self-introspective writing’ education to practice humanistic purposes. So, researcher tried to confirm its effectiveness by focussing on actual cases which have been carried out directly in ‘Self-introspective writing’ at the essential cultural studies <Thought and Expression> of Dankook University. For doing so, this study judged that the class should be designed through sequential approaches called ‘Self-introspective writing after pre-introspection’ regarding self-introspective writing first. Therefore, this research made students cognize the importance of self-introspection by making them to write appreciations on a movie <GO> after showing the movie preferentially as the first practice, and then understand the meaning of otherness contained in the narration. Due to such cognizance, intentions of positively carrying out self-introspection in inner sides of students were created. After that, thinking way of self-introspection utilizing ‘Separating self-consistency with self-aspect’ having been suggested by Ricoeur was taught to students, and this study suggested to separate self-consistency with self-aspect after recalling own life as the second practice. This process gave helps for students to create self-expression intentions, and methods of writing relevant articles by which positive self-expression could be tried were guided accordingly. At that time, ‘conceptualization’ having been stated in the text 『Thought and Expression』 was suggested as the third practice, and dialectics as the course of integrating classified ‘self-consistency and self-aspect’ were executed, and then reached to its conceptualization as creative expressions. Based on results of the third practice, this study let empirical cases which could materialize the results be added, and students worry about vividtransferring methods, and then submit assignments by completing selfintrospective writing in person after giving this as an assignment which was reflected to school records. Through teaching feedback having been made in each times and three-times practices, students could be reached to the stage of completing one self-introspective writing. This process has a meaning in that it made students execute narrative experiences by which they practically grouped understanding on us and comprehension further as well as understanding on their own. In addition, a fact could be judged that self-introspective writing education enables students having been accustomed to learning by rote in middle & high school educations for the time being to positively look back oneself by taking time, and thus it would be helpful in growing up as more positive, autonomous college students. Furthermore, effectiveness of this class is proved in that it presents opportunities of being able to savor meaning and value kept in self-introspective thoughts, and makes students recognize a fact that identity belongs to positive process which could rather implement positively at any time through mutual negotiating with others in stead of being regulated by the governing ideology.

      • KCI등재

        예비유아교사의 교육실습 전후 자기효능감, 자기불일치, 정서경험의 차이 분석

        손강숙(Shon, KangSuk),정소미(Jeong, SoMi)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6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6 No.6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유아교사의 교육실습 전후의 자기효능감, 자기불일치, 정서경험의 차이를 검증하는 것이었다. 이를 위하여 인천광역시에 소재한 3년제 대학의 유아 교육과 여학생 220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2015년 2학기 교육실습을 다녀 온 학생 106명을 실험집단으로, 교육실습을 다녀오지 않은 114명을 통제집단으로 하여 교육실습 전과 후에 자기효능감 척도, 자기불일치 척도, 정서경험 척도를 실시하고 독립표본 t-검정과 대응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교육 실습 사전 점수에 대한 동질성 검증결과, 두 집단이 동질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육실습 후 실험집단의 자기효능감 중 자기조절효능감, 자기불일치 중 이상적 자기, 의무적 자기, 실제적 자기와 이상적 자기의 차이, 실제적 자기와 의무적 자기의 차이, 긍정적 정서경험과 부정적 정서경험이 통제집단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셋째, 실험집단의 사후의 자기효능감 중 자기조절효능감과 긍정적 정서경험이 사전에 비해 유의미하게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으며, 실험집단의 사후의 이상적 자기와 의무적 자기, 실제적 자기와 이상적 자기의 차이, 실제적 자기와 의무적 자기의 차이, 부정적 정서가 유의미하게 낮아진 것을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교육실습 경험을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심리·정서적 개입에 대한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differences about pre-service teachers’ self-efficiency, self-discrepancy, and emotion experience between pre and post-teaching practice. There were 220 participant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who completed self-efficiency scale, self-discrepancy scale, and emotion experience scale. The data was analyzed by independent t-test and paired t-test. Results of the analysis, first, homogeneity tests found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and it turned out that two groups were same. Second, after teaching practice, self-regulatory efficacy among self-efficiency, ideal self, ought self, differences between actual self and ideal self, differences between actual self and ought self among self-discrepancy, and emotion experiences of the experimental group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e control group. Third, post-test results of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that self-regulatory efficacy among self-efficiency and positive emotion experience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pre-test. Moreover, ideal self, ought self, differences between actual self and ideal self, differences between actual self and ought self among self-discrepancy, and negative emotion of the experimental group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pre-test. Finally, suggestions about psychological intervention for effective use of teaching practice through result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 KCI등재

        기업교육에서 교육품질이 교육만족도와 직무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자기주도성의 조절효과

        김한나,이현정 핵심역량교육학회 2022 핵심역량교육연구 Vol.7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nteraction effect of self-direction and education quality on education satisfaction and job efficacy.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20 executives and employees who were taking long-term education for more than two weeks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government-consigned corporate education. For this purpose,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and two-way ANOVA interaction effect analysis were performed through spss 28.0. The results are as follow.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ducation quality and education satisfaction according to self-direction, first, education quality had a significant effect on education satisfaction. Second, with control of educational quality, self-direction did not have significant effect on educational satisfaction. Third, There was the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 between education quality and self-direction on educational satisfac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ducational quality and job efficacy according to self-direction, first, education quality was found to be positively significant in job efficacy. Second, with control of education quality, self-direction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job efficacy. Third, there was the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 between education quality and self-direction on job efficacy. 이 연구의 목적은 교육생의 개인적인 특성인 자기주도성에 따라 교육품질이 교육만족도와 직무효능감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서울과 경기지역의 기업교육을 수강중인 임직원 120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자기주도성에 따른 교육품질과 교육만족도와의 관계에서는, 첫째, 교육품질이 교육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둘째, 교육품질을 통제했을 때 자기주도성은 교육만족도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셋째, 교육만족도에 대한 교육품질과 자기주도성의 상호작용효과가 나타났다. 자기주도성이 낮은 집단에서는 교육품질의 높고 낮음에 영향을 받지 않았지만, 자기주도성이 높은 경우 교육품질이 높을 때 만족도가 높았다. 자기주도성에 따른 교육품질과 직무효능감과의 관계에서는, 첫째, 교육품질이 직무효능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둘째, 교육품질을 통제해도 자기주도성은 직무효능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셋째, 직무효능감에 대한 교육품질과 자기주도성의 상호작용효과가 나타났다. 자기주도성이 낮은 집단에서는 교육품질의 높고 낮음에 영향을 받지 않았지만, 자기주도성이 높은 경우 교육품질이 높을 때 직무효능감이 높게 나타났다.

      • 학원의 교육서비스 품질 및 학원강사의 변혁적리더십이 고등학생의 자기효능감과 구전의도에 미치는 영향

        윤용헌,엄덕수 한국사교육연구협의회 2021 사교육연구 Vol.1 No.1

        본 연구는 학원의 교육서비스 품질 및 학원강사의 변혁적리더십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고, 이러한 요인들이 고등학생의 자기효능감 및 구전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구조적 관계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통해 고등학 생을 대상으로 하는 학원의 교육서비스 품질 개선을 유도하고, 학원강사의 변혁적리더십에 대한 인식을 제고시킴으로써 궁극적으로 학원교육 및 학원경영 성과를 높이는데 기여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입시·검정 및 보습학원에서 수강 중인 고등학생 64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BM SPSS StatisticsDHK 25와 AMOS 21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원의 교육서비스 품질은 신뢰성, 확신성, 공감성, 유형성, 응답성 순이고, 변혁적리더십은 지적자극, 개별적배려, 영감적동기화, 이상적영향력 순으로 전반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고등학생의 자기효능감은 자기조절효능감, 자신감, 과제난이도 순이고, 구전의도는 주관적구전의도, 적극 적구전의도, 객관적구전의도 순으로 보통 수준 이상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원의 교육서비스 품질과 학원강사의 변혁적리더십이 고등학생의 자기효능감 및 구전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교육서비스 품질은 변혁적리더십, 자기 효능감, 구전의도에, 변혁적리더십은 자기효능감과 구전의도에, 자기효능감은 구전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육서비스 품질과 구전의도 관계에서 학원강사의 변혁적리더십과 고등학생의 자기효능감은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학원장이 학원의 교육서비스 품질과 학원강사의 리더십을 제고시키고, 이를 바탕으로 학생들의 자기효능감과 구전의도를 높이는 구조적 관계 속에서 경영활동을 수행해야 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search students' thought for teaching service quality of private education and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f private tutoring center instructors. The study targeted specific High school students, registered to private tutoring centers of Daechi-dong, Joong-gye-dong, Gyonnggido bundang, and Suwon Yong-tong which are special private education districts in South Korea. And this study aimed to analyze how the teaching service quality and the transformational leadership have influences on self-efficacy and word-of-mouth intention of high school students. The goals of this study were to help private tutoring centers for high school students find the ways to improve the private education service quality, and to help private education instructors recognize how important they boost their transformational leadership. Then, the study finally advised private tutoring centers and their instructors on how they show better performance for private education and their company’s management. To achieve the goal, this study researched references & dissertations, and carried out a survey. Data for the study was collected through the survey, which was carried out by 640 high school students. The survey was analyzed by IBM SPSS Statistics DHK 25 and AMOS 21 program, and it was verified in level of p〈.05. In order to examine the structural causal relationships among variables, Structural Equation Model (SEM) was executed, and then bootstrapping was also executed to verify mediated effects. The survey analyzed by the process explained above has four important results. First, here presented analyzing survey on students’ thought for teaching service quality of private education,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f private tutoring center instructors, and self-efficacy and word-of-mouth intention of high school students. Teaching service quality of private education consisted of reliability> certainty> sympathy> type> responsiveness in order of score rank.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f private tutoring center instructors consisted of intellectual stimulation〉individual consideration〉 inspirational motivation〉 ideal influence in order of score rank, which showed not a high level of score. Self-efficacy of high school students consisted of self-control efficacy〉 self-confidence〉 assignment level of difficulty in order of score rank. Then, Word-of-mouth intention of high school students consisted of subjective word-of-mouth intention〉 positive word-of-mouth intention〉, and objective word-of-mouth intention in order of score rank. Second, here is the result that examined the correlation of teaching service quality of private education,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f private tutoring center instructors, and self-efficacy & word-of-mouth intention of high school students. The study showed a mutually meaningful positive(+) correlation exists among teaching service quality of private education,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f private tutoring center instructors, and self-efficacy & word-of-mouth intention of high school students. Third, the study showed how teaching service quality of private education &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f private tutoring center instructors had influenced on self-efficacy & word-of-mouth intention of high school students. Teaching service quality of private education had a positive(+) influence(β=.83, p<.001) on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f private tutoring center instructors, a positive(+) influence(β=.16, p<.001) on self-efficacy of high school students, and a positive(+) influence(β=.33, p<.001) on word-of-mouth intention of high school student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f private tutoring center instructors had influenced on a positive(+) influence(β=.36, p<.001) on self-efficacy of high school students, and a positive(+) influence on word-of-mouth intention of high school students(β=.47, p<.001). Self-efficacy of high school students had a positive(+) influence(β=.10, p<.01) on word-of-mouth intention of high school students Fourth, here is the result that researched a mediated effect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a student's self-efficacy between teaching service quality of private education and word-of-mouth intention of high school students. Meaningful was an indirect effect of [teaching service quality -> transformational leadership -> word-of-mouth intention]. Also meaningful was an indirect effect of [teaching service quality -> self-efficacy -> word-of-mouth intention]. In addition, meaningful was a mediated effect of self-efficacy between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word-of-mouth intention. And also meaningful was an indirect effect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 self-efficacy -> word-of-mouth intention. Therefore,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f private instructors and self-efficacy of high school students have a mediated effect between private educational teaching service quality and students' word-of-mouth intention. In conclusion, to improve private tutoring center education and management, private tutoring center's manager should make efforts to raise the teaching service quality of his or her institute, and an instructor should learn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show the leadership for his or her students.

      • KCI등재

        델파이기법을 활용한 자기교육역량에 관한 연구-W대학 교양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박지현,이예다나 한국교양교육학회 2020 교양교육연구 Vol.14 No.3

        Persons are beings who can and should develop themselves over the course of their lifetimes. Thus, 'self-education' is required for learners to recognize themselves as educational subjects, not as educational objects. The liberal education in W university aims to develop a diagnostic tool for self-education competence. Hopefully, this tool will help learners as they strive to achieve ‘self-formation’ and 'self-perfection', not only while they attend university, but for their whole lives through. For based on Gadamer's concept of self-education, this in fact is the essence of higher education. Firstly, some factors constituting the self-education competence were categorized into 'recognition of self-education', 'practice of self-education' and 'reflection of self-education'. A total of 52 items were developed for the factors. Next, a Delphi survey of ten experts was conducted twice. Finally, we formulated the diagnostic tool to be used for the liberal education in W university. This consisted of a total of 40 items for self-education competence, 11 items for the recognition of self-education, 18 items for the practice of self-education, and 11 items for the reflection of self-education. We found that 40 items drawn met the criterion of content validity. On the basis of these results, this study suggested that this type of diagnostic tool should be made available for self-education competence, as well as argued for the necessity of a follow-up study. 인간은 평생 자기 발전 할 수 있고, 자기 발전해야 하는 존재이기에, 학습자는 자신을 교육의 객체가 아닌 교육의 주체로 설정하는 ‘자기교육(self-education)’이 필요하다. W대학은 가다머의 자기교육 개념을 토대로 고등교육의 본질인 ‘자기형성’과 ‘자기완성’을 위해 평생 동안 쉼 없이 노력하는 인간상을 지향하고자 학습자에게 요구되는 자기교육역량 진단도구를 개발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하였다. 우선 문헌연구를 통해 자기교육역량을 구성하는 요인을 ‘자기교육인식’, ‘자기교육실천’, ‘자기교육성찰’의 세 가지로 정의하였으며, 각 요소에 해당하는 총52개의 문항을 개발하였다. 다음으로 10명의 전문가를 대상으로 2차에 걸쳐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최종적으로 자기교육 인식 11문항, 자기교육 경험 18문항, 자기교육 성찰 11문항의 총 40문항으로 구성된 W대학의 자기교육역량 진단도구를 도출하였다. 도출된 40문항은 내용타당도 기준을 충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바탕으로 W대학이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하여 제시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 KCI등재

        미셸 푸코의 ‘자기배려’와 근대교육

        정규영 ( Chung Kyu Young ) 한국교육사학회 2021 한국교육사학 Vol.43 No.4

        이 논문은 자기배려 개념의 성립 경위, 그 의미, 교육학적 함의, 그리고 근대교육과의 관계를 해명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자기배려 개념의 발굴로 향하는 푸코의 지적 탐색은 1976년경의 ‘욕망의 주체의 계보학’에 대한 관심에서 출발하여 1982년도 『주체의 해석학』 강의에서 완료된다. 자기배려는 소크라테스를 통해 철학에 도입된 이래 여러 세기에 걸쳐 서양의 철학적인 생존의 원칙으로 지속했다. 자기배려는 『알키비아데스』에서 지식·기능 습득의 교육과는 구별되는 영적이고 철학적인 파이데이아로 나타났다. 자기배려는 기원 1~2세기에 생의 준비가 아니라 생존 양식 자체, 미성년의 보완적 교육이 아니라 성년의 자기실천으로서, 평생 수행해야 할 철학적 파이데이아로 정착했다. 그것은 보편적인 격률에 그치지 않고 다양한 훈련과 수련 과정이 되었다. 그 주된 기능은 생의 준비와 적응이 아니라 비판, 투쟁, 치료였다. 자기배려 개념의 교육학적 함의는 ‘자기의 파이데이아’로 요약된다. 푸코의 자기배려 개념은 ‘우리들의 존재에 대한 끝없는 비판’이라고 하는 그의 근대 비판의 내부에서 출현했다. 푸코의 자기배려는 그의 근대교육 비판의 연장선상에 있다. 이 개념의 교육학적 함의로서 자기의 파이데이아는 근대교육과는 조화되기 어려우나 우리의 현대교육과는 보다 긍정적인 관계를 맺을 수 있다. This thesis aims to elucidate the appearance process of the concept of ‘care of the self’, its meaning, its pedagogical implications, and its relationship with modern education. Foucault’s intellectual quest toward the discovery of the concept of care of the self started with his interest in the ‘genealogy of the subject of desire’ around 1976 and was completed in the lecture of The Hermeneutics of the subject in 1982. The concept was introduced into philosophy through Socrates, and it has continued as a Western philosophical principle of existence for centuries. The care of the self appeared in Plato’s Alcibiades as a principle of the spiritual and philosophical paideia, distinct from the education of knowledge and skill acquisition. The concept of care of the self was established in the 1st and 2nd centuries AD as a principle of the philosophical paideia to be practiced throughout one’s life, not as a preparation for life, but as a mode of existence itself, not as a supplementary education for minors, but as a practice of the self for adults. It has not remained as a universal maxim of morality, but has become a practice of variety of physical and mental training courses. Its main function was not to prepare and adapt to life, but to criticize, struggle, and heal. The pedagogical implications of the concept of care of the self can be summarized as Paideia of the Self. Foucault’s concept of care of the self emerged within his critique of ‘the endless critique of our existence’. Foucault’s care of the self is an extension of his critique of modernity and its education. As a pedagogical implication of this concept, Paideia of the Self cannot be easily harmonized with modern education, but it will be able to establish a more positive relationship with our contemporary education.

      • KCI등재

        네트워크 텍스트 분석을 통한 국내 자기주도 학습 관련 연구 동향 분석 및 국제교육개발협력 개선 방향 고찰

        황자옥(Ja Ok Hwang),이채영(Chae Young Lee),김영민(Young Min Kim)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22

        목적 본 연구는 교육에서의 새로운 패러다임과 그에 따른 교육개발협력에서의 개선방향을 고찰해 볼 필요성을 파악하고 그 기초작업으로서 시대적⋅교육적 흐름을 종합하여 교육에서의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등장한 자기주도학습에 대한 관련 연구들이 어떠한 주제를 중심으로 수행되었으며, 그 주제들은 서로 어떤 연관 관계를 가지고 있는지를 주제어 빈도수 및 연구주제의 상관관계를 통해 분석하고 이를 통해 앞으로의 국제교육개발협력에서 자기주도학습방법의 연구 및 적용 방법을 제고해보고자 하였다. 방법 이를 위해 RISS의 ‘주제어 상세검색’에서 ‘자기주도’, ‘학습’, ‘교육’의 세 가지 키워드로 검색된 KCI 등재 혹은 KCI 등재후보 논문 중 최근 10년간의 국내학술논문 160편의 640개(160편*4개)의 주요 주제어를 네트워크 텍스트 방법을 활용해 분석하였다. 결과 이에 따라 도출된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주도학습 관련 연구는 지속적으로 진행되고 있었다. 둘째, 주요 주제어인 ‘대학교육’은 빈도수 뿐만이 아니라 중앙성 분석에서도 높게 나타나 ‘자기주도학습’ 노드를 제외하고 영향력이 가장 큰 주제어로 나타났다. 셋째, 다양한 교과분야 관련 주제어가 도출되어 자기주도학습 관련연구가 다양한 교과에서 적용 및 연구되어 오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넷째, ‘온라인교육’은 빈도수가 높지만 중심성에서는 낮은 지표를 보여줌으로써 다양한 주제와의 통합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다섯째, 주제어들의 군집성은 ‘대학교육’, ‘만족도’, ‘문제해결능력’, ‘영어교육’, ‘사이버교육’ 중심의 5개의 그룹으로 이루어지며, 이들 중 ‘대학교육’과 ‘만족도’를 중심으로 두 그룹간의 연결정도가 상대적으로 높았다. 결론 첫째, 국제사회에서의 자기주도학습 적용사례인 Sugata Mitra의 SOLE이 주로 초등교육에 적용되었던 것을 고려할 때, 국내연구에서 주로 초점을 둔 연구범위인 대학교육에서 초등교육과 중등교육, 평생교육에까지 확대시킨다면 의미있는 연구가 될 것이다. 둘째, 연구결과와 SOLE의 적용을 종합하여 볼 때, 다양하고 통합적인 주제에서의 자기주도학습 적용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셋째, SOLE에서 학습자를 지지하고 정서적으로 지원하는 ‘구름할머니’가 중요한 것을 볼 때, 교육개발협력에서도 기존 강의식 및 교사중심, 획일적 교수법의 교사연수 방법에 현대적 변화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마지막으로 자기주도학습 및 SOLE에서 기본요건인 ‘광대역 인터넷 통신망(Broadband)’은 많은 개발도상국에서 부족하지만, 동아프리카 나라들에서 휴대폰 보급 및 활용이 급속도로 증가하는 상황임을 고려하여 휴대폰을 활용한 자기주도학습환경을 구상해 볼 것을 제언한다. Objectives In this study, we examined the research and application method for international education development cooperation of ‘self-directed learning’, which emerged as a new paradigm, considering the trend and demand of education. Therefore, related studies were collected, and the subjects of the studies were analyzed through the frequency of the topics and the correlation of research subjects. Methods Utilizing keyword ‘Self-directed’, ‘learning’, and ‘education’ with ‘detailed keyword search’, 160 KCI and KCI candidate journals published for last 10years are selected from RISS. A total of 640 keywords(4 from each article) from the selected 160 articles are analyzed utilizing Network Text Analysis. Results The main results derived accordingly are as follows. First, research on ‘Self-directed learning’ has continued albeit in small numbers. Second, the most appearing keyword was ‘College education’ both in frequency and centrality analysis. Third, the research has been applied and studied in various subjects. Forth, the cluster of subjects consists of five groups, and the connection between “college education” and “satisfaction” was relatively high. Conclusions Considering that the case of the SOLE of Sugata Mitra, an application of self-directed learning in the international community, conducting various studies in the expanded scope is meaningful. Since many studies have been mainly applied to university education setting in Korea, expanding the scope of studies to elementary education, secondary education, and lifelong education is able to deduce meaningful results. Second, it seems that self-directed learning can be applied in various integrated themes. Third, the contents and methods for teacher training in international education development cooperation need to be changed based on the philosophy of self-directed learning. Forth, it is suggested to devise a self-directed learning environment using mobile phones, considering the lack of “Broadband” and the dramatic growth in the supply and use of mobile phones in East African countries.

      • KCI등재

        미디어교육에 있어서 노인의 자기주도학습: 노인학습자의 동기, 자기관리, 자기 모니터링에 대한 미디어 강사와의 심층인터뷰를 중심으로

        전제아(Jae Ah Jeon) 한국문화융합학회 2021 문화와 융합 Vol.43 No.1

        자기주도학습은 전통적인 학령기 학습자와 학교 교육 영역의 관심 주제로 여겨지는 경향이 있으나, 원래는 성인학습자의 특징으로 강조되어 왔다. 이 연구는 성인학습자의 범주에 속한다고 볼 수 있는 노인들의 경우에는 자기주도학습을 어떻게 수행하는가를 살펴보기 위하여 출발하였다. 특히 노인인구 확대와 미디어 생태계의 변화 속에서 그 필요성이 절실해진 노인미디어교육에서는 노인의 주체적인 미디어 이해·활용 역량 함양을 강조하고 이를 위해서 미디어교육 자체가 자기주도학습으로 이루어질 것을 지향하고 있음에 주목하면서, 미디어교육에서 노인의 자기주도학습이 실제로 어떻게 이루어지는지 이해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는 노인 미디어교육을 담당하는 강사와의 심층인터뷰를 통해 노인의 자기주도학습에 대하여 동기(motivation), 자기 관리(self- management), 자기 모니터링(self-monitoring)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노인학습자들은 미디어교육에 대한 성과, 경험, 관계 중심의 동기를 보이고 있었다. 자기관리에 있어서는 노인학습자들이 미디어교육의 과정·활동·내용 등에 있어서 분명한 의사표현과 요구를 지속적으로 제시하거나 미디어교육 강사 또는 학습동료들과의 관계를 교육자원으로 활용하는 등 관계지향성을 보였고 그 외에는 다른 수행 방식이 드물었다. 자기 모니터링에 있어서는 자신의 학습 과정이나 수행방식에 대한 모니터링은 두드러지지 않았고, 드물게 자신의 학습여건, 또는 자신의 삶에 대한 성찰이 이루어졌다. 또한 동기, 자기관리, 자기모니터링 모두에 있어서 노인의 자기주도학습은 정도 차이가 클 뿐만 아니라 수행 방식도 이질적이라는 점, 동기에 있어서는 비교적 자기주도적이지만 이 점이 자기관리와 자기모니터링으로 항상 연결되는 것은 아니라는 점, 자기주도적인 노인들도 관계의존성이 높다는 점, 자기관리와 자기모니터링에 있어서 일회적이거나 임시적인 경우가 높다는 점, 노인의 자기주도학습은 개인차가 매우 두드러진다는 점 등을 살펴보았다. 이 연구는 앞으로 노인이 주체가 되는 미디어교육을 지향하기 위해서는 노인 학습의 다양한 양상을 반영할 수 있도록 프로그램 및 접근방법의 다각화를 모색할 필요가 있으며, 미디어 강사의 도움 이외에 다양한 학습 자원을 제시하고 활용할 수 있도록 도모할 필요가 있다는 점, 학습 동기를 자기관리와 자기 모니터링까지 끌고 갈 수 있는 방식을 제시할 필요가 있다는 점, 개인차를 고려할 수 있는 교육과정의 마련이 필요하다는 점 등의 시사점을 주었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how old adults has been practiced self-directed learning in media education for old adults. More specifically, it examines how motivation, self-management, and self-monitoring, which are considered the three characteristics of self-directed learning, are carried out in media education for old adults. Employing in-depth interview method, the data collection of this study includes six media instructors who have more than two years of experience working with old adults in various districts of South Korea. The data analysis reveals the following. First, old adult learners are self-directed as they have motivation, which is related to accomplish- ment, experience, and relationship. Second, old adults tend to be self-managed as they present their own response to the content, process, and activity of media education programs in which they participate. In addition, they make use of their human relationships, such as those with media teachers and classmates, as educational resources. Third, old adult learners perform self-monitoring by reflecting on their own lives as a learning environment. Ironically, their self-monitoring led them to be self-directed as well as dependent. In conclusion, media instructors have paid attention to how diverse old adult learners perform self-directed learning, and their motivation has not always led them to self-management and self-monitoring. The results suggest that media education for old adult learners should address how to provide educational opportunities, enrich educational resources other than media instructors, and improve the learning environment.

      • KCI등재

        대학생 자기교육역량 모형 개발 : 가다머의 자기교육(self-education) 개념화를 중심으로

        홍수진,이예다나,박지현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20 교육문화연구 Vol.26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Self-Education Competency Model for college students. This study aims to present a concept, construct and sub-components in self-education competency. To this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in the following these methods: literature review, content analysis, and expert's advise. Based on self-education concepts of Gadamer, we newly defined construct and sub-domains for Self-education competency and validated them through the expert's advise. Through literature review and content analysis, it is suggested that the construct of self-education competency for college students might be composed of three sub-constructs: ①Cognition in self-education, ②Practice in self-education, ③ Reflection in self-education. After finalizing seven sub-components, which are Perception on the meaning of life and learning, Self awareness and Awareness of learning, Self-development and Implementing, Strategic design and Innovation, Collaborative problem solving and Facilitation, Reflective thinking and Improvement, Self-formation and Evaluation, we defined a concept for each sub-components. In conclusion, Self-Education Competency Model is meaningful in order to provide on primary data to educate college students for strengthening self-education competency. Also, this study can be helpful to develop a measurement tool for self-education competency. 본 연구는 Gadamer의 자기교육 개념을 토대로 자기교육역량을 구성하는 요인을 도출하여 대학생 자기교육역량의모형을 개발하였다. 이를 위해 자기교육 및 역량을 중심으로 문헌분석과 내용분석법을 통해 자기교육역량 초기 모형을개발하고 전문가 의견을 수렴하여 역량 모형을 수정하였다. 이에 대한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교육역량은한 개인이 자기성장의 전 과정에서 주도적 자기 구성, 지속적인 배움 설계, 객관적 성찰 실천을 통해 자신을 객관화함으로써새롭고 창조적인 자신을 형성해 나아가는 데 필요한 총체적인 능력으로 정의된다. 둘째, 자기교육역량은 주도적자기구성, 지속적 배움 설계, 객관적 성찰 실천의 세 가지 속성으로 구분되며 이러한 속성들은 ‘주도성’, ‘지속성’, ‘객관성’의 3개 핵심가치로 설명된다. 셋째, 자기교육역량은 자기교육인식, 자기교육실천, 자기교육성찰로 구성되며하위역량은 삶과 배움에 대한 가치 탐색, 자신과 학습에 대한 인식, 주도적 개발과 실행, 전략적 설계와 혁신, 협력적문제해결과 촉진, 반성적 사고와 개선, 자기형성과 평가로 도출되었다. 최종적으로 자기교육역량 모형은 3개 핵심가치, 3개 구성요인, 7개 하위역량으로 요약된다. 대학생 자기교육역량 모형은 자기교육역량이 변화가능하고 함양될 수 있는 역량으로서 그 개념이 명시적으로통용되게 하며 이를 통해 대학이 자기교육역량을 진작시킬 수 있는 구체적인 교육경험을 설계하고 그 성과를 확인하기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