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성희롱-이성애제도-조직문화 그 연관성에 관한 고찰

        이성은(Lee Sung Eun) 한국여성학회 2003 한국여성학 Vol.19 No.2

        본 논문은 이성애적 실행으로서의 성희롱이 한국의 이성애 제도를 재현하는 성적순결, 결혼제도와 어떠한 연관성을 가지는 지를 검토하고 또한 성희롱이 일어나는 대표적인 장인 조직 내의 성별, 성문화가 성희롱의 발생과 어떠한 관련성이 있는지를 고찰한다. 이를 고찰하기 위하여 질적 방법론에 기초하여 28명의 사무직 여성 노동자와 심층 연접법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서 첫째, 이성애적 제도로서 순결이데올로기와 결혼 제도 내에서의 성에서 비롯된 지배적인 이중규범은 여성을 성희롱의 저항할 수 없는 피해자로 남성을 일상화된 성희롱의 가해자로 만드는데 주요하게 기여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이러한 이성애제도에 근거한 남생 중심적, 이성애 중심적 성별, 성문화는 다양한 양태에 성희롱을 유발시킬 뿐 아니라, 성희롱을 유지 공고화하는 실질적인 역할을 수행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따라서 본 논문은 성희롱의 문제 해결은 단지 새로운 법안의 수립, 제도의 개혁을 통해서 가능하기 보다는 이성애 주의에 대한 도전, 조직문화에 대한 구체적인 문제제기를 통해서 가능함을 주장한다. This article examines how sexual harassment as a heterosexual incident is not only perpetuated by heterosexuality as an institution but also related to gendered and sexual organizational culture in Korea. In doing so, the data of this research derives from qualitative interview with 28 female clerical workers who work in Seoul in Korea. Firstly, this research found that the specificity of Korean heterosexuality is characterized as the dual norm based upon the ideology of sexual chastity and sexuality within marriage. Therefore, Korean female workers affected by the institution of heterosexuality are unable to assertively respond to sexual harassment. Whereas women are defined as a sexual victim, men are regarded as a common harasser. Secondly, this research shows how the incident of sexual harassment is linked with the gendered and sexual culture in the Korean workplace. The gendered organizational culture is featured as the first, inequality of opportunity in employment, sex-discrimination in income and promotion, the second, sex discrimination against married female workers, the third, a uniform for female workers only. The sex-discriminated features contribute to see women not as a worker with an equal ability but as a office wife and a sexual object. Moreover, sexual culture of Korean organizations is mainly related to the 'drinking culture' within the institution of the 'office party'. This drinking culture is male-centered and male-dominated, so most female workers are forced into sexual service roles. In this circumstance, the various forms of sexual harassment are occurred within the office parties and therefore it demonstrates that the sexualized organizational culture is a main cause of sexual harassment. As a result, in order to study incidents of sexual harassment within each society, a research on the sexual harassment- heterosexuality-organizational culture complex is indispensible.

      • 교도권과 교부들 : 아우구스티누스의 이성, 신앙, 권위 이해

        이성효(Lee, Seonghyo) 수원가톨릭대학교 이성과신앙연구소 2017 이성과 신앙 Vol.62 No.-

        하느님은 아우구스티누스의 사상에서 신학의 주체이다. 아우구스티누스는 오직 이성만으로 진리에 이르고자 마니교에 빠지기도 했고 아카데미 학파의 학설에도 귀를 기울였다. 그러나 그는 이성만으로 진리에 도달하기에는 무엇인가 부족함을 깨달았다. 마침내 그는 이성으로 진리에 도달하기 위해서는 권위가 필연적으로 필요함을 체득한다. 그는 성경과 교회의 권위에 자신을 맡기면서 이성과 신앙의 조화란 새로운 길을 걷기 시작한다. 아우구스티누스는 이해하기 위해서 믿고, 믿기 위해서 이해하라고 권고한다. 하느님께서 인간을 통하여 직접 계시하신 진리, 곧 구약성경과 신약성경의 말씀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먼저 하느님에 대한 믿음을 가져야 함을 강조한다. 바로 신학의 주체가 하느님이기 때문이다. 가톨릭 신학의 대상은 하느님이시다. 어느 누구도 계시된 진리와 하느님의 도움에 힘입지 않으면 신학의 대상에 대해 알 수 없다. 신학의 대상은 신앙의 내용이다. 신앙의 내용은 신자들이 ‘살아 왔고’ ‘살고 있는’ 신앙 안에 보존되고 전승된다. 누군가 전승된 신앙의 내용과 다른 내용을 언급하면 교회는 권위를 발동하여 올바른 신앙의 내용을 지키고 보존한다. 교회는 신앙의 핵심적인 내용을 담아 신경을 선포하고 지역교회에 전해준다. 가톨릭 신학의 목적은 하느님께 이르는 것이다. 덴칭거가 교회의 권위로 최종 결정한 신앙과 도덕에 관한 실증적 문헌들을 무시하거나 경시하고 자기 임의대로 이해하는 것이 신학 연구에 가장 큰 해를 끼치고 있다고 지적한 것은 신학의 진정한 목적을 일깨우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덴칭거가 『신경 편람』을 편찬한 것은 새롭고 훌륭한 가톨릭 신학을 드러낸 것이라 말할 수 있다. God is the subject of Augustine’s theological world. In his search for ultimate truth he flirted with Manicheanism and was temporarily swayed by Neo-Platonism. His intellectual quest, however, which lead him to see the limitations of these approaches, eventually brought him to understand the necessity of authority. That is, in giving himself over to the authority of Sacred Scripture and the Church, Augustine discovered the harmony of faith and reason. He came to affirm that “I believe, in order to understand; and I understand, the better to believe.” We, in other words, arrive at the truth within humans and in the Sacred Texts, through an a priori faith in God. God is, in other words, the ultimate subject of theology. Likewise, the subject of Catholic theology is God. Without God’s help, no one can understand this theological reality. The curriculum of theology is faith: the lived and living faith which believers preserve and transmit. The exercise of magisterium in the Church is to distil from amongst its competitors the faith which is to be proclaimed. The heart of this belief is found in its proclamation by the local churches. The goal of Catholic Theology is to arrive at God. Denzinger is a great help in awakening this most sacred purpose of theology and pointing to the more damaging mistakes of ignoring, neglecting or arbitrarily interpreting the teaching magisterium. Within this context, the publication of Denzinger. as a “Compendium of Faith ” is rightly to be seen as a refreshing and worth revelation of Catholic faith and doctrine.

      • KCI등재

        ‘학습윤리’에 대한 대학생의 인식

        이성흠(李聖欽),윤초희(尹蕉熙),최상봉(崔相鳳)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2011 아시아교육연구 Vol.12 No.4

        지식기반사회의 성숙과 함께 학문공동체에서는 연구윤리에 대한 담론이 활발하다. 연구윤리는 책임 있는 연구수행을 위해 준수해야 할 윤리원칙 또는 행동양식이다. 이 연구는 학습하는 과정에서 개인적인 윤리 확립을 위한 실천방안을 마련하기 위하여 학습윤리에 대한 대학생의 인식을 조사?분석하는 것이 목적이다. 연구대상은 서울특별시 K대학교 공과대학 재학생 183(남: 142, 여: 41)명이며, 설문지는 ‘학습윤리’에 관한 내용으로 구성되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들은 보고서 작성 항목에서 대리작성, 아이디어 도용, 과제물 구매 등에서는 준수의 중요성을 높게 인식하고 있지만, 중복제출과 짜깁기에서는 중요성 인식의 정도가 낮았다. 학습윤리에 대한 실행도(준수정도)에서는 대리작성, 중복제출, 과제물 구매 등에서 높게(즉, 위반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짜깁기와 표절에서는 실행도가 낮았다. 중요도와 실행도 점수 차이는 중복제출, 짜깁기, 과제물 구매, 표절, 대리작성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학습윤리 위반에 대한 이유는 ‘더 좋은 학점에 대한 욕심’, ‘시간의 부족’, ‘자료에 대한 쉬운 접근성’이었다. 둘째, 기타 학업수행(출석, 협동과제, 시험 등) 측면에서 학습윤리 중요도는 대리시험, 시험부정행위, 무임승차에서는 높았지만 대리출석과 무단조퇴는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으며, 이들 항목에 대한 실행도에서도 비슷한 경향이 나타났다. 중요도-실행도 점수 차이는 대리출석, 무단조퇴, 대리시험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셋째, 학습윤리의 중요도와 실행도 차이 분석 결과, 중요도는 높으나 실행도가 낮은 약점 항목으로 집중관리가 필요한 부분은 ‘표절’, ‘위조’, ‘변조’로 나타났다. 중요도와 실행도가 모두 높은 강점 특성으로는 ‘과제물 구매’, ‘대리작성’, ‘아이디어 도용’과 ‘대리시험’, ‘무임승차’, ‘시험부정 행위’가 포함되었다. 중요도와 실행도의 인식 수준이 모두 낮은 항목은 ‘짜깁기’를 포함하여 ‘대리출석’, ‘무단조퇴’ 항목이다. 중요도는 낮지만 실행도는 비교적 높은 투자 및 집중도 조절이 요구되는 불필요한 강점 항목에는 ‘중복제출’이 포함되었다. Nowadays ‘academic honesty/academic integrity’ becomes an important issue in the research community. The issue of ‘academic ethics’ is particularly relevant to college students.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analyze college students’ conceptions of ‘academic ethics’. For this purpose, one hundred eighty-three (142 males and 41 female) college students were recruited from K University in Seoul. The survey instrument used for the study consisted of thirteen questions regarding academic ethics.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college students reported high importance in compliance with the items of agency creating, idea stealing, and homework buying, but they reported lower importance on the items of weaves in writing and duplicate submission. Second, students also reported high importance in compliance with the items of surrogate test, test cheating, and free riding in homeworks, but they reported lower importance on the items of valet attendance and unauthorized leaving early. For the items of performance, compliance scores showed a similar trend. Lastly, the results of the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showed that the items of academic ethics in the ‘concentrate’ area were ‘plagiarism’, ‘fake’, and ‘modulation’, respectively. In conclusion, plagiarism as a violation of academic ethics may occur when students don’t know how to appropriately quote from resources. In order to establish ‘academic ethics’ code for college students in university, we should design, develop, and implement appropriate courses such as ‘research ethics,’ ‘academic writing,’ etc.

      • KCI등재

        북한과 미국의 위기 사태시 대응 전략

        이성봉(李聖鳳, LEE Seong-Bong) 신아시아연구소(구 신아세아질서연구회) 2009 신아세아 Vol.16 No.4

        한국전쟁 이후 북한과 미국 사이에는 몇 차례 무력충돌 직전까지 가는 위기가 있었다. 그 대표적인 사례로 1968년의 푸에블로호(Pueblo) 나포사건, 1976년의 판문점 미루나무 사건, 그리고 1993∼1994년의 제1차 북핵위기를 들 수 있다. 이 3가지 위기는 각각 연대를 달리 하지만 북한과 미국이 사건의 당사자가 되었고, 갈등이 증폭됨으로써 무력충돌 직전까지 가는 위기로 발전했으며, 최후의 순간에 극적으로 타결되었다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이 세 가지 사례에 대한 검토는 북한과 미국이 위기사태에 대처하는 전략의 특징을 도출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There were several crises between U.S.A. and North Korea that brought two parties at the brink of military conflict after Korean War. The crises are Pueblo Incident of 1968, Panmunjom Incident of 1976, and the first North Korean Nuclear Crisis of 1993∼94. These Crises have the same characteristics that U.S.A. and North Korea were the concerned parties, troubles developed to the brink of military conflict, and the crises were dramatically settled at the last minute. So the analysis to these three cases will help to find the patterns and characteristics to deal with crisis between the two parties.

      • KCI등재

        정산의 치교사상

        이성전(李聖田) 원광대학교 원불교사상연구원 2016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Vol.69 No.-

        정산(鼎山宗師, 法名 宋奎, 1900-1962)은 원불교 초대 종법사로 교조 소태산 대종사(少太山大宗師 朴重彬, 1891-1943)의 깨달음에서 비롯되는 구세경륜(救世經綸)을 체계화하고 실현하기위해 진력하였다. 소태산의 인도상(人道上) 요법(要法)을 주체로 결함 없는 문명세계를 건설한다는 이상 실현의 한 축은 정산에게서 치교사상으로 정리된다. 치교란 ‘이끌고 함께 함’을 뜻하는 교화(敎化)의 다른 표현이라고 할 수 있다. 개인 가정 사회 국가 세계를 막론하고 사람을 다스리고 교화하는 세 가지 길로 도치, 덕치, 정치를 제시한 것이 그것이다. 도치는 도로써 다스리고 교화함을 말하고 덕치는 덕으로 다스리고 교화함을 의미하며 정치는 정으로 다스리고 교화함을 뜻한다. 치교의 가장 원만한 길은 도치와 덕치와 정치가 함께 아울러 조화 협력해나가는 것이다. 이 가운데 도치와 덕치는 종교가에서 맡았고 정치는 법률가에서 맡았다고 한다. 정산은 치교에서 지도자의 정신적 자각을 가장 중요하게 부각시키고 있다. 자각된 정신을 지닌 지도자의 사심 없는 마음에서 솟아난 지혜와 용단이 치교의 핵심이다. 지도자의 가장 근본은 텅 비어 두렷하고 원만하여 흔들림 없는 마음 바탕이라는 입장이다. 그는 종교적 지도자의 입장에서 구체적 현실사회의 정치를 거론하면서도 천지의 마음에 바탕하여 인간의 도리를 다하는 종교적 심성을 기반으로 할 것을 제시한다. 본고에서는 그의 치교사상 가운데 정치사상을 『건국론(建國論)』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건국론』은 정산이 광복 2개월 후에 저술한 것으로 바람직한 건국의 방향을 제시하고 있다. 『건국론』에 나타난 그의 치교사상은 기본적으로 소태산 대종사의 정교론을 계승하고 있다. 소태산은 종교와 정치의 관계를 수레의 두 바퀴, 엄부와 자모, 동남풍과 서북풍에 비유하여 함축적으로 시사하고 있다. 이들은 상호 보완적이며, 각자의 역할을 다함으로써 서로의 존재를 완성시켜준다는 입장이다. 특히 ‘강자 약자 진화상의 요법’에서는 지도자의 역할과 민중의 단합된 힘이 이루어내는 균형 잡힌 상생의 사회진화론을 천명하였다. 정산이 『건국론』에서 밝힌 정치의 입장은 이념적으로는 좌우의 편향성을 배제하고 중도를, 외교적으로는 중립주의 외교노선을 지향하고 제도는 공화제도를 제시하였는데 여기서 공화제는 민주공화제의 의미로 받아들여 진다. 사회경제에서는 균등의 원칙을 제시한다. 『건국론』의 정치사상은 좀 더 확장되어 세계보편윤리로서 드러난다. 민족, 종교, 사상의 갈등을 넘어 상생의 정신으로 큰 문명세계를 건설하자는 이념이다. 정산은 미래 시대를 어두운 음시대가 아닌 밝은 양 시대라고 전망한다. 치교의 방향은 이러한 시대적 변화에 적절하게 응하며, 많은 사람이 행할 수 있고 실제로 유익을 얻는 법이어야 한다. 그의 치교론은 이러한 시대인식에 바탕하여 밝은 문명세계를 건설하고자하는 열망을 반영한 것이다.

      • KCI등재

        Emphysema as a Risk Factor for the Outcome of Surgical Resection of Lung Cancer

        이성아,선주성,박주헌,박경주,이성,최호,신승수,정우영,이규성,박광주,황성철 대한의학회 2010 Journal of Korean medical science Vol.25 No.8

        It is unclear whether emphysema, regardless of airflow limitation, is a predictive factor associated with survival after lung cancer resection. Therefore, we investigated whether emphysema was a risk factor associated with the outcome after resection for lung cancer. This study enrolled 237 patients with non small cell lung cancer with stage I or II who had surgical removal. Patient outcome was analyzed based on emphysema. Emphysema was found in 43.4% of all patients. Patients with emphysema were predominantly men and smokers, and had a lower body mass index than the patients without emphysema. The patients without emphysema (n=133) survived longer (mean 51.2±3.0 vs. 40.6±3.1 months,P=0.042) than those with emphysema (n=104). The univariate analysis showed a younger age, higher FEV1/FVC, higher body mass index, cancer stage I, and a lower emphysema score were significant predictors of better survival. The multivariate analysis revealed a younger age, higher body mass index, and cancer stage I were independent parameters associated with better survival, however, emphysema was not. This study suggests that unfavorable outcomes after surgical resection of lung cancer should not be attributed to emphysema itself.

      • KCI등재

        대학생용 공동체역량 척도개발 및 타당화

        이성자(李成字),임은미(任銀美)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2021 아시아교육연구 Vol.22 No.1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용 공동체역량 척도를 개발하고 이를 타당화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선행연구를 기반으로 공동체 역량의 영역을 설정하고, 영역별로 문항을 구성한 후 전문가 10명에게 내용 타당도를 점검받아 55개의 예비문항을 개발하였다. 서울, 경기, 전북지역의 대학생 111명에게 예비조사를 실시하고, 문항을 분석하여 46문항으로 이루어진 본 조사 설문지를 구성하였다. 서울·경기, 충북·충남, 전북·전남 지역의 대학생 609명을 대상으로 본 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조사 결과에 대하여 탐색적․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공동체 역량 척도는 위계적 요인구조를 지니고 있었다. 지식의 영역(5문항)은 단일요인이었고, 기능의 영역은 협업(5문항), 대인관계(5문항), 문제해결(3문항)의 세 하위 요인으로 구성되었고, 태도의 영역은 헌신(7문항), 일체감(4문항), 다문화 수용성(3문항), 공정성(3문항)의 네 하위 요인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공동체역량 척도의 총 문항 수는 35개였다. 공동체 역량 척도의 타당성을 확인하기 위해 구인타당도, 공인타당도, 교차타당도, 내적 일치도, 검사-재검사 신뢰도를 분석한 결과 타당성이 확보되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한계 및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s to develop and validate a community competency scale for university students. For these purposes, based on previous studies, the domains of community competency was set, and after the items were organized by domains, the validity of the content was checked by 10 experts, and 55 preliminary items were developed. A preliminary survey was conducted on 111 college students in Seoul, Gyeonggi and Jeonbuk, and the questionnaire was composed of 46 items by analyzing the questions. This survey was conducted on 609 university students in Seoul, Gyeonggi, Chungbuk and Chungnam, and Jeonbuk and Jeonnam. As a result of conducting exploratory factor analysis on the results of this survey, the community competency scale had a hierarchical factor structure. The domain of knowledge (5 items) was a single factor, and the domain of skills was composed of three sub-factors: collaboration (5 items), interpersonal relationships (5 items), and problem solving (3 items), and the domain of attitude was composed of four sub-factors: commitment(7 items). Questions), sense of unity (4 items), multicultural acceptance(3 questions), and fairness(3 items). The total number of items on the community competency scale was 35. In order to confirm the validity of the community competency scale, validity was secured as a result of analyzing construct validity, concurrent validity, cross validity, internal consistency and test-retest reliability. Finally,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ollow-up studies were presented.

      • KCI등재

        언어의 애매성과 소설의 내재적 능동성 — 사회학적 망설임의 의미를 경유하여 —

        이성아 현대문학이론학회 2023 現代文學理論硏究 Vol.- No.93

        The 20th-century Russian philosopher Bakhtin demonstrates that the content of the novel is realized only through the process of formalization through an analysis of literary languages. In this way, the perspective of not viewing the content as an independent substance makes the novel not a representation of something, but an internal thinking and mobility in itself by paying attention to the process in which the content is composed. Bakhtin presents the concept of ‘dialogized ambiguity’ as meaning the composition process of the content. In this paper, in order to faithfully think about the meaning of this literary ambiguity, discussions in sociology and philosophy about ambiguity or hesitation are reviewed. For Tarde, who valued the relational and process aspects of social composition, the subject is defined as being caught up in unconscious psychological energy. However, the concept of ‘hesitation’ he presents as an individual’s way of existence shows that independent actions are realized from the movement of resignation by making the individual a ‘space’ where impersonal forces fight, rather than a closed atom. In the context of phenomenology and existentialism, ‘ambiguity’ becomes a concept that actively accepts undecidedness in an era when absolute things have become impossible and expands the possibilities. In addition, it stems from the alert to the political unconscious, the hesitation to think about answers for each specific phase of life can be an ethically sincere attitude. Bakhtin’s ‘dialogized ambiguity’ means that other’s words always penetrate the literary language, and for this reason, the author’s intention is bound to slip. In this way, when ambiguity is viewed as an essential characteristic of the novel’s language, the character in the text becomes active out of the author’s hands, and the novel becomes a ‘space’ where the subjective will unfold, not a representation of the illusion of absoluteness. The review of the ethical and political meaning of the concept of ambiguity shows how a novel becomes internal activeness in itself through ambigu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