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미디어교육에 있어서 노인의 자기주도학습: 노인학습자의 동기, 자기관리, 자기 모니터링에 대한 미디어 강사와의 심층인터뷰를 중심으로

        전제아(Jae Ah Jeon) 한국문화융합학회 2021 문화와 융합 Vol.43 No.1

        자기주도학습은 전통적인 학령기 학습자와 학교 교육 영역의 관심 주제로 여겨지는 경향이 있으나, 원래는 성인학습자의 특징으로 강조되어 왔다. 이 연구는 성인학습자의 범주에 속한다고 볼 수 있는 노인들의 경우에는 자기주도학습을 어떻게 수행하는가를 살펴보기 위하여 출발하였다. 특히 노인인구 확대와 미디어 생태계의 변화 속에서 그 필요성이 절실해진 노인미디어교육에서는 노인의 주체적인 미디어 이해·활용 역량 함양을 강조하고 이를 위해서 미디어교육 자체가 자기주도학습으로 이루어질 것을 지향하고 있음에 주목하면서, 미디어교육에서 노인의 자기주도학습이 실제로 어떻게 이루어지는지 이해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는 노인 미디어교육을 담당하는 강사와의 심층인터뷰를 통해 노인의 자기주도학습에 대하여 동기(motivation), 자기 관리(self- management), 자기 모니터링(self-monitoring)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노인학습자들은 미디어교육에 대한 성과, 경험, 관계 중심의 동기를 보이고 있었다. 자기관리에 있어서는 노인학습자들이 미디어교육의 과정·활동·내용 등에 있어서 분명한 의사표현과 요구를 지속적으로 제시하거나 미디어교육 강사 또는 학습동료들과의 관계를 교육자원으로 활용하는 등 관계지향성을 보였고 그 외에는 다른 수행 방식이 드물었다. 자기 모니터링에 있어서는 자신의 학습 과정이나 수행방식에 대한 모니터링은 두드러지지 않았고, 드물게 자신의 학습여건, 또는 자신의 삶에 대한 성찰이 이루어졌다. 또한 동기, 자기관리, 자기모니터링 모두에 있어서 노인의 자기주도학습은 정도 차이가 클 뿐만 아니라 수행 방식도 이질적이라는 점, 동기에 있어서는 비교적 자기주도적이지만 이 점이 자기관리와 자기모니터링으로 항상 연결되는 것은 아니라는 점, 자기주도적인 노인들도 관계의존성이 높다는 점, 자기관리와 자기모니터링에 있어서 일회적이거나 임시적인 경우가 높다는 점, 노인의 자기주도학습은 개인차가 매우 두드러진다는 점 등을 살펴보았다. 이 연구는 앞으로 노인이 주체가 되는 미디어교육을 지향하기 위해서는 노인 학습의 다양한 양상을 반영할 수 있도록 프로그램 및 접근방법의 다각화를 모색할 필요가 있으며, 미디어 강사의 도움 이외에 다양한 학습 자원을 제시하고 활용할 수 있도록 도모할 필요가 있다는 점, 학습 동기를 자기관리와 자기 모니터링까지 끌고 갈 수 있는 방식을 제시할 필요가 있다는 점, 개인차를 고려할 수 있는 교육과정의 마련이 필요하다는 점 등의 시사점을 주었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how old adults has been practiced self-directed learning in media education for old adults. More specifically, it examines how motivation, self-management, and self-monitoring, which are considered the three characteristics of self-directed learning, are carried out in media education for old adults. Employing in-depth interview method, the data collection of this study includes six media instructors who have more than two years of experience working with old adults in various districts of South Korea. The data analysis reveals the following. First, old adult learners are self-directed as they have motivation, which is related to accomplish- ment, experience, and relationship. Second, old adults tend to be self-managed as they present their own response to the content, process, and activity of media education programs in which they participate. In addition, they make use of their human relationships, such as those with media teachers and classmates, as educational resources. Third, old adult learners perform self-monitoring by reflecting on their own lives as a learning environment. Ironically, their self-monitoring led them to be self-directed as well as dependent. In conclusion, media instructors have paid attention to how diverse old adult learners perform self-directed learning, and their motivation has not always led them to self-management and self-monitoring. The results suggest that media education for old adult learners should address how to provide educational opportunities, enrich educational resources other than media instructors, and improve the learning environment.

      • KCI등재후보

        구성주의에 나타난 아동중심교육의 개념 분석

        전제아(Jae-Ah Jeon),권희경(Heekyoung Kwon),김원경(Wonkyung Kim)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02 열린유아교육연구 Vol.6 No.4

        이 연구는 아동중심교육이 다양한 형태의 교육 이론 및 교육사상과 양립하는 개념이고, 각 교육이론에 따라 그 구체적인 내용이 다르게 정의 될 수 있다는 인식에서 출발하며, 그 한 가지 이론으로서 구성주의에 주목한다. 구성주의는 교육적 과정에 있어서 아동의 능동적 역할을 강조하는 인식론을 제시함으로써, 이동중심교육의 특징을 보여준다. 그러나, 구성주의는, 객관적 지식체계를 거부하고, 과학적ㆍ실증적 아동관을 설정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포스트모더니즘의 성격을 반영하면서 이동중심교육 개념에 새로운 특징을 추가한다. In recent studie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constructivism has been widely recognized and applied with diverse areas, while its conceptual features has been ignored all the time. In this article, I have tried to provided a close look at the theoretical part of constructivism, especially its relationship with "child-centered" education. Apparently constructivist view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are similar to somewhat traditional "child-centered" education. Constructivism shows frequent use of 'child-initiated learning', 'self-regulated learning', or 'interested-based learning', all of them are found in traditional "child-centered" education. However, constructivists use the terms in the context of postmodernity. Meanwhile, in traditional "child-centered" education, those words were meant to be with implications of modernity. As the philosophical difference of modernity and postmodernity shows, constructivism alters, not denies the meanings of old "child-centered" education.

      • KCI등재

        한국 노인교육 연구 동향

        김원경(Kim, Wonkyung),전제아(Jeon, Jae-Ah) 한국평생교육학회 2011 평생교육학연구 Vol.17 No.4

        노인인구의 증가와 함께 노년층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는 가운데 우리나라의 노인 교육에 대한 국내연구 동향을 분석하기 위해 2000년부터 2011년 현재까지 한국연구재단의 등재 및 등재후보 학술지에 게재된 논문 184편을 분석하였다. 연구동향은 연도별, 연구분야별 발표 동향을 살펴보고 연구 방법 및 내용의 동향을 분석하였다. 노인교육을 주제로 한 연구는 2000년 이후 지속적으로 증가하였으며 다양한 학문적 분야에서 연구가 진행되어왔다. 노인교육에 대한 연구는 노인을 대상으로 하는 다양한 교육적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검증 연구가 가장 많이 이루어져 왔으며, 보다 발전적이고 포괄적인 노인교육 프로그램을 모색하고자 하는 이론적 시도도 꾸준히 이루어져 왔다. 이러한 연구 동향을 분석한 결과, 현재까지 노인교육에 대한 개념이 다소 모호하게 정의되어 있으며, 노인교육은 노인을 위한 교육의 형태가 주류를 형성하고 있었으며, 향후 노인교육의 발전을 위해 노인 학습자의 주도적인 교육과 학습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노인교육의 개념 정립과 더불어 이를 위한 구체적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함을 제언하였다. 또한 앞으로 노인 교육 연구의 방향과 과제를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examine the research trends regarding education of older adults in Korean journals from 2000 to 2011. The total of 184 articles was analyzed. Results indicated that the number of articles concerning older adults education has been increasing since 2000 in he fields of gerontology, social welfare, nursing, and education including lifelong education altogether. Numerous articles dealt with the educational programs for older adult learners and investigated the effects of the educational programs, while the definition of older adults education was theorized in the context of lifelong education. The implication of the results of the research trends concerning education for older adults was discussed. The directions of the future studies was suggested in the context of the elaboration of the older adults needs such as educational delivery systems, educational management systems, and the diverse topics in education of older adults.

      • KCI우수등재
      • KCI우수등재

        아동의 문제 해결력 관련 변인 연구

        김원경(Won Kyung Kim),권희경(Hee Kyoung Kwon),전제아(Jae Ah Jeon),우남희(Nam Hee Woo) 한국아동학회 2001 아동학회지 Vol.22 No.3

        The present study examined variables relevant to problem solving in childhood to determine predictive contributions of such variables as parenting style, child`s temperament, self-esteem, depression, and self-efficacy. Subjects were 545 2nd, 4th, 6th grade elementary school children and their parents. Data were analyzed with bivariate correlation, multiple regression,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Results indicated that child`s temperament and self-efficacy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problem-solving, and self-efficacy was the most critical predictor of problem solving.

      • KCI등재

        한국 대학에서의 인성 교육 과정 사례 분석 : 서울 소재 4개 대학교를 중심으로 A Case Study on Character Education Curricula of Four Universities in Seoul

        전제아 가톨릭대학교 인간학연구소 2005 인간연구 Vol.- No.9

        The present study addresses the practice of character education in higher education by investigating the relevant courses and programs taught at four universities in Seoul. The analysis reveals that educational practices of the four institutions tend to distinguish character development from intellectual development, which lead to affective approaches to character education in each dimension of the curriculum: (1) The purposes of the courses and programs present a term 'character', as well as 'virtue' 'morality' presented as a set of personal , specifically, emotional traits. (2) The character education is taught and managed as a part of compulsory courses for graduation. (3) As long as the situation allows, the most preferred methods of instruction is found in the form of practicum. Lectures are also popular, even though various type of student participation such as student-led discussion, presentation, group work and debates are frequently planned in class. (4) The contents of character education display a wide range of themes and forms of knowledge. Two prominent areas are a series of lectures founded on the religion of each university, if it has one, and volunteering for a period of time. Overall, the character education of the four universities tends to move toward the opposite direction of knowledge-centered education, which has been the chief aim of universities. The inclusion of character education has been considered as an intention to clear off the negative legacy produced by the intellectual achievement-driven teaching. However, considering that knowledge production and consumption have been characterizing higher education, it is difficult to expect the new trends of character education would succeed in universities without its proper foundation in knowledge.

      • KCI등재

        교육과정 구성에 있어서 지식의 개체성과 보편성 : 구성주의 관점을 중심으로

        전제아 한국교육과정학회 2001 교육과정연구 Vol.19 No.2

        교육과정 구성에 있어서 지식의 성격을 어떻게 볼 것인가는, 오랜 논의 주제이다. 지식은 각 개인에게 고유한 의미를 지니는 것인가, 아니면 누구에게라도 그 의미가 동일한 보편적인 것인가라는 문제, 또는 각 개인에게 지식이 형성되어지는 과정이 개별적인가, 그리하여 각 개인의 독특한 방식으로 저마다 지식을 형성하는가, 아니면 지식의 형성 과정에 공통점이 있는 가라는, 지식의 개체적 성격과 보편적 성격을 묻는 문제는 교육과정의 실제에 있어서 많은 차이를 가져온다. 구성주의자들은, 이 논쟁에 대하여, 초기에는 주로 지식의 개체적 성격을 지지하는 입장에서, 이후에는 보편적 성격을 강조하는 입장에서 비교적 논쟁의 해결점을 모색하는 시도를 전개하고 있다. 이 글의 목적은, 교육과정 구성에 있어서 야기되는 지식의 개체적-보편적 성격에 대한 구성주의의 이러한 시도가 얼마나 타당성있게 이루어지고 있는가를 검토하는 데 있다. 즉, 구성주의는 인지적 구성주의와 사회적 구성주의로 분화되는 양상을 보이고 있는 바, 각각의 흐름이 지식의 개체적 성격과 보편적 성격을 어떻게 파악하고 정당화하는가를 고찰하였다. 이 글의 논의에 의하면, 구성주의가 교육과정에 있어서 지식의 개체성과 보편성에 대하여 비교적 뚜렷하고 실제적인 시사점을 제공하는 것은 사실이지만, 극단적 상대주의, 사회적 결정론과의 경계선이 모호해지는 문제를 안고 있다는 점을 볼 수 있다. 그러므로 구성주의를 보다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기 위해서는, 구성주의 내에서도 지식의 개체적 성격과 보편적 성격에 대한 균형잡힌 논점을 찾는 작업이 앞으로도 지속되어야 할 것으로 본다. In curriculum studies, the theory of knowledge is one of the fundamental issues. Specifically, the controversial perspectives toward knowledge protrude theoretical arguments as well as practical problems: one is a viewpoint focusing on the individual and particular aspects of knowledge and the other focusing on the universal and general aspects of knowledge. Those two provides different interpretations to questions like 'what is knowledge?' and 'how do we know?'. And they lead to different practice concerning 'what to teach' and 'how to teach'. In this article, one of the major argument concerning this matter, so-called Constructivism is examined. We are observing that Constructivists are discussing about the matter of knowledge. Both parts of Constructivists, Cognitive and Social rigorously offer a range of positive perspectives to related to curriculum issues respectively. However, a more closer look at those arguments imply Constructivists views does not mean the end of discussion. Cognitive Constructivism does not show that it is immune to the problem of relativism and subjectivism. And it goes too far from its theoretical foundation, 'the Genetic Epistemology' of Jean Piaget, which sought the common features of individual constructing of knowledge. Social Constructivism, which gives primary concern to sociocultural impact on knowledge, sometimes look closed to social determinism, no matter how it insists on the distance between them.

      • KCI등재

        교육기회 분배에 대한 자유주의적 정의관의 문제

        전제아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01 敎育問題硏究 Vol.15 No.-

        이 연구에서는 현재 우리 사회에 폭넓은 영향을 미치고 있는 자유주의적 정의관을 교육적 정의영역의 특성을 중심으로 재음미하기 위한 것이다. 자유주의는 교육기회 분배에 있어서 능력이라는 분배 기준을 선호하는 특징을 보이되, 이를 지지하는 논리에 있어서는 다소 차이점이 있다. 즉, 개인의 자기결정성과 자기소유권을 존중할 수 있다는 이유, 사회전체의 평균 유용성을 최대화할 수 있는 효율적인 분배라는 이유, 또는 뛰어난 재능은 사회 최소수혜자의 이익을 극대화시켜줄 수 있는 공동의 자산이라는 이유 등을 들어서 능력에 따른 분배를 정당화한다. 그러나, 자기결정성과 자기소유권의 개념은, 교육기회 분배 문제에 있어서 당사자가 되는 학습자가 아직 완전한 자율성을 발휘할 수 없는 존재라는 점에서, 교육적 정의로는 불완전한 논리라고 할 수 있다. 또한 교육은 사회경제적 가치를 생산해 내기 위한 일종의 투자 대상인 중간적 가치이자, 그 자체로서 의미 있는 최종적 가치라는 특징에 비추어 볼 때, 효율성에 기반을 둔 정당화는, 교육기회를 중간적 가치로 볼 때에는 타당하지만, 최종적 가치로서의 교육기회를 분배하는 데 있어서는 무력하다. 재능을 사회 공동체의 공동자산으로 보는 논리는, 교육받는 존재의 정체성에 혼란을 초래한다는 문제점을 보인다. 이러한 검토는 하나로 완성된 포괄적인 교육적 정의론을 제시하는 것은 아니지만, 적어도 사회적 가치와 구분되는 교육적 가치의 특성을 밝히기 위한 논의의 출발점이 되는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

        롤즈의 공동자산 개념에 대한 교육 정의론적 고찰

        전제아 교육철학회 2000 교육철학연구 Vol.23 No.-

        Concerning the distributive conflicts in the institutions of education, ability is the most commonly suggested. However, Ravels anewed this viewpoint toward ability. He pointed that one's ability was result of moral luck as well as one's familial background. He insisted, therefore, ability should not be regarded as a criteria of distribution. This does not mean the he was insisting on removal of natural difference among people, if possible. Rather, he suggested that one's excellence and talents should be considered as a common asset of the community so used for maximizing the profits of the least advantaged. Actually, the concept of 'common asset' belonged to his difference principle. Bawls' 'common asset' has implications for educational justice. First, providing educational opportunity should not be given in proportion to ability. Second, ability and advantages of educating cability should not belong to the onwers exclusively. They should be enjoyed as a common asset for every members of the society. Though the common asset strategy suggested considerable implications in the matters of educational justice, it still remains some problems. First of all, the education justice what common asset looks for has limited application. Secondly, the conception of self which was assumed in common asset is very artificial and does not have real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