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핵심역량 기반 교양교육과정에 따른 대학생의 핵심역량 변화와 수업만족도 분석

        김은주,성명희 한국핵심역량교육학회 2018 한국핵심역량교육학회 학술대회지 Vol.- No.4

        본 연구는 대학교육의 성과분석을 위해 학업성취도 외에 핵심역량 분석과 수업만족도를 통해 교육성과를 관리하고 있는 시점에서 핵심역량 기반 교양교육과정에 따른 대학생의 핵심역량 변화와 수업만족도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160명의 대학생에게 사전・사후 교양교육과정 운영에 따른 핵심역량의 변화와 수업만족도를 분석하였다. 즉, 핵심역량 기반 교양교육과정에 따른 대학생의 자기관리, 글로벌, 대인관계, 자원정보기술활용 역량을 중심으로 어떠한 핵심역량에 변화가 있었고, 교양교육과정에 대한 수업만족도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자원정보기술활용 역량에 서 긍정적인 변화가 있었다. 또한 수업만족도는 보통이상의 수준을 나타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핵심역량 기반 교양교육과정의 발전방향을 모색하는데 중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있으며, 교양교육 수업만족도 개선사항 도출에 있어 시사하는 바가 있다. Currently, colleges have been subject to evaluate students competencies, apart from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in order to analyze the outcomes of college education performanc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hanges of core competencies of college students and their course satisfaction in general education based on core competencies for college education performance. In order to do this, pre and post surveys were conducted on 160 college students. This study analyzed which core competencies had major changes among the core competencies of self-management, global, interpersonal, and resource information technology literacy competencies and students’ course satisfaction in general education. According to the results, a positive change was found in resource information technology literacy competency and students’ course satisfaction were above-average level. In light of this, this study provides significant preliminary data for further development of general education based on core competencies and suggests ways to improve students’ course satisfaction in general education.

      • 대학생 진로교육경험과 진로개발 핵심역량

        진미석,이강주,이상아,김하령 한국핵심역량교육학회 2017 핵심역량교육연구 Vol.2 No.1

        직업세계의 변화와 더불어 복합적인 진로개발과제를 안고 있는 대학생들을 위해서 교육기관으로서 대학은 학생들에게 전공교육뿐만 아니라 자신의 진로에 대하여 탐색하고 준비할 수 있는 진로개발역량을 함양할 수 있도록 다양한 교육경험을 제공해야 할 의무가 있다. 본 연구는 21개 산업연계교육활성화선도대학(Program for Industrial needs-Matched Education 참여 대학: PRIME, 이하 프라임 대학) 대상으로 2,906명의 소속 대학생들이 학교로부터 제공받는 진로교육경험을 분석하고 진로교육경험에 따라 진로개발을 위한 기초역량, 즉 진로개발 핵심역량이 어떤 차이를 가지는지 분석하였다. 진로개발핵심역량으로 진로개발준비도, 대학생핵심역량, 기업가정신 등을 살펴보았다. 진로교육경험은 12개의 대표적인 진로교육활동으로 구성하고 양적인 경험과 질적인 만족도의 차원에서 분석하였다. 진로경험은 요인분석을 통하여 학생의 자기주도 비교과중심 유형과 학교주도 진로교과목 중심 유형으로 나누어짐을 볼 수 있었다. 진로교육경험 분석결과 21개 대학 공히 학생들은 자기주도적 비교과중심 교육보다 학교주도 진로교과목중심의 진로 교육을 더 많이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21개 대학 별로 학생들의 진로교육경험의 정도는 상당히 다르게 나타났다. 진로교육경험을 질적인 측면에서 살펴보고자 진로교육을 경험한 학생들의 만족도를 분석한 결과 3점(4점 만점)의 만족도에 근접하고 있어, 학생들의 만족도는 대체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만족도에 있어서도 학교간의 편차가 상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경험도와 만족도의 두 가지 영역 모두에서 평균을 하회하는 학교가 있는가하면, 두 영역에서 평균을 현저하게 상회하는 학교가 있었고, 경험은 상대적으로 풍부하나 질적으로 만족도는 낮은 학교도 있었다. 진로교육경험도와 만족도를 독립변수로 하여 진로개발준비도, 기업가정신, 대학생 핵심역량(K-CESA)와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성별, 학년, 학교, 계열을 통제하고 회귀분석한 결과 진로교육경험도 특히 진로교과교육경험과 진로개발역량과 관계가 뚜렷하게 나타나, 진로교육경험이 많을수록. 자아이해, 전공 및 직업에 대한 지식, 관계활용효능감, 의사결정효능감, 기업가 역량, 태도, 의지, 자기관리역량, 대인관계역량 등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다. 다만, 의사소통역량, 자원정보활용역량, 글로벌 역량 등 K-CESA의 인지적 역량으로 자가진단이 아닌 수행형 진단도구로 측정된 역량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수준에서 부정적으로 나타났다. 진로교육만족도와 진로개발역량과의 관계에서도 유사한 결과를 보이고 있으나 진로교육경험에 비해서는 그 관계가 뚜렷하지는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는 정책당국이나 대학기관에서는 학생들의 진로개발을 위하여 다양한 진로개발활동 경험을 양적으로 확충하고 질적으로 제고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해 주고 있다. 이 연구를 통해 도출된 진로교육경험의 유형과 분류기준은 진로교육의 실태와 성과를 분석하고 대학과 정부의 학생진로개발정책과 전략을 이행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후속연구에서 진로교육과 진로개발역량과의 관계에 대한 종단적인 연구가 요구된다.

      • 졸업직전 예비유아교사들의 핵심역량 진단 및 현장유아교육전문가의 핵심역량 중요도 분석과 심층면담을 통한 유아교사양성과정 개선 연구

        김성재,황지애 한국핵심역량교육학회 2018 한국핵심역량교육학회 학술대회지 Vol.- No.4

        본 연구는 전문대 유아교육전공 졸업직전 예비유아교사들의 핵심역량 수준을 제고하여, 현장직무에서 중요시되는 핵심역량을 증진시킬 수 있는 교육적 방안에 대해 모색하고자 하였다. 연구목적의 달성을 위해 K-CESA를 활용한 졸업직전 예비유아교사들의 핵심역량 진단, 현장유아교육전문가들이 인식한 핵심역량의 중요도 수준분석, 현장유아교육전문가들과의 심층면담 순으로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예비유아교사들의 핵심역량은 대인관계역량이 가장 높았고, 자기관리역량, 글로벌역량, 자원・정보・기술의 활용역량, 종합적 사고력, 의사소통역량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현장유아교육전문가들이 인식한 핵심역량의 중요도 수준을 분석한 결과, 자기관리역량, 의사소통역량, 대인관계역량, 종합적사고력, 자원・정보・기술의 활용역량, 글로벌역량 순을 보였다. 셋째, 현장유아교육전문가들이 인식한 핵심역량의 중요도 수준과 예비유아교사들의 실제 핵심역량 수준과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현장유아교육전문가들은 자기관리역량, 의사소통역량, 대인관계역량을 순차적으로 중요하다고 인식한 반면, 예비유아교사들의 핵심역량 측정결과는 대인관계역량, 자기관리역량, 글로벌역량 순으로 나타나 차이를 보였다. 넷째, 현장유아교육전문가들에게 핵심역량이 중요한 이유를 심층면담한 결과, 수신(修身): 아이들의 전인적 발달 도모하기, 역지사지(易地思之): 생각이 다른 엄마와 동료교사들의 마음 헤아리기, 통즉불통 불통즉통(通卽不痛, 不通卽痛): 문제해결을 위한 소통하기 등으로 범주화되었다. 다섯째, 현장유아교육전문가들에게 유아교사양성과정에서의 핵심역량강화를 위한 교육적 방안에 대해 심층면담한 결과, 핵심역량 향상의 근본: 인성교육이 답, 교수자들의 인식, 태도변화 우선: 현장 목소리 듣고 수업에 적용하기, 교육과정의 다양화: 비정규과정에서 행복 찾기, 교수방법의 개선: 정규과정에서 핵심역량 강화하기 등으로 범주화되었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유아교사양성과정에서 예비유아교사들의 핵심역량을 높이기 위해 개선해야 할 내용을 제언하였다. This study was aimed at seeking educational methods to enhance core competences that are important on the job by improving the level of core competences of pre-service teachers before graduation who majored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core competences of pre-service teachers before graduation were diagnosed using K-CESA, and then the level of importance of core competences recognized by field early childhood education specialists was analyzed. Finally, in-depth interviews with these specialists were conduc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personal relations competence was at the highest level among the core competences possessed by pre-service teachers, followed by self-management competence, global competence, application ability of resources, and information and technology, comprehensive thinking skills, and communication competence. Second, the analysis of the level of importance of core competences recognized by field early childhood education specialists showed that self-management competence was the most important, followed by communication competence, personal relations competence, comprehensive thinking skills, application ability of resources, and information and technology, and global competence. Third, the results of analysis of the difference between the level of importance of core competences recognized by field early childhood education specialists and the level of the actual core competence of pre-service teachers showed that field early childhood education specialists recognized self-management competence, communication competence, and personal relations competence to be important in the decreasing order while the actual core competences in pre-service teachers were measured to be personal relations competence, self-management competence, and global competence in the decreasing order, which indeed indicated difference. Fourth, the results of in-depth interviews with field early childhood education specialists on why core competences were important were categorized as 修身: promoting the holistic development of children, 易地思之: understanding other mothers and fellow teachers who have different ideas, and 通卽不痛,不通卽痛: communicating for problem solving. Fifth, the results of in-depth interviews with field early childhood education specialists with respect to the educational methods to strengthen core competences in the early childhood teacher nurture curriculum were categorized as fundamental of core competence improvement: personality education is the answer, highest priority on the change in teachers perceptions and attitudes: listening to the voice in the field and applying it to the class, diversification of curriculum: finding happiness in irregular courses, and improvement of teaching methods: strengthening core competences in regular course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mprovements in the early childhood teacher nurture curriculum to enhance the core competences of pre-service teachers were proposed.

      • 대학교육에서의 핵심역량과 역량기반 교육에 대한 이해와 쟁점

        김대중,김소영 한국핵심역량교육학회 2017 핵심역량교육연구 Vol.2 No.1

        좋든 싫든, 그리고 자의든 타의든 지난 15년 간 역량은 교육계에 화두로 자리매김해 왔다. 여전히 핵심역량에 대한 개념이 대학교육 실무 단위에서 명확히 정립되어 있지 않지만, 대학교육에서 핵심역량은 더 이상 생소한 용어가 아니다. 이제 핵심역량을 어떻게 이해하고, 더 나아가 대학 구성원 간 이해를 바탕으로 대학에 맞는 핵심역량을 도출하여 교육에 접목시키는 것이 주요한 쟁점으로 부각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그 동안 대학교육에서 핵심역량과 관련하여 논의된 쟁점들을 정리 분석하여 대학에서 역량교육을 이해, 수요, 그리고 더 나아가 적용하는 데 도움이 되고자 작성되어졌다. 관련 사례들을 파악해 본 결과 쟁점들은 크게 3개로 정리될 수 있었다. 첫 번째 쟁점은 대학교육에서 핵심역량은 무엇인가이다. 이 쟁점의 중심에는 역량의 모호성과 역량이라는 용어가 직무나 직업 관점에서 도출된 것을 교육에 접목시키는 것에 대한 거부감에서 기인되는 쟁점이다. 두 번째 쟁점은 각 대학의 핵심역량은 어떻게, 어떤 과정으로 도출하는가이다. 두 번째 쟁점은 자연스럽게 첫 번째 쟁점과 연결되는 쟁점이라 할 수 있다. 세 번째 쟁점은 역량기반 교육과정은 무엇이며, 무엇이 중요한가이다. 각 대학 대학을 대표하는 핵심역량을 정립하게 되면, 역량을 어떻게 교육에 접목시키는가에 대해 고민 하게 되고, 이를 둘러싼 쟁점이 역량기반 교육과정이다.

      • KCI등재

        대학에서의 핵심역량 연구동향 분석

        양채원,문지영 한국핵심역량교육학회 2022 핵심역량교육연구 Vol.7 No.1

        본 연구는 2010년 이후의 핵심역량 기반 교육 관련 연구, 특히 대학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역량 기반 교육의 연구동향에 관하여 분석함으로써 한국에서의 역량 기반 교육이 주로 어떠한 방향으로 이루어지고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역량 및 핵심역량에 대한 개념이 충분히 정립되었고 K-CESA로 대표되는 핵심역량 진단도구가 보편화된 2010년 이후의 연구를 분석함으로써 핵심역량에 대한 개념정립과 이론화 이후 대학에서 학생들의 핵심역량을 진단하고 해당 결과를 어떤 방식으로 활용하여 학생들의 역량을 강화하고 있는지에 대하여 알아보기 위하여 313건의 국내 등재(후보)지 게재 논문을 토대로 연구 제목 및 핵심어, 연구 자료 및 연구 방법, 연구 결과를 분석하였다. 연구의 주요 결론은 다음과 같다. 먼저, 토픽모델링을 바탕으로 대상 논문을 분석한 결과 대학에서의 핵심역량 관련 연구는 대부분 3가지의 주제로 요약될 수 있다. 첫 번째 주제는 대학의 특징을 살린 자체적 핵심역량진단도구 개발이다. 두 번째 주제는 K-CESA 등 대규모 데이터를 활용한 특정 학교 학생, 혹은 대학생 전반의 역량분석과 이를 통한 사례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었다. 대학에서의 핵심역량 관련 세 번째 연구 주제는 핵심역량 진단을 통한 교육과정 개발과 해당 교육과정의 성과 분석으로, 한국 대학에서의 핵심역량 관련 연구가 점차 역량기반 교육을 지향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 KCI등재

        단과대학별 신입생의 핵심역량 변화량에 영향을 미치는 교육만족도 요인 탐색: 대면과 온라인, 병행 수업상황의 비교

        허영주 핵심역량교육학회 2022 핵심역량교육연구 Vol.7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how personal and educational factors affect the changes in core competencies of college freshmen in face-to-face, online, and parallel classes.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2,421 freshmen who entered N University in the 2018-2020 school year were the subject of the study.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core competencies of N University freshmen improved the most in the face-to-face, but improved to a lesser extent than the face-to-face in the parallel, and decreased in the online classes. However, the change in core competencies was found to vary by college. While the core competencies of freshmen at the College of Engineering decreased in all classes, it at the College of Health and Welfare improved in all classes. It at the Global College of Commerce and Commerce increased significantly in the face-to-face, while it increased slightly in the online and decreased in the parallel. It can be seen that at the College of Creative Arts and Culture improved more than three times in the face-to-face, and decreased in the online and parallel. Second, it was found that core competency increased when the initial value of the curriculum and educational performance were high and the change in the curriculum and educational performance increased. However, factors affecting the change in core competencies were found to vary by college. In the College of Engineering, it was found that the higher the initial value of the curriculum and the greater the change in the curriculum, the higher the core competency. In the Global University of Commerce, it was found that increased as the quality of classes and educational performance increased. In the College of Health and Welfare, it was found that increased as the initial value of the curriculum was high and change in educational performance increased. In the College of Creative Arts and Culture, it was found that increased as the initial value of education quality and educational performance were high, and change in the educational performance and educational environment increased. Through this, it was suggested that a differentiated support strategy suitable for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llege is needed to improve the core competencies of new students. 본 연구는 대면-대면 및 대면-온라인, 온라인-병행 수업상황에서 대학 신입생들의 개인적 요인과 교육적 요인이 핵심역량의 변화량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 지를 파악하는 데 목적을 두고 진행되었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N대학교에 2018-2020학년도 입학한 신입생 2,421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으며, 1학년에서 2학년 사이의 핵심역량 변화량을 종속변인으로 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N대학교 신입생들의 핵심역량은 대면-대면 수업상황에서 가장 크게 향상되었고, 온라인-병행 수업상황에서는 대면-대면 수업상황에서 보다는 적지만 향상되었고, 대면-온라인 수업상황에서는 감소하였다. 그러나 핵심역량 변화량은 단과대학별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과대학 신입생의 핵심역량은 모든 수업상황에서 감소한 반면, 보건의료복지대학 신입생의 핵심역량은 모든 수업상황에서 향상되었다. 글로벌상경대학 신입생의 핵심역량은 대면-대면 수업상황에서는 큰 폭으로 상승한 반면, 대면-온라인 수업상황에서는 소폭 상승하였고 온라인-병행 수업상황에서는 소폭 감소하였다. 창조문화예술대학 신입생의 핵심역량은 대면-대면 수업상황에서는 다른 단과대학의 3배 이상 향상되었고, 대면-온라인 수업상황과 온라인-병행 수업상황에서는 감소한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대학교육만족도 하위영역 중에서는 교육과정 초기값과 교육성과 초기값이 높고, 교육과정 변화량과 교육성과 변화량이 증가할 때, 핵심역량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핵심역량 변화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단과대학별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과대학은 교육과정 초기값이 높고 교육과정 변화량이 클수록 핵심역량이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었고, 글로벌상경대학은 수업의 질과 교육성과 변화량이 클수록 핵심역량이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보건의료복지대학은 교육과정 초기값이 높고, 교육성과 변화량이 클수록 핵심역량이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었고, 창조문화예술대학은 교육의 질과 교육성과 초기값이 높고, 교육성과와 교육환경 변화량이 클수록 핵심역량이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를 통해 신입생들의 핵심역량을 향상시키기 위해 단과대학 특성에 맞는 차별적인 지원전략이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 KCI등재후보

        ‘역량기반 교육’ 개념체제의 이해와 조건 탐색을 통한 과제 제시

        허지원(HEO, Jiwon) 한국핵심역량교육학회 2021 핵심역량교육연구 Vol.6 No.1

        기존의 ‘역량기반 교육’ 연구는 ‘역량’에 대해서는 상대적으로 깊은 이해를 보여주지만 ‘교육’에 대해서는 논의의 흔적을 찾아보기 어렵다. ‘역량기반 교육’을 그대로 나열하면 ‘역량의 개념을 기반으로 한 교육’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역량기반 교육’을 올바로 이해하려면 ‘역량’의 탐색과 더불어 ‘교육’의 의미도 균형 있게 탐색하는 과정이 반드시 필요하다. 본 연구는 이러한 ‘역량기반 교육’ 개념의 부실화 문제를 지적하고 내실화를 위한 조건 제시를 연구의 궁극적 목적으로 삼고, 그 대장정의 과정을 크게 두 단계로 나누었다. 첫 번째 단계는, ‘역량’을 중심으로 한 기존의 ‘역량기반 교육’의 개념체제 분석과 그에 대한 교육관의 비판적 고찰이고, 그 결과를 논의의 기초로 삼아 두 번째 단계에서 ‘교육’을 중심에 둔 균형 있는 ‘역량기반 교육’의 본질을 탐구하여 최종적으로 ‘역량기반 교육’의 내실화를 위한 조건을 제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따라서 본고는 서막에 해당하는 첫 번째 연구결과를 소개하는 글이다. 직업현장에서 출발한 다소 산발적인 ‘역량기반 교육’의 개념 정의 다섯 가지-지식기반사회, 행동주의 목표, 핵심역량, 커리큘럼, 직업세계의 요구-를 간결·명료하게 제시하였고, 난맥상의 교육관을 비판적으로 고찰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으며 향후 연구과제인 ‘역량기반 교육’에 내재된 ‘교육’의 본질 탐구의 필요성을 시사하였다. Existing competency-based education studies show a relatively deep understanding of competence, but there is no trace of discussion about education. If competency-based education is listed as it is, it is education based on the concept of competence . Therefore, to understand competency-based education correctly, it is essential to explore the meaning of education in a balanced manner as well as the search for competence . This study pointed out the problem of insolvency of this concept of competency-based education and made conditions for internalization the ultimate purpose of the study, and divided the process of the long journey into two main stages. The first phase is a critical consideration of the existing conceptual framework analysis of competency-based education and its outcome as a basis for discussion, which aims to explore the nature of balanced competency-based education. Therefore, this article introduces the results of the first study corresponding to the prelude. It is meaningful in that it concisely and clearly presented the conceptual definition of a somewhat sporadic competency-based education starting from the vocational field, and critically considered the chaotic view of education, suggesting the need to explore the essence of competence-based education.

      • KCI등재후보

        핵심역량에 대한 요구도 분석과 역량 우수 학생 FGI를 통한 역량기반 비교과 교육 프로그램 개발 연구 : S대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이희원(LEE, Heewon),박소현(PARK, Sohyeon) 한국핵심역량교육학회 2021 핵심역량교육연구 Vol.6 No.1

        본 연구는 대학생의 핵심역량을 향상시킬 수 있는 역량기반 비교과 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K-CESA를 활용하여 S대학교 학부생의 핵심역량의 수준을 분석하였고, 핵심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고자 진단에 참여한 학부생 136명을 대상으로 세부 영역별 핵심역량에 대한 Borich 교육요구도와 The Locus for Focus 분석을 수행하였다. 또한 K-CESA 진단 결과 영역별 역량 우수학생을 대상으로 인터뷰를 수행하여 역량 향상에 영향을 주었던 비교과 프로그램의 참여 경험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학생들은 의사소통 역량 중 말하기, 토론 조정 능력이 가장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또한 핵심역량 수준이 상대적으로 높았던 학부생 15명을 대상으로 포커스 그룹 인터뷰(Focus Group Interview)를 실시하여 핵심역량 향상에 영향을 미친 수업 내·외적 학습경험을 분석하였다. 교육요구도로 산출된 결과와 FGI에서 제시된 논의를 종합하여 학습자의 요구에 근거한 역량기반 비교과 프로그램을 도출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the purpose of developing a competency-based extracurricular educational program that can help develop the core competencies of undergraduate students. To this end, the K-CESA analysis tool was used to analyze the core competency levels of undergraduates at S-University. To better understand the elements that influence the development of core competencies, 45 undergraduates participated in an analysis involving the Borich needs assessment model and the Locus for Focus model, which were utilized in relation to core competencies for each division in relation to the 45 undergraduate participants. This revealed that, in the area of communication skills, students considered speaking and mediation skills as most important and necessary. Additionally, a Focus Group Interview was conducted with 15 undergraduate students that had relatively high core competencies. Through this, learning experiences inside and outside the classroom that influenced the improvement of core competencies were analyzed. Subsequently, a competency-based extracurricular program based on learners needs was derived from the results of the educational needs assessment and FGI.

      • KCI등재

        핵심 인재 역량에 대한 잠재프로파일 분석: 삼성꿈장학재단 교육소외 학생 교육지원사업을 중심으로

        김소희(Sohee Kim),김영롱(Younglong Kim) 한국핵심역량교육학회 2023 핵심역량교육연구 Vol.8 No.1

        본 연구는 네 가지 핵심 인재 역량 – 지속도전, 능동학습, 진로개척, 사회기여 –의 응답 패턴에 따라 잠재집단을 유형화하고 분류된 잠재집단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인들을 탐색하였다. 자료 분석을 위해 삼성꿈장학재단의 배움터 교육지원사업 2020년도 데이터를 활용하였으며, 잠재프로파일 분석과 다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첫째, 잠재프로파일 분석 결과, 핵심 인재 역량의 응답 패턴에 따라 4개의 잠재집단이 분류되었다. 둘째, 다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통해 잠재집단 별 관련 변인들의 영향력을 확인하였다. 분류된 잠재집단 유형에 프로그램 만족도, 교육포부, 경제상황, 거주지역, 가정구조 변수가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프로그램 만족도의 경우, 만족도가 높은 학생일수록 차상위 역량 집단에 속할 확률이 높았고, 교육포부의 경우, 교육 포부가 높은 학생일수록 최상위 역량 집단에 포함될 가능성이 높았다. 경제상황 변수에서는, 기초수급대상에 속하는 학생들이 일반 저소득층에 해당하는 학생들에 비하여 최상위 역량 집단에 포함될 확률이 높았으며, 중소도시에 사는 학생들이 대도시에 사는 학생과 비교했을 때, 중간 역량 집단에 포함될 가능성이 높았다. 마지막으로 한부모, 새터민, 시설, 조손가정에 속하는 학생들은 일반 가정에 속하는 학생들에 비해 중간 역량 집단에 속할 확률이 높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네 가지 핵심 인재 역량 응답 양상에 따라 산출된 각각의 잠재집단을 위한 차별화된 교육 프로그램 및 지원 사업의 계발 및 보급 뿐 아니라, 다각도의 관점에서 교육 소외 학생들의 핵심 인재 역량 향상을 위한 체계적 지원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This study classified potential latent groups according to core competency – sustainable challenge, active learning, career development, and social contribution. The potential latent groups were explored based on the responses for sub-scales of core competency, and various factors affecting the classified potential latent groups were investigated. For analysis, the data from the 2020 learning center project by the Samsung Dream Scholarship Foundation was used to conduct the latent profile analysis and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First, four potential latent groups were detected according to the response patterns on core competency as a result of latent profile analysis. Second, the influence of related variables for each latent group was confirmed through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According to the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program satisfaction, educational aspiration, economic situation, residential area, and family structure had a significant impact on latent group classification. For program satisfaction, the higher the satisfaction level students had, the higher probability of belonging to the second competency group. For educational aspiration, the higher educational aspiration the student had, the higher probability of belonging to the highest competency group. In the case of economic situation, the students, basic pension recipients, were more likely to be included in the highest competency group compared to the students in the low-income group. In addition, students living in small and medium-sized cities were more likely to be included in the medium competency group compared to the students living in large cities. Finally, students in groups, living with single parents, North Korean defectors, living in facilities, or living with grandparents were more likely to be included in the medium competency group than students living in a typical family.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ed the development and dissemination of differentiated educational programs for each potential group according to the four types of core competency. For a long-term perspective, this study also suggested the need for systematic support to improve the core capacity of underprivileged students.

      • 초등 예비교사의 창의적 교사역량과 K-CESA 핵심역량과의 관계

        이수영,김성식,최단비 한국핵심역량교육학회 2015 한국핵심역량교육학회 학술대회지 Vol.- No.2

        본 연구에서는 초등 예비교사의 창의적 교사역량과 K-CESA 핵심역량 간의 관련성 을 분석하고, 이를 통해 초등 예비교사의 창의적 교사역량을 강화할 수 있는 교육과정 프로그램을 만드는 데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S교대 3개학과 3학년 재학생 64명을 대상으로 창의적 교사역량과 K-CESA 핵심역량을 조사하였다. 수집된 응답 자료는 전국 대학생의 핵심역량 평균 점수와 비교 분석하였다. 또 창의적 교사역 량과 핵심역량 간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한 상관분석과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K-CESA 핵심역량을 전국 평균과 비교한 결과, 대부분의 영역에서 S교대 학생들이 전 국 평균보다 높은 점수를 나타냈으나 의사소통 영역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상관분석 실시 결과, 핵심역량과 창의적 교사 역량의 하위영역 중 일부영역에서 상관관계가 유의 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회귀분석 실시 결과 글로벌 역량과 교사 전문성이 창의교수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S교대 학생들이 부족한 핵심역량을 향상시킬 수 있는 맞춤식 교육과정을 만드는데 객관적인 정보를 제 공할 수 있을 것이다. 더불어 창의적 교사역량은 핵심역량의 인지적 요소보다 비인지적 요소와 더 깊은 상관을 가짐을 확인하였다. 이는 창의적 교사 양성을 위해서는 교육대 학 교육과정과 프로그램에서 비인지적 요소를 강화해야함을 시사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