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자궁내막증이 있는 불임 여성에서 중등도에 따른 체외 수정의 결과 비교

        김혜옥,강인수,Kim, Hye Ok,Kang, Inn Soo 대한생식의학회 2006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Vol.33 No.4

        목 적: 자궁내막증이 체외 수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알아보고, 자궁내막증의 체외 수정 결과의 차이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1994년부터 2004년까지 제일병원 아이소망센타에서 자궁내막증으로 체외 수정을 시술 받은 697명의 환자 (총 1,199주기)를 후향적으로 연구하였다. 경증의 자궁내막증은 638주기, 중증의 자궁내막증은 561주기였으며, 난관 요인을 가진 325명 (459주기)를 대조군으로 하였다. 제외 기준으로는 여성의 나이가 35세 이상, basal FSH level이 20 mIU/ml 이상인 경우, 심각한 남성 요인의 경우를 제외하였다. 결 과: 중증의 자궁내막증은 난관 요인 보다 획득된 난자의 수 ($9.97{\pm}7.2$ vs. $13.4{\pm}7.9$ (p<0.0001)), 총 배아 수 ($6.5{\pm}4.8$ vs. $9.1{\pm}5.6$ (p<0.0001)), 양질의 배아 수 ($2.43{\pm}1.6$ vs. $2.74{\pm}1.7$ (p=0.013))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았다. 하지만, 중증의 자궁내막증의 임신율은 난관 요인과 유사하였다 (35.7 vs. 36.8 (%)). 경증의 자궁내막증은 중증의 자궁내막증과 난관 요인보다 불임 기간이 길었으며 ($55.4{\pm}25.7$ vs. $47.6{\pm}25.6$ vs. $44.4{\pm}30.9$ (개월) p<0.0001)), 수정률이 의미 있게 낮았으나 ($64.8{\pm}22.9$ vs. $69.9{\pm}22.5$ vs.$70.8{\pm}20.8$ (%) (p<0.0001)), 임신율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31.1 vs. 35.7 vs. 36.8 (%)). 또한, 체외 수성 이전에 치료 받은 병력이 있던 경증과 중증의 자궁내막증 (363주기 vs. 470주기)은 경증의 자궁내막증에서 중증의 자궁내막증보다 불임 기간이 길고 ($56.5{\pm}26.3$ vs. $46.9{\pm}25.8$ (개월), p<0.0001), 수정률이 낮았으며 ($64.7{\pm}23.3$ vs. $70.5{\pm}22.7$ (%), p=0.001), 임신율과 태아 생존율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았다 (29.2 vs. 36.2 (%), p=0.045, 23.9 vs. 31.5 (%), p=0.043). 결 론: 체외 수정 시 이전에 치료를 받았던 경증의 자궁내막증은 중증의 자궁내막증보다 임신율과 태아 생존율이 낮았고, 이는 현저한 수정률 감소와 긴 불임 기간이 관련이 있다고 생각된다. 따라서, 장기간의 불임 기간을 가진 경증의 자궁내막증을 가진 불임 여성은 체외 수정을 좀 더 일찍 고려해 볼 수 있겠다. Objective: To evaluate the impact of endometriosis on IVF-ET cycles and to compare IVF outcomes between stage I/II and stage III/IV endometriosis. Methods: We analyzed 697 patients (1,199 cycles) with endometriosis (stage I-II:638 cycles, stage III-IV: 561 cycles) and 325 pts (459 cycles) with tubal factor as controls between January 1994 and April 2004. Pts with endometriosis were diagnosed by laparoscopy and medical and surgical treatment were done in 353 cycles (55.3%) and 466 cycles (83.1%) of stage I-ll/stage III-IV endometriosis. Cycles with age>35 years or FSH>20 miU/mL or severe male factor infertility were excluded. Results: The number of retrieved oocytes ($9.97{\pm}7.2$ vs. $13.4{\pm}7.9$ (p<0.0001 )), total number of embryos ($6.5{\pm}4.8$ vs. $9.1{\pm}5.6$ (p<0.0001)), and good quality embryos ($2.43{\pm}1.6$ vs. $2.74{\pm}1.7$ (p=0.013)) significantly decreased in stage III-IV endometriosis than in control. But pregnancy rate of stage III-IV endometriosis was comparable with control (35.7% vs. 36.8%). Fertilization rate and number of total embryos were lower in stage I-II endometriosis than in control ($64.8{\pm}22.9$ vs. $70.8{\pm}20.8$ (p<0.0001), $7.6{\pm}5.0$ vs. $9.1{\pm}5.6$ (p<0.0001)). In patients with medical and surgical treatment of endometriosis, pregnancy rate and live birth rate was significantly lower in stage I-II than in stage III-IV endometriosis (29.2 vs. 36.2 (%), p=0.045, 23.9 vs. 31.5 (%), p=0.043).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mean age, but the duration of infertility was significantly longer ($56.5{\pm}26.3$ vs. $46.9{\pm}25.8$ (mon), p<0.0001) and fertilization rate was lower ($64.7{\pm}23.3$ vs. $70.5{\pm}22.7$ (%), p=0.001) in stage I-II than stage III-IV endometriosis. Conclusion: We suggest that IVF should be considered earlier in patients with minimal to mild endometriosis because of significantly decreased fertilization rates.

      • KCI등재

        자궁내막증 환자의 자궁내막 및 이소성 자궁내막조직에서의 혈관내피성장인자 수용체 전령리보핵산의 발현

        박정열 ( Park Jeong Yeol ),김정훈 ( Kim Jeong Hun ),홍석호 ( Hong Seog Ho ),이영진 ( Lee Yeong Jin ),홍승화 ( Hong Seung Hwa ),권혜은 ( Kwon Hye Eun ),김성훈 ( Kim Seong Hun ),채희동 ( Chae Hui Dong ),강병문 ( Kang Byeong Mun ) 대한산부인과학회 2004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7 No.3

        목적 : 본 연구는 자궁내막증 환자의 이소성 자궁내막과 정상 위치의 자궁내막 그리고, 자궁내막증이 없는 환자의 자궁내막에서 혈관내피성장인자 수용체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receptor, VEGFR) 의 발현정도를 비교하기 위하여 시행되었다. 연구 방법 : 양성 부인과 질환의 수술적 치료를 통하여, 자궁내막증으로 확인된 환자들을 실험군으로 하였으며, 자궁내막증이 없는 환자들을 대조군으로 하였다. 실험군의 이소성 자궁내막조직 및 정상 위치의 자궁 내막조직과 대조군의 자궁내막조직내의 혈관내피성장인자 수용체의 전령리보핵산 (messenger ribonucleicacid, mRNA)의 발현정도는 실시간 역전사 중합효소연쇄반응 (real time reverse transcriptase-polymerase chain reaction, RT-PCR)응 이용하여 정량화하였고, ANOVA (analysis of variance)와 Kruskal-Wallis test로 차이를 분석하였다. 결과 : 환자군의 경우 정상 위치 및 이소성 자궁내막내 혈관내피성장인자수용체-1, -2, -3 mRNA 모두 증식기와 분비기 모두에서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증가해 있었다. 한편 자궁내막증 환자의 이소성 자궁내막조직에서의 혈관내피성장인자 수용체-1은 후기증식기에 비해 중간분비기때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혈관내피성장인자 수용체-3의 경우엔 후기증식기에 비해 중간분비기때 유의하게 감소하는 양상을 나타냈다. 특히 자궁내막증 환자의 이소성 후기증식기 자궁내막조직에서의 혈관내피성장인자 수용체-3은 대조군의 후기증식기 및 중간분비기 자궁내막조직에 비해서는 물론 자궁내막증 환자의 정상 자궁내막에서의 후기증식기 및 중간분비기 자궁내막조직에 비해서도 뚜렷하게 높은 발현 양상을 보였다. 결론 : 이상의 결과는 자궁내막증의 발생에 혈관내피성장인자 수용체 전령리보핵산의 발현 증가가 관여되어있음을 시사하고, 이들중 특히 혈관내피성장인자 수용체-1, 3은 월경주기에 따른 변화 양상을 나타내는 것으로 보아 혈관내피성장인자가 자궁내막증의 발생에 자가분비 및 주변분비 방식으로 관여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특히 혈관내피성장인자 수용체-3은 이소성 자궁내막조직의 증식과 높은 관련성을 갖는 것으로 보인다. Objective : To Investigate the expression of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receptor-1, -1, and -3 (VEGFR-1, -2, and -3) mRNA in the eutopic and ectopic tissues in women with endometriosis. Methods : At the time of laparoscopy or laparotomy for endometriosis, infertility or other benign gynecologic conditions, a biopsy specimen was taken from the endometrial cavity and a peritoneal endometriotic implant simultaneously whenever appropriate. For control samples, endometrial tissues were obtained from women without visual evidence of endomtriosis. We employed real time quantitative RT-PCR to quantify VEGFR gene expression of these tissues. Comparisions between each group were made using ANOVA (analysis of variance) and Kruskal-Wallis test and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defined as p<0.05. Results : The expression of VEGFR-1, -2, and, -3 mRNA was significantly higher in both eutopic and ectopic endometrial tissues of women with endometriosis than in control endometrial tissues during both proliferative and mid-secretory phase. In ectopic endometrial tissue, VEGFR-1 mRNA expression was significantly increased during the mid-secretory phase compared to the proliferative phase. There was a marked increase especially in VEGRF-3 mRNA expression in ectopic endometriotic lesions during the proliferative phase but its expression decreased during the mid-secretory phase. Conclusion : mRNA for VEGFR-1, -2, and -3 in an endometriotic lesions might be differentially expressed and their expression appears to be associated with the development of endometriosis.

      • KCI등재

        자궁내막증 환자와 정상 여성의 자궁내막 및 이소성 자궁내막에서 Angiopoietin-1 과 Angiopoietin-2 mRNA 발현 비교

        이지영 ( Ji Young Lee ),안성수 ( Seong Soo An ),윤병일 ( Byung Il Yun ),허성은 ( Sung Eun Hur ),손인숙 ( In Sook Sohn ),김수녕 ( Soo Nyung Kim ) 대한산부인과학회 2004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7 No.6

        목적 : 한국인 여성에서 자궁내막증과 관련된 유전자를 알아보기 위하여 자궁내막증 환자와 대조군의 자궁내막 및 자궁내막증 조직에서 Ang-1과 Ang-2의 mRNA발현 차이를 분석하였다. 연구 방법 : 자궁내막증 환자와 대조군의 자궁내막에서 총 RNA를 추출하여 cDNA로 역전사하였다. Ang-1과 Ang-2 mRNA의 발현의 차이를 Quantitative Competitive RT-PCR로 비교하였고, 선형회귀분석과 Kruskal-Wallis 검정, Mann-Whitney U 검정으로 통계분석 하였다. 결과 : 자궁내막증 환자와 대조군의 월경주기에 따른 자궁내막에서의 Ang-1 mRNA을 정량분석한 결과 난포기와 황체기간의 mRNA 발현의 차이는 없었다. 난포기 자궁내막증 환자의 자궁내막에서 대조군의 자궁내막보다 Ang-1 mRNA 발현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P=0.049). Objective : To investigate the mRNA expression of Angiopoietin (Ang)-1 and Ang-2 in ectopic and eutopic endometrium from women with or without endometriosis throughout the menstrual cycle. Methods : Total RNA was extracted and reverse transcribed into cDNA. The expression of Ang-1 and Ang-2 was examined by quantative competitive PCR (QC PCR) and each result was analyzed by Kruskal-Wallis analysis and Mann-Whitney U-test. Results : The expression of Ang-1 mRNA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higher in endometrium of follicular phase from women with endometriosis compared to that from normal ones in the follicular phase. Endometriotic tissues expressed significantly lower Ang-2 mRNA compared to endometrium from women without endometriosis. Conclusion : We suggested that the expression of Ang-1 mRNA could be associated with the pathogenesis of endometriosis and might have a role as neovascularizaton and survival of ectopic endometrium.

      • KCI등재

        한국인에서 자궁내막증 발생과 progesterone receptor gene polymorphism (PROGINS) 및 estrogen receptor gene polymorphism과의 관계

        고희은 ( Hee Eun Ko ),황동희 ( Dong Hee Whang ),노지현 ( Ji Hyun Noh ),김용봉 ( Yong Bong Kim ) 대한산부인과학회 2006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9 No.7

        목적: 자궁 내막증은 자궁 내막 조직이 자궁 외에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환으로서 만성적인 골반통, 생리통, 성교통을 유발하며 불임의 원인이 될 수 있는 진행성 질환이다. 오랜 기간의 연구에도 불구하고 자궁내막증의 병인에 대하여 확실하게 밝혀진 것이 없지만 자궁내막증이 에스트로겐에 의존적인 질환이며 프로게스테론의 투여로 인하여 증상의 치료가 가능하다는 사실에 대해서는 이견이 많지 않다. 일부 유전적 연구 결과들을 살펴보면 자궁내막증과 에스트로겐 및 프로게스테론 수용체 유전자의 특정 다형성 부위와 연관성이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는 한국인 여성을 대상으로 하여 프로게스테론 수용체 유전자의 다형성 (PROGINS) 양상과 에스트로겐 수용체 유전자의 PvuII 및 XbaI 다형성 양상을 분석하여 자궁내막증 환자와 대조군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고안되었다. 연구 방법: 수술 및 병리조직 소견을 통하여 자궁내막증을 확진받은 100명의 환자와 건강검진을 시행 받은 일반 인구군 11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대상 환자들의 말초 혈액에서 DNA를 추출한 후 프로게스테론 수용체의 유전자 다형성 검사를 PCR-SSP (Sequence specific primer) 방법으로 시행하였고, 에스트로겐 수용체-alpha 유전자의 다형성을 PvuII 및 XbaI 두 가지 제한효소를 이용한 PCR-RFLP (Restriction fragment length polymorphism) 방법을 이용하여 검사한 후 자궁내막증 환자군과 건강대조군에 있어서 특정 유전자 다형성의 빈도에 차이가 있는지 X2 검정을 통하여 통계 분석하였다. 결과: PROGINS 다형성 양상에서는 자궁내막증군과 대조군에서 각각 1명에서만 T1/T2 이형접합자로 확인이 되었고 나머지 개체에서는 모두 T1/T1 동형접합자임이 확인되었다. 에스트로겐 수용체 유전자 PvuII 다형성 분석에서는 자궁내막증군에서 (pp) 유전자형을 가진 개체는 32명 (32%)으로 대조군의 50명 (45.5%)에 비해 유의하게 낮은 수치를 보였다(P<0.05). (Pp)와 (PP) 유전자형의 빈도는 양 군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p) 유전자의 빈도는 자궁내막증군에서 109 (54.5%), 대조군에서 142 (64.5%)이었고 (P)유전자의 빈도는 자궁내막증군에서 91 (45.5%), 대조군에서 78 (35.5%)로 양군 간에 유의한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P<0.05). 에스트로겐 수용체 유전자 XbaI 다형성 분석에서는 자궁내막증군과 대조군에 있어서 (xx), (Xx), (XX) 유전자형의 빈도에 있어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x) 유전자와 (X) 유전자의 빈도에 있어서도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론: 이러한 본 연구의 결과는 한국인 자궁내막증 환자에 있어서 에스트로겐 수용체 유전자의 PvuII 다형성이 중요한 병인으로 작용할 수 있음을 시사하며 이러한 자료는 자궁내막증의 병인을 규명하는데 유용한 정보를 줄 것으로 생각된다. Objective: Endometriosis is defined as the presence of endometrial tissue outside the uterus, causing diverse progressive diseases such as infertility, pelvic pain, and dysmenorrhea. Although the mechanisms responsible for its pathogenesis and progression remain poorly understood, it is well established that endometriosis grows and regresses in an estrogen-dependent fashion and that administration of progestin can relieve the symptoms caused by endometriosis. Some genetic studies have demonstrated the association between the estrogen or progesterone receptor gene polymorphism and the susceptibility to endometriosis.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associations of the polymorphism of the progesterone receptor gene (PROGINS), PvuII and XbaI polymorphism of estrogen alpha receptor gene with endometriosis in the Korean population. Methods: A total of 100 women with surgically diagnosed and histologically confirmed endometriosis of stage III-IV were enrolled as a patient population and a total of 110 female control subjects undergoing health examination were enrolled as control population. Following isolation of genomic DNA from peripheral blood, polymerase chain reaction-sequence specific primer assays were performed for analyzing progesterone receptor gene polymorphism (PROGINS) and polymerase chain reaction-restriction fragment length polymorphism assays were performed for analyzing estrogen alpha receptor gene PvuII and XbaI polymorphism. The X2-test was used to compare genotype distributions between endometriosis and controls. Results: Only one patient in each group was found to be T1/T2 heterozygote, and the rest of the subjects were all T1/T1 homozygotes. Analysis of PvuII has shown that the significantly lower number of patients had (pp) genotypes and (p) alleles in the endometriosis group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32 (32%) vs. 50 (45.5%), P<0.05; 109 (54.5%) vs. 142 (64.5%), P<0.05, respectively).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genotype distribution or allele frequency in XbaI polymorphism between the endometriosis group and the control group.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PvuII polymorphism of the estrogen receptor-alpha gene is associated with the risk for endometriosis in the Korean population.

      • SCIESCOPUSKCI등재

        자궁내막암조직에서 세포주기 조절단백 G1 cyclins의 발현과 임상적 예후인자와의 상관관계

        김영태,김성훈,김재욱,이진우,박기현 대한부인종양 콜포스코피학회 2003 Journal of Gynecologic Oncology Vol.14 No.1

        목적 : 서구화과정과 더불어 우리나라에서 점차 많은 발생빈도를 보이는 자궁내막암조직 RNA level에서의 cyclin의 발현을 호르몬수용체와 연관하여 조사하였으며 그 결과와 임상적 예후인자와의 관련성을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연구 방법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산부인과학교실에 내원하여 자궁내막암으로 확진된 환자 33명과 양성 부인과 종양으로 전자궁절제술을 시행받은 대조군 환자 9명의 자궁내막조직을 대상으로 에스트로겐수용체 및 프로제스테론수용체를 효소면역분석법으로 조사하였으며 세포주기인자중에서 cyclin Dl과 cyclin I의 발현을 연구하였다. 결과 :자궁내막암조직과 대조군의 에스트로겐수용체 및 프로제스테론수용체의 양성률을 조사한 결과에서 에스트로겐수용체 및 프로제스테론수용체의 농도는 자궁내막암조직에서 보다 정상대조군에서 높게 나타났는데 대조군에서 에스트로겐수용체는 100%에서 양성률을 보였고 평균농도는 162.1±13.8 fmole/mg이었던 반면에 자궁내막암에서는 76%에서 양성률을 보였고 평균농도는 98.5±18.2 fmole/mg이었다. 또한 프로제스테론수용체는 정상대조군에서 마찬가지로 100% 양성률을 보였고 평균농도는 211.1±12.8 fmole/mg이었던 반면에 악성조직에서는 67%의 양성률과 평균농도 62.1±3.8 fmole/mg을 보여 대조군과 자궁내막암 조직간의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자궁내막암조직에서는 대조군의 정상자궁내막에 비해 호르몬수용체의 농도가 낮게 났다. 내막암군에서의 cyclin Dl의 transcript의 과발현양상과 임상병리학적 제예후인자와의 관련성을 분석한 결과, 종양분화도, 자궁근층침법도, 병기, 림프절전이 유무, 세포형태, 프로제스테론수용체 양성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에스트로겐수용체에 따라서는 cyclin Dl의 과발현이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cyclinI의 transcript의 과발현양상과 임상병리학적 제예후인자와의 관련성을 분석한 결과에서도 종양분화도, 자궁근층침법도, 병기, 림프절전이 유무, 세포형태와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호르몬수용체 음성군에서는 cyclin I의 과발현이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결론 cyclin Dl 및 I의 과발현이 자궁내막암의 여러 임상병리학적인 예후인자들과 밀접한 관련성을 나타내지는 않았지만 호르몬 수용체와는 연관성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므로 cyclin의 발현을 예후인자로 평가하기위해서는 많은 증례를 통한 장기간의 추적관찰을 통한 생존율에 관한 연구가 됫받침 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Objective : Cyclins D1 and E play important roles in the progression of cell through G1 phase of the cell cycle. Amplification and/or overexpression of the cyclin D1 gene and aberrant expression of cyclin E has been described in various forms of human cancer. However, the role of cyclins D1 and E in endometrial cancer has been poorly defined. Methods : We examined the expression of cyclins D1 and E by Northern blot technique in 33 endometrial carcinoma specimens and 9 control endometrial tissues. In addition, expression of the estrogen and progesterone receptors (ER, PR) was studied by enzyme immunoassay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cyclins D1 and E and endometrial cancer. Results : We found that cyclin D1 expression showed down-regulated expression in endometrial cancer. Underexpression of cyclin D1 inversely related with ER positivity. However, cyclin E expression was increased in ER positive cancer group. Other clinicopathological prognostic factors were not correlated with cyclins D1 and E expression. Conclusion : Further study based on larger numbers of cases with correlation of cyclins D1 and E status and survival data will be needed to elucidate the use of cyclin expressions as prognostic factor.

      • KCI등재

        자궁내막증식증과 자궁내막선암에서의 bcl - 2 와 bax 단백질의 발현

        이병석(Byung Seok Lee),홍순옥(Soon Oak Hong),양우익(Woo Ick Yang),이지성(Jee Sung Lee),차동현(Dong Hyun Cha),조용선(Yong Seon Cho),김정연(Jeong Yeon Kim),박기현(Ki Hyun Park),조동제(Dong Jae Cho),송찬호(Chan Ho Song) 대한산부인과학회 2000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3 No.9

        목적 : 자궁내막증식증과 자궁내막선암 조직에서 bcl-2와 bax 단백질의 분포를 조사하여 신생물을 형성하는데 있어서 어떠한 역할을 하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방법 : 1992년부터 1997년 사이에,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병리학교실의 수술적 병리조직 기록으로부터 포르말린 고정과 파라핀 포매를 거친 조직절편을 검색하였다. 선택된 예는 비정형성이 동반되지 않은 단순 및 복합성 자궁내막증식증이 30예, 비정형성이 동반된 증식증이 10예, 자궁내막선암 grade I이 23예, grade II가 15예, grade III가 11예이었다. 선택된 조직절편에 면역조직화학염색을 시행하여 bcl-2와 bax 단백질의 발현양상을 조사하였다. 결과 : Bcl-2는 비정형성을 동반하지 않은 자궁내막증식증 모두(100.0%)에서 발현되었다. 비정형성을 동반한 자궁내막증식증의 경우에 있어서는 bcl-2가 10예 중에서 7예(70.0%)에서 발현되었다. 평균 강도 및 평균 분포도는 비정형성을 동반하지 않은 경우가 더 높았다. Bax는 비정형성을 동반하지 않은 자궁내막증식증 30예중에서 29예(96.7%)에서 발현되었다. 비정형성을 동반한 자궁내막증식증에서는 10예중에서 6예(60.0%)에서 발현되었다. Bcl-2의 발현율, 평균 강도 및 염색에 양성인 종양 세포의 분획은 자궁내막선암에서 분화도가 진행될수록 하향 조절되었다. 그러나 bax의 경우에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결론 : Bcl-2와 bax는 자궁내막 전암 병소에서 변형된 세포가 계속 생존해 있도록 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 같다. 또한 bcl-2는 자궁내막암 세포의 분화도와 관련이 있으며, 자궁내막암의 예후인자로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Objective : To investigate the distribution of bcl-2 and bax proteins in the endometrial neoplastic tissues in order to find out the role of these two genes in causing the neoplasia.Methods: Formalin-fixed, paraffin-embedded tissue blocks were retrieved from the surgical pathology files of the Department of Pathology, College of Medicine, Yonsei University, for the period from 1992 through 1997. We selected cases of endometrial hyperplasia without atypia(n=30), hyperplasia with atypia(n=10), and endometrial adenocarcinoma, grade I(n=23), grade II(n=15), grade III(n=11). Immunohistochemical staining was performed to detect the expression of bcl-2 and bax proteins. Results : Bcl-2 was expressed in all cases of endometrial hyperplasia without atypia(100.0%). In endometrial hyperplasia with atypia, bcl-2 was expressed in 7 cases out of 10 cases(70.0%). The intensity of bcl-2 was stronger in hyperplasia without atypia. Bax was expressed in 29 cases out of 30 cases in endometrial hyperplasia without atypia(96.7%). In endometrial hyperplasia with atypia, bax was expressed in 6 cases out of 10 cases(60.0%). The expression, the intensity, and the percentage of positive tumor cells of bcl-2 were decreased as the grade advanced in endometrial adenocarcinoma. However,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expression of bax. Conclusion : Bcl-2 and bax may play a role in keeping transformed cells alive in premalignant endometrial lesion. Furthermore, bcl-2 may be involved in the differentiation of the endometrial cancer cells and may be used as a prognostic factor in endometrial cancer.

      • KCI등재

        중증 자궁내막증의 수술적 치료 후 체외수정의 결과

        양승헌 ( Seung Heon Yang ),김혜옥 ( Hye Ok Kim ),성나영 ( Na Young Sung ),안현숙 ( Hyun Suk Ahn ),추연실 ( Youn Sil Choo ),양광문 ( Kwang Moon Yang ),송인옥 ( In Ok Song ),궁미경 ( Mi Kyoung Koong ),강인수 ( Inn Soo Kang ) 대한산부인과학회 2011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54 No.9

        목적: 중증 자궁내막증 환자에서 수술적 처치가 체외수정 결과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고, 특히 난소 자궁내막증과 복막 자궁내막증 환자의 수술적 처치 후 체외수정시술의 척도들을 비교해 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1997년에서 2004년까지, 복강경검사로 중증 자궁내막증을 진단 받고 체외수정을 시행한 506주기를 대상으로 후향적 연구를 하였다. 170주기는 수술받지 않았고, 336주기는 수술적 치료(151주기는 난소 자궁내막증, 185 주기는 복막 자궁내막증) 후 체외수정시술을 받았다. 대조군은 동일 기간 내에 난관요인에 의해 체외수정시술을 받은 313주기를 대상으로 하였다. 결과: 자궁내막증의 수술적 처치를 한 그룹과 수술을 받지 않은 그룹에서, 채취된 난자 수(9.6 ± 7.3 vs. 11.2 ± 7.5 vs. 14.8 ± 7.0, P <0.0001) 와 이식된 배아 수(3.5 ± 1.4 vs. 3.5 ± 1.4 vs. 3.9±0.9, P = 0.001)가 유의하게 대조군 보다 낮았다. 하지만, 착상률(17.2% vs. 15.2% vs. 15.9%)과 임신율(36.9% vs. 35.9% vs. 39.6%), 태아생존율(32.1% vs. 28.2% vs. 29.7%)은 유사하였다. 수술받은 복막 자궁내막증 그룹의 체외수정에서는 채취된 난자 수(9.6 ± 7.9 vs. 9.8 ± 6.5), 이식된 배아수(3.4 ± 1.4 vs. 3.7 ± 1.3), 착상률 (15.5% vs. 18.0%), 임신율(34.6% vs. 39.7%), 태아생존율(29.2% vs. 35.8%)이 수술받은 난소 자궁내막증 그룹과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결론: 자궁내막증 환자는 과거의 수술적 치료 유무와 상관없이 체외수정시술 척도가 낮았으나, 임신율에는 차이가 없었다. 수술적 치료를 받은 복막 자궁내막증 그룹은 난소 자궁내막증과 유사하게 낮은 체외수정시술 척도를 보였다. 따라서, 난소 자궁내막증 수술 여부와 관계없이 자궁내막증 자체만으로 체외수정시술 척도에 안 좋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생각된다. Objective: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in vitro fertilization (IVF) outcomes in advanced endometriosis with/without surgical treatment and to compare between cyst enucleation and surgically treated peritoneal lesions without endometrioma. Methods: We performed a retrospective analysis of 506 IVF cycles (345 patients) with stage III-IV endometriosis (170 cycles without surgical treatment, 336 cycles with the surgical treatment) between 1997 and 2004. Among the surgical treatment, 151 cycles were performed previously cyst enucleation with endometrioma and 185 cycles were performed only resection of peritoneal lesions without endometrioma enucleation. 313 cycles (246 patients) with the tubal factor infertility were used as controls. Results: In the endometriosis group with/without surgical treatment, the number of retrieved oocytes (9.6±7.3 vs. 11.2 ± 7.5 vs. 14.8 ± 7.0, P < 0.0001) and the transferred embryos (3.5 ± 1.4 vs. 3.5 ± 1.4 vs. 3.9 ± 0.9, P = 0.001)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controls. But, implantation rates (17.2% vs. 15.2% vs. 15.9%), pregnancy rates (36.9% vs. 35.9% vs. 39.6%) and live birth rates (32.1% vs. 28.2% vs. 29.7%) were similar. Surgically treated peritoneal lesions group showed no difference in the number of retrieved oocytes (9.6 ± 7.9 vs. 9.8 ± 6.5), the number of transferred embryos (3.4 ± 1.4 vs. 3.7 ± 1.3), implantation rates (15.5% vs. 18.0%), pregnancy rates (34.6% vs. 39.7%) and live birth rates (29.2% vs. 35.8%) with cyst enucleation group. Conclusion: IVF parameters in the patients with endometriosis are inferior to tubal factor infertility, but IVF outcomes are comparable. Surgically treated peritoneal lesions group without endometrioma enucleation shows IVF parameters as bad as cyst enucleation group. We might be considered endometriosis itself worse IVF parameters regardless previous cyst enucleation.

      • SCOPUSKCI등재

        생리혈에 존재하는 자궁내막조직에서 자궁내막증 관련 유전자의 발현 양상

        박찬우,전진현,궁미경,송인옥,Park, Chan-Woo,Jun, Jin-Hyun,Koong, Mi-Kyoung,Song, In-Ok 대한생식의학회 2007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Vol.34 No.4

        목 적: 본 연구에서는 생리혈에 존재하는 탈락된 자궁내막조직에서의 자궁내막증 관련 유전자들의 발현 양상과 자궁내막증 병태생리와의 관련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자궁내막증으로 확진된 환자 (n=16)와 정상 대조군 (n=26)에서 생리주기 2$\sim$3일째 Wallace catheter로 채취한 생리혈로부터 탈락된 자궁내막조직을 분리하였다. 기존의 연구들에서 보고된 12종류의 자궁내막증 관련 유전자들의 mRNA 발현 양상을 semi-quantitative RT-PCR 방법으로 비교, 분석하였다. 결 과: 생리혈에서 분리한 탈락된 자궁내막조직은 조직학적 관찰을 통해 자궁내막조직임을 확인하였다. 총 12가지 종류의 자궁내막증 관련 유전자에 대한 RT-PCR 분석에서 telomerase, c-kit, aromatase등의 mRNA 발현이 관찰되지 않았다. 세포사멸 (apoptosis)과 관련성이 있는 fas, fas ligand, bcl-2, bax 유전자와 stem cell factor, ER-$\alpha$/$\beta$, endometriosis protein-I, secretory leukocyte protease inhibitor 등의 mRNA 발현 양상은 자궁내막증으로 확진된 환자군과 대조군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결 론: 결론적으로 자궁내막증과 관련된 다양한 유전자들의 발현 양상을 생리혈에 존재하는 탈락된 자궁내막조직에서 분석하였지만 의미성이 있는 유전자를 동정하지는 못하였다. 이는 자궁내막조직의 생리학적 특징인 생리주기에 따른 유전자 발현의 역동적인 변화와 관련이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Objective: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expressions of endometriosis related genes in shed endometrial tissues from menstrual blood of patients with or without endometriosis. Methods: The shed endometrial tissues were collected on 2$^{nd}$ or 3$^{rd}$ day of menstrual cycle with Wallace catheter in patients with endometriosis (n=16) and without endometriosis (n=26). The mRNA expressions of twelve kinds of endometriosis related genes were compared between two groups using semi-quantitative RT-PCR. Results: The collected shed endometrium was confirmed by histological observation. Expressions of telomerase, c-kit and aromatase mRNA were not detected by RT-PCR in shed endometrial tissues. The mRNA expressions of apoptosis related genes (fas, fas ligand, bcl-2, bax), stem cell factor, estrogen receptor-$\alpha$/$\alpha$, endometriosis protein-I and secretory leukocyte protease inhibitor gene were similar between shed endometrial tissues with endometriosis and without endometriosis. Conclusion: We could not find the difference of mRNA expressions of tested endometriosis related genes between shed endometrial tissues with or without endometriosis by semi-quantitative RT-PCR analysis. It may be related to the dynamical changes of gene expressions in the endometrium with menstrual cycle.

      • SCOPUSKCI등재

        자궁내막증 환자의 복강 액내 IL-6와 TNF-α의 변화 양상에 관한 연구

        강정배,이영경,Kang, Jeong-Bae,Lee, Young-Kyeong 대한생식의학회 2006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Vol.33 No.1

        목 적: 자궁내막증과 이로 인한 불임의 원인인 면역학적 인자 중 세포-매개성 면역계의 변화 양상을 규명하기 위하여 자궁내막증 환자와 자궁내막중이 없는 환자의 복강 액을 채취하여 면역 세포의 분포양상을 비교 분석하고자 IL-6와 TNF-${\alpha}$를 측정하였다. 연구방법: 자궁내막증으로 육안적 또는 조직검사로 확진된 환자 또는 불임검사를 위해 진단적 복강경을 시행한 34명을 연구군으로 등록하였으며 본 연구 이전에 자궁내막증과 관련된 어떠한 치료도 받은 적이 없거나 복강경 시술이나 개복수술과정에서 자궁내막증 소견과 증상이 없는 환자 37명을 대조군으로 하였다. 두 군의 복강 액을 추출한 다음 30분 이내에 $400g{\times}10$분 동안 원심분리 후 상층액만 검사용기에 모아 밀봉한 후 $-70^{\circ}C$ 냉동실에 보관하여 IL-6와 TNF-${\alpha}$의 농도를 "sandwich"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s (ELISA: R & D Systems, Minnepolis, MN)로 측정하였다. 결 과: 1. 복강 액의 IL-6의 농도는 자궁내막증으로 확진된 연구군에서는 $38.9{\pm}19.7pg/ml$으로 대조군의 $22.4{\pm}10.2pg/ml$보다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p=0.02), TNF-${\alpha}$의 농도도 자궁내막증이 있는 여성에서 $20.6{\pm}8.6pg/ml$로 대조군의 $6.2{\pm}3.5pg/ml$보다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p=0.01). 2. 자궁내막증여성의 생리주기별 농도에서 IL-6은 증식기보다 분비기에 유의하게 증가한 반면 (p=0.01), TNF-${\alpha}$는 차이가 없었다 (p>0.05). 3. IL-6은 가임여성보다 불임여성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p=0.03), TNF-${\alpha}$는 두 군 간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p>0.05). 4. IL-6과 TNF-${\alpha}$ 모두 대조군과 자궁내막증 병기 I과 II는 통계학적인 유의성은 없었으나 병기 III과 IV는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p<0.05). 결 론: 자궁내막증인 환자의 복강 액에서 IL-6와 TNF-${\alpha}$가 증가하여 자궁내막증의 생성과 유지, 증상발현에 관여하며 불임의 유발 요인으로 여겨지나 향후 많은 환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와 자궁내막증과 각종 cytokine과의 상호 연관관계에 대한 연구가 더 많이 필요하리라 사료된다. Objective: Our purpose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evels of IL-6 and tumor necrosis factor-${\alpha}$ in the peritoneal fluid of women with and without endometriosis and infertile women. Methods: This study is prospective and case-control study in University hospital, enrolled thirty-four women with laparoscopic findings of minimal to severe endometriosis, and thirty-seven women with no visual evidence of pelvic endometriosis and with benign gynecologic disease. IL-6 and tumor necrosis factor-${\alpha}$ levels in peritoneal fluid were determined using commercial ELISA. IL-6 and tumor necrosis factor-${\alpha}$ concentrations were compared among women with and without endometriosis, and with infertile and fertile women, and then also compared according the revised American Fertility Society classification. Results: IL-6 and tumor necrosis factor-${\alpha}$ concentrations were higher than in the peritoneal fluid of women with endometriosis than in matched normal controls. Cyclic variations in IL-6 concentrations were seen in peritoneal fluid from patients with endometriosis: the concentrations in the secretory phase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in the proliferative phase. The concentrations were higher than among of infertile women than in fertile women.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IL-6 and tumor necrosis factor-${\alpha}$ concentrations and endometriosis stage III and IV was noted. Conclusion: Increased levels of IL-6 and tumor necrosis factor-${\alpha}$ in patients with endometriosis in the peritoneal fluid may be relate to the pathogenesis of endometriosis suggesting that partially contribute to the disturbed immune regulation observed in patients with endometriosis.

      • KCI등재

        자궁내막증 환자의 정상위치 자궁내막 및 이소성 자궁내막에서의 EGF의 전령리보핵산 및 단백질의 발현

        강혁재 ( Hyuk Jae Kang ),김정훈 ( Chung Hoon Kim ),이영진 ( Young Jin Lee ),김성훈 ( Sung Hoon Kim ),채희동 ( Hee Dong Chae ),강병문 ( Byung Moon Kang ) 대한산부인과학회 2009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52 No.2

        목적: 자궁내막증 환자의 정상위치 자궁내막조직과 이소성 자궁내막조직, 자궁내막증 소견을 보이지 않는 양성 부인과 질환환자의 자궁내막조직에서 상피세포성장인자 전령리보핵산 (epidermal growth factor messenger ribonucleic acid, EGF mRNA)과 단백질의 발현정도를 각각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 방법: 2004년 10월부터 2005년 12월까지, 서울아산병원 산부인과에서 수술받고 병리조직학적 검사상 자궁내막증으로 확진된 환자들 중에서 최근 6개월간 자궁내막증에 대한 어떠한 치료도 받은 적이 없는 환자들 34명을 연구군으로 하고, 정상 월경주기를 가진 여성들 중에서 같은 기간 동안에 자궁내막증 이외의 다른 양성 부인과 질환으로 수술받은 환자들 14명을 대조군으로 하였다. 연구군에서 자궁내막종 낭종 내피 일부를 절제하여 이소성 자궁내막조직을 얻었고, 연구군과 대조군의 정상위치의 자궁내막조직은 수술중 생검을 통해 얻었다. 각 자궁내막조직 내의 EGF mRNA의 발현정도는 실시간 역전사중합효소연쇄반응을 이용하여 정량화하였고 단백질 발현정도는 Western blot으로 확인하였다. 결과: 자궁내막증 환자군의 정상위치 (P<0.01) 및 이소성 (P<0.01) 자궁내막조직 내에서의 EGF mRNA 발현량은 증식기 및 분비기 모두에서 대조군의 자궁내막조직에 비해 유의하게 적었다. 또한 EGF 단백질 발현 정도도 자궁내막증 환자의 정상위치 및 이소성 자궁내막조직에서 대조군에 비해 적은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자궁내막증의 발생과 자궁내막조직 내에서 EGF의 저발현은 관련이 있으며, 정상위치 자궁내막 자체에서 특정 인자의 변화 또는 결함이 자궁내막증의 생성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생각된다. Objective: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expression of EGF mRNA and protein in eutopic and ectopic endometrial tissues of the patients with endometriosis and in eutopic endometrial tissues of the patients without endometriosis. Methods: Study group was composed of 34 women with endometriosis taking surgical treatment at the Department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Asan Medical Center, from October 2004 to December 2005. Control group consisted of 14 women who had undergone surgical treatment for cervical intraepithelial neoplasia or benign gynecologic conditions other than endometriosis during the same period. Eutopic endometrial tissues of both groups and ectopic endometrial tissues of study group were collected during the operations. Real time reverse transcriptase-polymerase chain reaction (RT-PCR) was used to quantify EGF mRNA of these tissues. Western blot analysis was performed to ascertain the expression of EGF protein. Results: The expressions of EGF mRNA were significantly lower in both eutopic (P<0.01) and ectopic (P<0.01) endometrial tissues of the women with endometriosis than in eutopic endometrial tissues of control group. The expressions of EGF protein were shown to be lower in both eutopic and ectopic endometrial tissues of the women with endometriosis than in eutopic endometrial tissues of control group. Conclusion: We found some correlations between the lower expression of EGF in endometrial tissues and the development of endometriosis. In addition, the change or defect of some factors in the eutopic endometrium might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development of endometriosi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