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자궁의 악성 혼합성 중배엽 종양 26예의 임상적 고찰

        강혁재 ( Hyuk Jae Kang ),정민형 ( Min Hyung Jung ),김종준 ( Jong June Kim ),김대연 ( Dae Yeon Kim ),김종혁 ( Jong Hyeok Kim ),서대식 ( Dai Shik Seo ),김용만 ( Yong Man Kim ),김영탁 ( Young Tak Kim ),남주현 ( Joo Hyun Nam ),목정은 대한산부인과학회 2006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9 No.12

        목적: 자궁의 악성 혼합성 중배엽 종양 환자들의 특징, 생존율, 예후인자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 1994년 1월부터 2004년 12월까지 본원에서 관찰한 26예의 자궁의 악성 혼합성 중배엽 종양 환자의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환자들의 특징과 병리결과, 병기, 치료, 예후인자와 생존기간을 분석하였다. 결과: 전체 환자의 중앙 연령은 59세였으며, 대부분의 환자 (76.9%)는 폐경 후 상태이었고, 가장 흔한 증상은 질 출혈 (65.4%)이었다. 환자들은 I기가 17명 (65.4%)이고, II기가 3명 (11.6%)이고, III기가 4명 (15.4%)이고, IV기가 2명 (7.6%)이었다. 병리학 적으로 동종형의 종양이 4개 (15.4%)이고 이종형의 종양이 22개 (84.6%)이었다. 모든 환자들의 5년 생존율은 60%이며 병기에 따라 비교하면 진행된 기수 (III, IV)의 환자들이 조기 (I, II)의 환자들에 비해 훨씬 나쁜 예후를 보였으며 전체적인 (Overall) 생존율에 영향을 주는 인자는 수술 후 병기였다 (P=0.001). 그리고 자궁근층을 침범한 깊이도 역시 환자의 생존율에 의미있게 영향을 준다 (P<0.001). 결론: 자궁의 악성 혼합성 중배엽 종양은 매우 악성의 종양이며 중요한 예후인자는 FIGO 병기와 자궁근층을 침범한 깊이이다. Objective: To review the clinicopat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prognosis of patients with malignant mixed Mullerian tumor (MMMT) of the uterus. Methods: Retrospective clinical study was done on 26 patients diagnosed with the MMMT of the uterus at our hospital from Janurary, 1994 to December, 2004. Demographic data, pathologic findings, stages, treatment, prognosis and survival time were reviewed. Results: The median age of patients was 59 years. Most of the patients (76.9%) were in the postmenopausal state. The most common symptom was vaginal bleeding (65.4%). There were 17 patients (65.4%) with stage I, 3 patients (11.6%) with stage II, 4 patients (15.4%) with stage III, 2 patients (7.6%) with stage IV disease in this study. Of the hysterectomy specimens, 4 (15.4%) of them were heterologous tumors, 22 (84.6%) of them were homologous tumors. Overall 5 year survival rate of all stages was 60% and the patients with advanced stages (III, IV) showed poorer prognosis than the patients with early stages (I, II) (P=0.001). Myometrial invasion depth was also significant prognostic factor (P<0.001). Conclusion: The MMMT of the uterus is a highly malignant tumor and the significant prognostic factor is the FIGO stage and myometrial invasion depth.

      • KCI등재

        자궁내막증 환자의 정상위치 자궁내막 및 이소성 자궁내막에서의 EGF의 전령리보핵산 및 단백질의 발현

        강혁재 ( Hyuk Jae Kang ),김정훈 ( Chung Hoon Kim ),이영진 ( Young Jin Lee ),김성훈 ( Sung Hoon Kim ),채희동 ( Hee Dong Chae ),강병문 ( Byung Moon Kang ) 대한산부인과학회 2009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52 No.2

        목적: 자궁내막증 환자의 정상위치 자궁내막조직과 이소성 자궁내막조직, 자궁내막증 소견을 보이지 않는 양성 부인과 질환환자의 자궁내막조직에서 상피세포성장인자 전령리보핵산 (epidermal growth factor messenger ribonucleic acid, EGF mRNA)과 단백질의 발현정도를 각각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 방법: 2004년 10월부터 2005년 12월까지, 서울아산병원 산부인과에서 수술받고 병리조직학적 검사상 자궁내막증으로 확진된 환자들 중에서 최근 6개월간 자궁내막증에 대한 어떠한 치료도 받은 적이 없는 환자들 34명을 연구군으로 하고, 정상 월경주기를 가진 여성들 중에서 같은 기간 동안에 자궁내막증 이외의 다른 양성 부인과 질환으로 수술받은 환자들 14명을 대조군으로 하였다. 연구군에서 자궁내막종 낭종 내피 일부를 절제하여 이소성 자궁내막조직을 얻었고, 연구군과 대조군의 정상위치의 자궁내막조직은 수술중 생검을 통해 얻었다. 각 자궁내막조직 내의 EGF mRNA의 발현정도는 실시간 역전사중합효소연쇄반응을 이용하여 정량화하였고 단백질 발현정도는 Western blot으로 확인하였다. 결과: 자궁내막증 환자군의 정상위치 (P<0.01) 및 이소성 (P<0.01) 자궁내막조직 내에서의 EGF mRNA 발현량은 증식기 및 분비기 모두에서 대조군의 자궁내막조직에 비해 유의하게 적었다. 또한 EGF 단백질 발현 정도도 자궁내막증 환자의 정상위치 및 이소성 자궁내막조직에서 대조군에 비해 적은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자궁내막증의 발생과 자궁내막조직 내에서 EGF의 저발현은 관련이 있으며, 정상위치 자궁내막 자체에서 특정 인자의 변화 또는 결함이 자궁내막증의 생성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생각된다. Objective: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expression of EGF mRNA and protein in eutopic and ectopic endometrial tissues of the patients with endometriosis and in eutopic endometrial tissues of the patients without endometriosis. Methods: Study group was composed of 34 women with endometriosis taking surgical treatment at the Department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Asan Medical Center, from October 2004 to December 2005. Control group consisted of 14 women who had undergone surgical treatment for cervical intraepithelial neoplasia or benign gynecologic conditions other than endometriosis during the same period. Eutopic endometrial tissues of both groups and ectopic endometrial tissues of study group were collected during the operations. Real time reverse transcriptase-polymerase chain reaction (RT-PCR) was used to quantify EGF mRNA of these tissues. Western blot analysis was performed to ascertain the expression of EGF protein. Results: The expressions of EGF mRNA were significantly lower in both eutopic (P<0.01) and ectopic (P<0.01) endometrial tissues of the women with endometriosis than in eutopic endometrial tissues of control group. The expressions of EGF protein were shown to be lower in both eutopic and ectopic endometrial tissues of the women with endometriosis than in eutopic endometrial tissues of control group. Conclusion: We found some correlations between the lower expression of EGF in endometrial tissues and the development of endometriosis. In addition, the change or defect of some factors in the eutopic endometrium might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development of endometriosis.

      • KCI등재

        Effectiveness of Soft Stimulation Protocol, Compared with Conventional GnRH Antagonist Multiple dose Protocol in Patients Undergoing Controlled Ovarian Stimulation with Intrauterine Insemination

        김정훈,강혁재,김소라,전균호,이향아,김성훈,채희동,강병문,Kim, Chung-Hoon,Kang, Hyuk-Jae,Kim, So-Ra,Jeon, Gyun-Ho,Lee, Hyang-Ah,Kim, Sung-Hoon,Chae, Hee-Dong,Kang, Byung-Moon The Korean Society for Reproductive Medicine 2010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Vol.37 No.2

        목 적: 과배란유도하 자궁강내 인공수정시술을 받는 불임 환자들을 대상으로 연성자극요법의 효과를 성선자극호르몬분비호르몬 길항제 다회투여법과 비교, 평가하고자 본 연구가 시행되었다. 연구방법: 불임 환자 80명을 연성자극요법군 (n=40)과 성선자극호르몬분비호르몬 길항제 다회투여법군 (n=40)으로 무작위로 1:1로 배정하였다. 두 군 모두에서 질식초음파상 평균 직경이 18 mm에 도달한 난포가 1개, 또는 17 mm에 도달한 난포가 2개 이상 관찰될 때, 재조합 사람융모성성선자극호르몬 250 ${\mu}g$을 1회 투여했으며, 이 후 36~40시간째에 자궁강내 인공수정이 시행되었다. 결 과: 과배란유도를 위해 사용된 재조합 사람난포자극호르몬의 총용량과 투여일수는 연성자극요법군에서 유의하게 적었다 (p<0.001, p<0.001). 두 군 모두에서 조기 황체화호르몬 급상승은 관찰되지 않았다. 시술 주기당 임상적 임신율, 자연유산율, 다태임신율, 중증 난소과자극증후군의 발생빈도는 두 군간에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결 론: 연성자극요법은 성선자극호르몬분비호르몬 길항제 다회투여법에 비하여 재조합 사람난포자극호르몬을 적은 용량, 짧은 기간 사용하면서도 유사한 임신율을 나타내므로, 과배란유도하 자궁강내 인공수정을 시행 받는 환자를 위한 환자 친화적이고 효과적인 과배란유도법이 될 수 있을 것이다. Objective: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soft stimulation protocol using GnRH antagonist/clomiphene citrate (CC)/recombinant FSH (rFSH) in patients undergoing controlled ovarian stimulation (COS) with intrauterine insemination (IUI), compared with GnRH antagonist multiple dose protocol (MDP) using GnRH antagonist/rFSH. Methods: Eighty infertile women were randomized to soft stimulation protocol group (n=40) or GnRH antagonist MDP group (n=40). In both groups, IUI was performed 36~40 hours after hCG injection.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Student's t-test, $\chi^2$ test or Fisher's exact test as appropriate. Results: Total dose and days of rFSH required for COS were significantly fewer in soft stimulation protocol group (p<0.001, p<0.001). A premature LH surge did not occur in any patients of both groups. Clinical pregnancy rate per cycle was similar between the two groups. Conclusion: Soft stimulation protocol provides comparable pregnancy rates to GnRH antagonist MDP despite fewer total dose and days of rFSH, and so can become one of the patient-friendly, cost-effective alternatives for infertile patients undergoing COS with IUI.

      • KCI등재

        다낭성난소증후군 환자의 체외수정시술에서 Rosiglitazone이 난소기질혈류와 난소반응 및 체외수정결과에 미치는 영향

        이사라 ( Sa Ra Lee ),김정훈 ( Chung Hoon Kim ),강혁재 ( Hyuk Jae Kang ),김진희 ( Jin Hee Kim ),홍석호 ( Seok Ho Hong ),김성훈 ( Sung Hoon Kim ),채희동 ( Hee Dong Chae ),강병문 ( Byung Moon Kang ) 대한산부인과학회 2006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9 No.6

        목적 : 다낭성난소증후군 환자에서 rosiglitazone이 난소기질혈류와 난소반응 및 체외수정결과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다낭성난소증후군이면서 그 외의 불임인자로는 난관인자만 존재하는 24-36세의 불임여성 46명을 대상으로 하여 무작위적으로 rosiglitazone군 (23명)과 대조군 (23명)으로 나누었다. 실험군은 GnRH agonist 투여 전, 생리주기 제1일째부터 4㎎의 rosiglitazone을 하루 1회 투여하였고, 이름 hCG 투여날까지 지속하였다. 대조군에서는 위약을 같은 기간동안 투여하였으며 양 군은 각각 23주기의 체외수정시술을 시행받았다. 모든 환자는 난소기질혈류를 알기 위해 질식색초음파 분석 (resistance index (RI) and pulsatility index (PI)을 rosiglitazone이나 위약을 투여하기 시작한 날 (RI0, PI0), GnRH agonist 투여날 (RI1, PI1), 그리고 난소자극을 시작한 날 (RI2, PI2)에 각각 측정하였다. 결과: 환자의 연령, 체질량지수, 불임기간, 내분비적 호르몬 수치, 공복 및 75g 당부하 2시간 후 혈당수치와 난소기질동맥의 RI0, PI0 값은 양군간에 차이가 없었다. RI1과 PI1 값은 실험군에서 보다 높은 값을 보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성은 없었다. RI2와 PI2 값은 실험군에서 대조군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0.60±0.04 versus 0.56±0.03; p<0.05, 0.99±0.14 versus 0.88±0.05) p<0.01). hCG 투여날, 10-14㎜ 크기의 난포수 및 14㎜ 이상의 난포수와 회수된 난자수는 실험군에서 유의하게 적었다 (p<0.05, P<0.05). 임상적 임신율은 실험군에서 높았으나 통계적 유의성에는 도달하지 못했다. 결론: 다낭성난소증후군 환자에서 Rosiglitazone 치료는 난소내 기질혈류를 감소시키고 배란유도에 대한 난소반응을 증가시켜 체외수정시술결과를 향상시킨다. Objective: We investigated to evaluate the effects of rosiglitazone on intraovarian stromal blood flow, ovarian response to stimulation, and in vitro fertilization-embryo transfer (IVF-ET) outcome in polycystic ovary syndrome (PCOS) patients. Methods: Forty-six infertile women, 24 to 36 years of age, with only tubal factor and PCOS, were randomized into either rosiglitazone (n=23) or placebo (n=23) treatment group. A rosiglitazone of 4 ㎎ once daily was started on day 1 of the cycle prior to gonadotropin releasing hormone (GnRH) agonist suppression, and continued to the day of human chorionic gonadotropin (hCG) injection in study group. For a control Group, placebo was administered during the same period. Each of the 2 groups consisted of 23 cycles of IVF-ET. Transvaginal color Doppler analyses (resistance index (RI) and pulsatility index (PI)) were performed to assess the intraovarian stromal blood flow in all participants on the starting days of rosiglitazone or placebo (RI0, PI0), GnRH agonist administration (RI1, PI1) and ovarian stimulation (RI2, PI2). Result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age, body mass index (BMI), infertiliy duration, endocrine profile, fasting and 2-hour glucose levels after a 75 gm glucose load, RI0 and PI0 values of ovarian stromal artery between two groups. RI1 and PI1 values were higher in study group, but the differences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RI2 and PI2 values in study group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in control group (0.60±0.04 versus 0.56±0.03; P<0.05, 0.99±0.14 versus 0.88±0.05; P<0.05, respectively). The number of follicles both 10-14㎜ and ≥14㎜ in diameter on the day of hCG injection and the number of retrieved oocytes were significantly lower in study group. The number of retrieved oocytes was significantly higher in study group. The clinical pregnancy rate was higher in study group but it did not make statistical significance. Conclusions: Rosiglitazone therapy could reduce the intraovarian stromal blood flow and appeared to be beneficial in improving response to ovulation induction and IVF outcomes in PCOS patients.

      • KCI등재후보

        한국인 폐경 여성에서 Drospirenone 2 mg과 17β-estradiol 1 mg 투여의 혈압, 체중, 지질의 영향

        신유정 ( You Jung Shin ),이선주 ( Sun Joo Lee ),권수경 ( Su Kyeong Kwon ),유래미 ( Rae Mi Yu ),강혁재 ( Hyuk Jae Kang ),김성훈 ( Sung Hoon Kim ),채희동 ( Hee Dong Chae ),김정훈 ( Chung Hoon Kim ),강병문 ( Byung Moon Kang ) 대한폐경학회 2011 대한폐경학회지 Vol.17 No.2

        연구목적: 현재 17β-estradiol/drospirenone 혼합제제는 폐경 여성의 호르몬 치료로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아직 한국여성에서의 drospirenone 제제의 심혈관에 대한 영향 및 부작용에 대한 연구가 부족하며 논란이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현재 이용되고 있는 17β-estradiol/drospirenone 혼합제제의 혈압 강하 및 지질수치 변화에 대한 효과를 24개월에 걸쳐 평가하고 약제에 대한 부작용에 대하여 살펴 보고자 한다. 연구재료 및 방법: 2007년 12월부터 2010년 10월까지 울산의대 서울아산병원 산부인과에 방문하여 폐경이 진단되고 drospirenone/17β-estradiol 혼합제제를 처음으로 처방받은 총 417명의 여성을 대상으로 후향적으로 의무 기록을 검토하였다. 혈압 측정을 시행한 125명의 환자를 이들의 혈압에 따라 그룹 1 (정상 혈압군, n = 76)과 그룹 2 (고혈압전기 또는 고혈압 1기 환자, n = 49)로 나누어 호르몬 복용 이전에 혈압과 체중, 혈액검사를 시행하고 복용 시작 1, 2, 3, 6, 9, 12, 18, 24개월 후에 측정한 값들과의 비교를 시행하였다. 그리고 지질 수치는 복용 전과 복용 시작 6, 12, 24개월 후의 총 콜레스테롤, 저밀도 지단백, 고밀도 지단백 그리고 중성 지방 수치를 비교하였다. 또한 drospirenone/17β-estradiol 혼합제제의 안정성을 평가하기 위해 중단 및 약제 변경의 사유와 투약 후 나타난 부작용에 대해 평가하였다. 통계는 기준선의 특징에 대해서는 SPSS version 12.0 (SPSS Inc., Chicago, IL, USA)를 사용하고 투여 전후 혈압, 체중, 지질 수치 변화에 대해서는 Statistical Analysis System (SAS) version 9.1 (SAS Institute Inc., Cary, NC, USA)을 사용하였다. 결과: 최초 진단 후 처방 당시 환자 평균 연령은 52.4 ± 3.9 세였으며, 복용 일의 중앙값은 279 일이었다. 폐경여성에서 drospirenone/17β-estradiol 혼합제제의 투여 후, 그룹 1과 2에서 혈압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하지만 체중의 변화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감소는 없었으며, 지질 수치의 변화는 측정한 값 중 중성지방만이 의미있는 감소가 있었으나, 각 측정시기만을 고려했을 때는 복용 후 18개월 후 저밀도 지단백 그리고 중성 지방 수치의 의미있는 감소가 있었다. Drospirenone/17β-estradiol 혼합제제 복용 중단 또는 약물 변경한 주요 이유로는 점상 질출혈 (28%), 부작용에 대한 두려움 (27%), 증상에 효과가 없었던 경우 (26%)의 순으로 나타났다. 결론: Drospirenone/17β-estradiol 혼합제제 복용은 폐경 여성의 수축기와 이완기 혈압을 의미있게 감소시켰으며 체중 감소는 있었으나 통계적 유의성을 보이지는 않았다. 그리고 지질 수치 중 중성지방이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심각한 부작용은 관찰되지 않았다. Objectives: The objectiv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s of the widely used combination hormone therapy, drospirenone and 17β-estradiol on the blood pressure, body weight, lipid profiles, and major side effects in postmenopausal Korean women. Methods: Four hundred seventeen menopausal patients who were being treated with drospirenone/17β-estradiol at the Asan Medical Center between December 2007 and October 2010 underwent a retrospective chart review. One hundred twenty-five patients were divided into 2 groups based on blood pressure, as follows: group 1 (normal blood pressure, n = 76); and group 2 (stage 1 hypertension and pre-hypertension, n = 49). The systolic and diastolic blood pressure and the body weight were checked before the treatment, and 1, 2, 3, 6, 9, 12, 18 and 24 months after taking the medication. Results: The median days of administration were 279. The combination of drospirenone and 17β-estradiol had a blood pressure-lowering effect in groups 1 and 2. However, the body weight did not show a statistically significant change. Only the level of triglycerides decreased with time and the chang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low density lipoprotein (LDL)-cholesterol and triglycerides levels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ecrease 18 months after the medication. The most common reasons for discontinuouing medication were vaginal spotting (28%), fear of side effects (27%), and ineffectiveness (26%). Conclusion: The combination of drospirenone/17β-estradiol caused a decrease in systolic and diastolic blood pressure and the body weight showe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ecrease. Furthermore, triglyceride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ecrease and there were no severe side effects of the medication reported. (J Korean Soc Menopause 2011;17:102-109)

      • KCI등재

        한국 여성에서 무월경의 원인적 분류

        권수경 ( Su Kyoung Kwon ),이선주 ( Sun Joo Lee ),전은진 ( Eun Jin Jun ),이경희 ( Kyoung Hee Lee ),유래미 ( Rae Mi Ryu ),강혁재 ( Hyuk Jae Kang ),김성훈 ( Sung Hun Kim ),채희동 ( Hee Dong Chae ),김정훈 ( Chung Hoon Kim ),강병문 ( B 대한산부인과학회 2011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54 No.10

        목적 한국 여성에서의 무월경의 원인적 분류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1998년 1월부터 2008년 5월까지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서울아산병원 산부인과를 방문한 741명의 무월경 환자를 대상으로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여 연구하였다. 환자는 10-20세를 group Ⅰ으로 분류하였고, 21-30세를 group II, 31-40세를 group III로 분류하여 세 그룹으로 나누어 연구하였다. 무월경 환자는 원발성 무월경과 속발성 무월경 환자로 나누었다. 결과 원발성 무월경 환자는 89명(12.0%)이었고, 속발성 무월경 환자는 652명(88.0%)이었다. 10-20세 그룹에서는 원발성 무월경 환자는 62명(22.6%)이었고, 속발성 무월경 환자는 212명(77.4%)이었다. 21-30세 그룹에서는 원발성 무월경이 27명(6.5%)이었으며, 속발성 무월경은 389명(93.5%)이었다. 31-40세 그룹의 무월경 환자에서는 원발성 무월경 환자는 없었고, 속발성 무월경 환자만 51명(100%)이었다. 10-20세 그룹에서 원발성 무월경의 원인은 뮐러관 무발육증후군, Turner 증후군 순이었고, 21-30세 그룹에서도 동일하였다. 10-20세 그룹에서 속발성 무월경의 원인은 다낭성난소증후군, 체중관련 저성선자극호르몬성 저성선증, 조기난소부전 순이었고, 21-30세 그룹에서도 동일하였다. 31-40세 그룹에서는 조기난소부전, 다낭성난소증후군 순이었다. 결론 본 연구에서 한국여성의 전 연령군에서 원발성 무월경의 흔한 원인은 뮐러관 무발육증후군, Turner 증후군 순이었고, 속발성 무월경의 원인은 다낭성난소증후군, 조기난소부전, 체중관련 저성선자극호르몬성 저성선증 순이었다. Objective To investigate the causes of amenorrhea in Korean women. Methods A total of 741 patients with amenorrhea who visited the department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Asan Medical Center were included in this study between January 1998 and May 2008. Patient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age 10-20 was defined as group I, age 21-30 was group II and age 31-40 was group III. Amenorrhea was categorized into the primary amenorrhea and secondary amenorrhea. Results The number of patients with primary amenorrhea was 89 (12.0%) and secondary amenorrhea was 652 (88.0%). The number of patients with primary amenorrhea was 62 (22.6%) and secondary amenorrhea was 212 (77.4%) in age 10-20 group. In age 21- 30 group, the number of primary amenorrhea was 27 (6.5%) and secondary amenorrhea was 389 (93.5%). In age 31-40 group, the number of secondary amenorrhea was 51 (100%). The causes of primary amenorrhea in group I were as follows; Mayer-Rokitansky-Kuster-Hauser (MRKH) syndrome (17.7%, 11/62), Turner syndrome (11.3%, 7/62), constitutional delay (9.7%, 6/62). In group II; MRKH syndrome (18.5%, 5/27), Turner syndrome (18.5%, 5/27), and Idopathic hypogonadotropic hypogonadism (14.8%, 4/27). The causes of secondary amenorrhea in group I were as follows; Polycystic ovarian syndrome (PCOS; 60.8%, 129/212), weight related hypogonadotropic hypogonadism (12.3%, 26/212), premature ovarian failure (POF; 9.9%, 21/212). In group II; PCOS (62.5%, 243/389), weight related hypogonadotropic hypogonadism (9.8%, 38/389), POF (9.3%, 36/389). In group III; POF (43.1%, 22/51), PCOS (17.6%, 9/51). Conclusion The common cause of primary amenorrhea were MRKH syndrome, Turner`s syndrome, and the common cause of secondary amenorrhea were PCOS, POF, weight related hypogonadotropic hypogonadis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