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난치성 폐결핵의 임상경과에 대한 조사

        최성일 ( Sung Il Choi ),이제 ( Je Lee ),공석준 ( Suck Jun Kong ),박주홍 ( Joo Hong Park ) 대한내과학회 2005 대한내과학회지 Vol.69 No.6

        목적 : 세계보건기구에선 다양한 표준 항결핵 요법에 대한 지침을 제시하고 있으나, 아직까지 만성적으로 결핵균이 배출되는 난치성 폐결핵 환자에 대해선 특이한 해법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며, 이에 대한 문헌도 드문 실정이다. 저자들은 난치성 폐결핵 환자에서 난치성 폐결핵을 진단 후 방사선학적인 소견 및 폐기능검사 소견의 변화 양상의 조사를 통해 임상경과에 영향을 주는 요소를 알아봄으로써 난치성 폐결핵 환자의 치료에 약간의 도움을 주고자 한다. 방법 : 진단 당시 객담에서 항산균 도말 양성을 지닌 결핵 환자 40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이들은 모두 입원치료를 받은 환자로 각 환자는 약제감수성 결과에 따른 가장 적합한 항결핵 약제로 규칙적인 치료를 받았으나, 치료시작 11개월과 12개월에도 객담에서 결핵균이 배양되었다. 결과 : 대부분은 남성(85%)이었고, 평균연령은 47.8±14.6세였다. 대부분의 항결핵제에 저항성을 보였는데, 특히 isoniazid (95%)와 rifampicin (92.5%), ethambutol (87.5%), prothionamide 및 ofloxacin에 높은 저항성을 보였고, 감수성 약제 사용 유무(63.9%)나 치료 약제 종류에 무관하게 특이한 임상경과는 관찰되지 않았다. 제한성(57.5%)이나 복합성(27.5%) 환기장애 양상이 대부분을 나타냈던 폐기능검사 소견이나 동맥혈가스분압농도에서 큰 변화는 관찰되지 않았다. 공동(80%)을 지닌 중증폐결핵(87.5%)이 대부분이었던 방사선학적 소견에선 85%는 특이한 변화가 없었으나, 15%은 악화 양상을 나타냈는데, 3개 이상의 감수성 약제를 보이는 경우에 악화 빈도가 높았고, 폐기능 검사 소견에선 FEV₁과 FEV₁/FVC가 악화군에서 의미있게 감소하였으나, 생존 여부와는 연관성이 없었다. 30%의 환자가 사망하였는데 평균생존기간은 30.6±20.3개월이었고, 방사선학적인 소견이나 동맥혈가스분석 및 폐기능검사 소견은 생존여부와 연관성이 없었고, 오직 진단시기의 체중만이 사망과 관련성을 나타냈다. 결론 : 특별한 치료 방법이 없는 난치성 폐결핵 환자의 운명은 진단시기의 영양상태와 관련성이 있고, 방사선학적인 소견이나 폐기능검사 소견과는 연관성이 없으므로 항결핵 치료와 더불어 영양관리에 중점을 둔 적극적인 보존적 치료법이 추천된다. 또한 환자 자신의 치료도 필요하나 타인에 대한 전염의 차단도 중요하다. Background : Although various standard anti-tuberculosis chemotherapy regimens were suggested by World Health Organization in pulmonary tuberculosis, as yet, treatment regimen has not been established in intractable pulmonary tuberculosis. Also those surveys for intractable pulmonary tuberculosis were few.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linical course of radiological finding and pulmonary function pattern in intractable pulmonary tuberculosis, to assess the factors that affect the fate and so to make some suggestions for the management of intractable pulmonary tuberculosis. Methods : This study population was composed of 40 patients with culture-proven pulmonary tuberculosis hospitalized. Although all 40 patients were received regular standard anti-tuberculosis chemotherapy which was individualized on the basis of susceptibility results, all patients were chronic excretors of mycobacterium tuberculosis bacilli (chronics), whose sputum cultures tested positive at both 11 and 12 months after admission. Results : The rate of male and female was about 6:1 and mean age was 47.8±14.6 years old. Resistance to most of anti-tuberculosis drugs was observed and especially high degree resistance of isoniazid (95%), rifampicin (92.5%), ethambutol (87.5%), prothionamide and ofloxacin was found. Irrespective of the type of anti-tuberculosis chemotherapy and use of sensitive drug, clinical course was not significantly changed. On the pulmonary function test, most represented restrictive (57.5%) or combined pattern (27.5%) and had no significant interval change. Also arterial blood gas analysis finding was not changed. On chest X-ray findings, 80% had cavitary lesions, 87.5% showed far advanced stage and most (85%) had no significant interval change. However, 15% has changed to aggravation state, which had high frequency in patient with more than 3 susceptible drugs and significant decrease of FEV₁ and FEV₁/FVC on pulmonary function test findings that did not affect the mortality. The mortality rate was 30%, the average interval from diagnosis to death was 30.6±20.3 months and the fate was not associated with radiological findings, arterial blood gas analysis findings and pulmonary function test findings but only body weight at diagnosis of intractable pulmonary tuberculosis. Conclusions : The clinical course of intractable pulmonary tuberculosis that had no specific treatment did not depend on radiological findings and pulmonary function test findings but nutrition state at diagnosis. Therefore, in addition to anti-tuberculosis treatment, intractable pulmonary tuberculosis patient is recommended to be received aggressive conservative treatment that focuses on nutrition balance. Also it is probably essential to prevent the spread of intractable pulmonary tuberculosis to healthy person.(Korean J Med 69:590-600, 2005)

      • 2012년 제11회 KSPEN 학술대회 : 3-4 ; 암환자에서 암종별, 치료법별 영양상태와 임상경과 및 삶의 질과의 관계 분석

        고윤희,박상재,조영아,위경애,이나래,김지연,이승덕,이종목 한국정맥경장영양학회 2012 한국정맥경장영양학회 학술대회집 Vol.2012 No.-

        암환자의 경우 영양불량 위험이 높아 입원환자의 20∼50%는 입원 당시 영양상태가 불량하고 입원기간 동안더욱 심해지며 이는 사망률, 합병증 발생률과 재원일수의 증가, 삶의 질 감소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암환자의 영양상태를 암종별, 치료법별로 파악하고 영양상태와 임상경과 및 삶의 질과의 관계를 분석하고자 한다. 2011년 3월부터 2012년 4월까지 국립암센터에 입원한 1588명의 암환자를 대상으로 전향적으로 연구하였다. 영양상태는 Patient Generated-Subjective Global Assessment (PG-SGA)를 통해 영양양호군(Well-nourished, StageA), 영양불량군(Malnourished, StageB+C)으로 평가하였다. 임상경과는 연령, 성별, 재원기간, 진단명, 치료방법, 합병증 등을 조사하였고 삶의 질은 Korean version EORTC QLQ-C30을 자가설문방법으로 평가하였다. 자료는 SAS9.1통계프로그램으로 분석하였다(p<0.05). 조사대상자는 폐암 386명(24.3%), 위암 368명(23.2%), 대장암 358명(22.5%), 간암 320명(20.25%), 췌담도계암105명(6.6%), 식도암 51명(3.2%)으로 구성되었다. 전체대상자의 30.5%가 영양불량군으로 나타났으며, 암종별 영양불량군의 비율은 식도암이 52.9%로 가장 높았고, 췌담도암 47.6%, 폐암 42.8%, 위암 29.1%, 간암 24.7%, 대장암 15.9%순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001). 치료법에 따른 영양상태는 대증치료군이 68.6%로 영양불량군비율이 가장 높았고, 항암치료군 35.2%, 수술치료군 12.3%순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p<0.0001). 수술치료군 771명 중 췌담도계암, 식도암 환자의 영양불량률(36.5%, 36.4%)이 다른 암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 또한 수술 환자에서 영양불량군이 진행된 병기(Stage 3/4)가 유의하게 많았고(p<0.0001), 합병증 발생률이 많은 경향이 있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p=0.146). 재원기간은 영양양호군(9.1±6.9일)이 영양불량군(13.4±13.0일)보다 유의적으로 짧았고(p<0.0001), 전반적인 삶의 질 평가에서 영양양호군(65.1점)이 영양불량군(36.5점)보다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0.0001). 본 연구 결과 식도암, 췌담도계암, 폐암 환자에서 다른 암에 비해 영양상태가 불량하였으며 대증치료군 및 항암치료군에서 수술치료군에 비해 불량한 영양상태를 보였다. 또한 영양불량군에서 합병증 발생률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며 재원일수의 증가와 삶의 질이 유의적으로 감소함을 알 수 있었다. 영양불량률이 높았던 암종과 치료군에서는 특히 입원환자의 영양적 위험을 조기에 파악하여 영양상태를 개선시키는 중재활동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KCI등재
      • KCI등재

        강박장애의 임상양상 - 입원환자의 연구 -

        권준수,이동우,윤대현 대한신경정신의학회 1998 신경정신의학 Vol.37 No.2

        서울대학교 신경정신과에 강박장애로 입원한 환자중 DSM-Ⅲ-R의 강박장애의 진단기준에 합당한 26명 을 대상으로 후향적으로 의무기록을 조사하여, 강박장애의 현상적 특징, 임상경과, 가족력, 동반질환, 지능검 사 등에 대하여 기술적 분석을 시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강박사고는 병적의심, 오염에 대한 강박사고, 대칭과 정확성에 대한 요구, 신체적 강박사고, 성적인 강 박사고, 종교적 내용 및 난폭한 행동에 대한 강박사고의 순서로 많았으며, 2가지 이상의 강박사고를 가진 경 우가 23%였다. 2) 강박행동에는 확인, 씻음, 질문, 대칭과 정확성에 대한 요구, 셈 등의 순서로 많았으며, 2가지 이상의 강 박행동을 가진 경우가 39%였다. 3) 동반된 진단은 우울증, 튜렛증후군, 틱장애, 유뇨증 등이었으며, 동반된 인격장애는 강박성 인격장애, 경계성 인격장애, 피동공격형 인격특질 등이었다. 4) 임상경과로는 순수강박장애보다 다른 동반된 질환을 가진 강박장애군에서 더 나쁜 예후를 보였다. 5) KWIS로 측정된 평균지능지수는 언어성 지수가 동작성 지수보다 월등히 높게 나타났다 This study examined the clinical features of patients with obsessive-compulsive disorders who had been admitted to the Department of Psychiatry, Seoul National Univ. Hospital from 1980 to 1995, using retrospective investigation of medical records. The subjects were 26 patients(male 22, female 4) who were compatible with the criteria of OCD by DSM-Ⅲ-R.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most common obsessive thinking was pathologic doubt, followed by contamination, need for symmetry, somatic and sexual obsession, religious and aggressive obsession in descending order. Twenty three percent of patients had multiple obsessions. 2) The most common compulsive ritual was checking, followed by washing, need to ask and confess, symmetry and precision, counting in descending order. Thrity nine percents of patients had multiple rituals. 3) Depression, schizophrenia, Tourette’s syndrome and tic disorder were the coexisting disorder with obsessive compulsive disorder. Cormorbid personality disorders in OCD were obsessive personality disorder,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schizotypal personality disorder and passiveaggressive personality disorder. 4) The course in OCD with co-existing disorder was worse than that in pure OCD. 5) The verbal IQ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performance IQ checked by KWIS in obsessive compulsive disorder.

      • KCI등재

        소 복부 절개를 이용한 부인과 수술 환자의 임상경과

        조윤성 ( Yoon Sung Cho ),서경윤 ( Kyoung Yun Seo ),윤원식 ( Won Sik Yoon ),서경아 ( Kyoung A Seo ),김희영 ( Hee Young Kim ),정서호 ( Seo Ho Chung ),조현희 ( Hyun Hee Jo ),김진홍 ( Jin Hong Kim ) 대한산부인과학회 2003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6 No.3

        목적 : 소 복부 절개로 시행된 각종 부인과 수술에 대한 임상 경과를 정리하여 발표하고자 한다.연구 방법 : 2000년 1월 2002년 9월까지 가톨릭 대학교 의과대학 부속 성모병원에서 시행되었던 457예의 소 복부 절개를 이용한 부인과 수술환자의 차트를 후향성 분석 (retrospective analysis)한다. 결과 : 수술 후 진단명은 자궁근종 (154예), 자궁선종 (41예), 난소낭종 (89예) 등으로 나타났으며 이에 대한 수술로 자궁적출술 Objective : To evaluate the clinical course of the patient who had the gynecologic operation using minolaparotomy. Methods : We reviewed the chart of the patient who had the gynecologic operation using minilaparotomy in department of obstetrics and gyneco

      • 생후 2년간 호흡기 임상 경과 비교를 통한 기관지폐 이형성증 정의의 검증

        김범준,윤종서,김현희 대한결핵 및 호흡기학회 2018 대한결핵 및 호흡기학회 추계학술대회 초록집 Vol.126 No.0

        목적: 현재의 통용되는 기관지폐 이형성증의 정의로는 long term outcome 예측이 정확하지 못하며, 새로운 치료 기술의 발달로 인하여 분류하지 못하는 경우도 발생하고 있다. NIH 에서는 2016 년 workshop 에서 새로운 기관지폐 이형성증 기준을 제안하여 이에 대한 검증을 촉구하였다. 이번 연구는 제태 연령 32주 미만의 미숙아에서 출생 후 2년 동안의 호흡기 질환의 임상 경과를 확인하였고, 기존의 BPD 정의인 2000 consensus definition과 비교하여 2016년 새롭게 제안된 “new skeleton definition”의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방법: 2014 년 7월부터 2016 년 6월까지 서울성모병원 신생아중환자실에서 퇴원한 제태연령 32주 미만 출생 미숙아의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조사를 하였다. 대상자의 생후 2년 동안의 산소 치료, 호흡기 질환으로 인한 입원력 및 입원 기간을 조사하였다. 각각의 정의로 기관지폐 이형성증을 진단하고 단계를 분류하였을 때, 어떠한 정의가 후기 호흡기 질환 합병증을 예측하는데 더 합당한지 비교하였다. 성적: 총 148명의 32주 미만 미숙아가 분석되었다. 이들은 평균적으로 40주 2일에 산소 치료를 중단하였고, 생후 2년 동안 호흡기 질환으로 0.7±1.2회 입원하였다. 기존의 정의로는 124명(84%)이 BPD로 진단되었고 mild 24명(16%), moderate 59명(40%), severe 41명(28%)로 분류 되었다. 새로운 정의로는 104명(70%)이 BPD로 진단되었고 64명(43%), 17명(12%), 23명(16%)이 각각 grade I, II, III으로 분류 되었다. 두 기준 모두 grade가 높게 진단 될수록 출생 주수와 체중이 작았고, 재원일, 산소 투여일, 최종 투여 연령이 증가하였다. 재입원 횟수와 grade는 유의한 관계가 없었다. 결론: 새로운 정의를 적용하면 BPD의 유병률이 낮아졌고, grade가 낮아졌다. 두 정의 모두 산소 치료 기간과 유의한 연관이 있었고 재입원과는 관련이 없었다.

      • KCI등재

        精神病 患者의 自由畵의 特徵과 臨床 經過와의 相互 關係에 관한 豫備的 硏究

        李符永,李重瑞 大韓神經精神醫學會 1994 신경정신의학 Vol.33 No.1

        Most studies on the drawings by the psychotic patients have focused on their pathologic graphic patterns. But there are few studies exploring the changes in the art expression through the clinical course. This is a preliminary study to evaluate objectively the correlation between the graphic characteristics and the course of the psychotic illness, and to find its clinical application. The study was performed retrospectively by using closed neuropsychiatric wards,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during the period between March, 1990 and February, 1992. Two independent raters assessed the clinical course of each patient involved in this group with the Brief Psychiatric Rating Scale(BPRS). For the assessment of the art expression, two independent raters used the list of the graphic characteristics which we through literature review. In addition, we assessed the quality of schizophrenic drawing as a whole. There were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art expression and the clinical course in our study group. There were 3 schizophrenics having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both of them, bu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graphic characteristics and psychopathologies between these patients and others. In spite of the clinical improvement, the art expression was assessed as worse in one schizophrenic and two manic patients.

      • SCOPUSKCI등재

        3차 의료기관을 방문한 급성 상부위장관출혈 환자의 임상 양상

        백창렬 ( Chang Nyol Paik ),이인석 ( In Seok Lee ),오정환 ( Jung Hwan Oh ),박재명 ( Jae Myung Park ),조유경 ( Yu Kyung Cho ),김상우 ( Sang Woo Kim ),최명규 ( Myung Gyu Choi ),정인식 ( In Sik Chung ) 대한소화기학회 2006 대한소화기학회지 Vol.50 No.1

        서론: 급성 상부위장관출혈의 진단과 치료에서 응급내시경은 중요한 역할을 차지하고 있다. 저자들은 급성 상부위장관출혈 환자에서 응급내시경 검사 결과에 따라 내시경 또는 약물 치료를 시행한 후 지혈 성공률과 예후 인자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대상 및 방법: 상부위장관출혈로 내시경실을 방문하여 응급내시경을 검사하고, 내시경 소견에 따라 내시경 또는 약물 치료를 시행한 환자를 대상으로 임상경과를 관찰하였다. 지혈 성공 여부는 초기 지혈성공률(응급내시경 검사 후 24시간)과 최종 지혈성공률(퇴원일 또는 응급내시경 검사 후 14일)로 판정하였다. 결과: 2003년 8월부터 2005년 4월까지 318명의 환자에서 응급내시경을 시행하였다. 출혈의 주 원인은 소화성 궤양(50.9%), 정맥류(28.3%), 말로리바이스증후군(10.3%)이었다. 내시경 지혈술은 62.9% (200/318명)에서 시행하였다. 초기 지혈성공률과 최종 지혈성공률은 각각 86.2%, 94.0%이었다. 지혈에 실패한 4명(1.3%)은 수술하였고, 13명(4.1%)은 출혈과 연관되어 사망하였다. 다변량분석에서 초기지혈 성공률과 연관된 인자는 수혈량(OR 0.80, 95% CI 0.72-0.89, p<0.001)과 인공호흡기 장착상태(OR 0.03, 95% CI 0.01-0.31, p<0.001)였고 최종지혈 성공과 관련된 인자는 수혈량(OR 0.79, 95% CI 0.69-0.90, p<0.001)과 중환자실에서 출혈한 경우(OR 0.12, 95% CI 0.13-0.49, p<0.001)이었다. 결론: 급성 상부위장관출혈 환자에서 응급내시경 소견에 따른 초기 지혈성공률과 최종 지혈성공률은 각각 86.2%와 94.0%였다. 총수혈량이 많거나, 중환자실 재원상태 또는 인공호흡기 장착 시 출혈한 경우는 예후가 불량하므로 치료에 주의를 요한다. Background/Aims: Acute upper gastrointestinal bleeding (UGIB) is still responsible for significant morbidity in spite of various therapeutic advances. The aims of this study were to evaluate the success rate in managing UGIB and predicting factors that affected clinical courses. Methods: From August 2003 to April 2005, medical data (registered in a standard database categories) of 318 patients who underwent endoscopic examination to evaluate UGIB were analyzed. Early and final treatment success rates were evaluated on the next day and 14 days after the initial endoscopic procedures respectively (or the day of discharge). Results: Main causes of UGIB were peptic ulcer (50.9%), varices (28.3%), Mallory-Weiss syndrome (10.3%). Endoscopic treatments were tried in 200 patients (63.0%). Number of patients who underwent operation and deaths were 4 (1.3%) and 13 (4.1%), respectively. Early and final success rates were 86.2% and 94.0%. Independent prognostic factors related with early success rates were volume of transfusion (OR 0.80, 95% CI 0.72-0.89, p<0.001) and bleeding during the ventilator care (OR 0.03, 95% CI 0.01-0.31, p<0.001), whereas those factors related with final success rates were volume of transfusion (OR 0.79, 95% CI 0.69-0.90, p<0.001), bleeding during the stay in intensive care unit (ICU) (OR 0.12, 95% CI 0.13-0.49, p<0.001). Conclusions: Early and final success rates of bleeding control were 86.2% and 94.0% in acute UGIB. Volume of transfusion, bleeding during ICU state or ventilator state were important predictive factors of the treatment failure. (Korean J Gastroenterol 2007;50:26-35)

      • KCI등재

        소아청소년 양극성 장애의 임상 경과

        강나리(Na-Ri Kang),곽영숙(Young-Sook Kwack) 대한소아청소년정신의학회 2012 소아청소년정신의학 Vol.23 No.1

        Objectives:The early onset of mood symptoms in bipolar disorder has been associated with poor outcomes in many studies. However, aspects of the clinical course of bipolar disorder in children and adolescents are controversial. The goal of this article is to review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and longitudinal course of children and adolescents with bipolar disorders. Methods:Searches were conducted in MedLine, PsycINFO, KISS, and RISS using the terms phenomenology, clinical course, outcome, BPD, pediatric, children and adolescents. Twenty-one reports were selected : either original articles reporting symptoms and clinical characteristics of subjects (ages 5-18 years), or published articles in reviewed journals about bipolar disorder in children and adolescents. Results:Approximately 70% of subjects with bipolar disorder recovered from their index episode, and 50% had at least 1 syndromal recurrence, particularly depressive episodes. For 60% of the follow-up time, subjects had syndromal or subsyndromal symptoms with numerous changes in symptoms and shifts of polarity. Approximately 20% of BP-II subjects converted BP-I. Conclusion:Bipolar disorders in children and adolescents are characterized by episodic illness with subsyndromal and syndromal episodes with mainly depressive and mixed symptoms and rapid mood changes. Extensive follow-up time is needed to evaluate the continuity of bipolar disorder symptoms from childhood to adulthood.

      • KCI등재

        준만삭아의 신생아기 임상 경과에 대한 연구

        나보미 ( Bo Mi Na ),송창주 ( Chang Ju Song ),김미정 ( Mi Jung Kim ) 대한주산의학회 2006 Perinatology Vol.17 No.2

        목적 : 본 연구는 재태 기간 35+0주에서 36+6주 사이의 준만삭아에서 흔히 발생하는 문제들을 조사 하고, 이들에 대한 적절한 관리 기준을 마련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방법 : 2003년 1월부터 2004년 12월까지 충북대병원에서 출생한 준만삭아 113명과 만삭아 138명을 대상으로 후향적으로 의무 기록을 조사하였다. 결과 : 준만삭아군에서 만삭아군에 비해 낮은 아프카 점수를 보였으나 분만 방식과 남녀비에는 두군 간에 차이가 없었으며, 준만삭아의 산모에서 조기양막파수와 자간전증이 많았다. 준만삭아군은 만삭아군에 비해 황달(46.0% vs. 11.6%), 호흡곤란(20.4% vs. 10.9%), 수유장애(19.5% vs. 5.8%), 수액요법, 패혈증 진단을 위한 검사, 예방적 항생제 치료 등에서 높은 빈도를 보였으나, 저혈당증, 무호흡, 저체온, 패혈증의 빈도는 두군 간에 차이가 없었다. 준만삭아군에서 만삭아군에 비해 신생아 중환자실 입원(68% vs. 28%)과 퇴원 지연(60% vs. 27%)이 많았으며, 재원 기간(7.77±5.63일 vs. 4.67±3.17일)도 길었다(p<0.001). 결론 : 준만삭아는 만삭아에 비해 더 많은 임상적 문제들을 가지며 이로 인하여 퇴원이 지연되거나 재입원하는 경우가 많았다. 따라서 준만삭아에 대해 만삭아와 차별화된 관리기준과 진료지침의 수립이 필요할 것이며, 아기나 산모의 건강 때문이 아니라면 임신 35~36주에 의도적, 선택적으로 유도 분만하는 것은 피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Objective: To document the common medical problems and clinical outcomes of near-term infants who were delivered between 35+0 and 36+6 weeks of gestation, in order to promote optimal health outcomes for these infants. Methods: We performed a retrospective review of medical records of 113 near-term infants and 138 term infants as control, who were born at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in 2003~2004. Results : When compared with term infants, near-term infants had a significantly lower Apgar scores (7.7 vs. 8.7 at 1 minute) and higher frequency of prolonged rupture of membrane (19.8% vs. 6.7%), preeclampsia (20.9% vs. 4.4%), jaundice (46.0% vs. 11.6%), respiratory distress (20.4% vs. 10.9%), feeding problems (19.5% vs. 5.8%), intravenous fluid infusion (63.7% vs. 24.6%), diagnostic work-up for possible sepsis (68.1 % vs. 26.1 %), and use of antibiotics (58.4% vs. 22.5%).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frequency of cesarean section, hypoglycemia, hypothermia and clinical sepsis. More near-term infants were admitted to the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68% vs. 28%) and delayed in discharge home (60% vs. 27%) with longer hospital stay (7.77±5.63 days vs. 4.67±3.17 days). Conclusion : Near-term infants showed significantly more neonatal problems and longer and repeated hospital stays than full-term infants. Optimal care guidelines for near-term infants including scrupulous monitoring for the development of early complications and meticulous follow-up after discharge need to be develop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