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獨逸 遺傳工學法의 2005年 改正과 그 示唆點 : 유전자변형(GM)작물1)과 전통ㆍ유기농(non-GM)작물의 共存方案 unter besonderer Berucksichtigung der Koexistenz in der Landwirtschaft

        趙寅成(Cho In Sung, 조인성) 한국공법학회 2006 公法硏究 Vol.34 No.4-2

        본 논문은 최근에 개정된 독일 유전공학법의 본질적인 목적 가운데 하나인 유전자변형생물체 (GMO)의 사용에 있어서 소비자와 생산자 간에 유전자변형(GM)작물 및 전통ㆍ유기농(non-GM)작물의 공존 및 선택의 자유 실현과 관련하여 그 주요내용을 분석ㆍ소개ㆍ비판하고, 우리나라 유전공학 관련법령에 그 시사하는 바를 고찰한 것이다. 유전자변형(GM)식품 및 사료에 대한 표시요건이 규정되어 있는 유럽연합(EU) 역내시장에서 GM작물의 꽃가루가 날아다니면 전통작물을 생산하고 싶은 농민들에게는 경제적인 피해가 나타날 수도 있다. 공존이라는 것은 표시나 순도 기준과 같은 법적 요건을 준수함에 있어 농민들이 GM 작물, 전통ㆍ유기농작물 사이의 현실적인 선택권을 가질 수 있는가에 관한 것이다. 농민들은 자신들이 선호하는 경작방식을 선택할 수 있어야 하며, 이미 자신이 구축해 놓은 경작방식을 바꾸도록 강요받아서도 안 된다. 일반 원칙에 따르면 어떤 지역에 새로운 생산방식이 도입되기 시작하는 단계에서는 그러한 신종방식을 도입한 농민이 다른 작물과의 혼합을 막을 수 있는 조치를 취할 책임이 있다. 공존을 보장하기 위한 관리조치의 개선을 위해서는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평가, 그리고 그에 따른 최선의 경작방식을 때에 맞춰 공유하는 것이 매우 필요하다. 최우선순위는 이웃 농가 사이의 조화를 위한 조치, 그리고 농가수준의 관리조치에 두어야 한다. 이러한 조치들이 공존을 보장할 수 없음이 증명된다면, 지역 차원의 조치, 예컨대 해당지역에서는 특정 GMO를 경작하지 못한다는 조치도 고려할 수 있지만, 이와 같은 조치는 공존을 보장하지 못하는 특정 작물에만 적용되어야 하며, 적용되는 지리적 범위도 되도록 축소해야 한다. 조치가 시행되는 지역을 넓히는 것은 작물에 따라, 생산방식에 따라 하나하나의 정당한 근거가 있을 때만 가능하다. 예를 들어 종자 생산과 작물 생산은 구분해서 판단해야 한다. 새로 개정된 독일 유전공학법의 본질적 핵심사항은 다음과 같다. 즉, (1) GMO의 만성적 우성으로부터 비유전공학농업의 보호, (2) 농업유전공학을 통해 본질적으로 침해가 있는 경우 손해배상요구의 수행을 용이하게 하는 명확한 책임규정, (3) GM작물의 연방등록제도는 보다 더 개선된 투명성을 제고한다는 점, (4) GMO 등록에 대해 생태적으로 민감한 지역의 보호를 위한 보다 더 개선된 규정들, 그리고 (5) GMOㆍ종자ㆍ제공자의 생산정보의무와 관련한 우수생산물생산의 유지를 위한 구체적인 규정들은 법적안전성을 가져온다는 점 등이 바로 그것이다.

      • KCI등재후보

        유전자변형작물(GMO) 규제정책의 형성과정에 관한 연구

        이병량,박기묵 한국거버넌스학회 2006 한국거버넌스학회보 Vol.13 No.3

        This research analyzed the formation of Genetically Modified Organisms(GMO) regulation in Korea based on the political circumstances where the social regulation gets accomplished. Generally the social regulation dose not happen easily because the expected benefits of regulation are widely spread whereas the costs of regulation seems to be concentrated on the small groups of the regulated. Nevertheless, initiated by the media's exposure on the uninformed import of GMO, the movements of NGOs and political entrepreneurs promoted social discussions about safety of GMO, which led to the formation of GMO regulation. This process centered on the political competition about what is appropriate regulatory standard on the GMO. In this competing field, various political actors including the government and related NGOs participated and struggled to take a higher standpoint. The formation of GMO regulation reflects the general features of how social regulation gets accomplished through the policy process. Furthermore, the study confirms that the international norm regarding GMO, created for the global trade system, and the strategic approach of the government to the biotechnology amplifies the dynamics of this process. 이 연구는 한국의 유전자변형작물 규제 형성과정을 사회적 규제가 이루어지는 정치적 상황에 근거하여 분석하였다. 일반적으로 사회적 규제는 피규제기관에게 비용부담을 집중시키는 반면, 이를 통해 편익을 얻는 집단은 분산되어 있어 규제가 쉽게 일어나지 않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국에서 유전자변형작물에 대한 규제는 유전자변형작물의 도입 사실이 언론을 통해 폭로되고, 이를 계기로 시민단체를 중심으로 한 기업가적 정치가들의 활발한 활동이 나타나면서 촉발되었다. 적절한 규제의 기준을 목표로 참여하는 행위자들 간의 적대적 대립을 기본 구도로 진행된 유전자변형작물 규제정책의 형성과정은 이후에도 정부와 시민단체를 비롯한 다양한 사회집단의 역동적인 관계 속에서 이루어졌다. 이는 사회적 규제의 일반적인 정책과정적 특징을 반영하고 있는 것이었다. 또한 이런 일반적인 특징과 함께 글로벌한 교역체계에서 생성된 유전자변형작물과 관련된 국제규범이나, 생명공학기술에 대한 정부의 전략적 접근은 이 과정의 역동성을 더욱 증폭시키는 역할을 하고 있다는 점을 확인했다.

      • KCI등재

        말라위의 유전자변형 작물 (Genetically Modified Crops) 상업화 타당성에 대한 고찰

        배유진 한국아프리카학회 2018 한국아프리카학회지 Vol.55 No.-

        Malawi has been promoting the commercialization of Genetically Modified Crops (GM crops), such as BT cotton, BT cowpea and VR banana, all of which are considered important food and cash crops. In recent years, the production of these crops have decreased due to various reasons such as drought, flood and climate change. By looking at the importance of these crops and their recent productivity, the commercialization of GM crops can be justified as it can improve Malawi’s food security. Further, as Malawi has strong biosafety laws and regulation GM crops could potentially be used with minimum negative risks. However, the significance and important usages of these specific GM crops, and biotechnology in general, are often not specified and explained in the country’s key national policies and strategies such as the Malawi Growth and Development Strategy (MGDS) and National Agriculture Policy (NAP). In other words, despite the rapid commercialization of GM crops, it is unclear whether the government fully understand the role of such crops. This is a serious matter as the commercialization of GM crops will have a direct impact on the productivity of the agricultural sector which is the central pillar of Malawi’s food security and economic growth. Therefore, it is recommended that clear role of GM crops to be defined in national policies. This process is more likely to help farmers to understand the needs of the commercialization of GM crops which will bring about GM crop’s full potential benefit to Malawi’s agricultural sector and overall economic development. 최근 말라위는 유전자변형 작물 (GM 작물) 상업화를 위해 다양한 현장 실험을 진행 중이다. 말라위가 상업화를 위해 지정한 작물은 동부콩, 목화, 바나나이다. 이 작물들은 말라위 내에서 식량자원 및 환금작물로써 각각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으나 최근 5년간 해충과 바이러스 등의 영향으로 생산성이 하락하고 있다. 농업 부문은 말라위의 식량안보 및 수출수익에 있어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기에 동부콩, 목화, 바나나를 포함한 주요 작물들의 생산성 하락은 경제적으로 타격을 줄 수밖에 없다. 이런 상황에서 GM 작물 상업화를 통한 생산성은 향상은 식량안보 뿐 아니라 환경안보 향상에 기여할 수 있기에 합당해 보인다. GM 작물 상업화를 성공적으로 이끌기 위해서는 정부의 역할이 중요하며, 특히 정책적인 측면에서 GM 작물 상업화가 경제, 농업 부문 발전에 어떻게 기여할 것이며 사용될 것인지 명확하게 나타나야 한다. 안타깝게도, 말라위의 농가 보조금 지급 프로그램 (FISP), 말라위 성장과 개발 계획 (MGDS), 국가 농업 정책 (NAP)을 분석해 본 결과, GM 작물에 대한 다양한 현장실험이 진행 중임에도 불구하고 지정작물의 중요성이나 역할이 명료하게 명시되어 있지 않다. 뿐만 아니라 지정 작물을 GM 작물로써 상업화하게 된 사유를 밝혀주는 공식적인 문서 또한 찾아 볼 수 없다. 이는 상업화의 경제적 타당성과 정책 사이에 큰 격차가 있다는 것을 시사하고, 상업화의 성공률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런 상황에서 말라위의 BT 목화 상업화는 내년부터 시행될 전망이다. 아직까지 상업화가 시작되지 않은 시점에서 현실적으로 가장 시급한 부분은 GM 작물의 역할을 관련 정책에 반영함으로써 상업화의 타당성 및 정부의 역할을 명료하게 하는 것이다. 또한 BT 목화 상업화 시작점과 다른 작물 (예: BT 동부콩) 상업화 시작점 사이에 적당한 기간을 두면서 BT 목화 상업화 과정에서 나타난 장 ‧ 단점을 파악할 시간을 확보함으로써, 현장 실험이 아닌 상업화에서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경제적 문제를 파악하고 이에 대한 해결책을 모색해야 한다. 이런 절차가 이루어졌을 시 농민들이 GM 작물과 상업화의 필요성을 인식할 수 있고, 나아가 정부와 지역사회 사이의 책무성을 강화함으로써 향후 말라위의 장기적 발전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유전자교정작물(GEO)에 대한 유전자변형생물체(LMO)법 적용 관련 법적 쟁점과 개선방안

        김지완,이성엽 고려대학교 법학연구원 2023 고려법학 Vol.- No.108

        It has been announced that it will have to produce twice its current demand by 2050 to avoid facing serious food problems in the future due to global population growth, water shortages, and changes in production due to accelerating global warming. However, the annual production growth rate of corn, rice, wheat and soybeans, the four major crops of the world's food supply and demand, is only 1.6%, 1.0%, and 0.9%, respectively. In this situation, GEO using CRISPR/Cas9 are emerging as a solution to future food shortages. Furthermore, like the movie “Martian”, it is expected that the solution to space food will be a gene-corrected crop. However, national legal regulations are different in this regard. In the United States, Japan, Canada, Australia, the United Kingdom, Brazil, and Argentina, even if they do not join the “Cartagena Protocol”, an international protocol of the LMO law, or even if they do, they avoid applying the LMO law by revising or establishing laws. In other words, these countries treat GEO the same as general seeds, judging that they are no different from traditional breeding. Even the European Union, which has strictly regulated genetically modified crops as GMOs, has recently begun the process of revising the law with a positive move. In line with this international trend, the Korean government is also attempting to ease GEO regulations such as exemption from risk assessment. However, after the revision of the law, genetically modified crops are considered “new genetically modified creatures” in Korea. Industry sources predict that if GEO is classified as LMO, there will be no farmers who farm GEO crops and no consumers who consume them. There are concerns that strict legal regulations on GEO could not only lose domestic seed competitiveness but also destroy the seed industry itself. In order to develop the domestic GEO industry and increase its competitiveness, related regulations should be eased like other countries. Like Japan and Brazil, it is necessary to distinguish GEO from LMO by interpreting LMO laws or preparing separate bills. In the long run, a GEO evaluation system should be established based on the final product regardless of whether biotechnology is used or not.

      • KCI등재

        인간 상피성장인자 유전자 발현 유전자변형 콩의 생태계 침입성 평가

        김도영(Do Young Kim),엄민식(Min Sik Eom),김혜진(Hye Jin Kim),백인순(In-Soon Pack),박정호(Jung-Ho Park),박기웅(Kee Woong Park),남경희(Kyong-Hee Nam),오성덕(Sung-Dug Oh),김재광(Jae Kwang Kim),서주석(Ju Seok Seo),김창기(Chang-Gi Kim) 한국잡초학회·한국잔디학회 2020 Weed & Turfgrass Science Vol.9 No.2

        유전자변형(genetically modified, GM) 작물의 생태계 침입성 또는 잡초화 가능성은 환경 측면에서 주요 우려 사항의 하나이다. 인간 상피성장인자 유전자(egf, igf-1, trx)를 발현하는 GM 콩 3개 이벤트가 재배관리되지 않는 환경에서 지속할 수 있는지 여부를 평가하고, 토양에 매몰된 종자의 활력을 조사하기 위해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GM 콩과 비변형 콩종자를 2017년 6월에 파종하고 연구기간 동안 물과 병해충 및 잡초 관리를 하지 않은 채 시험구에 출현한 콩 식물체 수를 조사하였을 때 GM 콩과 비변형 콩 식물체는 생장하고 종자 생산도 하였지만 17개월까지만 개체군을 유지할 수 있었다. 콩 종자를 2017년 11월에 매몰한 뒤 4, 6, 8, 10개월 후에 활력을 조사하였다. GM 콩과 비변형 콩 종자 모두 월동은 가능했지만, 모든 종자는 6개월 이내에 활력을 잃었다. 이와 같이 GM 콩과 비변형 콩 모두 정착에 성공하지 못했으며, 수명이 짧은 콩 종자는 일시적으로만 토양종자은행을 형성하였다. 따라서 3개 GM 콩 이벤트가 생태계에서 침입식물 또는 잡초가 될 가능성은 거의 없을 것으로 판단된다. The invasiveness or weediness of genetically modified (GM) crops is considered as one of the major environmental concerns regarding the cultivation of these crop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whether three events of GM soybeans expressing human epidermal growth factor gene (egf , igf-1 , or trx ) can persist in the environment without cultivation management and to determine the viability of their seeds buried in soil. Seeds of GM and non-GM soybean were sown in June 2017, and the number of soybean plants grown in the plots was counted. During the study period, water and pest management were not applied in the plots. Both GM and non-GM soybean plants were able to grow and produce seeds; however, they maintained their populations only for up to 17 months. The GM and non-GM soybean seeds were buried in November 2017, and their viability was measured 4, 6, 8, and 10 months after seed burial. Both GM and non-GM soybean seeds were able to overwinter. However, they lost viability within 6 months. GM and non-GM soybeans could not be successfully established in the environment, and short-lived soybean seeds could form only a transient soil seed bank. Therefore, GM soybean events are highly unlikely to become invasive plants or weeds in the ecosystem.

      • KCI등재

        방사선 조사로 육성된 무추대 유전자변형 제초제내성 들잔디의 추대 회복율 평가

        강홍규,선현진,권용익,양대화,이강섭,박기웅,이효연 한국잔디학회 2019 Weed & Turfgrass Science Vol.8 No.3

        This study was performed to test the stability of the unbolting trait of JG21-MS1, a genetically modified zoysiagrass that was previously exposed to gamma-ray radiation in 2006. The sterile JG21-MS1 plant has been cultivated through vegetative propagation in pots or in small garden beds for nearly 10 years. To check bolting recovery, we thoroughly looked to find the bolting of JG21-MS1 under various experimental conditions. JG21-MS1 lawns were established and maintained in three different regions: Jeju and Seogwipo in Jeju-do, and Jeonju in Jeollabuk-do. However, the presence of JG21-MS1 bolting recovery was not found. To promote the flowering of zoysiagrass, we exposed JG21-MS1 to artificial long-day light conditions with low temperatures. However, no flowering stems were found from JG21-MS1 in these experiments. Thus, our study indicated that the radiation-induced unbolting trait of JG21-MS1 is an immobilized trait that cannot be restored easily under natural or artificial conditions. In conclusion, JG21-MS1, a genetically modified herbicide-tolerant turfgrass with an unbolting trait, is unable to produce pollen because of its absence of reproductive organs. Thus, if JG21-MS1 were to be released into the wild, it is highly for it unlikely to disturb its surrounding flora through pollination. 이 연구는 2006년에 방사선돌연변이기술로 육성되어 10년 이상 영양번식체로 유지해 온 유전자변형 들잔디 JG21-MS1의 무추대성 형질의 안정성을 시험한 연구이다. 일반 자연환경뿐만 아니라 몇 가지 인위적인 개화유도 조건에서 JG21-MS1의 추대 회복 가능성을 조사하였다. 첫째, 제주대학교 내 LMO 작물 격리 포장의 자연환경 조건에서 3년 동안(2016-2018) JG21-MS1의 추대 유무 혹은 개화를 관찰하였다. 둘째, 지역적응성을 검증하기 위해 서귀포시 남원읍의 제주대학교 LMO 격리포장과 전라북도 전주시 농촌진흥청의 LMO 격리포장에서 2년 동안(2016-2018) 매년 추대 유무를 관찰하였다. 셋째, 인위적인 춘화처리 후 자연광 또는 온실 내 인공조명의 장일 또는 전일 조건 하에서 JG21-MS1의 추대 가능성을 관찰하였다. 이와 같은 일련의 실험에서 어느 환경 조건에서도 JG21-MS1의 추대가 회복되는 사례는 발견되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방사선으로 유도된 돌연변이 형질인 JG21-MS1의 무추대성이 자연환경 조건과 온실을 이용한 인공적인 개화유도 조건에서 쉽게 회복되지 않음을 보여 주었다. 꽃이 피지 않는 유전자변형 잔디인 JG21-MS1은 꽃가루에 의한 유전자이동 가능성이 원천적으로 불가능하므로 이 LMO 잔디가 자연환경에 방출되더라도 생태계를 교란할 수 있는 가능성이 매우 낮을 것으로 사료된다.

      • KCI등재

        Bt 양배추가 복숭아혹진딧물의 발육과 기주선택에 미치는 영향

        남기정,김영중,문두범,남경희,백인순,박정호,정순천,한지학,김창기,Nam, Ki Jung,Kim, Young-Joong,Moon, Doo-Bum,Nam, Kyong-Hee,Pack, In Soon,Park, Jung-Ho,Jeong, Soon-Chun,Harn, Chee Hark,Kim, Chang-Gi 한국응용곤충학회 2014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53 No.2

        해충저항성 유전자변형 작물은 대상 해충에 대한 방제 효과를 증진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수단이 될 수 있지만, 생태계 내의 다른 비표적 생물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가능성 또한 있기 때문에 상업적인 재배에 앞서 이에 대한 충분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배추좀나방내성 유전자변형 Bt (Cry1Ac1)양배추가 비표적 곤충인 복숭아혹진딧물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기초적인 실험으로서 기주선택실험 및 성장실험을 실시하였다. 기주선택실험에서, 두 개체씩의 Bt 양배추와 모본 양배추에 각각 10마리의 유시 성충(alate virginoparae)을 접종하고, 사흘간 생식(reproduction) 기회를 제공한 후 생산한 약충의 마리수를 측정한 결과, Bt 양배추와 모본 양배추에 낳은 약충의 수가 각각 $21.9{\pm}1.8$와 $22.5{\pm}2.2$로 비슷하였다. 성장실험에서, 갓 태어난 무시 약충(apterous virginoparae)을 Bt 양배추 및 모본 양배추를 기주로 하여 키웠을 때, 성충이 될 때까지 걸린 시간은 Bt 양배추와 모본 양배추에서 각각 $5.8{\pm}0.2$, $5.9{\pm}0.1$ 일(day)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개체군 생장률(rm) 또한 $0.7{\pm}0.1$, $0.8{\pm}0.1$로 유사하였다. 이상의 결과들로 볼때 Bt 양배추가 복숭아혹진딧물에 미치는 영향이 없거나 미미함을 알 수 있으나, 다양한 관점에서의 보완 연구가 더 필요하다. Transgenic crops that produce insecticidal toxins have a great potential for controlling target pest insects, but there is a growing concern about unintended influences on non-target species. In the present study, the preferences and performance of non-target green peach aphid, Myzus persicae (Sulzer), on transgenic cabbages (Brassica oleracea) that produce Bt toxin (Cry1Ac1) and untransformed control plants were investigated as a part of risk assessment. In a free-choice situation, the number of nymphs larviposited by 10 winged adults over 3 days was $21.9{\pm}1.8$ and $22.5{\pm}2.2$ on transgenic and the control plants, respectively, indicating that the aphids did not discriminate between the two types of plants. In a performance assay, the development time (D) and intrinsic rate of increase (rm) of wingless aphids reared on transgenic and control plants were also similar (D, $5.8{\pm}0.2$ and $5.9{\pm}0.1$ (days) and rm, $0.7{\pm}0.1$ and $0.8{\pm}0.1$, for transgenic and control plants, respectively). These results suggest that M. persicae is not significantly affected by transgenic Bt cabbage.

      • KCI등재

        과학기술의 사회적 통제와 수용성 연구

        이영희(Lee Young-Hee) 한국과학기술학회 2001 과학기술학연구 Vol.1 No.1

        현대사회에서 과학기술은 긍정성과 부정성의 양연을 지니고 있다. 과학기술의 긍정성에만 초점을 맞추는 사람들은 과학기술에 대한 사회적 수용성을 강조하는 반면, 과학기술의 부정성에만 초점을 맞추는 사람들은 과학기술에 대한 사회적 통제를 강조하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본 논문은 이처럼 과학기술에 대한 사회적 수용과 통제를 상호 배타적인 것으로 보는 기계적 대립구도를 무너뜨리고 양자를 유기적 연관을 가지는 것으로 파악하고자 한다. 즉, 본 논문은 과학기술에 대한 진정한 의미의 사회적 수용성은 과학기술에 대한 일반 시민들의 광범위한 참여에 기반한 공공적 토론을 통해 사회적 통제를 행사함으로써 증진될 수 있다고 보는 것이다. 물론 이처럼 사회적 통제를 거친 다음에 수용되는 과학기술은 원래의 그것과는 내용과 형태 등에 있어 다소 달라질 수 있는데, 이는 사회적 통제가 과학기술을 재구성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본 논문은 우리나라에서도 지난 1990년대 중반 이후부터 사회적으로 격렬한 논란거리가 되어 온 생명공학 분야, 특히 유전자변형 작물과 생명복제 문제를 사례로 하여 과학기술을 둘러싼 사회적 논쟁과 시민사회단체들의 활동들을 과학기술의 사회적 통제와 수용성의 연계라는 점에서 분석하고 있다. Usually social control and acceptance of science and technology is thought to be a separate or even confronting thing. But this paper aims to go beyond this simple and dichotomous thinking. Rather, this paper argues that social control and acceptance of science and technology can be combined altogether organically. In other words, this paper argues that social control of a particular science and technology has functional effects to the acceptance of that science and technology. Social control of a particular science and technology is a signal that something is going wrong; it reallocates attention and enhances social awareness; it evaluates ongoing activity; and it alters this activity in various ways to secure a sustainable future. In order to prove this functional hypothesis, this paper tries a case study of biotechnology from a perspective of sociology of science and technology. Especially social controversies around genetically modified organisms(GMOs) and embryo cloning in Korea are analysed deeply. As a conclusion, this paper proposes some policy implications of this study.

      • KCI등재

        국내에서 개발된 제초제저항성 벼(밀양 204호, 익산 483호)의 비표적 곤충과 거미에 미치는 생리적 영향

        김영호,Kim, Young Ho 한국응용곤충학회 2017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56 No.4

        본 연구에서 국내에서 개발된 제초제저항성 GM 벼인 밀양 204호와 익산 483호가 비표적 곤충과 거미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GM 벼와 non-GM 벼에 대한 보리수염진딧물과 벼멸구의 기주선호도에는 차이가 없었으며, GM 벼를 섭식한 벼멸구를 포식한 황산적거미의 체중 변화에도 통계적 유의성이 없었다. 밀양 204호와 그 대조 모본 non-GM 벼에서 서식한 벼멸구를 포식한 황산적거미의 생존율에는 차이가 없었으나, 벼멸구를 통해 익산 483호에 노출된 황산적거미의 생존율은 대조 모본 non-GM 벼에 비해 통계적으로 낮은 생존율을 나타내었다. 또한 익산 483호의 화분을 섭식한 꿀벌 유충은 밀양 204호와 다른 non-GM 벼 화분을 제공하였을 때 보다 현저하게 긴 용기간을 보였다. 농업생태계에서 중요한 포식 천적인 황산적거미와 양봉 산업으로서 중요한 기능을 하는 꿀벌에 GM 벼가 부정적인 영향을 보임에 따라 국내에서 개발된 제초제저항성 GM 벼의 농업 환경 노출 이전에 충분한 추가 연구와 안전성 평가가 선행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In the present study,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two herbicide-resistant genetically modified rice (GM rice) varieties, Milyang 204 and Iksan 483, recently developed in Korea on non-target insects and a spider. No difference in host preferences of the English grain aphid Sitobion avenae and the brown planthopper Nilaparvata lugens were observed between GM rice and non-GM rice. Wolf spider Pirata subpiraticus, feeding on N. lugens reared on GM rice or non-GM rice, revealed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body weight. P. subpiraticus, fed with N. lugens reared on Milyang 204, showed survival rates similar to that in P. subpiraticus fed with N. lugens reared on non-GM rice. However, P. subpiraticus feeding on N. lugens reared on Iksan 483 demonstrated significantly lower survival rates than that in P. subpiraticus feeding on N. lugens reared on Milyang 204 or non-GM rice. In addition, when larvae of the western honeybee Apis mellifera were supplied with Iksan 483 pollen, a significantly longer pupal period occurred, as compared with that of A. mellifera supplied with pollen of Milyang 204 or non-GM rice. As GM rice has negative effects on P. subpiraticus, which is an important predator in agricultural ecosystems, and on A. mellifera, which plays important roles in pollination and honey production, additional studies on risk assessment of GM rice should be conducted before releasing newly developed herbicide-resistant GM rice to the agricultural environment.

      • KCI등재

        제초제 저항성 형질전환 감자의 농업적 특성, 영양 성분 및 해충 반응성 평가

        안순영(Soon-Young Ahn),조광수(Kwang-Soo Cho),서효원(Hyeo-Won Seo),이정윤(Jeong-Yoon Yi),배신철(Shin-Cheol Bae),조지홍(Ji-Hong Cho),박영은(Young-Eun Park),김주일(Ju-Il Kim),김현준(Hyun-Jun Kim),조현묵(Hyun-Mook Cho) 한국원예학회 2011 원예과학기술지 Vol.29 No.3

        제초제 저항성 유전자를 국내 장려품종 감자인 ‘대지’에 도입하여 제초제 저항성 감자계통들을 개발하였으며, 그 중에서 농업적 형질이 우수하며 실용화 가능성이 큰 계통을 선발하기 위하여 3년간 포장 검정을 실시하였다. 제초제 저항성 감자 4계통 중에서 가장 상업화에 적합한 Bar 3 계통을 선발하였으며, Bar 3 계통은 비형질전환 감자인 ‘대지’와 비교하여 수량성과 주요 작물학적인 특성, 영양학적 특성 및 충에 대한 반응에서 차이를 발견할 수 없었고 두 감자 계통과 품종의 실질적 동등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Bar 3 계통은 5배의 고농도 제초제 처리에서도 피해를 나타내지 않았으며, 형질전환 후 세대가 진행되는 동안의 수량과 식물학적인 특성은 비슷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Bar 3 계통은 더뎅이병과 실금이나 2차 생장과 같은 생리적 장해 발생률이 낮았으며, 그 이유는 명확하게 구명되지 않았으나, Bar 3 계통과 같은 제초제 저항성 감자를 사용할 경우 감자 재배 지역에서의 더뎅이병 발생과 토양 유실 문제를 줄일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비형질전환 감자와 형질전환 Bar 3계통의 영양학적 특성(무기성분, 비타민 C와 아미노산 함량)과 해충(파밤나방)에 대한 반응을 분석비교한 결과, 두 감자 계통과 품종의 차이를 발견할 수 없었다. The agronomic characteristics, nutritional contents, and insect response of the potato clones transformed with a glufosinate ammonium resistance gene were evaluated. Among the 4 transgenic potato clones, the Bar 3 clone was selected as a promising one for commercialization. The Bar 3 clone showed similar tuber yield capacity but higher herbicide resistance as compared with the non-transgenic potato cv. Dejima. The herbicide resistance of the Bar 3 clone was more than 5 times higher when tested with the herbicide concentration recommended by the producer. The major agronomic characteristics of the Bar 3 clone were not different from those of the non-transgenic Dejima. The annual variation in yields and agronomic characteristics showed similar tendency for 2 years from the third to fourth generation after transformation. The tubers of the Bar 3 clone also showed low occurrence in common scab and physiological disorders such as cracking and secondary growth. But the reasons for such results are yet to be studied. Also, it was considered that the Bar 3 clone have a potential of reducing not only common scab occurrence but also soil erosion during potato cultivation in field. The nutritional contents (mineral compound, vitamin C and amino acid) and response to Spodoptera exigua of the transgenic potato clone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