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뉴욕타임스〉와 〈가디언〉의 인터랙티브 뉴스 특성 연구
박기묵,전범수 한국언론학회 2015 한국언론학보 Vol.59 No.5
This paper examined interactive news between the NYT and the Guardian. The major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the number of interactive news stories for the Guardian were much more than that of the NYT during 2014. Secondly, although the NYT focused on the short headline, the Guardian focused on long headline on the Internet version of newspaper. Thirdly, although the NYT mainly utilize chart based tables, the Guardian used picture based stories in terms of interactive news formats. And then, although the NYT focused on more complex architectures, the Guardian focused on more simple architecture in terms of complexity in interactive news. 본 논문은 2014년에 보도된〈뉴욕타임스〉와〈가디언〉의 인터랙티브 뉴스를 비교한 것이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두 신문을 살펴본 결과 보도 횟수는〈가디언〉이 374건,〈뉴욕타임스〉 130건으로〈가디언〉이〈뉴욕타임스〉보다 2배 이상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제목 및 본문 길이를 분석해 본 결과〈뉴욕타임스〉의 경우 인터랙티브 뉴스 전체의 느낌을 표현할 비교적 짧은 제목이 주를 이루었고 본문의 경우 인터뷰와 기사 설명을 충분히 살린 긴 분량이 많았다. 반대로〈가디언〉의 경우 제목에서 상세한 내용을 설명하는 긴 제목이 주를 이루었고 본문의 경우 짧게 처리했다. 셋째, 대표 인터랙티브 구현 방식을 살펴본 결과〈뉴욕타임스〉의 경우 차트ㆍ도표형이 가장 많았고〈가디언〉은 사진 그림형이 가장 많았다.〈뉴욕타임스〉는 비교적 방대한 양의 정보를 함축시켜 차트ㆍ도표로 표현함으로써 이용자에게 간결한 방식으로 중요한 정보를 전달하는 방식을 택했다.〈가디언〉은 직관적인 사진과 그림을 활용해서 이용자가 관련 정보를 최대한 빨리 얻을 수 있도록 인터랙티브 뉴스를 보도했다. 넷째, 뉴스당 인터랙티브 요소가 복합 반영된 현황을 살펴본 결과〈가디언〉이 1개 이하의 간략한 구성의 인터랙티브 뉴스를 선호하는 반면〈뉴욕타임스〉는 2개 이상의 복합 구성 방식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박기묵 한국정부학회 2013 한국정부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013 No.12
이 연구는 1987년 13대 대통령 선거의 해로부터 역대 대통령선거로 인한 복지에 대한 사회적 관심도가 어느 정도 증가하는 지의 여부를 조사하고, 역대 대통령선거로 촉발된 복지에 대한 사회적 관심의 증가가 복지예산을 어떻게 증가시키는 지의 여부를 분석 한다. 대통령선거로 인한 복지에 대한 사회적 관심은 그 공약이 실행되기 까지 재임기간 동안 계속 유지되거나 증가될 것으로 추측된다. 이 연구에서 대통령선거에 의해 영향을 받은 복지에 대한 사회적 관심도가 복지지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사회적 관심도를 매개변수로 하는 배런과 케니(Baron & Kenny, 1986)가 제시한 것과 같은 매개모형을 개발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3개 매개모형들을 개발한 후 이를 지난 27년 동안의 시계열 자료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매개모형들은 종속변수로 순수한 복지예산만을 사용한 경우와 총 예산 중 복지예산의 비율을 적용한 두 개의 경우로 나누어 측정하였다. 복지예산과 복지예산비율은 지난 27년 동안 대통령선거라는 제도를 통해 크게 증가되었다는 사실을 발견할 수 있었다. 그런데 대통령선거라는 한 제도가 복지예산(복지예산비율)을 직접적으로 증가시키기 보다는 복지에 대한 사회적 관심도라는 매개를 통해 증가되었다는 사실을 발견하였다. 즉 대통령선거 기간 동안 개발된 복지관련 정책공약들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복지예산(복지예산비율)을 증가시키는데 결정적으로 작용하였다는 것이다.
언론을 통한 해양·수산 분야 정책이슈 식별: 중앙일간지 언론기사 빅데이터 분석을 중심으로
박기묵,장덕희 한국정책학회 2017 한국정책학회 춘계학술발표논문집 Vol.2017 No.-
이 연구의 목적은 해양·수산 정책 분야에 대한 언론보도 내용분석을 통해, 그간 언론에 노출된 해양·수산 분야의 사회이슈를 식별하고, 향후 해양·수산 정책 분야에서 비중 있게 다뤄져야 할 정책이슈 도출에 관한 함의를 도출하는 데 있다. 이 연구에서는 2000년 1월부터 2017년 2월까지 중앙일간지에 게재된 9,535건의 언론기사를 대상으로 Text Mining 기법에 의한 다빈출 주제어 분석과 SNA를 활용한 주제어 간 상호 연계성 분석, 그리고 기사에 대한 내용분석 방법을 병행한 분석을 수행하였다. 이 연구의 분석결과를 전체 기사를 기준으로 살펴보면, 첫째, 해양에 관한 보전 이슈 보다는 개발 이슈가 상대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것이 확인되었으며, 둘째, FTA, 동중국해 패권경쟁과 같이 중국, 일본 등 주변국과의 관계에 관한 이슈들이 증가하고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분석결과를 세부 정책분야별로 살펴보면, 첫째, 해양정책 영역에서는 국제관계와 산업영역을 중심으로 이슈가 확대되고 있는 것이 확인되었으며, 둘째, 수산정책 분야에서는 후쿠시마 원전사고 이후 수산물 안전이슈와 수산업 안정을 위한 지원정책에 관한 이슈들이 확대되고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셋째로, 항만물류 분야에서는 해양플랜트와 같은 신산업 분야와 북극항로 개발 이슈가 확산되고 있으며, 넷째로 해사안전 분야에 있어서는 중국어선의 불법조업문제, 동북아패권경쟁에 따른 주변국과의 관계정립 등이 증가하는 이슈로 확인되었다.
사전적 뉴스 모니터링을 통한 한국 언론 보도의 문제점에 관한 연구: 언론중재위원회 시정권고를 중심으로
박기묵 한국콘텐츠학회 2023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3 No.6
This study identified the problems of domestic media reports through the current status of corrective recommendations with a preventive nature of the Press Arbitration Commission. There were a total of 1,239 corrective recommendations from January 1 to December 31, 2022 among the media monitored at all times by the Media Arbitration Commission. Among them, Internet newspapers had the most recommendations for correction. However, as newspapers, broadcasts, and news agency through Internet newspapers, media companies that deliver news through internet, should pay more attention to corrective recommendations. Looking at the details of correction recommendations, 41.5% of the total violations of personal legal interests were privacy violations, and article-type advertisement correction recommendations were the second most. As many issues of article-type advertising have been raised recently, more detailed deliberation and regulations on this part were needed. Ninety-three percent of the media companies that received correction recommendations showed a low figure of less than 10. However, there were also media outlets that continued to report similar reports while receiving more than 20 correction recommendations. These media judged that they did not fulfill the recommendations of the Media Arbitration Commission, and it seemed that stronger disposition was needed. 본 연구는 언론중재위원회의 예방적 성격이 강한 시정권고 현황을 통해 국내 언론 보도의 문제점을 파악해 보았다. 언론중재위원회가 상시 모니터링하는 언론 매체 중 2022년 1월 1일부터 12월 31일까지 총 1,239건의 시정권고가 있었다. 이중 인터넷 신문 시정권고가 가장 많았다. 그러나 신문, 방송, 통신 등이 인터넷을 통해 뉴스를 전달하는 만큼 인터넷으로 뉴스를 전달하는 모든 언론사가 시정권고에 더 신경을 써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정권고 상세 내용을 살펴보면 개인법익 침해 중 사생활 침해 등이 전체의 41.5%로 가장 많았고 기사형 광고 시정권고가 두 번째로 많았다. 최근 기사형 광고 문제가 많이 제기되는 만큼 차후 이 부분에 대한 더 자세한 심의와 새로운 규정 신설이 필요했다. 시정권고를 받은 언론사의 93%는 10건 미만의 낮은 수치를 보였다. 하지만 20건 이상 시정권고를 받으면서도 계속해서 유사 보도를 하는 매체도 있었다. 이런 매체는 언론중재위원회의 권고를 이행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 시정권고 이상의 강력한 처분이 필요한 것으로 보였다.
The Issue-Attention Cycle and Public Policy in the United States
박기묵,Edward T. Jennings Jr. 서울대학교행정대학원 2015 The Korean Journal of Policy Studies Vol.30 No.3
Four decades ago, Anthony Downs offered a compelling picture of the public policy issue-attention cycle. This paper offers a systematic test of how well 50 social issues in the United States fit the model over an extended period of time. A total of 29 issues that fit Downs’s model are analyzed in order to test Downs’s theory that an increase in public interest in an issue increases the government’s efforts to address the issue. The results were quite mixed. For 11 issues, there was a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the level of media attention and the number of bills passed. This provides partial support for Downs’s theory. Downs postulated that state intervention occurs when there is a high level of public concern. On the other hand, the results also reveal that a large number of policies were implemented when the level of media attention was not at its peak, resulting in either no relationship between attention and legislation or a negative relationship.
도립공원내 특정 여행코스의 경제적 가치평가 비교에 관한 연구: TCM과 CVM을 이용한 경제적 가치 측정을 중심으로
박기묵 대한지방자치학회 2009 한국지방자치연구 Vol.10 No.4
이 연구는 팔공산도립공원의 갓바위 여행코스의 경제적 가치를 TCM과 CVM 기법을 이용하여 측정하고 이들의 차이를 비교한다. 이 연구를 진행하기 위해 직접 팔공산 도립공원의 갓바위 여행코스의 현장에서 TCM과 CVM방식의 설문지를 작성하여 인터뷰를 하는 방식으로 325명의 설문의 응답을 얻었다. 그 중 314명의 설문응답을 기초로 하여 두 가지 기법을 이용한 각 여행코스의 경제적 가치를 평가하였다. 그것의 평가 결과 TCM의 경우 년간 2,204억 원, CVM의 경우 2,451.8억원의 경제적 가치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비록 이 연구가 이미 개발된 기법들을 적용하여 자원자원의 경제적 가치를 평가하였다는 점에서는 독창성이 상대적으로 적다고 할 수 있으나 두 기법을 사용하여 그것의 평가액을 비교하였다는 것은 새로운 발견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