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실과실습실 교구·설비 실태 조사

        이윤정,김지숙,송현순 한국실과교육학회 2015 한국실과교육학회지 Vol.28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facilities and supplies at elementary schools' Practical Arts lab. This study was conducted by nationwide survey and school visit observations. The survey using both paper and online questionnaires were adopted to collect the data on facilities and supplies for Practical Arts Lab and management of lab costs. School visit observation was done to supplement limitations of survey research. The research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approximately one third of total schools had Practical Arts Lab. Second, it was revealed that 53.4% of total labs was specialized labs such as cooking lab, woodworking lab, gardening lab etc, 34% was universal lab such as practical arts lab. Third, the most well equipped lab supplies were for 'dietary life' area, followed by the areas such as ‘wood working’, ‘clothing and textiles’, ‘plant nursing’, ‘electricity and electronics' in order. Forth, 68.6% of total schools utilized classroom for Practical Arts Lab activities. Fifth, the most biggest portion of lab costs was used for 'clothing and textiles', followed by 'woodworking', 'electronic kits', 'nursery plants and seeds' in order. Finally, from the school visit observation, it was found out that ten of fifteen schools had a single lab and others had two or more than three labs. Balanced activities in Practical Arts Lab should be suggested in terms of all contents of Practical Arts. 이 연구는 실과실습실 교구·설비기준안을 마련하기 위한 기초 조사로 전국 초등학교 실과실습실의 실태를 조사하여 실과 실습실의 현황을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조사 연구와 관찰연구를 실시하였다. 조사연구는 전국의 초등학교를 대상으로 질문지와 전자 설문의 방법으로 이루어졌다. 또한 조사연구의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해 실과 실습실을 갖추고 있는 초등학교를 직접 방문하여 관찰과 면접을 통하여 실습실의 실제 현황을 구체적으로 파악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실과실습실의 현황은 ‘있다’ 가 103개교(32.7%), ‘없다’가 208개교(66.0%). 무응답이 4개교(1.3%)로 전체 학교의 1/3정도가 실과실습실이 있었다. 둘째, 실과실습실의 형태는 종합실습실이 35개교(34.0%), 개별실습실이 55개교(53.4%), 기타 20개교(12.6%)였다. 셋째, 실습실 교구 종류를 영역별로 살펴보면 식생활영역과 목공영역, 의생활과 식물, 전기·전자 순으로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실과실습은 199개교(68.6%)가 교실에서 하고 있었고, 텃밭이 있는 경우에는 식물 기르기를 텃밭에서, 목재는 운동장이나 스탠드에서 이루어지고 있었다. 다섯째, 실과실습비가 사용되고 있는 영역은 의생활영역이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었으며, 목공영역과 전자키트영역, 식물의 모종과 씨앗 구입비의 순이었다. 현장관찰조사결과는 실과실습실이 1종인 학교가 10개교, 2종인 학교가 3개교, 3종 이상인 학교가 2개였으며, 3종 이상의 실습실을 보유하고 있는 학교는 혁신학교나 발명교육센터로 지정된 곳이었다. 보유하고 있는 실습실의 유형을 실별로 살펴보면 가사실 8개교, 텃밭 5개교, 실과실 4개교, 목공실 2개교의 순으로 많이 갖추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후속 연구와 실천을 위한 제언을 하면 첫째, 실과실습실 교구·설비기준안에 관한 후속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며, 둘째, 실과교육의 목표 달성을 위한 실과실습실의 확보와 실습실 용도에 부합된 사용과 관리가 요구된다. 셋째, 실과실습이 모든 영역에서 고르게 이루어져야 할 제도적 장치와 이에 대한 교사들의 관심과 인식 개선이 요구된다.

      • KCI등재후보

        방송 산업 분야의 특성화고등학교로 전환을 위한 S방송고등학교의 실험․실습실 리모델링에 관한 연구

        오승균,이명의,이용순,김진수 대한공업교육학회 2009 대한공업교육학회지 Vol.34 No.1

        The aim of this research is to suggest the model of reconstruction and remodelling of  S high school of broadcast for converting into a specialized one in the section of broadcast industry. The method of reconstruction of the laboratories by each department is as follows. First, the names of laboratories, ground plans, and perspective drawings are designed according to the principle of constructionism.   Second, each department is recommended to install 7 laboratories. For the department of broadcasting facilities, a laboratory of processing broadcasting machines, a laboratory of broadcasting machines, and a laboratory of screen picture machines are needed. For the department of broadcasting, electricity, and communication, a laboratory of image and sound edition, a laboratory of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a laboratory of broadcasting system, and a laboratory of stage illumination. For the department of broadcasting stage construction, a laboratory of broadcasting stage building, a laboratory of broadcasting stage design, a laboratory of broadcasting stage decoration and etc.             Third, an office room is designed by department in the form of seminar room and places for practice is formed by department to be a laboratory. Fourth, a room for  industrial-educational cooperation is installed by department, by which education of industrial-educational cooperation is carried out harmoniously.  And one example of a remodeled laboratory by one department is shown with laboratory name, ground plan, perspective drawing, and running method. Especially employment of teachers working both school and business, professional club which is concerned with broadcasting technique, and attraction of enterprise in school is suggested as important elements to manage broadcasting laboratories efficiently. Finally, it is desirable for us to attract private capital, that is, Build-Transfer-Lease(BTL) because much budget is required for purchasing the broadcasting equipments and remodelling the laboratories to succeed as specialized high school on broadcasting section.  이 연구의 목적은 방송 산업 분야의 특성화고등학교로 전환을 위한 S특성화 방송고등학교의 실험․실습실 재구조 방안과 리모델링 모형 및 방향을 제시하는 것이다. 각 과별로 실험․실습실 재구조 방안은 첫째, 각 전공별로 개편할 실습실명과 평면도 및 투시도를 구성주의 철학에 맞도록 재구성 설계하였다. 둘째, 과별로 주요 실험․실습실 개편에서 방송기계과에서는 방송무대기계실습실, 방송기계요소가공실, 방송기계설비실습실, 영상기계실습실 등, 방송전기통신과에서는 영상ㆍ음향편집실, 방송통신설비실, 방송시스템실습실, 무대조명실습실 등, 방송무대건축과에는 방송무대제작실습실, 방송무대디자인 실습실, 방송무대장식실습실 등 각과별로 7실을 제안하였다. 셋째, 과별 사무실을 세미나실로 배치하였고, 각 실습장은 전공별 전담제로 실습실 관리 및 연구실화하는 방향으로 설계하였다. 넷째, 과별로 산학협력실을 설치하여 외부의 기업체가 입주시켜 산학협력교육이 원활하게 이루어 질 수 있도록 산학 연계 교육의 장으로 구상하였다. 그리고 각 과별로 실험․실습장 1실에 대하여 개편 실습실명, 평면도 및 투시도, 실습실 운용 방안 등을 예를 들어 제시하였다. 특히 방송 관련 실험․실습실 운영을 효율적으로 하기 위해서는 산학겸임교사 활용, 방송기술관련 전문 동아리, 학교내 기업 유치 등을 중요한 요인으로 제시하였다. 끝으로 방송 산업 분야의 특성화고등학교로 성공하기 위한 실험․실습실 리모델링 및 장비 구입에 많이 예산이 소요되는 분야이므로 ‘민간자본유치사업(BTL)’을 유치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 KCI등재

        초등학교 실과 실습실의 작업대 공간 구성에 관한 연구

        유동수,이춘식 한국실과교육학회 2014 한국실과교육학회지 Vol.27 No.3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plan workbench space configuration for Practical Arts laboratory at elementary schools in order to achieve the educational goals presented in the Practical Arts Curriculum most effectively. For this purpose, we surveyed the current state of Practical Arts laboratory at elementary schools and the 2009 Revised Practical Arts Curriculum, and chose equipment in areas related to practice. In addition,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with teachers working at elementary schools in Incheon City and their demand of workbench space reallocation for Practical Arts laboratory was analyzed. For the survey, 30 elementary schools in Incheon were sampled as the primary sampling unit through stage sampling, and teachers at the schools were sampled as the secondary sampling unit through random sampling. From the results were drawn conclusions as follows: First, considering the decreasing number of students, the most adequate workbench for Practical Arts laboratory is of the four‐person square type. It is because four‐person groups are preferred to six‐person ones due to the reduced size of class. Second, the conventional‐type laboratory is adequate for a single practice activity because it provides a broad field of view for supervising the students. Workbench space relocation for practice activities adopts six‐person workbenches. Third, the group‐type laboratory is effective for safety guidance because of its short traffic line. As a sink is installed on a four‐person workbench, the room allows various practice activities. Fourth, with the combined‐type laboratory, students can have practice activities by group simultaneously. As a sink is installed separately from the workbench, students’ traffic line is long and the field of view is narrow, but this type allows the simultaneous performance of practice activities by group.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ions are made as follow for future research. As the scope of survey in this study was limited to teachers in Incheon Metropolitan City, a nationwide survey on space reallocation is necessary.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실과 실습실의 작업대 공간구성을 구안하는데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실과 실습실의 실태 조사와 2009 개정 실과교육과정을 분석하여 실습 관련 영역의 설비를 선정 하였다. 그리고 인천시내 초등학교에서 재직 중인 교사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여 실과 실습실 작업대 공간 구성에 대한 요구도를 분석하였다. 이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개별형 실과 실습실은 일반적인 6인용 작업대의 배치에 개수대는 설치되어 있지 않은 형태이며, 학생을 관찰하기 위한 시야가 충분히 확보되는 장점이 있다. 둘째, 모둠형 실과 실습실에는 4인용 작업대를 배치하고, 개수대를 내부에 설치하여 기술 실습과 가정 실습의 수업을 모두 할 수 있도록 구안되었다. 작업대와 개수대의 일체형을 설치하여 학생의 동선이 짧아 안전지도에 효과적이다. 셋째, 절충형 실과 실습실에는 개별형과 모둠형의 특징을 고려하여 4인용 정방형 작업대를 배치하였고 개수대는 작업대와 분리하여 설치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에 기초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 수가 줄어드는 현실을 고려할 때, 가장 적절한 실과 실습실의 작업대는 4인용 직사각형이다. 학급의 인원이 줄어들면서 예전의 6인 모둠 보다는 4인 모둠을 선호하기 때문이다. 둘째, 학생들을 관찰하기 위한 시야가 확보되어 단일 실습활동을 하기에 적절한 작업대 공간 구성은 개별형 실과 실습실이다. 실습 활동을 위한 작업대 공간 배치는 6인용 작업대를 배치한다. 셋째, 학생들의 이동 동선이 짧아 안전지도에 효과적인 작업대 공간 구성은 모둠형 실과 실습실이다. 여기에는 4인용 작업대 내부에 개수대가 설치되어 한 장소에서 다양한 실습을 할 수 있다. 넷째, 실습을 동시에 모둠별로 할 수 있는 작업대 공간 구성은 절충형 실과 실습실이다. 개수대를 작업대와 분리 설치함에 따라 학생들의 동선이 길고, 시야확보가 좋지 않지만, 실습을 동시에 모둠별로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 KCI등재

        서울지역 공업계 특성화 고등학교 실험 · 실습실의 유해환경에 대한 전문교과 교사의 인식

        허유미(Yu-Mi Heo),유현석(hyun-seok Yoo) 대한공업교육학회 2020 대한공업교육학회지 Vol.45 No.3

        특성화고의 전문교과 교사들은 업무시간과 이론 중심 과목의 수업을 제외하고는 대부분 실험 · 실습실에서 수업을 진행하기 때문에 장시간에 걸쳐 소음, 분진, 용접흄, 중금속, 유기용제 등 다양한 유해환경에 노출되고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서울특별시 공업계열 특성화고 전문교과 교사를 대상으로 실험 · 실습실의 유해환경 요인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수준을 분석함으로써, 특성화고 실험 · 실습실 유해환경 요인에 대한 교육자료 및 유해환경 요인 평가모델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개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이 연구에서는 실험 · 실습실의 안전 및 환경에 대한 선행 연구문헌과 관련 법령을 검토하였으며, 서울지역 공업계역 특성화고 교사들을 대상으로 실험 · 실습실 유해환경 요인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조사 설문지를 개발하였다. 이 설문지는 실험 · 실습실의 현황, 실험 · 실습실에서 수업 시 교사가 유해환경 요인을 인식하는 정도와 교사들이 노출되는 물리적, 화학적, 인간공학적 유해환경 요소, 실험 · 실습실의 유해환경 개선 사업에 대한 교사의 인식 등을 조사하는 항목으로 구성되었으며, 서울지역 공업계열 특성화고 교사 348명이 설문에 응답하였다. 설문조사 결과 실험 · 실습실별로 교사가 인식하는 유해환경 요인의 종류와 인식 정도에는 큰 차이가 있었다. 실험 · 실습 과정에서 장비를 많이 사용하거나 화학물질을 사용하는 분야의 교사일수록 유해성을 크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눈이나 코와 같이 바로 느낄 수 있는 유해환경 요소에 대해서는 유해성에 민감하게 인식하였으나 보이지 않는 유해환경 요소에 대해서는 유해성을 크게 인식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echnical high school teachers are exposed to various hazardous environments such as noise, dust, welding fumes, heavy metals, and organic solvents over a long period of time because most of the classes are taught in practice rooms, except for work hours and classes focused on theor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level of perception of teachers on the hazardous environmental factors in technical high schools in the Seoul City. In addition, it provides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educational materials for hazardous environment factors and evaluation models in technical high school practice rooms. To this end, this study reviewed previous research literature and related laws on safety and environment in the practice room and a questionnaire was developed to survey teachers" perceptions of hazardous environmental factors in the practice room of technical high schools in the Seoul. This questionnaire is for surveying the current status of the practice room, the degree to which the teacher perceives hazardous environmental factors in the practice room, the physical, chemical, ergonomic hazardous environment factors exposed to teachers, and the teacher"s perception of the hazardous environment improvement project in the practice room. And 348 teachers in Seoul area responded to this questionnaire. As a result of the survey, there was a big difference in the type and degree of recognition of hazardous environmental factors recognized by teachers for each practice subject. In the course of practice, teachers in fields that use more mechanical equipment or chemicals were found to be more aware of the hazard. In addition, the hazardous environmental factors that teachers can feel with their eyes or nose were sensitively perceived the hazard. However, it was found that the hazard was largely not recognized for the invisible hazardous environmental factors.

      • KCI등재

        문헌정보학과 교육실습실에 관한 이론적 연구

        이만수 한국도서관·정보학회 2002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Vol.33 No.2

        문헌정보학과 교육실습실에는 분류와 편목의 실습 수업을 할 수 있는 분류·편목 실습실과 첨단의 매체나 시청각 기재 또는 실습용 교구를 사용하여 수업을 할 수 있는 영상매체 실습실, 인터넷을 통한 다양한 정보 검색 방법을 체득하게 하고, 정보착용 능력을 길러 주며, 컴퓨터 관련 정보학 교과 수업을 할 수 있는 정보처리 실습실을 둔다. Constructional media centers connected to education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ets laboratory rooms for practical classification and cataloging classes; laboratory rooms for film media which can utilize advanced media, listening tools, and practical materials; information management laboratory rooms which can experience the various information research methods through the Internet, cultivate the ability of information application, and teach the curriculum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related to computers.

      • KCI등재

        항공서비스학과 교육환경 개선을 위한 실습실 서비스스케이프의 IPA 분석 연구

        배신영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22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8 No.3

        To improve the educational environment of the Department of Aviation Servic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help propose and improve a learnercentered educational space that reflects the needs of students by analyzing the servicescape of the laboratory and deriving the factors that should be prioritized among the factors of the physical environment.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importance and satisfaction of the physical environment of the laboratory were analyzed for students enrolled in D college. For data collection,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from May 23rd to June 3rd, 2022. Statistical analysis and IPA analysis were performed using 248 copies of valid data.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the importance of the laboratory servicescape was higher than the satisfaction level, suggesting that improvement of the overall educational environment level is necessary. In particular, it was confirmed that the difference between importance and satisfaction was the largest in safety and modernization factors, suggesting that safety management of the laboratory and the introduction of a cutting-edge education system were required. Second, as a result of the IPA analysis of the laboratory servicescape, environmental control facilities and cleanliness were confirmed as factors with high importance and satisfaction, and spatial arrangement functionality was derived as factors with low importance and relatively high satisfaction. In addition, the aesthetic environment was identified as factors with both low importance and satisfaction, and comfort, safety, and advanced technology were derived as factors with high importance but relatively low satisfaction. Through the research results, factors that should be improved first for the laboratory were identified, and implications for changes in the physical environment of the laboratory reflecting the needs of students were provided. The competitiveness of the Department of Aviation Service should be strengthened by creating an effective practical training space for nurturing future professionals. 본 연구는 항공서비스학과의 교육환경 개선을 위해실습실의 서비스스케이프를 분석하고 물리적 환경 요인 중 우선시 되어야 할 요소를 도출하여 학생의 니즈를 반영한 학습자 중심의 교육공간 제안 및 개선에도움을 주고자 진행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D 전문대학 재학생을 대상으로 실습실의물리적 환경에 대한 중요도 및 만족도를 분석하였다. 자료수집을 위해 2022년 5월 23일부터 6월 3일까지온라인을 통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248부의 유효한 데이터를 활용하여 통계분석 및 IPA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항공서비스학과 실습실 서비스스케이프의 중요도는 만족도보다 모두 높게 나타나 전반적인 교육환경 수준에 대한 개선이 필요함을 시사했다. 특히 안전성과 첨단화 요인에서 중요도와 만족도간의 차이가 가장 큰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실습실 교육환경에 대한 안전 관리와 최첨단 교육시스템의 도입이 요구됨을 시사하였다. 둘째, 실습실 서비스스케이프의 IPA 분석결과, 중요도와 만족도가 모두 높은항목으로 환경조절시설과 청결성이 확인되었고 중요도는 낮고 만족도는 상대적으로 높은 항목으로 공간배치 기능성이 도출되었다. 또한 중요도와 만족도가모두 낮은 항목으로 미학적 환경이 규명되었으며 중요도는 높으나 만족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요인으로는쾌적성, 안전성, 첨단화가 도출되었다. 연구결과를 통해 실습실 교육환경을 위해 우선적으로 개선되어야할 요인을 확인하였으며 학생 요구도를 반영한 실습실 물리적 환경변화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미래의 전문직업인 양성을 위한 효과적인 실습 교육공간을 조성하여 항공서비스학과의 경쟁력을 강화해 나가야 할 것이다.

      • KCI등재후보

        예방적 치면세마 수혜 방문자들의 실습실 환경 및 감염방지인식에 대한 조사

        김혜진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5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5 No.6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whether to recognize sanitation and infection to laboratory subjects in this study visit to the laboratories and hygienic laboratories to take advantage of the environment in which subjects can practice in the future on the basis of reliable data, which can make. The date was 2 to 4 September 2014, among a total of 153 people surveyed who agree to subjects are general characteristics (gender, age, occupation, education, smoking status), and lab environments recognized six items, laboratory infection prevention awareness 6 items, for my lab technician recognition was used to develop a questionnaire consisting of six question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lab environmental awareness, prevent infections, the surgeon awareness of the attitude of Higher Education in Education increase environmental awareness sco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labs in environmental awareness, infection control, infection prevention in the correlation between the perception of environmental awareness surgeon attitude, and the surgeon is aware attitude Environmental awareness, prevention of infection and showed that the net correlation. Lab visits required subjects of the environment, and oral health professionals to help increase the awareness and satisfaction with the infection control efforts and is considered particularly, to medical dental office environment and infection control needs to be thoroughly explore the policy options that can be done. 본 연구는 학교 방문 대상자들의 실습실 내 환경에 대한 인식과 감염에 대한 인지정도를 조사하여, 향후 참여 대상자의 만족하고 신뢰할 수 있는 실습실 환경을 조성하고자 G시에 소재 대학교 내 치위생학과 실습실을 방문한 153명을 대상으로 자기기입식 설문조사방법으로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대상자의 실습실 환경인식에서 환경상태 청결과 위생관리, 환기, 실내온도 적절에 대해 ‘그렇지 않다’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으며 감염방지에서는 전 문항에 대해 ‘그렇지 않다’라고 부정적인 응답이 높았으며 술자태도 인식에서는 술자의 부족한 기술로 인해 방문을 후회한 적이 있는가에 대해 ‘그렇다’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으며 적절한 설명을 했는가에 대해서도 ‘그렇지 않다’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실습실 내 환경인식, 감염방지, 술자태도에 대한 인식은 교육에서 학력이 높을수록 환경인식 점수가 높아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실습실 내 환경인식, 감염방지, 술자태도에 대한 인식간의 상관관계에서 감염방지는 환경인식과, 술자태도 인식은 환경인식, 감염방지와 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 실습실 방문 대상자의 환경 및 감염관리에 대한 인식과 만족이 높아질 수 있도록 구강보건 전문인력의 노력이 필요하며, 특히 치과진료기관의 진료실 환경과 더불어 감염관리가 철저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 KCI등재

        R을 활용한 "대화형 통계학 입문 실습실" 개발과 활용

        이상구 ( Sang-gu Lee ),이긍희 ( Geung-hee Lee ),최용석 ( Yong-seok Choi ),이재화 ( Jae Hwa Lee ),이지영 ( Jenny Jyoung Lee ) 한국수학교육학회 2015 수학교육논문집 Vol.29 No.4

        본 연구에서는 최근 통계 분야에서 활용도가 급격히 높아지고 있는 중요한 컴퓨터 언어이자 오픈 소스 통계 프로그램인 R을 활용하는 ``대화형(interactive) 통계학 입문 실습실``의 개발 과정과 내용 및 활용을 다룬다. 최근에 개발을 마치고 2014 서울 세계수학자대회에서 소개된 후, 통계 강좌 등에 실제 사용되는 웹상의 R을 활용한 본 대화형 통계학 입문 실습실의 특징은 웹상에서 본문과 예제의 설명 및 풀이과정과 함께 대응하는 R 명령어 코드들을 함께 박스안에 제공하여, 실습 때마다 일일이 컴퓨터 명령어 코드들을 입력해야하는 번거로움을 없앴다. 또한, 명령어의 실행을 위하여 프로그램을 설치하지 않고, 명령어 상자 아래 제공한 [클릭-실행] 버튼을 누르기만 하면, 클라우드 컴퓨팅으로 그 결과값과 그래픽을 동시에 바로 같은 화면에서 확인하면서, 시뮬레이션 및 실습을 할 수 있고, 더 나아가 그와 유사한 다른 문제에 함수와 조건만을 수정하여 바로 사용할 수 있는 편리함이 추가되었다. 그 결과 대화형 통계학 입문 실습실에서는 R 명령어를 이해하는 데 필요한 시간과 노력이 대폭 줄어들 뿐 아니라, 초보자에게 통계학 입문 과목을 지도하기에 적절하며, 그밖에 다양한 Java 시각화 도구와 이미지 및 통계 자료를 사용하여 사용자 맞춤형강의실 개발이 가능하여 통계학입문 강의를 수강하는 학생들의 관심과 흥미를 유도할 수 있도록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본 실습실을 통계입문 강좌의 효과적인 실습실 모델의 하나로 소개한다. In this paper, we introduce development process and application of a simple and effective model of a statistics laboratory using open source software R, one of leading language and environment for statistical computing and graphics. This model consists of HTML files, including Sage cells, video lectures and enough internet resources. Users do not have to install statistical softwares to run their code. Clicking ``evaluate`` button in the web page displays the result that is calculated through cloud-computing environment. Hence, with any type of mobile equipment and internet, learners can freely practice statistical concepts and theorems via various examples with sample R (or Sage) codes which were given, while instructors can easily design and modify it for his/her lectures, only gathering many existing resources and editing HTML file. This will be a resonable model of laboratory for studying statistics. This model with bunch of provided materials will reduce the time and effort needed for R-beginners to be acquainted with and understand R language and also stimulate beginners`` interest in statistics. We introduce this interactive statistical laboratory as an useful model for beginners to learn basic statistical concepts and R.

      • KCI등재

        항공관련학과 대학생들이 인식하는 항공실습실의 물리적 환경 중요도-만족도 분석 - 충청지역을 중심으로 -

        김소영,차석빈 한국관광학회 2011 관광학연구 Vol.35 No.7

        Surveying 172 students majoring in airline service at three universities in Choongchung province, this study attempted to delineate the underlying dimensions of Mockup Room Servicescape(MRS) and to compare their perception of the importance of mockup room attributes and their satisfaction level. Factor analysis of 20 attributes identified four dimensions of mockup room attributes such as practice environment, practice facilities, layout, and class facilities. IPA indicated that schools should make every efforts to improve room structure, emergency equipments, diversity of service equipments, in-flight announcement facilities, and diverse types of class seats for passengers. The study concluded with the implications of the results and suggests some future research topics. 이 연구는 충청지역 4년제 대학교 항공관련학과 학생들을 대상으로 이들이 인식하는 항공실습실의 물리적 환경 속성(Mockup Room Servicescape)에 대한 중요도와 이들 속성에 대한 만족도 비교분석 및 항공실습실의 물리적 환경차원을 도출해보고자 하였다. 중요도-만족도 분석 결과, 현재의 실습실은 구조, 비상장비, 기물의 다양성, 기내방송시설, 다양한 좌석등급시설 등에서 보완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20개의 실습실 속성의 요인분석결과, 항공실습실의 물리적 환경은 실습환경, 실습시설, 레이아웃, 강의시설 등 4개의 차원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네 가지 요인들은 학년과 실습인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 KCI등재

        가정실습실 공간 구축과 활용을 통한 진로 연계형 고등학교 선택 과목 운영 사례 연구

        고재윤(Ko, Jae Yun),김은정(Kim, Eun Jeung) 한국가정과교육학회 2020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ol.32 No.4

        본 연구는 가정과 교육 활동을 위한 가정실습실 공간 구축 및 활용 사례를 통해 진로 연계형 고등학교 선택 과목 확대를위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고등학교 선택 과목 추이와 학교 실험⋅실습실의 교육적 효과에 대한 선행연구의 고찰, 이를가정실습실 구축을 통한 진로 연계형 고등학교 선택 과목 사례를 서울의 일반고교 두 곳을 중심으로 제시하였다. 이를 통해도출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2020년 현재 고등학교 학생들의 진로 선택 과목 중 가정 교과 관련 과목 개설은 학교마다차이가 있었다. 본 연구의 대상 학교의 경우 실험⋅실습실의 활용도가 높으며, 학생들의 선호가 있으나, 과목 개설에서 입시과목과의 연관성에 대한 안내를 통해 학생들의 선택의 암묵적 유도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일반계 고등학교에서 가정교과 수업 시간 축소, 개설과목 축소는 교사 충원과 연관되며, 이는 궁극적으로 교과의 위기로 이어질 수 있으나 가정 교과와진로 진학을 연계한 활동을 통해 학생들의 가정 교과에 대해 긍정적으로 인식하여, 이는 교과 선택으로 연장되고 있음을 제시하고있다. 이를 통해 다양한 가정 교과 관련 과목의 개설과 홍보가 적극적으로 이루어질 필요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aimed to suggest measures expand career-related elective subjects in the high schools through a case of establishingand utilizing a learning space for hands-on home economics classroom activities. Upon the trend reviews of elective subjectsin the high school and literature reviews on the educational outcomes from home economics classrooms, a case of career-relatedelective subject by establishment of learning space related to home economics was proposed in two high schools in Seoul. The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trend in 2020 showed that selecting a home economics course as a career-related subject dependson school situations. The results of the survey at schools show that the utilization rate of hands-on learning space for homeeconomics was high with high preference among students, but schools implicitly guided students to select courses that are relatedto preparation for university entrance. Second, reductions of class hours and decreased likelihood to offer courses in home economicsin general high schools would influence the recruitment of teachers, which may ultimately result in a threat to the subject. However,through career-related activities, students may develop positive perception of the subject of home economics and consequentlyselect the subject.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open and promote multiple elective courses related to home economics for thesurvival of subject of home economic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